KR101170880B1 -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880B1
KR101170880B1 KR1020080061258A KR20080061258A KR101170880B1 KR 101170880 B1 KR101170880 B1 KR 101170880B1 KR 1020080061258 A KR1020080061258 A KR 1020080061258A KR 20080061258 A KR20080061258 A KR 20080061258A KR 101170880 B1 KR101170880 B1 KR 10117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ep
drinking water
deep sea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82A (ko
Inventor
서희동
Original Assignee
서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동 filed Critical 서희동
Priority to KR102008006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를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가축의 음용수에 혼합한 것을 가축 음용수 저장조에 주입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처리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해수, 해양 심층수, 용수, 가축 음용수

Description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A method to treat domestic animal water to drink using deep-ocean water}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취수하여 가축의 음용수에 혼합한 것을 가축 음용수 저장조에 공급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축의 음용수를 일반적으로 지하수나 광천수를 취수하여 가축에 급여하였으나, 지하수나 광천수 중에는 가축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미네랄성분이 존재하지 않아 성장속도가 느리면서 육질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혼합하여 가축 음용수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를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가축의 음용수에 혼합한 것을 가축 음용수 저장조에 주입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처리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가축 음용수 저장조에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공급하고,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한 것을 가축에 급여하였을 때 성장속도의 향상과 육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축음료수처리에 널리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 심층수는 통상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수를 해양 심층수라고 부르며, 표층해수와는 달리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Plankton) 및 생명체가 증식(增殖)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농도가 높으면서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로 표층해수와 혼합되지 않아 표층해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없으며, 표층해수와 비교하였을 때 저온안정성(低溫安定性), 오염물질과 유해세균이나 유기물이 매우 적은 청정성(淸淨性), 식물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무기영양염류(無機營養鹽類)가 풍부한 부영양성(富營養性)과 다양한 미네랄(Mineral) 성분이 균형있게 존재하는 미네랄밸런스(Mineral balance)특성과 고압 저온상태에서 긴 세월동안 물 분자의 집단(Cluster)이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표면장력(表面張力)이 적어 침투성(浸透性)이 좋은 소집단수(小集團水: Microclustered water)로 숙성된 숙성성(熟成性) 등의 특성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표1의 내용과 같다.
표1 해양 심층수의 특성

저온안정성
표층해수의 수온은 계절에 따라서 큰 폭으로 변동하는 데 비해, 해양 심층수는 수온의 변동이 적으면서 저온으로 안정되어 있다.

청정성
해양 심층수는 심층에 있으므로 육상의 하천수, 대기로부터의 오염을 받기 어렵고, 화학물질, 세균 및 생물체, 현탁물(懸濁物)이 매우 적다.

부영양성
해양 심층수는 햇빛이 닿지 않는 깊은 곳에 있으므로 광합성을 하지 않고, 표층해수와 비교해서, 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미네랄특성
해양 심층수에는 다양한 필수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불순물이 적은 특성이 있다.

숙성성
해양 심층수는 고압 하에서 긴 세월을 지나면서 숙성되어 물 분자의 집단체(Cluster)가 소집단화(小集團化)되어 표면장력(表面張力)이 적어 침투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율이 높다.
해양 심층수는 표층해수에 비해서 오염물질 및 유해세균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 표2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축의 생육에 필요한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아연(Zn), 나트륨(Na) 등 70종류를 넘는 다종다양(多種多樣)한 미네랄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영양염류(營養鹽類), 생균 수, 수온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 특성이 있다.
표2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 치

구 분
울릉도 현포
650m 해양 심층수 표층해수




수온(℃) 0.5 23
pH 7.97 8.15
DO 용존산소(㎎/ℓ) 6 8
TOC 유기 탄소(㎎/ℓ) 0.962 1.780
용해성 증발잔류물(㎎/ℓ) 40,750 37,590
M-알칼리도 (㎎/ℓ) 114.6 110.5




NaCl(wt%) 3.412 3.453
Mg 마그네슘(㎎/ℓ) 1,320 1,280
Ca 칼슘(㎎/ℓ) 393 403
K 칼륨(㎎/ℓ) 380 399
Br 취소(㎎/ℓ) 68.8 68.1
Sr 스트론튬(㎎/ℓ) 7.771 7.612
B 붕소 (㎎/ℓ) 4.431 4.482
Ba 바륨(㎎/ℓ) 0.044 0.025
F 불소 (㎎/ℓ) 0.531 0.562
SO4 2-(㎎/ℓ) 2,883 2,627




NH4 +암모니아태질소(㎎/ℓ) 0.051 0.030
NO3 -질산태질소(㎎/ℓ) 1.161 0.082
PO4 3-인산태인(㎎/ℓ) 0.060 0.012
Si 규소(㎎/ℓ) 1.892 0.320




Pb 납(㎍/ℓ) 0.110 0.087
Cd 카드뮴(㎍/ℓ) 0.028 0.008
Cu 구리(㎍/ℓ) 0.260 0.272
Fe 철(㎍/ℓ) 0.217 0.355
Mn 망간(㎍/ℓ) 0.265 0.313
Ni 니켈(㎍/ℓ) 0.361 0.495
Zn 아연(㎍/ℓ) 0.624 0.453
As 비소(㎍/ℓ) 0.040 0.441
Mo 몰리브덴(㎍/ℓ) 5.102 5.566
Cr 크롬(㎍/ℓ) 0.021 0.023

생균 수(개/㎖) 0 520
대장균 수(개/㎖) 음성 음성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의 해양 심층수의 경우는,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양 심층수에는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Plankton) 및 생명체가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축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염류(營養鹽類)의 농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면서, 수온에 따른 밀도차이로 표층해수와 혼합되지 않아 표층해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면서 유해세균이 매우 적은 청정한 특징이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를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담수(淡水)와 혼합한 것을 가축 음용수 저장조(1)에 공급하고,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曝氣)하여 처리한 음용수를 음용수 이송펌프(4)로 축사의 가축에 급여한다.
삭제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담수(淡水)를 공급하고,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는 양(量)은 닭, 오리, 타조와 같은 조류의 경우는 염분농도가 0.1~0.3wt%범위로 혼합하고, 돼지의 경우는 염분농도가 0.2~0.5wt%범위로 혼합하며, 소, 염소, 사슴과 같은 초식동물의 경우는 0.5~1.0wt%범위로 공급한다.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를 하면 공기와 함께 물이 에어 리프팅(Air lifting) 되면서 해양 심층수와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담수(淡水)가 혼합된다.
삭제
삭제
충전탑(2) 하부로 공급하는 공기의 량은, 폭기강도(Intensity of aeration) 1~4㎥(공기량)/㎥(음용수 저장조 용적)?시간으로 하고,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은 유량에 따른 마찰 손실두(Friction loss head), 수족관의 깊이에 따른 수두(Static head) 등을 고려하여 총 양정(Total head)에 따라서 결정한다.
삭제
그리고 음용수 저장조(1), 충전탑(2)과 배관 등의 재질은 염수에서 내식성 재질을 사용한다.
삭제
[실시 예1]
비육돈 4,000 두를 25㎏에서 110㎏까지 사육하는 양돈농가에서, 비육돈 2,000두에는, 30㎥ 용량의 음용수 저장조(1)에 지하수를 27㎥/일과 수심 650m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 3㎥/일을 혼합?공급하고, 송풍기로부터 공기를 6.2㎥/시간으로 공급하면서 처리한 음용수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사육한 결과는 표3의 내용과 같았다.
[비교 예1]
30㎥ 용량의 음용수 저장조에 실시 예1과 동일한 지하수 30㎥/일로 주입하고, 이 지하수를 평균 25㎏에서 110㎏까지 사육하는 비육돈 2,000두에 급여하였을 때 결과는 표 3의 내용과 같았다.
실시 예1과 비교 예1의 실험은, 동일 농장에서 사료의 종류와 모든 사육환경 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표3 비육돈 사육결과

구분
지하수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음용수를 급여하여 사육한 실시 예1의 사육결과 지하수를 음료수로 급여하여 사육한 비교 예1의 사육결과
사육일수(일) 80 105

도체등급(%)
A 70 21
B 27 30
C 3 42
D _ 7
상기의 표3의 비육돈의 사육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수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여 사육한 실시 예1의 경우는 1일 증체(增體)가 1.063㎏인데, 지하수만을 음용수로 급여한 비교 예1의 경우는 1일 증체가 0.81㎏로 성장속도가 향상되었으며, 또한, 도축결과 도체등급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질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제1도는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용수 저장조 2: 충전탑
3: 충전물 4: 음용수 공급펌프

Claims (3)

  1. 가축 음용수처리에 있어서, 충전탑(2)이 내장된 음용수 저장조(1)와,
    상기 음용수 저장조(1)에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정수한 담수(淡水)를 공급한 다음, 해수면에서 수심 200m보다 깊은 해저심층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고, 상기 충전탑(2)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폭기한 것을 음용수 이송펌프(4)로 축사의 가축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80061258A 2008-06-27 2008-06-27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117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58A KR101170880B1 (ko) 2008-06-27 2008-06-27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58A KR101170880B1 (ko) 2008-06-27 2008-06-27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82A KR20100001382A (ko) 2010-01-06
KR101170880B1 true KR101170880B1 (ko) 2012-08-08

Family

ID=4181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258A KR101170880B1 (ko) 2008-06-27 2008-06-27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078B1 (ko) * 2014-04-11 2015-12-21 조재근 물공급 배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기능수 공급장치
KR101656335B1 (ko) * 2014-04-15 2016-09-09 조재근 식품용기에 내장 또는 설치되어 원적외선 방사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세라믹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36B1 (ko) 2005-08-23 2007-03-09 서희동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음료수의 제조방법
KR100838058B1 (ko) * 2006-03-14 2008-06-13 서희동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36B1 (ko) 2005-08-23 2007-03-09 서희동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음료수의 제조방법
KR100838058B1 (ko) * 2006-03-14 2008-06-13 서희동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82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wann A fish farmer's guide to understanding water quality
KR100861134B1 (ko)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해조류의 양식방법
Pérez-Rostro et al. Biofloc, a technical alternative for culturing Malaysian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Summerfelt Water quality considerations for aquaculture
KR101433371B1 (ko) 간수를 첨가한 음용수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
Sallenave Understanding water quality parameters to better manage your pond
KR101578927B1 (ko) 표층해수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해삼을 양식하는 방법
JP6512467B1 (ja) 養殖槽の改質方法、および養殖方法
KR100869033B1 (ko)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KR101170880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Maucieri et al. Nitrogen budget in recirculating aquaponic systems with different fish stocking density
KR101037280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상토를 만드는방법
CN106927573A (zh) 一种污染水体的生物治理方法
KR20110002235U (ko) 농축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가두리양식장
KR101626793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WO1993024418A1 (en) Method for processing liquide manure
Durai et al. Importanc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Whiteleg shrimp (Penaeus Vannamei) farming
KR100838058B1 (ko) 해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Sarkar et al. Importance of Soil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reshwater Aqua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Catfish Farming
KR20100018435A (ko)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하는 방법
KR20090120374A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20110025201A (ko) 해양 심층수를 가축 음용수에 이용하는 방법
KR101657211B1 (ko) 개질된 활성오니, 이를 이용한 하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처리수의 이용
KR101546254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의 음용수를 처리하는 방법
KR100887516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가축음료수를 처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