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142B1 -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142B1
KR101546142B1 KR1020130109208A KR20130109208A KR101546142B1 KR 101546142 B1 KR101546142 B1 KR 101546142B1 KR 1020130109208 A KR1020130109208 A KR 1020130109208A KR 20130109208 A KR20130109208 A KR 20130109208A KR 101546142 B1 KR101546142 B1 KR 10154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anchor
fastened
head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030A (ko
Inventor
김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기업
아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기업, 아성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기업
Priority to KR102013010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1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와 파일(40)이 하나의 부재로써 앵커의 추진과 인발의 수단이 되고, 인발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몸체(10)에 형성된 복수의 날개(21)가 인발 방향의 역방향으로 확산되어 저항력을 극대화하고, 현장의 여건에 따라 그 시공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스앵커에 관한 것으로써, 현장의 조건이 토사의 경우에는 별도로 천공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지반에 직접 어스앵커를 추진할 수 있고,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수행한 후 파일(40)에 구비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그라우트를 실시할 수 있고, 파일(40)에 체결된 옹이(46)에 의해 앵커의 저항 및 정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다수 개의 앵커 몸체(20)를 체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 터파기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시공 후에 쉽게 파일(40)의 회수가 가능하고, 아울러 어스앵커의 시공한 후 매 앵커마다 인발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이 높은 어스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Earth anch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부와 몸체 및 연결구와 파일이 하나의 부재로써 앵커의 추진과 인발의 수단이 되고, 인발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인발 방향의 역방향으로 확산되어 저항력을 극대화하고, 현장의 여건과 시방 조건에 따라 그 시공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서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나 토류벽 등을 구축하게 된다. 이때, 설치된 옹벽이나 토류벽 등의 구조물은 토압이나 토상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시공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옹벽이나 토류벽 등을 설치할 배면의 지중에 어스앵커를 설치하여, 지중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지중의 저항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구조물에 어스앵커를 연결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어스앵커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옹벽이나 토류벽의 배면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천공을 하여 그 속에 PC 강선 또는 PC 강봉 등의 인장재를 삽입한 다음, 그 주위를 조강성 몰탈 등의 주입재로 정착시키고, 그리고 이 주입재가 경화한 후에 인장재를 긴장하여 구조물에 정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어스앵커를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지반 조건, 구조물의 조건, 구조물의 응력변위, 구조물 전체의 안정 등을 고려하여 앵커 길이, 앵커 간격, 앵커 각도, 앵커 정착재 위치 등이 결정되므로 신중한 시공관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PC 강선 또는 PC 강봉 등의 인장재를 이용한 어스앵커는 별도의 천공장치로 천공작업을 수행하여 인장재를 삽입한 후, 그라우트를 실시하여 지반에 대한 저항 및 정착능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주입재가 경화한 후에 인장재를 긴장하여야 하므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현장별로 지반 조건이 토사, 암반, 연약 지반 등 다양함에도 천편일률적으로 적용해 왔으며, 지중에 설치된 어스앵커의 개개에 대한 결속력 내지 저항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없고,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도 인장재의 회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311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63311호 역시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311호(2004.09.18)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와 몸체 및 연결구와 파일이 하나의 부재로써 앵커의 추진과 인발의 수단이 되고, 인발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인발 방향의 역방향으로 확산되어 저항력을 극대화하고, 현장의 여건에 따라 그 시공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스앵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즉, 현장의 지반 조건이 일반 토사일 경우에는 별도로 천공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파일 후단에 구비된 타격부를 타격하여 지반에 직접 어스앵커를 추진할 수 있고, 현장의 지반 여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수행하여 어스앵커를 삽입한 경우에는 파일부에 구비된 중공로를 이용하여 그라우트를 실시할 수 있고, 파일부에 체결된 옹이에 의해 앵커의 저항 및 정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파일끼리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나사산을 활용하여 다수 개의 앵커 몸체를 체결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스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또한, 지하 터파기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 앵커의 몸체와 파일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 후에 쉽게 파일의 회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스앵커의 시공한 후 매 앵커마다 인발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이 높은 어스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어스앵커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구성된 선단과, 상기 선단의 반대측으로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면과 걸림턱이 구비된 두부;와 상기 두부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몸체에 구성된 요홈과,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하여 이뤄진 다수의 날개와, 각각의 날개 끝단에 인발시 날개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과, 상기 관체 내부에 연결구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암나사와, 필요시 두부와 몸체와 연결구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성된 몸체암나사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와, 타측에 파일의 파일수나사와 대응하게 구성된 연결암나사가 구비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구성된 연결암나사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파일수나사와, 타측에 또 다른 파일의 파일수나사와 대응하게 구성된 파일암나사가 구비되고, 그라우팅 등이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중공로가 구비된 파일;과 상기 파일 후단에 파일을 추진할 때 파일을 보호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타격 캡;과 상기의 파일 후단에 구비된 파일암나사와 체결이 가능한 다용도구 볼트와, 인발시 인발기가 걸릴 수 있는 다용도구 턱과, 파일을 회수할 때 PC강선(로우프) 등을 체결할 수 있는 다용도구 고리가 구비된 다용도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날개는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에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및 두부에 구성된 두부암나사와 연결구의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는 왼나사이며, 연결구 일측에 구성된 연결암나사 및 파일의 일측에 구비된 파일수나사와 타측에 구비된 파일암나사는 오른나사로 구성되며, 상기의 암/수나사는 상호 조립이 가능한 동일 규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와 몸체 및 연결구와 파일이 하나의 부재로써 앵커의 추진과 인발의 수단이 되고, 인발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앵커의 날개가 인발 방향의 역방향으로 확산되어 앵커 자체로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현장의 여건에 따라 그 시공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요구되는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어스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현장의 조건이 토사의 경우에는 별도로 천공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지반에 직접 어스앵커를 추진할 수 있고,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수행한 후 파일부에 구비된 중공로를 이용하여 그라우트를 실시할 수 있고, 파일부에 체결된 옹이에 의해 앵커의 저항 및 정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다수 개의 앵커를 체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 터파기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시공 후에 쉽게 파일의 회수가 가능하며, 아울러 어스앵커의 시공한 후 매 앵커마다 인발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이 높은 어스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구성하는 두부와 몸체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두부와 몸체와 연결구의 결합 상태 및 두부와 몸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연결구와 제1파일과 제2파일의 조립 및 타격 캡과 타격 공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 단면도 및 부속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몸체의 평상시와 추진시와 확산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및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추진시 및 확산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토사 지반에 앵커를 추진시켜 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암반 지반에 앵커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연약 지반에 어스앵커 몸체를 복수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토류벽에 어스앵커를 시공한 후 파일을 회수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중공로를 이용하여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 등으로 인장재를 대체하는 개념도 및 그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와 다용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결재로 구조물(옹벽)을 구축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어스앵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구성하는 두부와 몸체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두부와 몸체 및 연결구와 파일의 결합 상태와, 두부 및 몸체의 분리 상태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연결구와 제1파일과 제2파일의 조립 및 타격 캡과 타격 공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평상시와 추진시와 확산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및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추진시 및 확산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토사 지반에 앵커를 추진시켜 시공하는 개념도이고, 도 7은 암반 지반에 앵커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하는 개념도이며, 도 8은 연약 지반에 앵커의 몸체를 복수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로 토류벽에 앵커를 시공한 후 파일을 회수하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중공로를 이용하여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으로 인장재를 대체한 후 파일을 회수하는 개념도 및 그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카와 다용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연결재로 구조물(옹벽 등)을 구축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구성된 선단(11)과, 상기 선단(11)의 반대측으로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이 구비된 두부(10)와, 상기 두부(10)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몸체(20)에 구성된 요홈(23)과,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하여 이뤄진 다수의 날개(21)와, 각각의 날개(21) 끝단에 인발시 날개(21)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22)과, 상기 관체 내부에 연결구(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암나사(25)와, 필요시 두부(10)와 몸체(20)와 연결구(30)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24)이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구성된 몸체암나사(25)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31)와, 타측에 파일(41,42)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연결암나사(32)가 구비된 연결구(30)와, 상기 연결구(30)에 구성된 연결암나사(32)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파일수나사(44)와, 타측에 또 다른 파일(41,42)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파일암나사(45)와, 그라우팅 등이 가능하도록 중공로(43)가 구비된 파일(41,42)과, 상기 파일(41,42) 후단에 추진시에 타격할 수 있도록 타격 캡(5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는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와 파일(40)을 비롯한 그 부속구를 포함한다.
이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두부(10)는 일측에 원뿔형으로 형성된 선단(11)과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 및 내주면에 형성된 두부암나사(15)와 공동(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11)는 일측에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추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은 몸체(20)의 요홈(23)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두부암나사(15)는 연결구(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의 왼나사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상기 두부(10)의 후방측으로 개방된 속이 빈 관체로써, 내주면에는 상기 두부(10)에 형성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요홈(23)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암나사(25)가 구성되며, 몸체(20)와 연결구(30)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24)이 구성된다. 아울러, 외주면에는 관체를 등분 절개한 절개부(26)에 의해 다수의 날개(21)가 구성되고, 각각의 날개(21) 끝단에 인발시 날개(21)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22)이 구성되며, 각각의 날개(21)와 미늘(22)의 외측으로 중심부에 유선형의 측선(27)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중공로(43)가 형성된 속이 빈 파이프로써, 일측에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몸체암나사(25) 및 두부암나사(15)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규격의 연결수나사(31)가 왼나사로 구성되며, 타측으로 파일(41,42)의 일측에 형성된 파일수나사(44)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규격의 연결암나사(32)가 오른나사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수나사(31)의 길이는 몸체암나사(25)의 길이와 두부암나사(15)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구성된다.
상기 파일(41,42)은 중공로(43)가 형성된 속이 빈 파이프로써, 일측에 상기 연결구(30)에 형성된 연결암나사(32)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규격의 파일수나사(44)가 오른나사로 구성되며, 타측으로 파일(41,42)의 일측에 형성된 파일수나사(44)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규격의 연결암나사(45)가 오른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파일(41,42)과 파일(41,42)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체결)하여 사용하는 옹이(46)의 굵기는 파일(41,42)보다 더 굵게 구성된다.
이하는,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두부(10)의 일측에 원뿔형으로 형성된 선단(11)은, 도 6과 같이 토사 지반에 직접 앵커를 타격하여 추진할 경우와, 도 7과 같이 암반 지반에 천공을 실시한 후 앵커를 추진할 때 일부 구간에 함몰 내지 부산물 등이 있는 경우와, 도 8과 같이 연약 지반에 앵커를 추진할 경우에는, 지중(2)에 어스앵커의 추진을 용이하게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걸림턱(14)과 몸체(20)에 형성된 凸형태의 걸림구(14a,14b)와 凹형태의 걸림구(14c,14d)는, 두부(10)와 몸체(20)을 조립할 때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연결구(30)에 구비된 제1수나사(31)와 몸체(20)에 구비된 제2암나사(25)을 관통하여 두부(10)에 구비된 두부암나사(15)까지 일체로 조립될 수 있도록 나사산의 정렬을 일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몸체(10)에 凸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a)는 걸림턱(14)에 형성된 凹형태의 걸림구(14c)와, 몸체(10)에 凹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b)는 걸림턱(14)에 형성된 요입형태의 걸림구(14d)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와 같이 앵커를 시공한 후 파일(40)을 회수할 때에는 파일(41,42)과 함께 연결구(30)가 회전하더라도, 요철형태의 걸림구(14a)와 요입형태의 걸림구(14b)에 의해 두부(10)와 몸체(20)가 결속되어 있으므로 두부(10)는 연결구(30)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두부에 구비된 공동(16)은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체결할 때 나사산(15,25,31)에 묻은 찌꺼기나 토사 등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가 틈이 없이 일체로 결합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앵커의 무게가 줄어들어 재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와이어와 같은 연성의 인장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일(40) 내부의 중공로(43)를 이용하여 PC강선(로우프)를 두부(10)까지 삽입한 후, 공동(16)의 공간을 활용하여 풀림방지 매듭이나 부속구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는 도 6과 같이 그라우팅을 실시할 경우에는, 파일(40) 및 연결구(3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구(30) 및 몸체(20)와 분리됨으로써, 몸체 후면에 인출시 형성된 공간을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통해 그라우팅제(G)로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암반 지반에 천공을 실시한 후 앵커를 추진할 경우와, 도 8과 같이 연약 지반에 앵커를 다수개 체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두부(10)을 체결하지 않고 시공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에 테이퍼 형태로 구비된 요홈(23)은, 상기 두부(10)에 형성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몸체(20)에 내주면에 형성된 몸체암나사(25)은, 왼나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와 체결이 가능하며, 지하터파기의 토류벽과 같이 앵커를 시공한 후 필요에 의해 파일(40)을 제거할 경우에는 오른나사인 파일(40)과 그 풀림 방향이 반대이므로 몸체(20)로부터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 부분이 분리되어 연결구(30) 이하 파일(40)을 회수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20)에 구성된 다수의 날개(21)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하되 안착면(24)쪽은 두껍고 미늘(22)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게 구성하여 앵커를 추진할 경우에는 미늘(22)를 포함한 끝단부가 오므라들 수 있도록 하며, 인발시에는 미늘(22)부터 점진적으로 인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날개(21)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발이 이뤄지는 것에 상응되게 부가되는 응력이 날개(21)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어 날개(21)의 꺾임 및 파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각각의 날개(21)와 미늘(22)의 외측으로 유선형의 측선(27)이 그 중심부에 구성되어, 인발시 날개(21)의 꺾임 및 파열을 방지하면서 날개(21)의 확산을 유도하고, 도 9와 같이 토류벽(4)에 어스앵커를 시공한 후 파일(40)을 회수할 경우에는 파일(40)과 연결구(30)가 회전함에 따라 몸체(2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해 줌으로써, 파일(40)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시공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그 시공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우선 사전에 지반 조사를 통하여 천공을 실시한 후 어스앵커를 설치할 것인지, 천공을 생략하고 직접 지반에 어스앵커를 추진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장의 조건이 일반 토사일 경우에는, 별도의 천공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어스앵커를 직접 지반에 추진한다. 이 경우 먼저 두부(10)의 걸림턱(14)에 凸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a)는 凹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c)와, 凹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b)는 凸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d)와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한 후, 연결구(30)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을 몸체(20)에 형성된 몸체암나사(25)에 체결하여, 두부(10)와 몸체(20)와 연결구(30)이 일체가 되도록 조립한다. 그 다음 제1파일(41)의 파일수나사(44)을 연결구(30)의 연결암나사(32)에 체결한다. 이때 연결구(30)와 몸체(20)는 왼나사로 체결되고, 연결구(30)과 제1파일(41)은 오른나사로 체결되므로, 연결구(30)와 제1파일(41)을 체결용 연장으로 회전시켜 체결한다. 그 다음 타격 캡(50)의 파일 삽입홀(51)을 제1파일(41)의 끝단에 삽입하고, 타격 캡(50)에 형성된 공이 삽입홀(52)에 타격장비에 부착된 타격 공이(60)를 타격하여 지중(2)으로 추진시킨다. 이후 추진 깊이에 따라 제1파일(41)과 제2파일(42) 순으로 체결해 가면서, 설계 조건이나 인발 저항 등을 고려하여 소요 깊이만큼 파일(40)을 추진시키고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 파일(40)의 끝단에 형성된 파일암나사(45)에 다용도구(70)의 다용도구 나사(71)를 체결하고, 다용도구 턱(72)을 이용하여 인발실험을 실시한다(도 10 참조). 아울러 인발 실험 후 기준 인장력에 미치지 못할 때는 기준 인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앵커를 추진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앵커가 정착된 다음에는 인발로 인한 몸체(20) 주변의 공동은 파일(40)을 회전시켜 두부(10)를 분리한 후,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주입용 호스로 그라우팅제(G)을 주입하여 매울 수 있다(도 6 참조). 이 경우 오른나사인 파일(40)을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왼나사인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가 회전하게 되어 두부(10)가 연결구(3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몸체(20)와 두부(10)는 걸림턱(14)에 서로 대응되게 凹凸형태로 구성된 걸림구(14a,14b,14c,14d)에 의해 일체화 되고, 몸체(20)는 인발에 따라 각각의 날개(21)가 확산된 상태이므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파일(40)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구(30)가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량은 두부(10)가 몸체(20)에서 분리될 만큼의 량으로 사전에 숙지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천공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어스앵커를 직접 지반에 추진할 경우에, 두부(10)의 선단(11)은 앵커의 추진을 용이하게 하고, 몸체(20)에 구성된 다수의 절개부(26)는 앵커의 추진에 따라 그 간격이 줄어듦으로써 앵커의 추진을 용이하게 하며, 몸체(20)에 형성된 측선(27)은 추진시 직진성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과 같이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여 시공한다. 이 경우 먼저 두부(10)를 몸체(20)에 조립할 필요 없이 몸체(20)에 연결구(30)와 파일(40)을 순서대로 체결하여 소정의 깊이만큼 미리 조립한 후 삽입하되, 제1파일(41)과 제2파일(42)의 사이에 체결된 옹이(46)와 같이 매 파일(40)과 파일(40) 사이에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좋게 하기 위한 옹이(46)을 체결하여 삽입한다. 또한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전체가 암반일 경우에는, 두부(10)은 물론이고 몸체(20)까지도 생략한 채 파일(40)과 옹이(46)만을 조립 체결하여 시공한 후, 그라우팅제(G)를 주입할 수도 있으며,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안쪽에 토사층이 존재하거나 풍화암 내지 절리층 등이 존재할 경우에는, 몸체(20) 또는 두부(1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두부(10)와 몸체(20)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앵커의 삽입의 용이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매 파일(40) 사이에 체결된 옹이(46)는 천공구 내부에 장착된 앵커를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간격재가 필요치 않으며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다.
도 8과 같이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지반의 연약 정도와 소요 인장력을 고려하여 다수 개의 앵커를 체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몸체는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조립한 후, 파일(40)을 체결해가면서 추진을 병행한다. 그 다음 타격 캡(50)을 파일(40)의 끝단에 삽입하고, 타격 캡(50)에 형성된 공이 삽입홀(52)에 타격장비에 부착된 타격 공이(60)을 타격하여 지중(2)으로 추진시킨다. 이후 추진 깊이에 따라 제1파일(41)과 제2파일(42) 순으로 체결해 가면서, 설계 조건이나 인발 저항 등을 고려하여 소요 깊이만큼 파일(40)을 추진시키고, 지반의 연약 정도와 소요 인장력을 고려하여 일정 간격마다 제2몸체 및 제3몸체를 연결해가면서 파일(40)을 추진한다. 이때 각 파일(40)의 파일암나사(45)는 오른나사이고 제2몸체는 왼나사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직접 조립이 되지 않으므로, 보조 연결구(33)를 사용하여 연결하며, 제2몸체 및 제3몸체 또한 파일(40)과 직접 체결이 되지 않으므로 매 앵커마다 몸체(20)에 연결구(30)를 체결한 후 파일(40)을 연결한다. 이후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 파일(40)의 끝단에 형성된 파일암나사(45)에, 다용도구(70)의 다용도구 나사(71)를 체결하고 다용도구 턱(72)을 이용하여 인발실험을 실시한다. 아울러 인발 실험 후 기준 인장력에 미치지 못할 때는 기준 인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앵커를 추진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앵커가 정착된 다음에는 인발로 인한 몸체(20) 주변의 공동은 파일(40)을 회전시켜 두부(10)를 분리한 후,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주입용 호스로 그라우팅제(G)을 주입하여 매울 수 있다.
도 9와 같이 지하 터파기 공사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터파기 공사가 완료되어 흙막이를 해체할 때 파일(40)을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토양의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어스앵커의 삽입 방법은 지중(2)에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천공구를 활용하여 삽입하는 방법과, 타격 캡(50)을 활용하여 파일(40)을 타격해 가면서 직접 지중(2)에 추진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파일(40)의 회수 방법은 오른나사인 파일(4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왼나사인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가 회전하게 되어 두부(10)가 연결구(3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몸체(20)와 두부(10)는 대응하는 凹凸형태로 구성된 걸림구(14a,14b,14c,14d)에 의해 일체화 되고, 몸체(20)는 인발에 따라 각각의 날개(21)가 확산된 상태이므로 지중의 저항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파일(40)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구(30)가 회전하게 되어, 두부(10)를 포한한 몸체(20)와 연결구(30)를 포함한 파일(40)이 분리된다. 파일(40)의 회전량은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가 몸체(20)에서 분리될 만큼의 량으로 사전에 숙지된 량이며, 분리 후에는 인발기 등으로 다용도구(70)의 다용도구 고리(73)를 이용하여 지중(2)에서 파일(40)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파일(40)을 회수한 후 지중(2)에 형성된 빈공간은, 파일(40)을 인발할 때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원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고 추가적으로 원지반을 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원가 절감이나 필요에 의해 인장재를 연성의 PC강선(로우프)이나 철근 등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기에 앞서,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에 대체하고자 하는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 등을 미리 삽입한 후, 두부(10)를 체결하지 않고 몸체(20)의 요홈(23)을 이용하여 매듭이나 풀림 방지를 위한 너클 등을 체결한다. 이후 소정의 깊이만큼 앵커를 삽입한 후 파일(40)에 다용도구(70)를 체결하여 인발을 실시하고, 몸체(20)의 날개(21)가 지중(2)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소정의 인발력이 확보되고 나면, 파일(40)을 회전시켜 몸체(20)에서 연결구(30)를 포함한 파일(40)을 분리한 후 파일(40)을 회수한다. 이때는 통상 그라우팅을 생략해도 되나, 그라우팅을 실시할 경우에는 중공로(43)가 인장재로 막혀 있으므로, 파일(40)을 몸체(20)에서 분리한 후 파일(40)을 인발하면서, 그라우팅을 위한 그라우팅제(G)를 파일(40)을 통해 주입하면서 인발을 실시한다.
도 11과 같이 어스앵카를 설치한 후 구조물(옹벽 등)을 고정할 때는 어스앵카를 구조물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 외에, 다용도구를 활용하여 스트립(띠)과 PC강선(철근)과 와이어 등 다양한 소재의 연결재를 이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것이 아닌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표면 2: 지중
3: 굴착면 4: 옹벽(또는 토류벽)
10: 두부 11: 선단
12: 돌출부 13: 돌출면
14: 걸림턱 15: 제1암나사(두부 암나사)
16: 공동 20: 몸체
21: 날개 22: 미늘
23: 요홈 24: 안착면
25: 제2암나사(몸체 암나사) 26: 절개부
27: 측선 30: 연결구
31: 제1수나사(연결 수나사) 32: 제3암나사(연결 암나사)
33: 보조연결구 40: 파일
41: 제1파일 42: 제2파일
43: 중공로 44: 제2수나사(파일 수나사)
45: 제4암나사(파일 암나사) 46: 옹이
50: 타격 캡 51: 파일 삽입홀
52: 공이 삽입홀 60: 타격 공이
70: 다용도구 71: 다용도구 나사
72: 다용도구 턱 73: 다용도구 고리
G: 그라우팅제

Claims (8)

  1. 일측에서 타측으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구성된 선단(11)과 상기 선단(11)의 반대측으로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 및 공동(16)이 구비된 두부(10);와
    상기 두부(10)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몸체(20)에 구성된 요홈(23)과,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한 절개부(26)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날개(21)와, 각각의 날개(21) 끝단에 인발시 날개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22)과, 상기 관체 내부에 연결구(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암나사와(25), 필요시 두부(10)와 몸체(20)와 연결구(30)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24)이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구성된 몸체암나사(25)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31)와, 타측에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연결암나사(32)가 구비된 연결구(30);및
    상기 연결구(30)에 구성된 연결암나사(32)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파일수나사(44)와, 타측에 또 다른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파일암나사(45)가 구비되고, 그라우팅 등이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중공로(43)가 구비된 파일(40);을 포함하며,
    상기 두부(10)의 선단(11)은 일측에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추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두부(10)의 돌출부(12)는 몸체(20)의 요홈(23)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돌출면(13)과 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4)에 凸와 凹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a, 14b)는 상기 몸체에 凹와 凸 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c, 14d)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내주면에는 연결구(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의 왼나사로 두부암나사(15)가 형성되고,
    상기 두부(10)의 내주면에는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체결할 때 묻은 찌꺼기나 토사 등이 모일 수 있도록 공동(16)이 형성되며,
    상기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는 연결구(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를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두부(10)에 형성된 돌출부(12), 돌출면(13) 및 걸림턱(14)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테이퍼 형태로 요홈(23)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몸체암나사(25)가 왼나사로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절개 등분한 절개부(26)와, 안착면(24)쪽은 두껍고 미늘(22)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앵커 추진시에 오므라들고 확산시에는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날개(21)와, 날개끝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확산시 지중(2)을 파고들 수 있도록 형성한 미늘(22)과, 앵커 추진시 직진성을 유지하고 확산시에는 날개(21)의 꺾임을 방지하며, 파일(40)의 회수를 위해 파일(40)을 회전할 때 저항력을 갖도록, 날개(21) 중앙부에 유선형의 측선(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31)는 몸체(20)에 형성된 몸체암나사(25)를 관통하여 두부(10)의 두부암나사(15)까지 체결이 가능한 길이의 왼나사로 형성되고, 연결암나사(32)는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동일한 길이의 오른나사로 형성되며, 파일(40)을 회수하기 위해 파일(4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오른나사인 연결구(30)의 연결암나사(32)까지는 계속 조여지는 반면, 연결구(30)의 연결수나사와 몸체(20)의 몸체암나사(25)는 왼나사로서, 파일(40)의 회전에 따라 몸체암나사(25)와 연결수나사(31)가 풀리도록 형성되고, 파일(40)과 연결구(30)에 그라우팅용 호스나 PC강선(로우프)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로(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어스앵커의 추진을 용이하게 하고 파일(40)을 보호할 수 있는 타격 캡(50)과, 인발시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파일(40)과 파일(40) 사이에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옹이(46)와, 인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앵커 몸체(20)를 복수로 체결하기 위한 보조연결구(33)와, 앵커의 추진과 인발시 해당 기구를 장착할 수 있고 파일(40) 회수와 구조물의 고정 등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구(70) 중 그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6. (a)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서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나 토류벽 등을 구축함에 있어, 지반 조사를 통하여 천공을 실시한 후 어스앵커를 설치할 것인지, 천공을 생략하고 직접 지반에 어스앵커를 추진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1) 상기 결정에 의해 일반 토사일 경우에는, 어스앵커의 타격 공이(60)를 타격하여 지중(2)으로 추진하고, 상기 어스 앵커가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 파일(40)의 끝단에 형성된 파일암나사(45)에 다용도구(70)의 다용도구 나사(71)를 체결하고, 다용도구 턱(72)을 이용하여 인발실험한 후 기준 인장력에 미치지 못할 때 기준 인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앵커를 추진하고, 최종적으로 앵커가 정착된 후 파일(40)을 회전시켜 두부(10)를 분리한 후,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주입용 호스로 그라우팅제(G)을 충진하여 어스앵커를 시공하거나;
    (b2) 상기 결정에 의해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여 시공하고, 몸체(20)에 연결구(30)와 파일(40)을 순서대로 체결하여 소정의 깊이만큼 미리 조립한 후 삽입하되, 제1파일(41)과 제2파일(42)의 사이에 체결된 옹이(46)와 같이 매 파일(40)과 파일(40) 사이에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좋게 하기 위한 옹이(46)를 체결하여 삽입하거나,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전체가 암반일 경우에는, 두부(10) 및 몸체(20)를 생략하고 파일(40)과 옹이(46)만을 조립 체결하여 시공한 후, 그라우팅제(G)를 주입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b3)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안쪽에 토사층이 존재하거나 풍화암 내지 절리층 등이 존재할 경우에는, 몸체(20) 또는 두부(1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시공하거나,
    (b4)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지반의 연약 정도와 소요 인장력을 고려하여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조립한 후, 파일(40)을 체결해가면서 다수 개의 앵커를 체결하여 시공하거나,
    (b5) 지하 터파기 공사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지중(2)에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천공구를 활용하여 삽입하거나, 타격 캡(50)을 활용하여 파일(40)을 타격해 가면서 직접 지중(2)에 추진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천공한 후, 터파기 공사가 완료되어 흙막이를 해체할 때 파일(40)을 회수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b6)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기에 앞서,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에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 등을 미리 삽입한 후, 두부(10)를 체결하지 않고 몸체(20)의 요홈(23)을 이용하여 매듭이나 풀림 방지를 위한 너클 등을 체결하고, 소정의 깊이만큼 앵커를 삽입한 후 파일(40)에 다용도구(70)를 체결하여 인발을 실시하고, 몸체(20)의 날개(21)가 지중(2)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소정의 인발력이 확보되고 나면, 파일(40)을 회전시켜 몸체(20)에서 연결구(30)를 포함한 파일(40)을 분리한 후 파일(40)을 회수하고 파일(40)을 인발하기 전에, 그라우팅을 위한 호스를 삽입하여 그라우팅제(G) 주입과 파일(40)의 인발을 병행하여 어스 앵커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어스 앵커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구성된 선단(11)과 상기 선단(11)의 반대측으로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 및 공동(16)이 구비된 두부(10);와 상기 두부(10)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몸체(20)에 구성된 요홈(23)과,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한 절개부(26)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날개(21)와, 각각의 날개(21) 끝단에 인발시 날개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22)과, 상기 관체 내부에 연결구(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암나사와(25), 필요시 두부(10)와 몸체(20)와 연결구(30)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24)이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구성된 몸체암나사(25)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31)와, 타측에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연결암나사(32)가 구비된 연결구(30);및 상기 연결구(30)에 구성된 연결암나사(32)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파일수나사(44)와, 타측에 또 다른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파일암나사(45)가 구비되고, 그라우팅 등이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중공로(43)가 구비된 파일(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시공 방법.
  7. 수목의 지지와 전신주(송신탑)의 지지와 각종 안내판의 지지 및 기타 구조물의 지지를 위해, 천공 후 어스앵커를 삽입하거나 직접 어스앵커를 타격하여 지중에 추진하되,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에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 등을 미리 삽입한 후, 몸체(20)의 요홈(23)과 두부(10)의 공동(16)을 이용하여 매듭이나 풀림 방지를 위한 너클 등을 체결하고, 소정의 깊이만큼 어스앵커를 삽입한 후 몸체(20)의 날개(21)가 지중(2)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소정의 인발력이 확보되고 나면, 파일(40)을 회전시켜 몸체(20)에서 연결구(30)를 포함한 파일(40)을 분리한 후 파일(40)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어스 앵커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구성된 선단(11)과 상기 선단(11)의 반대측으로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돌출면(13)과 걸림턱(14) 및 공동(16)이 구비된 두부(10);와 상기 두부(10)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몸체(20)에 구성된 요홈(23)과, 후방측으로 개방된 관체를 등분 절개한 절개부(26)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날개(21)와, 각각의 날개(21) 끝단에 인발시 날개가 펼쳐질 수 있도록 관체 외측으로 절곡된 미늘(22)과, 상기 관체 내부에 연결구(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암나사와(25), 필요시 두부(10)와 몸체(20)와 연결구(30)를 밀착조립 할 수 있도록 안착면(24)이 구비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구성된 몸체암나사(25)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연결수나사(31)와, 타측에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연결암나사(32)가 구비된 연결구(30);및 상기 연결구(30)에 구성된 연결암나사(32)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구성된 파일수나사(44)와, 타측에 또 다른 파일(40)의 파일수나사(44)와 대응하게 구성된 파일암나사(45)가 구비되고, 그라우팅 등이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중공로(43)가 구비된 파일(40);을 포함하며, 상기 두부(10)의 선단(11)은 일측에서 외향하는 원뿔형으로 추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두부(10)의 돌출부(12)는 몸체(20)의 요홈(23)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돌출면(13)과 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4)에 凸와 凹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a, 14b)는 상기 몸체에 凹와 凸 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4c, 14d)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내주면에는 연결구(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의 왼나사로 두부암나사(15)가 형성되고, 상기 두부(10)의 내주면에는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체결할 때 묻은 찌꺼기나 토사 등이 모일 수 있도록 공동(16)이 형성되며, 상기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는 연결구(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수나사(31)를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의 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서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나 토류벽 등을 구축할 때, 현장 지반 조사를 통하여 천공을 실시한 후 어스앵커를 설치할 것인지, 천공을 생략하고 직접 지반에 어스앵커를 추진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되,
    상기 결정에 의해 현장의 조건이 일반 토사일 경우에는, 어스앵커의 타격 공이(60)를 타격하여 지중(2)으로 추진하고, 상기 어스 앵커가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 파일(40)의 끝단에 형성된 파일암나사(45)에 다용도구(70)의 다용도구 나사(71)를 체결하고, 다용도구 턱(72)을 이용하여 인발실험한 후 기준 인장력에 미치지 못할 때 기준 인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앵커를 추진하고, 최종적으로 앵커가 정착된 후 파일(40)을 회전시켜 두부(10)를 분리한 후,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를 이용하여 주입용 호스로 그라우팅제(G)을 충진하여 어스앵커를 시공하며,
    상기 결정에 의해 현장의 조건이 암반일 경우에는,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여 시공하고, 몸체(20)에 연결구(30)와 파일(40)을 순서대로 체결하여 소정의 깊이만큼 미리 조립한 후 삽입하되, 제1파일(41)과 제2파일(42)의 사이에 체결된 옹이(46)와 같이 매 파일(40)과 파일(40) 사이에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좋게 하기 위한 옹이(46)를 체결하여 삽입하거나,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전체가 암반일 경우에는, 두부(10) 및 몸체(20)를 생략하고 파일(40)과 옹이(46)만을 조립 체결하여 시공한 후, 그라우팅제(G)를 주입하여 시공하며,
    현장의 조건이 천공구간 안쪽에 토사층이 존재하거나 풍화암 내지 절리층 등이 존재할 경우에는, 몸체(20) 또는 두부(1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시공하며,
    현장의 조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지반의 연약 정도와 소요 인장력을 고려하여 두부(10)와 몸체(20) 및 연결구(30)를 조립한 후, 파일(40)을 체결해가면서 다수 개의 앵커를 체결하여 시공하며,
    지하 터파기 공사의 흙막이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지중(2)에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천공구를 활용하여 삽입하거나, 타격 캡(50)을 활용하여 파일(40)을 타격해 가면서 직접 지중(2)에 추진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천공한 후, 터파기 공사가 완료되어 흙막이를 해체할 때 파일(40)을 회수하여 시공하며,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앵커를 천공구에 삽입하기에 앞서, 파일(40)에 형성된 중공로(43)에 PC강선(로우프) 또는 철근 등을 미리 삽입한 후, 두부(10)를 체결하지 않고 몸체(20)의 요홈(23)을 이용하여 매듭이나 풀림 방지를 위한 너클 등을 체결하고, 소정의 깊이만큼 앵커를 삽입한 후 파일(40)에 다용도구(70)를 체결하여 인발을 실시하고, 몸체(20)의 날개(21)가 지중(2)에서 충분히 확산되어 소정의 인발력이 확보되고 나면, 파일(40)을 회전시켜 몸체(20)에서 연결구(30)를 포함한 파일(40)을 분리한 후 파일(40)을 회수하고 파일(40)을 인발하기 전에, 그라우팅을 위한 호스를 삽입하여 그라우팅제(G) 주입과 파일(40)의 인발을 병행하여 어스 앵커를 시공하되,
    상기 시공 후, 파일(40) 후단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용도구(70)를 활용하여, 와이어(턴버클)와 PC강선(로우프)과 스트립(띠)의 소재를 이용하여 어스앵커와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시공방법.
KR1020130109208A 2013-09-11 2013-09-11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154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08A KR101546142B1 (ko) 2013-09-11 2013-09-11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08A KR101546142B1 (ko) 2013-09-11 2013-09-11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030A KR20150030030A (ko) 2015-03-19
KR101546142B1 true KR101546142B1 (ko) 2015-08-20

Family

ID=5302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208A KR101546142B1 (ko) 2013-09-11 2013-09-11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63B1 (ko) * 2015-09-03 2016-12-07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중공부를 갖는 튜브(tube)로 형성된 쏘일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직천공 CFT 시공방법
CN108945306B (zh) * 2018-09-06 2024-03-26 重庆大学 一种装配式改进鱼雷锚
KR101986056B1 (ko) * 2018-11-06 2019-06-10 이장희 타격식 사장말뚝을 이용하여 보강효과가 증대되는 그라우팅 공법
KR102613363B1 (ko) 2021-12-29 2023-12-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면 붕괴방지용 어스앵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18B1 (ko) * 2007-11-15 2008-09-10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18B1 (ko) * 2007-11-15 2008-09-10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030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42B1 (ko) 사면보강공사용 앵커네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546142B1 (ko) 어스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5884B1 (ko) 확장판이 제작된 헬리컬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CN110042835B (zh) 用于土、砂层的自钻自锚可回收锚杆及其锚固方法
KR101065626B1 (ko) 마이크로파일 및 수직지반과 사면 지반 보강 시공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20070069101A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101335957B1 (ko) 무천공 타격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쏘일 네일링 공법
KR20048099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KR101518815B1 (ko) 공벽 밀착형 정착쐐기를 이용한 지반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KR102113859B1 (ko) 두부보강수단을 이용한 파일 및 시공방법
KR20048100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559426B1 (ko) 제거식 네일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네일 회수공법
JP3921657B2 (ja) 地山補強用大径ロックボルトアンカーの施工方法
KR101609168B1 (ko) 소구경 강관 말뚝
KR101991262B1 (ko) 확장형 날개를 갖는 국부 확장 앵커장치
KR101771423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앵커체
JP4884276B2 (ja) 回転圧入杭の施工方法および斜面施工装置
KR20160013690A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네일링 보강장치 및 네일링 보강공법
KR101603507B1 (ko) 중앙관이 구비된 압축형 앵커
KR101552466B1 (ko) 자중식 지반밀착형 인발저항콘과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