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97B1 -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97B1
KR101545197B1 KR1020140031756A KR20140031756A KR101545197B1 KR 101545197 B1 KR101545197 B1 KR 101545197B1 KR 1020140031756 A KR1020140031756 A KR 1020140031756A KR 20140031756 A KR20140031756 A KR 20140031756A KR 101545197 B1 KR101545197 B1 KR 10154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ignal
unit
inspe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to KR102014003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1Inspec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07Inspection of the outer surfaces of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은 드럼을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드럼을 적치하는 적치부와; 적치된 드럼에 대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와; 검사부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그리고 이송부, 적치부, 검사부와 연계하여 제어하고, 신호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드럼의 결함/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inner reliability of radioactive waste packaging drums}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 방식의 비파괴 측정기가 방사성 폐기물 드럼의 외측에서 원주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스캐닝함으로써 드럼 내벽의 결함 또는 부식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철재 드럼은 내외부 도색 후 여러 가지 물질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철재 드럼은 포장된 물질에 포함된 수분 등 부식원인에 의하여 드럼 내부에서 부식이 진행되나 그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드럼의 내부 부식이 심화되어 외부 표면으로 구멍이 뚫리게 되면 포장드럼은 포장용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드럼 내부에 포장된 물질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3-29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 제14조(부식)에 따르면 부식성물질을 포함하는 폐기물은 부식성이 완화되어야 하며,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포장되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에 의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부식성이 완화된 자(또는 기관)로부터 저장, 처리, 처분자(또는 기관)으로 인도하게 되어있다.
이때, 방사성 폐기물 드럼에 대하여 인수검사를 실시하는 바, 인수검사는 전수검사와 표본검사로 구분된다.
즉, 전수검사는 모든 방사성폐기물에 대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외관 건전성, 중량, 표면 방사선량률을 검사하고, 표본검사는 표면오염도, 채움률, 유리수, 핵종농도 및 압축강도를 검사한다. 이때, 표본검사는 통상적으로 드럼 16개당 1개의 드럼에 대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인수검사장비는 외관건전성검사기, 표면방사선량률 측정기, 표면오염도 측정기, 중량측정기, 핵종농도분석기, X-ray 검사기 및 압축강도측정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드럼외관(표면)의 손상 및 파손을 검사하기 위하여 CCTV 카메라를 이용하고 고화체별(시멘트, 폴리머) 압축강도 측정을 위하여 초음파측정기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수검사 장비에도 불구하고, 방사성 폐기물발생자가 방사성 폐기물을 드럼에 압축해서 저장할 때 드럼의 내부에 기계적 및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한 흠이나 손괴를 발견하기 어렵고, 또한 장기간 보관시 드럼 내부의 수분 등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는 부식을 확인하기 어렵다.
결국, 현실적으로 이런 포장드럼 내부의 결함 및 부식을 검사하지 못한 상태에서 처분기관으로 인도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처분되는 드럼은 오랜 기간 보관되어야 하므로 드럼내부에 결함 또는 부식이 발생되면 방사능 오염물질의 누출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드럼 건전성은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드럼의 부식으로 인한 사고의 일 예로, 2003년 4월에 방사성 폐기물처분기관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중인 방사성 폐기물 드럼 중 1개가 부식되어 구멍이 생겨 월성 원자력발전소로 반송되는 사고가 발생된 적이 있다.
이후,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지금까지 반입된 방사성 폐기물의 20% 정도만 검사장비로 하고, 80%는 육안검사를 실시하던 것을 모든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전수검사를 벌이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방사성 폐기물 드럼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드럼뚜껑을 여는 파괴적인 방법(예, 내시경장비 검사 등)을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방사능 누출에 의한 피폭을 받게 될 것이며 검사 후 재 밀봉을 해야 되므로 불필요한 시간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보 공고 제10-1984-0001543호(명칭:밀봉 용기내 물질의 물리적 상태를 검출하는 비파괴 측정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파괴적인 검사방식에 의하여 드럼 내부를 검사함으로써 결함/부식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에 대한 비파괴 검사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검사가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파괴 검사기의 이동 경로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드럼을 전체적으로 스캐닝하여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 유도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비파괴적인 방식에 의하여 드럼에 대한 건전성을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을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드럼을 적치하는 적치부와;
적치된 드럼에 대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와;
검사부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그리고
이송부, 적치부, 검사부와 연계하여 제어하고, 신호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드럼의 결합/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면, 컨베이어의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송하여 이송벨트를 전진시킴으로써 드럼을 적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b)드럼이 적치부에 이송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드럼이 적치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c) 제어부는 검사부에 신호를 전송하여 승하강 모터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지지축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켜서 신호 발생기 및 수신기를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d) 제어부는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결함/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및 (c)단계에 있어서, 제어부는 컨트롤러는 드럼의 검사위치에 따라 구동모터와 승하강 모터를 소정 각도 및 회전수로 제어함으로써 드럼의 회전량과 신호 발생기 및 수신기의 이동량을 가변시켜서 드럼의 원주방향과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폐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인수검사시설의 인수검사 중 CCTV를 통한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외관 건정성 검사가 아닌 비파괴적 방법으로 포장드럼 내부 및 외부의 건전성을 검사할 수 있다.
둘째, 방사성폐기물을 포장드럼에 적재하여 압축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드럼 내벽의 결함 및 오랜 기간 저장에 의한 부식 발생을 검사할 수 있다.
셋째, 방사성폐기물이나 유독물질을 포장한 드럼의 건전성을 비파괴적 방법으로 실시하면 포장드럼의 내용물에 의한 방사선 피폭 및 기타 위험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넷째, 파괴적 방법은 검사 후 드럼 재밀봉 또는 재포장을 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과 시간적 소모가 야기되는데 비하여 비파괴적 방법은 드럼 원형을 보존하면서 검사를 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크다.
다섯째, 방사성폐기물 드럼은 처분장에 처분되어 오랜 기간 보관되므로 드럼내부에 결함 또는 부식이 발생되면 처분장 주변으로 방사능 오염물질의 누출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으나 드럼내부 건전성 측정으로 방사능 오염물질 누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폐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폐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폐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1)은 드럼(Drum;D)을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와; 이송부(2)에 의하여 이송된 드럼(D)을 적치하는 적치부(3)와; 적치된 드럼(D)에 대하여 전기적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9)와; 검사부(9)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와; 이송부(2), 적치부(3), 검사부(9)와 연계하여 제어하고, 신호처리부(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드럼(D)의 결합/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방폐물 드럼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부(2)는 드럼(D)을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이송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컨베이어 방식(Conveyor type)도 가능하다.
즉, 다수개의 이송롤러(R)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이송롤러(R)의 외부에 벨트(Belt)가 감싸는 구조이다. 따라서, 드럼(D)을 벨트에 적치한 상태에서 이송롤러(R)를 회전시키면 벨트가 전진함으로써 적치된 드럼(D)을 적치부(3)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적치부(3)는 이송된 드럼(D)을 적치하여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치부(3)는 드럼(D)을 지지하는 회전판(13)과; 회전판(13)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판(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5)과; 회전축(15)을 회전시키는 구동부(7)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3)은 이송부(2)의 컨베이와 출측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송된 드럼(D)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회전판(13)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판(13)은 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드럼(D)이 이송부(2)로부터 원활하게 전달 이송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판(13)은 상기 회전축(1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바, 회전축(15)의 상단은 회전판(13)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베어링(Bearing) 등에 의하여 브라켓(Bracket;17)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7)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이 회전축(15)은 브라켓(17)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회전판(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은 구동부(7)에 의하여 전달되는 바, 구동부(7)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9)와; 구동모터(19)의 축에 장착된 제 1풀리(Pully;P1)와 회전축(15)에 장착된 제 2풀리(P2)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Belt;V)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모터(19)는 다양한 방식의 모터가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정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이다. 따라서, 검사가 실시되는 경우, 제어부(12)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모터(19)가 구동함으로써 회전판(13)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구동모터(19)가 벨트에 의하여 회전축(15)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모터(19)를 회전축(15)에 기어에 의하여 직결시키는 방식 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검사부(9)는 드럼(D)에 대한 전기적인 비파괴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드럼(D)의 결함 및 부식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부(9)는 전자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21)와; 드럼(D)을 통과한 신호가 수집되는 신호 수신기(23)와; 신호 발생기(21) 및 신호 수신기(23)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20)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29)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기(21) 및 신호 수신기(23)는 한 셋트(Set)로 배치되어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게 된다. 또한 신속한 검사를 위하여 지지프레임(20)에 다수의 신호 발생기(21) 및 신호 수신기(23)를 셋트(Set)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는 레이저유도 초음파방식, 초음파 방식, 와전류 방식 등 다양한 검사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유도초음파 방식인 경우, 신호 발생기(21)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은 드럼(D)의 외측에 조사되고 이때 순간적인 열에너지에 의하여 초음파가 유도되고, 신호 수신기(23)에 해당하는 초음파수 탐촉자는 이 초음파신호를 검출하여 이미지 프로세싱(Imaging processing) 기법을 통하여 결함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인 경우에는, 신호 발생기(21)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드럼(D)의 외측에서 반사된 후 신호 수신기(23)에 도달하고, 이 반사된 초음파를 분석하여 내부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와전류방식인 경우에는, 신호 발생기(21)에서 고주파 유도 등에 의하여 드럼(D)에 맴돌이 전류를 흘려 보내고, 신호 수신기(23)는 이 전류를 수신함으로써 전류의 흐트러짐에 의하여 결함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는 드럼(D)에 대하여 비파괴적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바,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검사할 수도 있지만, 드럼(D)의 원주방향 혹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캐닝(Scanning)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지지 프레임(20) 및 승하강 모터(29)에 의하여 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회전판(13)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먼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승하강 모터(29)는 통상적인 구조의 승하강 모터(29)를 포함한다. 즉, 고정자 및 회전자가 직선형을 배치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모터축(3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모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승하강 모터(29)를 구동하는 경우 모터축(34)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 모터축(34)에 지지 프레임(20)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모터축(34)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20)도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는 지지 프레임(20)상에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20)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경우,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도 같이 상하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드럼(D)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하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지지 프레임(20)에 나사산을 만들고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와지지 프레임(20)의 연결부분에 암나사(너트식)를 결합하고 가이드를 만들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승하강 모터(29)는 양방향(시계방향, 반시계방향) 회전식 스텝핑 모터를 사용한다. 승하강 모터(29)가 회전하면 회전방향에 따라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는 상하이동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부(9)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는 신호에 의하여 신호 처리부(11) 및 제어부(12)로 전달됨으로써 결함/부식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는 신호 수신기(23)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lifier;31)와;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 및 성형하여 분석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처리기(32)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기(23)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세기가 약하여 증폭기를 통하여 일정 세기로 증폭시킨다. 그리고, 신호 처리기는 증폭된 신호를 필터회로, 동조회로, 교정회로에 의하여 신호를 분석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신호는 제어부(12)로 전달되며, 제어부(12)는 이 신호를 분석하여 드럼(D)의 결함/부식 유무를 판정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12)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40)와; 입력된 신호를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써 결함/부식 유무를 판정하는 연산부(42)와; 이송부(2)와, 적치부(3)와, 검사부(9)에 신호를 전송하여 검사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44)와; 검사결과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46)와; 검사결과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48)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산부(42)는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환산된 입력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정상 범위 이내인지 혹은 비정상 범위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상 범위 이내라면 드럼(D)에는 결함/부식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비정상 범위라면 결함/부식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수치적인 비교에 의하여 결함/부식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지만,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12)에 연결된 모니터상에 오실로스코프 파형과 같은 그래프를 표시하고, 이 파형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결함/부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혹은 모니터상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 이미지를 육안에 의하여 관찰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44)는 드럼(D)에 대한 비파괴 검사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이 컨베이어 상에 놓여지면, 컨베이어의 구동모터(19)에 신호를 전송하여 이송벨트를 전진시킴으로써 드럼(D)을 적치부(3)로 이송시킨다(S100).
그리고, 드럼(D)이 적치부(3)에 이송되었다고 판단되면(드럼의 위치감지 센서 등에 의하여) 컨트롤러(44)는 구동모터(19)에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시킨다. 따라서, 구동모터(19)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하여 회전축(15)에 전달됨으로써 회전축(15)이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13)에 적치된 드럼(D)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S110).
이때, 컨트롤러(44)는 구동모터(19)의 회전각 및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드럼(D)이 회전하는 각도와 회전수도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D)의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맞추어 드럼(D)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검사부(9)가 드럼(D)의 원주방향을 따라 검사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다(S120).
이와 같이 드럼(D)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 후, 검사부(9)에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 발생기(21) 및 신호 수신기(23)를 작동시켜서 검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들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승하강 모터(29)에 신호를 전송한다. 승하강 모터(29)는 이 신호에 의하여 구동함으로써 지지 프레임(20)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게 되고, 검사 위치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44)는 구동모터(19) 및 승하강 모터(29)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드럼(D)을 회전시키거나 검사부(9)를 승하강 시켜서 드럼(D)의 원주방향 혹은 상하방향으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드럼(D)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42)는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결함/부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30).
1: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2: 이송부
3: 적치부
7: 구동부
11: 신호처리부
12: 제어부

Claims (9)

  1. 드럼(D)을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와;
    이송부(2)에 의하여 이송된 드럼(D)을 지지하는 회전판(13)과, 회전판(13)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판(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5)과, 회전축(15)을 회전시키는 구동부(7)를 포함함으로써 드럼(D)을 적치하는 적치부(3)와;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21)와, 드럼(D)을 통과한 신호가 수집되는 신호 수신기(23)와, 신호 발생기(21) 및 신호 수신기(23)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지지축(20)과, 지지축(20)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29)를 포함함으로써 적치된 드럼(D)에 대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9)와;
    검사부(9)로부터 수집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와; 그리고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40)와, 입력된 신호를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써 드럼의 결함/부식 유무를 판정하는 연산부(42)와, 이송부(2)와, 적치부(3)와, 검사부(9)에 신호를 전송하여 검사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4)와, 검사결과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46)와, 검사결과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48)를 포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며,
    구동부(7)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9)와, 모터(19)의 축(S)에 장착된 제 1풀리(P1)와 회전축(15)에 장착된 제 2풀리(P2)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V)를 포함하며,
    제어부(12)의 컨트롤러(44)는 드럼(D)의 검사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9)와 승하강 모터(29)를 소정 각도 및 회전수로 제어함으로써 드럼(D)의 회전량과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의 이동량을 가변시켜서 드럼(D)의 원주방향과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부(2)는 다수개의 이송롤러(R)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이송롤러(R)의 외부에 벨트(5)가 감싸므로써 드럼(D)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는 레이저유도초음파 방식, 초음파 방식, 와전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7. 삭제
  8. (a) 컨베이어(2) 상에 놓여지면, 컨베이어(2)의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송하여 이송벨트(5)를 전진시킴으로써 드럼(D)을 적치부(3)로 이송시키는 단계(S100)와;
    (b)드럼(D)이 적치부(3)에 이송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44)는 구동모터(19)에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드럼(D)이 적치된 회전판(13)을 회전시키는 단계(S110)와;
    (c) 제어부(12)는 검사부(9)에 신호를 전송하여 승하강 모터(29)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지지축(20)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켜서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를 검사위치로 이동시켜서 검사하는 단계(S120)와; 그리고
    (d) 제어부(12)는 검사부(9)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결함/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b) 및 (c)단계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컨트롤러(44)는 드럼(D)의 검사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9)와 승하강 모터(29)를 소정 각도 및 회전수로 제어함으로써 드럼(D)의 회전량과 신호 발생기(21) 및 수신기(23)의 이동량을 가변시켜서 드럼(D)의 원주방향과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방법.

  9. 삭제
KR1020140031756A 2014-03-18 2014-03-18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4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56A KR101545197B1 (ko) 2014-03-18 2014-03-18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56A KR101545197B1 (ko) 2014-03-18 2014-03-18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97B1 true KR101545197B1 (ko) 2015-08-19

Family

ID=5406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56A KR101545197B1 (ko) 2014-03-18 2014-03-18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21B1 (ko) * 2023-09-14 2024-01-31 (주)동원엔텍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자동처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698A (ja) 1999-04-28 2000-11-07 Atox Co Ltd ディジタルラインカメラによる放射性廃棄物を保管するドラム缶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8175796A (ja) * 2006-12-18 2008-07-31 Chiyoda Technol Corp ドラム缶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4287187B2 (ja) 2003-04-24 2009-07-01 株式会社東芝 欠陥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698A (ja) 1999-04-28 2000-11-07 Atox Co Ltd ディジタルラインカメラによる放射性廃棄物を保管するドラム缶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JP4287187B2 (ja) 2003-04-24 2009-07-01 株式会社東芝 欠陥検査装置
JP2008175796A (ja) * 2006-12-18 2008-07-31 Chiyoda Technol Corp ドラム缶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21B1 (ko) * 2023-09-14 2024-01-31 (주)동원엔텍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자동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9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igital, radiographic inspection of piping
US6925145B2 (en) High speed digital radiographic inspection of piping
US5614720A (en) Mobile, multi-mode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ly inspecting components of an operating system
WO2011046078A1 (ja) 非破壊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45197B1 (ko) 방사성 폐기물 포장드럼의 내부 건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1046148A1 (ja) 非破壊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51537B1 (ko) 방사선 검사장치 및 방사선 검사방법
JP4902170B2 (ja) 検査システム
JP6512650B1 (ja) β線測定装置
JP2004020297A (ja) X線異物検査装置
JP2013185960A (ja) デジタル・ラジオグラフィ検査の調整方法
JP2010230559A (ja) X線検査装置
KR101936367B1 (ko) 전자기 유도 센서를 활용한 비파괴 피로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2009080030A (ja) X線検査装置
JP7212446B2 (ja) 物品検査装置及び物品検査システム
RU2496106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контро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159009B1 (ko) 지르코늄 튜브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JP3193665B2 (ja) 容器内放射性廃棄物識別方法及び装置
KR200449446Y1 (ko) 핵연료 집합체 안내관의 초음파 검사장치
KR20170092273A (ko)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장치
EP3867628A1 (en) Trip avoidance x-ray inspection (taxi)
JP4081054B2 (ja) X線検査装置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0472274Y1 (ko) 케이블 길이 측정이 가능한 원격조작장치
WO2018092256A1 (ja) X線インライン検査システム及びx線インライン検査システムの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