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013B1 -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013B1
KR101545013B1 KR1020140101905A KR20140101905A KR101545013B1 KR 101545013 B1 KR101545013 B1 KR 101545013B1 KR 1020140101905 A KR1020140101905 A KR 1020140101905A KR 20140101905 A KR20140101905 A KR 20140101905A KR 101545013 B1 KR101545013 B1 KR 10154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valve body
screw groove
shee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묵
Original Assignee
(주)디알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밸브 filed Critical (주)디알밸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흘러가는 유로에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통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결합되는 리테이너에 물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시트,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프론 재질의 시트를 구비하여 유로 폐쇄 시에 디스크가 상기 시트와 접하여 밀폐성을 확보하며, 풀림방지부재를 통하여 리테이너가 밸브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VALVE ASSEMBLY}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흘러가는 유로에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통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결합되는 리테이너에 물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시트,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프론 재질의 시트를 구비하여 유로 폐쇄 시에 디스크가 상기 시트와 접하여 밀폐성을 확보하며, 풀림방지부재를 통하여 리테이너가 밸브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25049호 『테프론 코팅 고무시트가 장착된 버터플라이 밸브』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고무시트의 탄력성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테프론의 우수한 내화학성을 동시에 이용하여, 고무시트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해수 또는 화학약품 등에 의한 부식문제를 테프론 코팅부에 의하여 해소시킬 수 있도록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주벽에 장착되는 링형 고무시트와, 상기 고무시트가 상기 밸브를 지나는 유체와 접하게 되는 부위에 코팅되는 테프론 코팅부와, 상기 링형 고무시트의 내벽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크 및 상기 밸브몸체 및 상기 고무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에 연결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테프론 코팅 고무시트가 장착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고무시트와 테프론 코팅부에 의하여 해수 또는 화학약품 등에 의한 부식문제를 해결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기 고무시트 또는 테프론 코팅부가 밸브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호간에 틈새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그 틈새를 통하여 유체가 새어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37356호 『테프론을 이용한 압력조절밸브』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테프론 재질을 사용한 버터플라이방식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레퍼와 플레퍼 브라켓 그리고 밸브 본체와 밸브 외벽을 테프론의 일종인 PTFE나 PFA, FEP 또는 PVD를 재질로 함에 의해 플레퍼의 경화현상이나 잔류가스의 응고를 막는 한편, 테프론가이드와 밸브 본체의 퍼지 가스 노즐 홀을 통해 퍼지가스를 플레퍼에 공급하여 플레퍼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잔류가스 응고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서 장시간 밸브를 사용해도 정밀한 압력제어가 가능한 테프론을 이용한 압력조절밸브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테프론가이드와 퍼지가스 노즐 홀을 통하여 잔류가스의 응고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밸브의 플레퍼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플레퍼가 파손되거나 마모되어 유체가 새어나가 유량을 제어하지 못하고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69692호 『테프론라인더 버터플라이밸브 기밀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어퍼바디와 로어바디로 양분되어 볼트로 분해 및 조립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상, 하측에는 표면에 테프론을 부착한 디스크의 상,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템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템홀과, 상기 밸브바디의 내경면에는 디스크의 테프론과 연접되어 기밀과 더불어 화학적 내성을 유지하도록 결합하는 링 형태의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는 형상을 유지하고 탄성을 가지면서 밸브바디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시트바디와, 상기 시트바디의 외표면에 테프론을 부착하여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유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테프론라인더 버터플라이밸브 기밀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테프론을 디스크와 밸브시트에 구비함으로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유체를 유통시키더라도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구비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나, 밸브에 시트를 고정함에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시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밸브를 분리함으로서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43112호 『테프론을 이용한 버터플라이 밸브』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플레퍼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고무링 또는 테프론 오링을 권취하는 오링 그루부와 상기 오링 그루부에 권취되는 탄성고무링 및 테프론 오링, 상기 오링 그루부에 권취되어 결합되는 보조링, 상기 보조링 외주면에 형성되어 테프론 오링을 권취하는 오링 그루부, 상기 오링 그루부에 권취되는 테프론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레퍼와, 상기 플레퍼 일측 중앙에 형성된 결착부에 결합되어 볼트의 체결로 고정된 채 플레퍼를 회동하여 밸브 플레이트 바디 내부를 실링 유도하는 밸브 샤프트에 있어, 상기 밸브 샤프트의 축 일부에 테프론 오링을 복수개 이상으로 권취하는 오링 그루부와 상기 오링 그루부에 권취되는 테프론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밸브 샤프트로 이루어져 플레퍼 마모 발생을 방지하고, 보조링만 교체 교환 가능하여 오링의 용이한 교체작업을 이룰 수 있는 테프론을 이용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테프론 오링을 구비함에 있어, 상기 테프론 오링을 결합함에 있어 홈에 오링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그 틈새로 스며드는 유체를 막지 못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조정하지 못하여 압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밸브몸체에 유로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에 구비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통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시트가 밀착되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에 나사홈과 고정렌치 및 고정볼로 이루어지는 풀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반복되는 디스크의 개폐운동에 의해 리테이너가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나사홈을 결합나사홈과 상기 결합나사홈보다 직경이 큰 진입나사홈으로 구비하여 결합나사홈에 구비되는 고넝렌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에는 이격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탄성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밀폐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고, 양측에 상기 유로에 연동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구비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구비되고, 링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 및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밸브몸체에 구비되며, 폐쇄시 시트와 접하여 밀폐성을 확보하는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테이너에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홈에 구비되는 고정렌치 및 상기 나사홈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풀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은
고정렌치가 결합되는 결합나사홈과, 상기 결합나사홈보다 직경이 큰 진입나사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는 유로가 구비되는 밸브몸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통하여 디스크가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가 리테이너에 밀착 접촉할 수 있어 디스크와 리테이너 사이로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풀림방지부재를 더 구비하여 리테이너가 반복적인 디스크의 개폐운동으로 인해 밸브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견고하게 리테이너를 고정유지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에는 이격부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크의 개폐동작에 따라 탄성작용을 할 수 있어 디스크와 리테이너와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켜, 유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의 변형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시트(30)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A)는 밸브몸체(10)와, 상기 밸브몸체(10)에 구비되는 리테이너(20), 상기 리테이너(20)에 구비되는 시트(30) 및 밸브몸체(10)에 구비되어 유로(11)를 개폐하는 디스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몸체(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유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1)의 양측에 대향되어 각각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13)와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에는 상기 유로(11)를 개폐하도록 디스크(40)가 내장되고, 상기 디스크(40)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축(41)이 결합되는데, 상기 디스크(40)는 일면이 원형으로 라운딩된 만곡면(43)이 형성된 볼 밸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축(41)은 상기 디스크(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몸체(1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에는 상기 디스크(40)의 만곡면(43)에 접촉되도록 유로(11)의 일측에 시트(30)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30)는 밸브몸체(10)와 결합되는 리테이너(2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테이너(2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로(11)에 연통되는 중공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리테이너(20)에는 상기 밸브몸체(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23)와, 상기 제1 결합부(23)의 내측에 연장되어 상기 시트(3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23)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외각에 구비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개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밸브몸체(10)내에 볼트, 핀 등의 일반적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몸체(10)와 리테이너(20)가 고정결합 되거나, 상기 리테이너(20)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리테이너(20)와 밸브몸체(10)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25)는 상기 중공부(21)의 외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23)의 내측에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23)와 제2 결합부(25) 사이에는 단턱부(27)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시트(30)가 상기 단턱부(27)에 결합되어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리테이너(20)에는 시트(30)가 결합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제2 결합부(25)에 시트(30)가 밀착 결합되고, 상기 시트(30)의 단부에 걸림부(3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31)가 상기 단턱부(27)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의 틈새로 유체가 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트(30)에는 상기 디스크(40)가 유로(1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40)와 밀착하는 밀착부(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33)의 선단측에는 상기 디스크(4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40)가 접촉되는 밀착면(33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트(30)는 합성수지, 특히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테프론(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은 내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약품성이 매우 뛰어난 불소수지로 알려져 있어, 해수나 화학물질 등의 유체가 지나가는 밸브에 링형의 시트(30)로 마련되어 밸브몸체(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30)는 메탈(합금 포함)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A)에는 리테이너(20)가 밸브몸체(1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풀림방지부재(50)는 상기 리테이너(20)에 구비되는 나사홈(51)과 상기 나사홈(51)에 구비되는 고정렌치(55) 및 고정홀(53)에 구비되는 고정볼(5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테이너(20)에는 나사홈(51)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51)과 연통되되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홀(5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나사홈(51)에는 고정렌치(55)가 결합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렌치(55)는 헤드부가 없는 무두렌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나사홈(51)의 단부에는 고정홀(53)이 연통되며, 상기 고정홀(53)과 나사홈(51)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홀(53)은 상기 밸브몸체(10)에 구비되는 결합홈(17)에 대응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볼(57)이 상기 고정홀(53)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렌치(55)가 상기 나사홈(5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렌치(55)의 단부가 상기 고정볼(57)의 하부를 지지하되 고정볼(57)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볼(57)의 일부가 상기 고정홀(53)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고정볼(57)이 상기 결합홈(17)에 안착함으로서 상기 밸브몸체(10)로부터 리테이너(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20)와 밸브몸체(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렌치(55)를 나사홈(5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고정렌치(55)가 이탈되면 상기 고정볼(57)을 지지하지 않아 고정볼(57)이 고정홀(53)에 고정되지 않게 되어 리테이너(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렌치(55)가 삽입되는 나사홈(51)은 상기 고정렌치(55)가 결합되는 결합나사홈(512)과, 상기 결합나사홈(512)보다 직경이 크며 나사홈(51)의 진입부에 구비되는 진입나사홈(511)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나사홈(51)에 고정렌치(55)를 결합하는 경우, 유체의 압력 또는 디스크(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렌치(55)가 풀리거나 돌출되는 고정렌치(55)에 의해 디스크(40)의 개폐 또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나사홈(51)에 진입나사홈(511)을 구비하여 고정렌치(55)가 결합나사홈(512)에 결합되어도 고정렌치(55)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풀림방지부재(50)의 구성과 나사홈(51) 및 고정홀(53)의 형상은 상기 고정볼(57)의 가압방향을 상기 시트(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적화된 것으로 리테이너(20)를 밸브몸체(10)에 견고하게 2차적으로 고정 결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트(30)에는 환형 돌기부(39)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20)에는 상기 환형 돌기부에 대응 결합하는 환형 돌기홈(28)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의 조립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A)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수단(6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테이너(20)와 시트(30)의 결합에 있어서, 리테이너(20)와 시트(30)의 틈새를 통하여 유체가 새어나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수수단(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수수단(60)은 리테이너(20)에 구비되는 밀폐홈(61)과, 시트(30)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홈(61)에 결합되는 밀폐패드(6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시트(30)의 외측에는 밀폐패드(6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20)에는 밀폐홈(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패드(63)는 상기 시트(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평부(631)와, 상기 수평부(631)에 연결되며 외측을 향해 사선으로 돌출되어 상기 밀폐홈(61)에 말려들어가 밀착되는 말림부(633)를 포함하고 잇다.
상기 밀폐패드(63)는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가 결합함에 따라 밀폐홈(61)으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과정에서 밀폐홈(61)을 따라 말리면서 밀폐홈(61) 내벽에 밀착되어서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의 틈새를 완벽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밀폐패드(63)는 그 단부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거나, 상기 밀폐홈(61)이 내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밀폐패드(63)가 밀폐홈(61)으로 진입하면서 내벽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33) 기단측은 상기 밸브몸체(10)에 절개됨으로서 밸브몸체(10)와의 사이에 이격부(333)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333)를 형성하는 시트(30)에는 내측으로 갈수록 밸브몸체(10)와의 이격거리가 넓어질 수 있도록 경사부(333a)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31)는 상기 밀착부(33)의 기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333)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걸림부(31)는 상기 밀착부(33)에 대해 직교하는 상면과 밀착부(33)에 비해 평행한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리테이너(20)는 가스켓(29)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밸브몸체(10)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켓(29)은 재질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열성과 내화학성 및 불침수성 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테이너(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에 1차적으로 나사체결 또는 핀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풀림방지부재(50)에 의해 2차적으로 결합되는 이중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디스크(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에 접촉하되는 시트(30)의 밀착부(3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가압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밀착부(33)의 탄성작동은 상기 걸림부(31)와 이격부(333)의 구성에 따른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31)는 상기 밀착부(33)에 대해 편심위치된 것이고, 상기 이격부(333)는 상기 밀착부(33)의 탄성 변형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밸브몸체(10)의 개폐작동시에 상기 밀착부(33)에 작용되는 힘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걸림부(31)를 고정하는 힘이 일정 거리를 두고 편심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33) 자체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상기 경사부(333a)를 통하여 상기 유체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유체상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이격부(333) 내에 적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4 는 상기 리테이너(20)와 시트(30)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리테이너(20)의 제2 결합부(25)는 상기 중공부(21)의 외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23)의 내측에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 결합부(25)는 상기 시트(30)와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단턱부(251)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결합부(25)는 상기 중공부(21) 외각에 구비되는 제1 단턱부(251A)와, 상기 제1 단턱부(251A) 외각에 구비된 제2 단턱부(251C)로 이루어져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유체가 제2 결합부(25)에 구비되는 시트(30)를 가압하게 되고, 이 경우 시트(30)가 유체의 힘에 의해 분리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턱부(251A)는 상기 중공부(21) 외각에 구비되되 유체의 이송방향의 일측에 구비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체의 이송방향의 전방에 위치하여, 유체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시트(30)를 가압하면 상기 제1 단턱부(251A)가 상기 시트(30)를 지지함으로서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시트(30)가 제1 단턱부(251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단턱부(251A)의 외각에는 상기 제1 단턱부(251A)보다 높은 돌출부(251B)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251B)는 제1 단턱부(251A) 외각을 다라 제1 단턱부(251A)보다 높게 구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높이는 도 4 의 일점쇄선의 좌측을 기준으로 우측으로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제2 결합부(25)의 각 단턱부(251)의 높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단턱부(251C)는 상기 제1 단턱부(251A)의 외각에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턱부(251A)(251C)는 후술하는 시트(30)의 제1 두텁살(332)과 요입부(334)와 대응 결합하여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의 결합시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리테이너(20)에는 디스크(40)와 리테이너(20)의 수밀성을 향상하기 위한 시트(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시트(30)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제2 결합부(25)에 배열되고 링형상을 갖는 내화학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30)는 내화학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프론은 듀퐁사의 4불화 에틸렌 수지의 상품명으로서, 용융 알카리 금속, 고온의 불소 가스 이외의 모든 약품에 침식되지 않으며, 내열, 내한성이 좋고, -100℃ ~ +260℃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치수 안정성이 좋고 흡수율 0, 불연성이며, 전기 절연성도 양호한 것으로서, 유로를 이동하는 유체, 특히 물, 기름 등을 포함하여 화학 물질이 이동시에도 부패, 파손,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30)의 밀착부(33)에는 상기 제2 결합부(25)의 제1 단턱부(251A)와, 돌출부(251B) 및 제2 단턱부(251C)에 상응한 형상을 가져 각각 대응 결합되는 제1 두텁살(332), 요입부(334) 및 제2 두텁살(335)로 이루어져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각에는 상기 제1 단턱부(251A)에 배열되는 제1 두텁살(332)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두텁살(332)의 외각에는 상기 돌출부(251B)와 상응하게 결합되는 요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요입홈 외각에는 상기 제2 단턱부(251C)가 결합되는 제2 두텁살(3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20)와 시트(3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단턱부(251A), 돌출부(251B) 및 제2 단턱부(251C)가 각각 제1 두텁살(332), 요입홈, 제2 두텁살(335)과 대응 결합하여 유체가 상기 시트(30)와 리테이너(20) 사이로 새어나가는 것을 2중, 3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20)의 제2 결합부(25)의 제1 단턱부(251A)는 평평면을 갖고, 상기 시트(30)의 제1 두텁살(332)은 곡면을 가져 제1 단턱부(251A)와 이격부(333)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단턱부(251A)에는 시트(30)의 제1 두텁살(332)이 배열되게 되는데, 상기 제1 두텁살(332)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턱부(251A)는 평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두텁살(332)과 제1 단턱부(251A)가 접촉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는 이격부(333)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시트(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력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격부(333)를 통하여 시트(30)의 탄성 변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하는 디스크(40)가 상기 중공부(21)를 개폐하는 경우 디스크(40)의 외각이 시트(30)와 비접촉, 접촉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이격부(333)로 인한 시트(30)의 탄성이 변위되면서 이격부(333)가 신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디스크(40)와 시트(30)의 밀폐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두텁살(332)의 외각에는 상기 돌출부(251B)에 상응하는 요입홈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요입홈은 상기 돌출부(251B)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두텁살(332)의 외각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51B)가 상기 요입홈에 끼움결합 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두텁살(332)의 내측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1 두텁살(332)의 외측은 직선부로 이루어져 상기 요입홈과 돌출부(251B)가 끼움 결합을 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251B)의 내측면이 상기 직선부에 밀착하여 결합함으로서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시트(30)와의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리테이너(20)에는 상기 제3 단턱부(251D)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 단턱부(251D)는 상기 제2 단턱부(251C)의 외각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단턱부(251C)와 갖거나 낮게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 단턱부(251D)는 상기 제2 단턱부(251C)의 외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단턱부(251C)보다 높게 구성되며, 상기 시트(30)의 제2 두텁살(335)의 외각에는 상기 제3 단턱부(251D)에 상응하도록 결합되는 안착부(33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20)의 제1 내지 제3 단턱부(251D) 및 돌출부(251B)의 높이는 제2 단턱부(251C)가 제1 단턱부(251A)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단턱부(251D)가 상기 제2 단턱부(251C)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51B)는 상기 제2 단턱부(251C)보다 높게 형성되나, 제3 단턱부(251D)와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의 차이를 기호로 나타내면 제3 단턱부(251D) ≥ 돌출부(251B) > 제2 단턱부(251C) ≥ 제1 단턱부(251A)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각 단턱부의 높낮이 차이를 통하여, 상기 리테이너(20)와 시트(30)가 결합하는 경우 그 사이로 유체가 새어나거나 스며드는 방지하여 2중, 3중으로 수밀성을 향상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턱부(251D) 및 돌출부(251B)의 폭은 돌출부(251B)보다 제3 단턱부(251D)가 넓고, 제2 단턱부(251C)의 폭은 제3 단턱부(251D)와 같거나 넓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단턱부(251A)의 폭은 제2 단턱부(251C)와 넓거나 같게 구비되는데, 이러한 폭의 차이를 기호를 통하여 나타내면 제1 단턱부(251A) ≥ 제2 단턱부(251C) ≥ 제3 단턱부(251D) > 돌출부(251B)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폭의 차이를 통해 상기 리테이너(20)와 시트(30)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251B)의 폭을 0.2~2.0 mm 중의 하나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1 단턱부(251A)와 제2 단턱부(251C)의 경계를 형성함으로서 유체가 새는 것을 이중, 삼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밸브 어셈블리 10 : 밸브몸체
11 : 유로 13 : 유입구
15 : 배출구 17 : 결합홈
20 : 리테이너 21 : 중공부
23 : 제1 결합부 25 : 제2 결합부
27 : 단턱부 29 : 가스켓
30 : 시트 31 : 걸림부
33 : 밀착부 331 : 밀착면
333 : 이격부 333a : 경사부
40 : 디스크 41 : 작동축
43 : 만곡면 50 : 풀림방지부재
51 : 나사홈 511 : 진입나사홈
512 : 결합나사홈 53 : 고정홀
55 : 고정렌치 57 : 고정볼
60 : 방수수단 61 : 밀폐홈
63 : 밀폐패드 631 : 수평부
633 : 말림부

Claims (4)

  1.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고, 양측에 상기 유로에 연동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구비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구비되고, 링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 및
    상기 유로를 개폐하도록 밸브몸체에 구비되며, 폐쇄시 시트와 접하여 밀폐성을 확보하는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테이너에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홈에 구비되는 고정렌치, 상기 나사홈 단부에 연통되어 구비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구비되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풀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은
    고정렌치가 결합되는 결합나사홈과, 상기 결합나사홈보다 직경이 큰 진입나사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밸브몸체와 이격되는 이격부가 형성되어 디스크의 개폐동작에 따른 탄성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구비되는 밀폐홈과, 상기 시트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홈에 결합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는 방수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KR1020140101905A 2014-06-16 2014-08-07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KR101545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49 2014-06-16
KR20140073049 2014-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013B1 true KR101545013B1 (ko) 2015-08-18

Family

ID=5406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905A KR101545013B1 (ko) 2014-06-16 2014-08-07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42A (ko) * 2017-02-02 2018-08-10 (주)디알밸브 볼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019A (ja) 2006-02-28 2007-09-13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019A (ja) 2006-02-28 2007-09-13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42A (ko) * 2017-02-02 2018-08-10 (주)디알밸브 볼밸브
KR101973251B1 (ko) * 2017-02-02 2019-04-26 (주)디알밸브 볼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2020B2 (en) Shut-off member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of a pressure regulator device, and pressure regulator device having such shut-off member
MX2007012934A (es) Valvula con sello de doble carga.
US20070241301A1 (en) Valve diaphragm with a fluoropolymer layer
US9341273B2 (en) Composite dynamic valve seal assembly for high temperature control valves
KR101440381B1 (ko) 버터플라이밸브의 양방향 메탈시트 실링구조
RU2682796C1 (ru) Седло клапана
JP5689621B2 (ja) 高圧用回転弁の軸封構造
KR101545013B1 (ko)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어셈블리
US9322482B2 (en) Temperature compensating flanged joint for a teflon diaphragm valve
JP2008185113A (ja) ボール弁
JP2018009677A (ja) バルブ及びシール部品
KR101520782B1 (ko) 볼밸브용 밸브시트
TW201908625A (zh) 墊片
TWI796537B (zh) 控制流體流動之閥及閥部件
KR101487905B1 (ko) 물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KR101498146B1 (ko) 수도용 체크밸브
KR102625072B1 (ko) 홀딩 시트를 갖는 볼 밸브 실링 구조
KR101436292B1 (ko) 볼 밸브 기밀 구조
KR20180090042A (ko) 볼밸브
EA027985B1 (ru) Клапан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TWM515050U (zh) 閥件
JP7369421B2 (ja) バルブ
JP2004293724A (ja) ボールバルブにおけるシート
JP2013064436A (ja) ボールバルブ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50032935A (ko) 수지제 매뉴얼 밸브의 밸브 본체 및 다이어프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