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799B1 -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 Google Patents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799B1
KR101545799B1 KR1020137028016A KR20137028016A KR101545799B1 KR 101545799 B1 KR101545799 B1 KR 101545799B1 KR 1020137028016 A KR1020137028016 A KR 1020137028016A KR 20137028016 A KR20137028016 A KR 20137028016A KR 101545799 B1 KR101545799 B1 KR 10154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granular fertilizer
coated
coating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3895A (en
Inventor
시노부 가나자키
Original Assignee
제이캄 아그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캄 아그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캄 아그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7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a polym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시료에 필요한 역학적 강도, 용출 조절성, 생산성 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고 또한 피막의 신속한 붕괴성을 가지며 논의 수면에 피막이 부상하기 어려운 피복 입상 비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 입상 비료는 결정화 온도(Tcmax)가 95℃≤Tcmax≤11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중합체(A),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왁스(B) 및 1종 이상의 필러(C)를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복된 입상 비료로서,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가 상분리되고 왁스(B)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ted granular fertilizer which can simultaneously satisfy mechanical strength, elution control property, productivity and the like required for a coating sample, has a rapid collapsing property of the coating, and is har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of the surface.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t least on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within a range of 95 ° C? Tcmax? 115 ° C,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65 ° C? Olefin (co) polymer (A) and wax (B)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fertilizer coating is a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a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wax (B) and at least one filler (C) And the wax (B) is finely dispersed.

Description

붕괴성 피막으로 피복된 피복 입상 비료{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Desc / Clms Page number 1 >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

시비(施肥)의 생력화 내지는 식물의 생육에 따른 비효를 발현시킬 목적으로 각종 완효성 비료가 개발되어 있다. 완효성 비료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비료의 표면을 각종 수지나 무기물 등으로 코팅한 피복 비료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피복 입상 비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용출 종료 후의 피막 붕괴성이 양호하고 또한 용출 특성이나 역학적 특성 등의 실용 물성이 우수하며 논에 사용한 경우에는 용출 종료 후의 피막이 써레질시에 부상하기 어려운 이른바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피복 입상 비료에 관한 것이다.Various slow-acting fertilizer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harvesting fertilizer or inducing ineffectiveness due to the growth of plan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slow-release fertilizers include coated fertilizer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ertilizer is coated with various resins or miner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h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ated granular fertilizer which is excellent in film decayability after elution and has excellent practical properties such as elut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So-called environmentally-friendly load-bearing granular fertilizer.

최근 들어 논에서는 투입한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용출 종료 후의 껍질)이 시비된 다음 해의 써레질시 등에 수면에 부상하여 하천으로 유출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수도(水稻)용 비료로서 논에 사용하는 피복 입상 비료에는 용출 종료 후의 피막을 부상시키지 않는 것도 중요한 물성으로서 요구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coating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put into the rice paddy (the shell after the completion of dissolution) is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uring harvesting of the next year when it is fertilized and is discharged to the river. Particularly, as a fertilizer for water tanks, it is required as an important physical property that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used in paddy fields does not float the film after completion of the elution.

종래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재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황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들어서는 피막의 분해성을 개량하기 위해 빛에 의한 분해나 산화분해에 대해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5-201786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7-9114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3-17286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2-2351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5938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토양 중에서의 생물적인 분해 등에 대해서 일본국 특허공개 소63-40789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2-2351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3-14649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5938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33576호 등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 있어서도 용출 종료 후의 피막의 자연 환경하에 있어서의 붕괴성에 대해서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어서 논에 있어서의 용출 종료 후의 피막 부상에 관하여 만족스러운 방지 성능을 갖지 못하였다. Polyolefin resin, urethane resin, alkyd resin, sulfur and the like are often used as a coating material of the conventional coated granular fertilizer.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degradability of the coating film, 5-20178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9114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1728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2-2351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59382 A technique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is known.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40789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2-2351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4649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59382, and JP-A-7-33576 are known.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not necessarily sufficiently satisfactory in terms of the collapsing property of the coating film in the natural environmen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elution, and therefore, they do not have a satisfactory preventive effect on the coating film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elution.

또한 논에 있어서의 용출 방지 후의 피막 부상률을 저감시키는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42392호 공보에는 통상의 피막으로 피복 입상 비료를 제조한 후에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물질로 추가로 피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용출 종료 후의 피막 부상에 관해서는 써레질시에 부상하는 피막으로서 압도적으로 많은 형태인 중공 입자상의 피막(피막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알맹이인 비료 용해액이나 수분이 빠진 후에 피막 내부에 공기가 침입된 것)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는 때문인지 만족스러운 피막 부상성능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In addition, a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floating rate of the coating after dissolution prevention in a rice pla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42392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granular fertilizer with a usual coating and then further coating with a hydrophilic material such as polyvinyl alcohol The coating on the hollow particles after the elution has been completed is in the form of a coating on the hollow particles (the coating is almost completely in the form of an overwhelmingly large amount as a coating floating on harnessing), and after the fertilizer dissolving solution or moisture disappears,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air bubbles in the air.

일본국 특허공개 평5-201786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7-9114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20178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91143) 일본국 특허공개 소63-17286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2-2351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1728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23516) 일본국 특허공개 평8-5938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59382 일본국 특허공개 소63-40789호 공보(일본국 특허공고 평2-2351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40789 (JP-A-2-23517) 일본국 특허공개 평3-1464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46492 일본국 특허공개 평8-5938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59382 일본국 특허공개 평7-3357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33576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423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4239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 시료에 필요한 역학적 강도, 용출 조절성, 생산성 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고 또한 피막의 신속한 붕괴성을 가지며 논의 수면에 피막이 부상하기 어려운 피복 입상 비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ted granular fertilizer which can simultaneously satisfy the mechanical strength, elution regulating property, productivity and the like required for a coating sample, has a rapid collapsing property of the coating, .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결정화 온도가 특정 범위에 있는 α-올레핀(공)중합체와 결정화 온도가 특정 범위에 있는 왁스를 병용하여 피막 중에 배합하면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그들의 α-올레핀(공)중합체 및 왁스가 상분리되고 왁스가 미분산된 구조가 되어, 그러한 피막으로 피복된 입상 비료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As a result of in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an? -Olefin (co) polymer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n a specific range and a wax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specific range are used in combination in a coating film, (co) polymer and wax are phase-separated and the wax is finely dispersed, and that the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such a film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ccomplished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결정화 온도(Tcmax)가 95℃≤Tcmax≤11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중합체(A),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왁스(B) 및 1종 이상의 필러(C)를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복된 입상 비료로서,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가 상분리되고 왁스(B)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상 비료. (1) at least on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within a range of 95 ° C? Tcmax? 115 ° C, at least one? (Co) polymer (A) and wax (B) are phase-separated in a microstructure of a fertilizer coating and a wax (B) and at least one filler (C) ) Is finely dispersed in the granular material.

(2)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왁스(B)가 경화유 또는 고형 지방산인 (1)에 기재된 피복 입상 비료.(2)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according to (1), wherein the wax (B)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65 캜? Tcmax? 75 캜 is a curing oil or a solid fatty acid.

(3) 피막 중의 왁스(B)가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의 합계 질량에 대해 20~60 질량% 함유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피복 입상 비료.(3)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wax (B) in the coating film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60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Olefin (co) polymer .

(4) 결정화 온도(Tcmax)가 95℃≤Tcmax≤11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중합체(A),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왁스(B) 및 1종 이상의 필러(C)를 함유하는 분산액 또는 용액 또는 용융액을, 분류탑(噴流塔) 방식 또는 유동층 방식의 장치로 유동상태의 입상 비료에 분무상으로 공급함으로써 입상 비료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입상 비료.(4) at least on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within a range of 95 ° C? Tcmax? 115 ° C, at least one? (B) and at least one filler (C) is sprayed onto the granular fertilizer in a flowing state by means of a fractionation column (flow tower) system or a fluidized bed system, whereby the surface of the granular fertilizer A coated granular fertil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ich is obtained by a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본 발명에 따른 피복 입상 비료는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가 상분리되고 왁스(B)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입상 비료가 용출된 후에 피막은 신속하게 붕괴되어 부상이 문제가 되는 중공 입자상의 피막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피복 입상 비료는 특정 결정화 온도를 갖는 α-올레핀(공)중합체(A), 왁스(B) 및 필러(C)를 사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출 특성이나 피막 강도 등 종래의 피복 입상 비료에 대해서 요구되어 온 조건도 만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제조성이 양호하고 또한 붕괴성이 우수하며 논에 사용한 경우에는 써레질 후에 피막이 부상하기 어렵다는 3가지 효과를 겸비하는 것은 후기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하다.Since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lefin (co) polymer (A) and the wax (B) are phase-separated and the wax (B) is finely dispers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fertilizer coating, After the fertilizer has eluted, the coating rapidly collapses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 film on the hollow particle, which is a problem in floating. In addition, such coated granular fertilizer can be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using an? -Olefin (co) polymer (A), a wax (B) and a filler (C) But also satisfie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onventional coated granular fertilizers such as elution characteristics and film strength. It is apparent from the results of the later examples that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advantages that the composition is good and the collapsibility is excellent and the coating is hardly lifted after harrowing when used in paddy fields.

도 1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장치의 일례인 플로우 시트
도 2는 도 1의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짜내기 원반(오리피스)의 일례
도 3은 실시예 1(a), 비교예 3(b), 비교예 5(c) 및 비교예 6(d)의 피복 입상 비료 피막 단면의 TEM상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flow sheet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queeze disc (orifice) us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TEM image of the cross-section of coated granular fertilizer of Example 1 (a), Comparative Example 3 (b), Comparative Example 5 (c) and Comparative Example 6 (d)

α-올레핀(공)중합체란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내지는 α-올레핀과 다른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말한다. 구체예로서는 고밀도 내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부텐·에틸렌 공중합물, 부텐·프로필렌 공중합물 등의 α-올레핀류의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등의 α-올레핀과 비닐 모노머 내지는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The? -olefin (co) polymer is a homopolymer of? -olefin or a copolymer of? -olefin and at least one other vinyl monomer. Specific examples include homopolymers of? -Olefins such as high-density or low-density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1-butene, homopolymers of ethylene-propylene copolymer, copolymers of ethylene and 1-butene, copolymers of ethylene and 1-octene, Copolymers of? -Olefins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adiene, and butene-propylene copolymers; copolymers of? -Olefins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carbon monoxide copolymer with vinyl monomers or other monomers.

본 발명에서는 α-올레핀(공)중합체(A)로서 결정화 온도가 95℃≤Tcmax≤115℃의 범위인 α-올레핀(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화 온도(Tcmax)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된 값을 말한다. 결정화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특정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왁스(B)와 병용했을 때, 자연 환경하에 있어서의 붕괴성이 양호하고 수면으로의 부상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피막 제조시의 배관 막힘, 노즐 막힘 등의 트러블의 발생이 적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lefin (co) polymer (A), an? -Olefin (co) polymer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n the range of 95 ° C? Tcmax? Here,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value measured by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When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when the wax (B) having a specific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wax (B), it is possible to form a film capable of suppressing the floating problem in the natural environment, Generation of troubles such as clogging of piping and clogging of the nozzl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re small.

결정화 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α-올레핀(공)중합체(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위에서 예시한 α-올레핀(공)중합체(제품의 그레이드)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단쇄 분기 폴리에틸렌(LLDPE), 중저압법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메탈로센 촉매 직쇄상 단쇄 분기 폴리에틸렌(LLDPE) 등을 포함한다.)이 바람직하고,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부텐도 α-올레핀(공)중합체(A)로서 사용할 수 있다. α-올레핀(공)중합체(A)는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Th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ran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ppropriate one of the? -Olefin (co) polymer (the product grade) exemplified above can be selected and used. Or low density polyethylene (including high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straight chain short chain branched polyethylene (LLDPE), medium low pressur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etallocene catalyst straight chain short chain branched polyethylene (LLDP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ow-density polyethylene. The polybutene may also be used as the? -Olefin (co) polymer (A). The? -olefin (co) polymer (A) may be used singly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또한 피막에 배합하는 α-올레핀(공)중합체(A)는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 등에 관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α-올레핀(공)중합체를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α-올레핀(공)중합체(A)와 병용하는 것도 허용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lefin (co) polymer (A) to be incorporated in the coating film is constituted only by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concerning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However, (Co) polymer which does not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concerning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s optional components is allowe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Olefin (co) polymer (A)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concerning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또한 α-올레핀(공)중합체(A)는 피막의 제조상 JIS K7112 등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0.920~0.975 g/㎤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형성이 용이하고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도 양호하여 피복용 혼합물의 조정이 용이하다. The? -Olefin (co) polymer (A) preferably has a density in the range of 0.920 to 0.975 g / cm 3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12 in the production of the coating film. When the amou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ating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is easy to form and the solubility in an organic solvent is good, so that adjustment of the coating mixture is easy.

또한 α-올레핀(공)중합체(A)는 피막의 강도상 GPC로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 2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이상 2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GPC로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후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폴리머 라보라토리사 제조 고온 GPC 장치(PL-GPC210형)에 동사 제조 칼럼(PLgel MIXED-B, 2개)을 장착하고 검량선으로서 동사 표준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오븐 온도 140℃,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용리액으로 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The? -Olefin (co) polymer (A)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GPC of 20,000 or more and 250,000 or less, more preferably 30,000 or more and 200,000 or less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Here,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GPC was measured by placing a column (PLgel MIXED-B, manufactured by JEOL) on a high temperature GPC apparatus (PL-GPC210 type) manufactured by Polymer Laboratories Co., Refers to the value measured using standard polyethylene as an eluent, oven temperature 140 ° C and orthodichlorobenzene.

한편 왁스로는,On the other hand,

천연 왁스(예를 들면, 칸데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오일(수소 첨가) 등의 식물계 왁스;밀랍, 라놀린(수소 첨가), 경랍(鯨蠟) 등의 동물계 왁스;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등의 광물계 왁스;파라핀 왁스(C40, C42),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롤라툼(연질, 경질) 등의 석유 왁스),Natural waxes (for example, plant waxes such as candelilla wax, carnauba wax, rice wax, wood wax and jojoba oil (hydrogenated wax), animal waxes such as beeswax, lanolin (hydrogenated), and wax Petroleum waxes such as paraffin wax (C40, C42), microcrystalline wax, petrolatum (soft, hard), and the like), mineral waxes such as wax, ozokerite,

합성 왁스(예를 들면, 피셔·트롭쉬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합성 탄화수소;몬탄 왁스 유도체,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 등의 변성 왁스;경화 피마자유(캐스터 왁스),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등의 수소화 왁스;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스테르계, 염소화탄화수소 등의 지방산, 지방산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케톤 외),Synthetic waxes such as synthetic waxes (e.g., synthetic hydrocarbons such as Fischer-Tropsch wax and polyethylene wax; modified waxes such as montan wax derivatives, paraffin wax derivatives and microcrystalline wax derivatives; cured castor oil (caster wax) Hydroxystearic acid amide, 12-hydroxystearic acid ester, fatty acids such as chlorinated hydrocarbons, fatty acid amides or esters, ketones, etc.),

포화 지방산(예를 들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aprylic acid,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

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소화 왁스는 경화유로도 불리며 상온에서 액체인 유지에 수소 부가(수소 첨가)를 행하여 보다 융점이 높은 포화 지방산의 비율을 증가시켜 상온에서 고형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포화 지방산 중 상온에서 고형인 것은 「고형 지방산」으로도 불린다. The hydrogenated wax is also called a hardening oil and is obtained by hydrogenating (hydrogenating) the oil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saturated fatty acid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and solidifying it at room temperature. Among saturated fatty acids, those which are solid at room temperature are also referred to as " solid fatty acids ".

본 발명에서는 왁스(B)로서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인 왁스를 사용한다. 결정화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특정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α-올레핀(공)중합체(A)와 병용했을 때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왁스(B)가 미분산되고, 그 때문에 자연 환경하에 있어서의 붕괴성이 양호하며 수면으로의 부상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정막성(整膜性) 및 용출속도의 제어성이 양호하며 보존시의 제품 품질의 변동이 적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ax (B), a wax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n the range of 65 캜? Tcmax? 75 캜 is used. When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wax (B) is finely dispers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fertilizer film when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specific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film which has good collapse property and can suppress the floating problem to the water surface. In addition, the controllability of the film-forming property and the dissolution rate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is good and the fluctuation of the product quality during storage is small.

결정화 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왁스(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위에서 예시한 왁스(제품의 그레이드)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등의 식물계 왁스;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등의 광물계 왁스;파라핀 왁스(C40, C42) 등의 석유 왁스;피셔·트롭쉬 왁스 등의 합성 탄화수소;몬탄 왁스 유도체 등의 변성 왁스;경화 피마자유(캐스터 왁스) 등의 수소화 왁스(경화유);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의 포화 지방산(고형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경화 피마자유(캐스터 왁스) 등의 수소화 왁스(경화유) 및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의 포화 지방산(고형 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경화 피마자유(캐스터 왁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왁스(B)는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The wax (B)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ran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uitable wax (grade of the product) may be selected and used. For example, waxes such as carnauba wax and rice wax; , Mineral waxes such as ozokerite and ceresin, petroleum waxes such as paraffin wax (C40 and C42), synthetic hydrocarbons such as Fischer-Tropsch wax, modified waxes such as montan wax derivatives, and hardened castor wax Hydrogenated wax (hydrogenated oil), and saturated fatty acids (solid fatty acids) such as behenic acid and lignoceric acid. Among them, hydrogenated wax (curing oil) such as hardened castor oil (castor wax) and saturated fatty acid (solid fatty acid) such as behenic acid and lignoceric acid are more preferable, and hardened castor oil (castor wax) is particularly preferable. Any one of these waxes (B)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wax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피막에 배합하는 왁스(B)는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 등에 관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왁스를 결정화 온도에 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왁스(B)와 병용하는 것도 허용된다. The wax (B) to be blended in the film is preferably composed only of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concerning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x (B) It is acceptable to use a wax which does not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with the wax (B)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concerning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왁스(B)는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의 합계 질량에 대해 20~6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정막성 및 용출속도의 제어성이 양호하며 또한 자연 환경하에 있어서의 피막의 붕괴성이 양호하다. The wax (B) is preferably 20 to 60 mass%, more preferably 30 to 5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Olefin (co) polymer (A) and the wax (B). Within the above range, controllability of the film thickness and elution rate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is good and the collapsing property of the film in a natural environment is good.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러(C)로서는 무기 충전재와 유기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탈크, 클레이,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실리카, 규조토, 산화티탄 등의 금속산화물, 황 분말 등을 말한다. 이들 중에서도 탈크, 클레이는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유기 충전재란 전분(콘스타치 등) 및 변성 전분, 한천, 크산톤 등의 분말 등을 말한다. 필러(C)의 피막 전체의 질량(용제를 제외한 피막재료의 합계 질량)에 대한 함유율은 30~65 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피막의 붕괴 및 용출 조절성이 양호하다. 함유율이 30 질량% 이하에서는 붕괴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65 질량% 이상에서는 피복 시료에 필요한 역학적 강도가 부족하여 제조시의 피막으로의 충격에 의해 용출 조절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As the filler (C)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organic filler and an organic filler can be used. Examples of inorganic fillers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talc, clay, calcium carbonate, bentonite, silica, diatomaceous earth and titanium oxide, and sulfur powder. Of these, talc and clay are preferable examples. The organic filler refers to starch (such as corn starch) and modified starch, agar, and xanthan powder. The content of the entire film of the filler (C) with respect to the mass (total mass of the film material excluding the solvent) is preferably from 30 to 65 mass%. Within the above range, the decay of the film and the control of dissolution are goo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30 mass%, the collapse property may be insufficient.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65 mass%, the mechanical strength required for the coating sample is insufficient, so that the elution controllability may become insufficient due to impact on the coating film during produ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광분해 촉진제 및/또는 산화분해 촉진제를 피막에 포함시키는 것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와 광분해, 산분해와의 상승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광분해 촉진제로서는 각종 유기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금속 착체나 유기산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분해성의 조절이 용이한 것으로부터 유기금속 착체나 카르복실산 금속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은, 팔라듐, 몰리브덴, 크롬, 텅스텐, 세륨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금속 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착형성제로서는 아세틸아세톤을 비롯한 β-디케톤류, β-케토에스테르류, 디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알킬크산테이트 및 메르캅토벤조티아졸이 예시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켈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철의 아세틸아세토아세톤 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산 금속 화합물로서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의 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첨가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첨가해도 된다. 산화분해 촉진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유기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금속 착체나 유기산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토양속과 같이 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산화분해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서 스테아르산 망간, 스테아르산 코발트, 올레산 망간, 올레산 코발트, 아세틸아세톤 망간, 아세틸아세톤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rporation of a photocatalytic accelerator and / or an oxidative decomposition accelerator into the film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is obtained by th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and the synergistic effect with photodegradation and acid decomposition. As the photolysis accelerator, various organometallic compounds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organic metal compound include organic metal complexes and organic acid metal salts. Of these, organometallic complexes and carboxylic acid metal compounds ar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easily controlled in photodegradability. As specific examples, organometallic complexes containing metals selected from iron, cobalt, nickel, copper, manganese, silver, palladium, molybdenum, chromium, tungsten and cerium can be suitably used. Preferred examples of the complexing agent include? -Diketones,? -Ketoesters, dialkyldithiocarbamates, dialkyldithiophosphates, alkylxanthates and mercaptobenzothiazoles including acetylacetone, and more specifically, Nickel dibutyl dithiocarbamate, nickel diethyl dithiocarbamate and iron acetylacetoacetone complex are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carboxylic acid metal compound include iron compounds such as caprylic acid,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isostearic acid, behen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 These may be add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The oxidative decomposition acceler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organic metal compounds may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organic metal compound include organic metal complexes and organic acid metal salts. Among them, manganese stearate, cobalt stearate, manganese oleate, cobalt oleate, manganese acetylacetone, and acetylacetone cobalt can be given as examples of the effect of oxidative decomposition in the absence of light as in soil.

피막 전체의 질량에 대한 유기금속 화합물의 비율은 0.0001~1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5 질량%이다. 또한 유기금속 화합물로서 유기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피막 전체의 질량에 대해 0.02~20×10-6 몰/g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10-6 몰/g이다. 함유율이 0.02×10-6 몰/g 보다 작으면 첨가효과가 불충분하고 20×10-6 몰/g 보다 크면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비율이면 피복 입상물의 사용 후에 있어서의 붕괴성 또는 분해성이 얻어져 보관 중에는 당초의 품질이 유지된다. The ratio of the organometallic compound to the total mass of the film is preferably 0.0001 to 1 mass%, more preferably 0.001 to 0.5 mass%. When an organometallic complex is used as the organometallic compound, i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2 to 20 × 10 -6 mol / g, more preferably 0.1 to 10 × 10 -6 mol / g, based on the mass of the entire film .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2 x 10 < -6 > mol / g, the effect of addition is insufficient and if it is more than 20 x 10 < -6 > mol / g, If the ratio is above, the disintegrable property or decomposition property after use of the coated granular material is obtained, and original quality is maintained during storage.

상기 피막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라면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에 의한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물질,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분기 알킬에테르 등의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분기 알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The coating film may contain a surfactant if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surfactant include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water-soluble substances such as polyalkylene glycol and polyvinyl alcohol by copolymerization of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ether such as polyethylene glycol-alkyl ether and polyethylene glycol-branched alkyl ether Ester type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polyethylene glycol-alkyl ester, polyethylene glycol-branched alkyl ester,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and mixtures thereof, .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피막 전체의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의 범위이다. 계면활성제는 용제에 피막재료 등을 용해 또는 용해 분해시킨 용해액 또는 에멀젼 중의 필러의 분산성을 좋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상기 범위 내이면 효과가 충분하여 용출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없다.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0 mass%,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5 mass% with respect to the mass of the entire film. The surfactant helps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in the dissolving solution or emulsion in which the coating material or the like is dissolved or dissolved in the solvent, and if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is sufficient and does not affect the dissolution rate control.

또한 유기안료, 카본블랙, 티탄화이트 등의 착색제를 피막에 첨가함으로써 피복 입상 비료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by adding a colorant such as an organic pigment, carbon black, or titanium white to the film.

피복되는 입상 비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상 비료의 비료 성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요소, 알데히드 축합 요소, 이소부틸알데히드 축합 요소, 포름알데히드 축합 요소, 황산구아닐 요소, 옥사미드 등의 질소 함유 유기 화합물, 질산암모늄, 인산이수소암모늄, 인산수소이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및 질산나트륨 등의 질산 화합물, 질산 칼륨, 인산 칼륨, 황산 칼륨, 염화 칼륨 등의 칼륨염, 인산 칼슘, 황산 칼슘, 질산 칼슘, 염화 칼슘 등의 칼슘염, 질산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염, 질산 제1철, 질산 제2철, 인산 제1철, 인산 제2철,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등의 철염 및 이들의 복염 내지는 이들을 2개 이상 복합한 것을 들 수 있다. The granular fertilizer to be coat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ventionally known fertilizer can be used. Preferable examples of the fertilizer component of the granular fertilizer include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such as urea, aldehyde condensation element, isobutylaldehyde condensation element, formaldehyde condensation element, guanyl sulfate element and oxamide, ammonium nitrate,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 Ammonium salts such as ammonium sulfate and ammonium chloride, nitrate compounds such as sodium nitrate, potassium salts such as potassium nitrate, potassium phosphate, potassium sulfate and potassium chloride, calcium salts such as calcium phosphate, calcium sulfate, calcium nitrate and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magnesium phosphate and magnesium sulfate; magnesium salts such as ferric nitrate, ferric nitrate, ferrous phosphate, ferric phosphate, ferrous sulfate, ferric sulfate, Iron salts such as ferric chloride, and complex salts thereof, or complexes of two or more thereof.

이들 입상 비료에는 입상으로서의 형태와 역학적 강도를 유지할 목적으로 종래 공지의 결착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결착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폐당밀, 리그닌설폰산염 및 그들의 변성물을 들 수 있다. These granular fertilizers may contain a conventionally known binder in order to maintain their shape and mechanical strength as a granular form.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ulp molasses, lignin sulfonates and their modified products.

피막의 두께는 피막재료의 종류나 조성, 피복용 비료 입자의 크기, 의도하는 비료 성분의 용출 패턴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나, 평균으로 10~100 ㎛가 바람직하고, 20~7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률(피복 입상 비료 전체에 대한 피막 질량의 비율)은 1~20 질량%가 바람직하고, 2~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하한을 벗어나면 비료로서의 용출 성분의 조절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상한을 벗어나면 비료로서의 품위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omposition of the coating material, the size of the fertilizer particles to be coated, and the dissolution pattern of the intended fertilizer component, but is preferably 10 to 100 mu m, more preferably 20 to 70 mu m on average . The covering ratio (the ratio of the film mass to the whole coated granular fertilizer) is preferably from 1 to 20 mass%, more preferably from 2 to 15 mass%. If this lower limit is exceeded, adjustment of the eluted component as fertilizer may become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upper limit is exceeded, there may arise a problem of declining as fertilizer.

본 발명의 피복용 비료 입자의 입자경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평균 입경으로서 통상 0.5~10 ㎜, 바람직하게는 1~5 ㎜이다. 또한 형상은 구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으로 구해진 원형도 계수가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인 구상이다. 원형도 계수의 최대값은 1로, 1에 근접할 수록 입자는 진원에 가까워지고 입자 형상이 진원으로부터 붕괴됨에 따라 원형도 계수는 작아진다.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ating-use fertilizer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usually 0.5 to 10 mm, preferably 1 to 5 mm.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ape is close to spherical. Specifically, the circularity coefficient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is preferably 0.7 or more, more preferably 0.7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0.8 or more. The maximum value of the circularity coefficient is 1, and the closer to 1, the closer the particle is to the circle, and the circularity coefficient decreases as the particle shape collapses from the circle.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1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1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피막 구성 성분으로서 특정의 α-올레핀(공)중합체(A), 왁스(B) 및 필러(C)를 사용하나 그 이외는 일반적인 피복 입상 비료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막 구성 성분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분산액 또는 용액, 또는 용융액을 유동상태의 입상 비료에 분무상으로 공급함으로써 입상 비료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초기 용출의 억제가 양호하다는 이유로부터는 분산액 또는 용액을 사용하는 제조방법이 용융액을 이용하는 제조방법 보다 바람직하다.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general coated granular fertilizers except that the specific? -Olefin (co) polymer (A), the wax (B) and the filler (C) have. For example, a dispersion or a solution containing a film component, or a step of forming a film on the surface of the granular fertilizer by spraying the melt to the granular fertilizer in a flowing state, Is used. From the reason that the suppression of the initial elution is good, th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dispersion or the solution is preferable to th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melt.

입상 비료를 유동상태로 하는 데는 예를 들면 분류(噴流)장치에 입상 비료를 도입하여 분류를 일으키면 된다. 그를 위해서는 분류탑 방식 또는 유동층 방식의 장치를 사용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류탑 방식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분류탑 방식의 개략도를 도 1, 도 2에 나타낸다.In order to bring the granular fertilizer into a fluid state, for example, granular fertiliz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anulation (jet flow) apparatus to cause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it is sufficient to use an apparatus of a fractionation tower method or a fluidized bed method, preferably a fractionation tower method. Fig. 1 and Fig. 2 show a schematic view of a fractionation column method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α-올레핀(공)중합체(A), 왁스(B) 및 필러(C)를 함유하는 분산액 또는 용액 또는 용융액을 사용하여 분류탑 방식 또는 유동층 방식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피복 입상 비료는, 자연히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가 상분리되고 왁스(B)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마이크로의 상분리 구조는 TEM(투과형 전자현미경) 등에 의한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A), wax (B) and filler (C) having a specific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solution or melt containing the filler (A) and wax (B) are phase-separated and the wax (B) is finely dispers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fertilizer coating. The phase separation structure of such a microcrystal can be confirmed by observation with a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r the like.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및 비교예의 α-올레핀(공)중합체와 왁스의 결정화 온도(Tcmax)는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of the? -Olefin (co) polymer and the wax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시료 5±0.5 ㎎을 시차 주사 열량계(DSC, 시마즈 제작소 제조 DSC-60)를 사용하여 5℃/min로 200℃까지 승온하여 용융하고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강온속도 5℃/min로 5℃까지 강온했을 때의 발열곡선을 구하여 그 피크 온도를 결정화 온도(Tcmax)로 하였다. The sample 5 ± 0.5 mg was heated to 200 ° C at a rate of 5 ° C / min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DSC-60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nd kept at 200 ° C for 5 minutes. An exothermic curve was obtained when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o 5 ° C, and the peak temperature was defined as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된 α-올레핀(공)중합체, 왁스의 약호 및 결정화 온도(Tcmax)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α-olefin (co) polymer us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abbreviation of the wax an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are shown in Table 1.

PO1: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선텍-LD M2270」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 제조)PO1: low-density polyethylene "Suntec-LD M2270"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2: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선텍-LD M2203」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 제조)PO2: low-density polyethylene "Suntec-LD M2203"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3: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선텍-LD M2504」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 제조)PO3: low-density polyethylene "Suntec-LD M2504"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4: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노바텍-LL UF331」 (일본 폴리에틸렌사 제조)PO4: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Trade name "Novatec -LL UF331" (manufactured by 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PO5:고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선텍-HD J300」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 제조)PO5: high-density polyethylene "Suntec -HD J300"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PO6: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상품명 「엔게이지 8150」 (다우·케미컬 일본사 제조)PO6: Ethylene / 1-octene copolymer "ENGAGE 8150"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Japan)

PO7: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상품명 「에바플렉스 360」 (미쯔이 듀폰 케미컬사 제조)PO7: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FLEX 360" (manufactured by Mitsui DuPont Chemical Co., Ltd.)

WAX1:캐스터 왁스 상품명 「캐스터 왁스 #100」 (코쿠라 합성 공업사 제조)WAX1: Caster wax Product name "Caster wax # 100" (manufactured by Kokura Synthetic Industrial Co., Ltd.)

WAX2:캐스터 왁스 상품명 「캐스터 왁스 A 플레이크」 (니치유사 제조)WAX2: Caster wax Product name " Caster wax A flake "

WAX3:리그노세린산 상품명「시약 테트라코산산」 (간토 화학사 제조)WAX3: lignoceric acid "reagent tetracosanoic acid" (manufactured by Kanto Chemical Co.)

WAX4:폴리에틸렌 왁스 상품명 「CP 애드왁스 CPW90F」 (닛쇼사 제조)WAX4: polyethylene wax Product name "CP ADWAX CPW90F" (manufactured by Nissho)

WAX5: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렛츠 MPS-75」 (츄세이 오일사 제조)WAX5: microcrystalline wax " POLYLETS MPS-75 " (manufactured by Chusei Oil)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2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2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된 α-올레핀(공)중합체 및 왁스 이외의 피막재료의 약호와 내용은 하기와 같다. The abbreviations and contents of the? -Olefin (co) polymer and the coating material other than the wax us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탈크:평균 입경 10 ㎛Talc: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탆

콘스타치:입경 12~18 ㎛Cornstarch: particle size 12 ~ 18 ㎛

SA:헥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계면활성제)SA: hexa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rfactant)

Fe:스테아르산철(III)(키시다 화학사 제조, 시약 그레이드, 순도 99% 이상)(광분해 촉진제)Fe: stearic iron (III) (manufactured by Kishida Chemical Co., Ltd., reagent grade, purity: 99% or more) (photolysis accelerator)

<피복 입상물의 제조장치>≪ Apparatus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material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장치(1)의 구성은 도 1의 플로우 시트와 동일하여, 분류탑(1)은 탑 직경(내경) 1,300 ㎜, 높이 8,500 ㎜, 원뿔각 50도의 형상을 가지며 입상 비료 투입구(15) 및 피복 입상 비료 배출구(13)를 갖는다. 분무 노즐(2)은 원형-유체 스프레이 노즐, 3은 입상 비료(심재)이다. 6은 고체 기체 분리기, 7은 응축기이다. 8은 블로어(루츠형), 12는 히터이다. 9는 교반기가 부착된 피복용 혼합물 조제조(용해조)이고, 10은 송액 펌프(다이어프램형)이다. 14는 가이드관(직경 300 ㎜, 길이 1,760 ㎜, 불소 수지 피복품), 11은 정류캔이다. 21은 짜내기 원반이다. 1, the fractionation column 1 had a columnar column of a diameter of 1,300 mm in column diameter (inner diameter), 8,500 mm in height, and 50 degrees in cone angle And has a granular fertilizer input port 15 and a granular granular fertilizer outlet port 13. The spray nozzle 2 is a circular-fluid spray nozzle, and 3 is granular fertilizer (core material). 6 is a solid gas separator, and 7 is a condenser. 8 is a blower (Roots type), and 12 is a heater.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preparation tank (melting tank) for mixing a reaction mixture with a stirrer, and 10 denotes a feed pump (diaphragm type). 14 is a guide tube (300 mm in diameter, 1,760 mm in length, covered with a fluorine resin), and 11 is a rectifying can. 21 is a squeeze disc.

짜내기 원반(21)의 상세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직경 154 ㎜, 분출공(23)의 내경 45 ㎜, 분출공 수 4개(개구율 34%), 각 분출공(23)의 중앙에 각각 분무 노즐(2)을 설치한 것이었다. 또한 분무 노즐(2)은 짜내기 원반(2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95 ㎜의 원 상에 배치하였다. Details of the squeeze disc 21 are shown in Fig. 2, the spray nozzle 2 was provided at the center of each spray hole 23, with a diameter of 154 mm, an inner diameter 45 mm of the spray hole 23, four spray holes (aperture ratio 34%). Further, the spray nozzle 2 was arranged on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95 mm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squeezing disc 21.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

상기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피복 입상 비료를 제조하였다. 가열된 기류가 분류탑(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흘러 고체 기체 분리기(6)를 통과하고 응축기(7)에서 기류를 냉각하여 유기 용매를 응축 회수한다. 응축기(7)를 통과한 기류는 블로어(8)로부터 히터(12)를 통과하고 가열되어 고온 기류로서 재차 분류탑(1)으로 유도되듯이 순환하고 있다. 먼저 블로어(8)를 사용하여 분출공(23)에서의 기류 온도 150℃로 유지한 공기를 분류탑(1)으로 보내면서 입상 비료(심재)(3)를 입상 비료 투입구(15)로부터 투입하여 입상 비료(3)를 분류상태로 한다. 이때 입상 비료 온도가 65±2℃가 되도록 가열된 기류의 유량 및 온도를 조절하였다. 기류의 유량은 블로어(8)와 정류캔(11) 사이에 설치한 유량계로 측정하면서 조절하고 가열된 기류의 온도는 입상 비료 온도나 분류탑 출구 온도를 측정하면서 조절하였다. 순환풍량은 3,000 ㎥/h이고 입상 비료 투입량은 1,000 ㎏이다.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the above production apparatus. The heated air stream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column 1 toward the upper part, passes through the solid gas separator 6, and the air stream is cooled in the condenser 7 to condense and recover the organic solvent.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7 passes through the heater 12 from the blower 8 and is heated and circulated so as to be guided to the classification tower 1 again as a hot air stream. First, the granular fertilizer (core material) 3 is fed from the granular fertilizer input port 15 while blowing air maintained at 150 ° C. in the jet hole 23 to the fractionation tower 1 by using the blower 8 And the granular fertilizer 3 is put in a sorted state. At this time,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the heated air stream were adjusted so that the granular fertilizer temperature was 65 ± 2 ° C. The flow rate of the airflow was controlled by measuring with a flow meter installed between the blower 8 and the rectifying can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air stream was adjusted while measuring the granular fertilizer temperature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fractionation tower. The circulating air volume is 3,000 ㎥ / h and the input amount of granular fertilizer is 1,000 ㎏.

또한 입상 비료로서 요소(입경 3.0 ㎜~3.6 ㎜, 평균 입경 3.4 ㎜)를 사용하였다. As the granular fertilizer, an urea (particle diameter: 3.0 mm to 3.6 mm, average particle diameter: 3.4 mm) was used.

<실시예 1~16, 비교예 1~6>≪ Examples 1 to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

표 2에 나타낸 피막재료 조성(단위는 질량%) 및 피막 질량(피복되는 입상 비료에 대한 피막의 질량)에 따라 상기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피복 입상 비료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16 및 비교예 1, 3, 5, 6에 대해서는 제조성에 문제가 없어 피복 입상 비료가 얻어졌으나 비교예 2 및 4에 대해서는 제조성에 문제가 있어 피복 입상 비료가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하의 특성 평가는 실시예 1~16 및 비교예 1, 3, 5, 6에서 얻어진 피복 입상 비료만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was produced by using the abov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lm material composition (unit mass%) and the film mass (the mass of the coating film on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shown in Table 2. As a result,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was obtained in Examples 1 to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 3, 5, and 6 without problems in manufacturability, but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4, there was a problem in manufacturability and no coated granular fertilizer was obtained. Therefo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only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obtained in Examples 1 to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 3, 5, and 6.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3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3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4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4

<피복 입상 비료의 특성 평가><Characteristic evaluation of coated granular fertilizer>

(I) 피막의 구조 관찰(I) Observation of structure of coating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피복 입상 비료에 대해서 하기의 장치로 피막 단면의 구조를 관찰하였다. For each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structure of the coating section was observed with the following apparatus.

장치:TEM HITACHI H-7100Device: TEM HITACHI H-7100

조건:125 kvCondition: 125 kV

피막 단면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7~16의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단면에는 PO1과 WAX1이 상분리되고 WAX1이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대해서도 PO1과 WAX2(WAX3)가 상분리되고 WAX2(WAX3)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실시예 4~6에 대해서도 PO2(PO3, PO4)와 WAX1이 상분리되고 WAX1이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As a result of observa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ating, it was confirmed that PO1 and WAX1 were phase-separated and WAX1 was finely dispersed in the coated cross-section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of Example 1 and Examples 7 to 16. Also in Example 2 and Example 3, PO1 and WAX2 (WAX3) were phase-separated and WAX2 (WAX3) was finely dispersed. Also in Examples 4 to 6, PO2 (PO3, PO4) and WAX1 were phase-separated and WAX1 was finely dispersed.

한편, 비교예 1의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단면은 WAX1 뿐이었다. 비교예 3은 PO1과 WAX4의 상분리가 보이지 않고 WAX4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았다. 비교예 5는 PO1, PO6, WAX4의 상분리가 보이지 않고 PO6, WAX4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았다. 비교예 6에 대해서도 PO1과 PO7의 상분리가 보이지 않고 PO7이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ated cross-section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only WAX1.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phase separation of PO1 and WAX4 was not observed and the structure of WAX4 was not finely dispersed.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phase separation of PO1, PO6 and WAX4 was not observed, and PO6 and WAX4 were not finely dispersed. Also in Comparative Example 6, the phase separation between PO1 and PO7 was not observed, and the PO7 was not finely dispersed.

실시예 1,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피복 입상 비료의 피막 단면의 TEM상을 각각 도 3의 (a)~(d)에 나타낸다. 실시예 1(a)에 있어서 WAX1은 흰 둥근 형상의 콘트라스트로서 보이며 PO1의 매트릭스(라멜라 구조) 중에 미분산되어 있다. 한편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b, c, d)에 있어서는 상분리는 보이지 않고 화상 중에 보이는 것은 폴리올레핀의 라멜라 뿐이다. 3 (a) to 3 (d) show the TEM images of the coated cross-sections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6, respectively. In Example 1 (a), WAX1 appears as a white round contrast and is finely dispersed in a matrix of PO1 (lamella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6 (b, c, and d), phase separation is not observed and only the lamellar of polyolefin appears in the image.

(II) 용출 특성의 평가(II) Evaluation of dissolution characteristics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피복 입상 비료 5 g을 폴리에틸렌제의 용출병에 넣어 200 ㎖의 증류수를 채우고 마개를 밀봉하였다. 이 용출병을 25℃의 인큐베이터에 보존하고 7일간 경과 후에 증류수에 용출된 전체 질소를 측정하였다. 피복 입상 비료의 용출률은 원래의 피복 입상 비료에 포함되어 있던 전체 질소에 대한 용출된 전체 질소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용출률이 10% 이하인 것을 용출 특성이 양호하다고 판정하였다. 5 g of each coated granular fertilizer obtaine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laced in a polyethylene outlet, filled with 2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 plug was sealed. This dissolution was maintained in an incubator at 25 ° C. and after 7 days elapsed, the total nitrogen eluted into the distilled water was measured. The dissolution rate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luted to the total nitrogen contained in the original coated granular fertilizer. It was judged that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were good when the dissolution rate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as 10% or less.

(III) 피막 강도의 평가(동력살포기 시험)(III) Evaluation of Film Strength (Power Spreader Test)

배낭형 동력살포기(마루야마 제작소, MDJ60GTS-26)를 사용하여 엔진 스로틀 4, 셔터 개도(開度) 7의 조건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피복 입상 비료 500 g을 분관(噴管) 선단으로부터 토출 살포하고 살포된 피복 입상 비료를 회수하였다. 시험 전의 피복 입상 비료 20 g과 살포기로부터 회수한 피복 입상 비료 20 g을 각각 증류수 400 ㎖와 함께 폴리에틸렌제의 용출병에 넣고 25℃의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하였다. 10일 후에 각각의 용출병을 인큐베이터로부터 골라내서 시료액을 채취한 후 전체 질소의 측정을 행하여 각각의 피복 입상 비료의 용출률을 산출하였다. 살포기 시험 후의 피복 입상 비료의 용출률에서 시험 전의 피복 입상 비료의 용출률을 뺀 값이 10% 이하인 것을 피막 강도가 양호하다고 판정하였다. 500 g of each coated granular fertilizer obtain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discharged from the tip of the tube (injection tube) under the conditions of engine throttle 4 and shutter opening degree 7 using a bag-type power distributor (Maruyama Seisakusho, MDJ60GTS-26) The coated granulated fertilizer was recovered. 20 g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before the test and 20 g of the granular granular fertilizer recovered from the spreader together with 400 ml of distilled water were placed in a polyethylene bag and kept in an incubator at 25 ° C. Ten days later, each sample was picked from an incubator, sample liquid was sampled, and total nitrogen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dissolution rate of each coated granular fertilizer. It was judged that the film strength was good whe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ssolution rate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before the test from the dissolution rate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 after the spreader test was 10% or less.

(IV) 붕괴성의 평가(IV) Evaluation of collapsibility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피복 입상 비료를 수중에 투입하여 비료 성분을 용출시킨 후 45℃로 설정한 통풍 건조기 내에서 1개월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중공의 피복 입자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00 rpm으로 교반 중인 바닷모래(20~35 메시)에 각 25 입자 투입하고 5분 후에 그 입자를 회수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붕괴율을 산출하였다. Each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ut into water to elute the fertilizer components and dried for 1 month in a ventilation dryer set at 45 캜. As shown in Fig. 3, the obtained hollow coated particles were charged with 25 particles each into sea sand (20 to 35 mesh) under agitation at 300 rpm, and after 5 minutes, the particles were recovered and the collapse rate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5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5

산출된 붕괴율이 70% 이상을 양호하다고 하고 70% 미만을 불량하다고 판정하였다. It was judged that the calculated decay rate was 70% or more and that less than 70% was unsatisfactory.

(V) 부상성의 평가(V) Evaluation of injuries

시즈오카현 스소노시 이와나미구에 있는 포장(圃場)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피복 입상 비료를 사용한 수도(水稻)재배를 2년 연속으로 실시하였다. 시비는 초년도 1회, 익년 1회의 합계 2회 실시하였다. The cultivation of water plants using each of the coated granular fertilizer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arried out for 2 consecutive years in a field in Ionami-ku, Susono City, Shizuoka Prefecture. Fertilization was conducted once in the first year and twice in the next year.

1년 경과 후 포장의 써레질을 실시하고 부상한 입자를 회수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1년째 부상률을 산출하였다.After one year, the packing was harrowed and the injured particles were recovered and the rate of injury for the first year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6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6

2년 경과 후 포장의 써레질을 실시하고 부상한 입자를 회수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2년째 부상률을 산출하였다. After two years, the packing was harrowed and the injured particles were recovered and the rate of injury for the second year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7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7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8
Figure 112013096193725-pct00008

1. 분류탑(噴流塔)
2. 분무 노즐
3. 입상 비료(심재)
4. 순환기류 배관
5. 피복용 혼합물 공급 배관
6. 고체 기체 분리기
7. 응축기
8. 블로어
9. 피복용 혼합물 조제조(용해조)
10. 송액 펌프
11. 정류캔
12. 히터
13. 입상 비료 배출구
14. 가이드관
15. 입상 비료 투입구
21. 짜내기 원반
22. 원반 주체
23. 분출공
1. Classification tower (jet tower)
2. Spray nozzle
3. Granular fertilizer (core material)
4. Circulation air piping
5. Mixture supply piping
6. Solid gas separator
7. Condenser
8. Blower
9. Preparation of coating mixture (melting tank)
10. Pumping pump
11. Rectified can
12. Heater
13. Granular fertilizer outlet
14. Guide tube
15. Granular fertilizer input
21. Squeeze disc
22. Disc body
23. Spout

Claims (4)

결정화 온도(Tcmax)가 95℃≤Tcmax≤11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중합체(A),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왁스(B) 및 1종 이상의 필러(C)를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복된 입상 비료로서, 피막 중의 왁스(B)가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의 합계 질량에 대해 20~60 질량% 함유되어 있고, 비료 피막의 마이크로 구조에 있어서 α-올레핀(공)중합체(A)와 왁스(B)가 상분리되고 왁스(B)가 미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입상 비료.At least on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within a range of 95 占 폚? Tcmax? 115 占 폚, at least one wax (B)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65 占 폚? Wherein the wax (B) in the coating film is coated with a coating containing at least one filler (C) in an amount of 20 to 6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Olefin (co) polymer (A) and the wax (B) % Of the total amount of the wax (B) and the wax (B) is finely dispers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coating film of an olefin (co) polymer (A) and the wax (B). 제1항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왁스(B)가 경화유 또는 고형 지방산인 피복 입상 비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x (B)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65 캜? Tcmax? 75 캜 is a hardened oil or a solid fatty acid.
제1항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Tcmax)가 95℃≤Tcmax≤11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중합체(A), 결정화 온도가 65℃≤Tcmax≤75℃의 범위 내인 1종 이상의 왁스(B) 및 1종 이상의 필러(C)를 함유하는 분산액 또는 용액 또는 용융액을, 분류탑 방식 또는 유동층 방식의 장치로 유동상태의 입상 비료에 분무상으로 공급함으로써 입상 비료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피복 입상 비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lefin (co) polymer (A)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max) within a range of 95 占 폚? Tcmax? 115 占 폚, at least one wax (B)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65 占 폚? And a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granular fertilizer by supplying a dispersion or a solution or a melt containing at least one filler (C) to the granular fertilizer in a flowing state by a fractionation tower type or fluidized bed type apparatus in the form of powder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nular fertilizer.
삭제delete
KR1020137028016A 2011-04-25 2012-04-23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KR1015457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7198 2011-04-25
JP2011097198 2011-04-25
PCT/JP2012/060810 WO2012147668A1 (en) 2011-04-25 2012-04-23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895A KR20130133895A (en) 2013-12-09
KR101545799B1 true KR101545799B1 (en) 2015-08-19

Family

ID=4707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016A KR101545799B1 (en) 2011-04-25 2012-04-23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71912B2 (en)
KR (1) KR101545799B1 (en)
CN (1) CN103619781B (en)
WO (1) WO201214766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9940B (en) * 2015-01-04 2020-11-03 湖北世纪开源化工科技有限公司 Coating material prepared from fatty acid black feet and application of coating material in slow/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CN106396897A (en) * 2016-08-30 2017-02-15 贵州开磷集团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special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for sorghum
JP2019089677A (en) * 2017-11-16 2019-06-13 ジェイカムアグリ株式会社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fertilization method us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KR102510340B1 (en) 2017-12-14 2023-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KR102113261B1 (en) * 2018-03-28 2020-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JP2023538540A (en) * 2020-08-12 2023-09-08 ザ・モザイク・カンパニー Coating with micronutrients for fertilizer granules
CN112028694A (en) * 2020-09-21 2020-12-04 河南鄂中肥业有限公司 Special compound microbial fertilizer for garlic with effects of strengthening seedlings and promoting roo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521A (en) 2004-09-14 2006-04-27 Chisso Corp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01550A (en) 2006-06-21 2008-01-10 Chisso Asahi Hiryo Kk Coated granular fertiliz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385A (en) * 1986-02-20 1987-09-01 旭化成株式会社 Coated granular fertilizer
NZ221198A (en) * 1986-08-05 1990-09-26 Chisso Corp Granular fertiliser with poly-3-hydrox-3-alkylpropionic acid coating
US5466274A (en) * 1991-02-14 1995-11-14 Oms Investments, Inc. Abrasion resistant coatings for fertilizers
JPH10231190A (en) * 1997-02-20 1998-09-02 Asahi Chem Ind Co Ltd Coated fertilizer and its production
MY120571A (en) * 1998-05-22 2005-11-30 Sumitomo Chemical Co Granular coated fertil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0044377A (en) * 1998-05-22 2000-02-15 Sumitomo Chem Co Ltd Granular coated fertilizer and its production
JPH11335193A (en) * 1998-05-25 1999-12-07 Asahi Chem Ind Co Ltd Covered granular manure having degradability
JP2000302585A (en) * 1999-04-13 2000-10-31 Asahi Chem Ind Co Ltd Coated granular fertilizer with decomposable coating film
JP2001031489A (en) * 1999-07-16 2001-02-06 Asahi Chem Ind Co Ltd Degradable film-coated fertilizer excellent in preventing property of floating
JP4084548B2 (en) * 2000-06-23 2008-04-30 宇部興産株式会社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biodegradable coating
JP4804632B2 (en) * 2001-02-06 2011-11-02 ジェイカムアグリ株式会社 Degradable sigmoid-elut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CN100572335C (en) * 2004-09-14 2009-12-23 智索旭肥科株式会社 Encapsulated granular fertilize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5068926B2 (en) * 2004-09-24 2012-11-07 サンアグ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tabilized sulfur-coated fertilizer
JP4864466B2 (en) * 2005-01-14 2012-02-01 ジェイカムアグリ株式会社 Transplanting nursery
CN101289350B (en) * 2008-05-30 2012-10-24 山东金正大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Water soluble alkyd resin-wax composite coating release-controlling fertilis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521A (en) 2004-09-14 2006-04-27 Chisso Corp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01550A (en) 2006-06-21 2008-01-10 Chisso Asahi Hiryo Kk Coated granular fert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47668A1 (en) 2014-07-28
WO2012147668A1 (en) 2012-11-01
KR20130133895A (en) 2013-12-09
JP5871912B2 (en) 2016-03-01
CN103619781B (en) 2015-09-16
CN103619781A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799B1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isintegrating coating
WO1998037039A1 (en)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ecomposable coat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001550A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JP3467978B2 (en) Collapse type coated granular fertilizer
US7148285B2 (en) Coated carbon black pelle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5116220B2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12677B2 (en) Degradable coating-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7124957A (en) Coated granular material
JPH10118557A (en) Granule coating method
JPH11130576A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having degradability
KR102510340B1 (en)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JP6929591B2 (en) Elution controlled fertilizer
CN111712476B (en)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JP4804632B2 (en) Degradable sigmoid-elut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JPH0748194A (en)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egradable film
KR102534716B1 (en) Photodegradable capsules for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and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comprising the same
KR102532793B1 (en) Photodegradable capsules for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and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comprising the same
JP3387214B2 (en) Tablet molding fertil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3003297A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mixed fertilizer, and cultivation method of plant using mixed fertilizer
WO2019190104A1 (en)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JPH11335193A (en) Covered granular manure having degradability
JPS6340789A (en) Granular fertilizer coated with decomposable coating and manufacture
JPH10291880A (en) Decomposable coating film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its production
JPH101386A (en) Improved disintegartion type coated granular fert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