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493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493B1
KR101544493B1 KR1020090009696A KR20090009696A KR101544493B1 KR 101544493 B1 KR101544493 B1 KR 101544493B1 KR 1020090009696 A KR1020090009696 A KR 1020090009696A KR 20090009696 A KR20090009696 A KR 20090009696A KR 101544493 B1 KR101544493 B1 KR 10154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apacitor
turn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429A (ko
Inventor
류승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4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AC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AC 입력이 접속되거나 차단됨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AC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AC 입력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AC 입력 감지부, AC 입력 감지부의 동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09696
션트, 레귤레이터, 전력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 인가 전극이 구비된 두 표시 평판과 그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층을 구비한다. 전계 인가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전압을 변화시켜 이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정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므로, 백라이트라고 불리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백라이트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 Fluorescent Lamp;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고지고 있으나, 종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기 상태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실시 예는 액정 표시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기 상태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AC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AC 입력이 접속되거나 차단됨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AC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AC 입력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AC 입력 감지부, AC 입력 감지부의 동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액정 표시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기 상태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 전원 공급부, 온/오프 회로부 및 방전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전원 공급부(100)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공급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압기(LF102, LF103)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는 회로에 AC 입력 또는 DC 입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원 공급부(1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X)는 STBY 입력 커패시터(CX2,102)와 X 커패시터(CX1,1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오프 회로부(110)는 AC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AC 입력이 접속되거나 차단됨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온/오프 회로부(110)는 감지부(111), 전달부(112), 제1 스위칭 소자(113) 및 제2 스위칭 소 자(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11)는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전원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1)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4, R5, R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감지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4, R5, R6) 및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 등을 통해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C 입력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감지 전압을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전달부(112)는 감지부(111)를 통해 공급된 감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전달부(112)는 다이오드 소자(D1),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7, R8)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감지 전압을 제1 스위칭 소자(Q1,113)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113)는 전달부(112)를 통해 전달된 감지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113)는 바이폴라 졍선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칭 소자(Q1,113)는 전달부(112)를 통해 감지 전압을 제1 스위칭 소자(Q1,113)의 베이스 단자(B)에 공급받아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114)는 제1 스위칭 소자(Q1,113)의 동작에 따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114)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 FE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칭 소자(Q1,113)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함에 따라, STBY_Vcc 전압의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달라지는 STBY_Vcc 전압의 경로에 의해 제2 스위칭 소자(Q2,114)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할 수 있다.
방전 저항부(120)는 온/오프 회로부(110)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CX)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다. 방전 저항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1, R2, R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칭 소자(Q2,114)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함에 따라, 방전 저항부(120)는 온/오프 회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저항부(120)는 온/오프 회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안 커패시터(CX)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저항부(120)는 STBY 입력 커패시터(CX2,102)에 충전된 전하 및 X 커패시터(CX1,1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관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 전원 공급부(100)의 일단과 온/오프 회로부(110)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부(100)의 일단은 제4 저항 소자(R4)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저항 소자(R4)의 타단은 제5 저항 소자(R5)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5 저항 소자(R5)의 타단은 제6 저항 소자(R6)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6 저항 소자(R6)의 타단은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의 캐소드(Cathode) 단자와 다이오드 소자(D1)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다이오드 소자(D1)의 캐소드 단자(Cathode)는 제1 커패시터(C1)의 일단과 제7 저항 소자(R7)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7 저항 소자(R7)의 타단은 제8 저항 소자(R8)의 일단,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 및 제1 스위칭 소자(Q1, 113)의 베이스 단자(B)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STBY_Vcc 전원 단자는 제1 스위칭 소자(Q1, 113)의 컬렉터 단자(C)와 제3 커패시터(C3)의 일단 및 제2 스위칭 소자(Q2, 114)의 게이트 단자(G)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의 애소드 단자(A)는 제1 커패시터(C1)의 타단, 제8 저항 소자(R8)의 타단,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 제1 스위칭 소자(Q1, 113)의 이미터 단자(E), 제3 커패시터(C3)의 타단, 및 제2 스위칭 소자(Q2, 114)의 소스 단자(S)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또한, 메인 전원 공급부(100)의 타단과 방전 저항부(12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전 저항부(120)의 타단과 온/오프 회로부(110)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부(100)의 타단은 제1 저항 소자(R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저항 소자(R1)의 타단은 제2 저항 소자의(R2)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저항 소자(R2)의 타단은 제3 저항 소자(R3)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저항 소자(R3)의 타단은 제2 스위칭 소자(Q2, 114)의 드레인 단자(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AC 입력이 접속되는 동안에는 온/오프 회로부(110)는 동작 하지 않고 방전 저항부(120)는 온/오프 회로부(110)와 오픈(Open)상태가 될 수 있다. 즉, AC 입력이 온/오프 회로부(110)의 제4 저항 소자(R4) 내지 제6 저항 소자(R6)와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감지 전압이 다이오드 소자(D1)을 통해 제1 커패시터(C1), 제7 저항 소자(R7), 제8 저항 소자(R8) 및 제2 커패시터(C2)를 거친 후 제1 스위칭 소자(Q1, 113)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Q1, 113)가 턴 온(Turn on)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 113)가 턴 온(Turn on) 되면, STBY_Vcc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제1 스위칭 소자(Q1, 113)의 컬렉터 단자(C)와 이미터 단자(E)를 지나는 전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 114)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저항부(120)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온/오프 회로부(110)가 동작하고 방전 저항부(120)는 온/오프 회로부(110)와 연결되어 STBY 입력 커패시터(CX2, 102)에 충전된 전하 및 X 커패시터(CX1, 1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즉, AC 입력이 온/오프 회로부(110)의 제4 저항 소자(R4) 내지 제6 저항 소자(R6)와 제너 다이오드 소자(ZD1)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 전압이 차단되어 제1 스위칭 소자(Q1, 113)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Q1, 113)가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 113)가 턴 오프(Turn off) 되면, 제1 스위칭 소자(Q1, 113)를 통해 흐르던 전압 경로가 차단되어 STBY_Vcc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 압이 제2 스위칭 소자(Q2, 114)의 게이트 단자(G)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 114)가 턴 온(Turn on)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저항부(120)가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방전 저항부(120)는 제2 스위칭 소자(Q2, 114)를 통해 STBY 입력 커패시터(CX2, 102)에 충전된 전하 및 X 커패시터(CX1, 1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온/오프 회로부(110)에 AC 입력이 접속되면 오프(Off)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면 온(On)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C 입력이 접속되면 제1 스위칭 소자(Q1, 113)는 턴 온(Turn on)하고, AC 입력이 차단되면 턴 오프(Turn off) 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1, 113)는 턴 온(Turn on)하면, 제2 스위칭 소자(Q2, 114)는 턴 오프(Turn off)하고, 제1 스위칭 소자(Q1, 113)는 턴 오프(Turn off)하면, 제2 스위칭 소자(Q2, 114)는 턴 온(Turn on)함으로써, 방전 저항부(120)는 제2 스위칭 소자(Q2, 114)가 턴 오프(Turn off)되면 동작을 하지 않고, 턴 온(Turn on) 되면 STBY 입력 커패시터(CX2, 102)에 충전된 전하 및 X 커패시터(CX1, 1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방전 저항부(120)를 STBY 입력 커패시터(CX2, 102)가 배치된 근처에 배치시킴으로써, STBY 입력 커패시터(CX2, 102)에 충전된 전하를 효율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시간을 줄일 수 있어 대기 전력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 전원 공급부, AC 입력 감지부, 온/오프 회로부 및 방전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전원 공급부(200)는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Y1, CY2, CX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공급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압기(LF102, LF103)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는 회로에 AC 입력 또는 DC 입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원 공급부(2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Y1, CY2, CX3)는 X 커패시터(CX3, 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 입력 감지부(210)는 AC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AC 입력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AC 입력 감지부(210)는 AC 감지부(211), 전압 전달부(212) 및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U1, 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 감지부(211)는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AC 감지부(211)는 AC저항 소자(R10), AC커패시터(C3), AC다이오드 소자(D2)를 포함하고, AC저항 소자(R10) 및 AC커패시터(C3)를 통해 AC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C 입력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전압 전달부(212)는 AC 감지부(211)를 통해 공급된 감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전압 전달부(212)는 다이오드 소자(D3),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11, R12, R13)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4, C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감지 전압을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U1, 213)는 전압 전달부(212)를 통해 전달된 감지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온/오프 회로부(220)는 AC 입력 감지부(210)의 동작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할 수 있다. 온/오프 회로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Q3, Q4, Q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R14, R15, R16)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소자(D4, D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 소자(Q3, Q4, Q5)는 바이폴라 졍선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 FET)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방전 저항부(230)는 온/오프 회로부(220)와 연결되고,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커패시터(CY1, CY2, CX3)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다. 방전 저항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16, R17, R18, R1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소자(Q3, Q4, Q5)가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함에 따라, 방전 저항부(230)는 온/오프 회로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저항부(230)는 온/오프 회로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안 커패시터(CY1, CY2, CX3)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저항부(230)는 X 커패시터(CX3, 2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관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 전원 공급부(200)는 AC 입력 감지부(210)와 방전 저항부(230)와 전기적 으로 공통 연결된다. 이때, 메인 전원 공급부(200)는 AC커패시터(C3)의 일단과 제16 저항 소자(R16)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AC커패시터(C3)의 타단은 AC다이오드 소자(D2)의 캐소드 단자(K), AC저항 단자(R10)의 일단 및 제3 다이오드 소자(D3)의 애노드 단자(A)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3 다이오드 소자(D3)의 캐소드 단자(K)는 제11 저항 소자(R1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11 저항 소자의 타단(R11)은 제4 커패시터(C4)의 일단 및 제12 저항 소자(R1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12 저항 소자(R12)의 타단은 제5 커패시터(C5)의 일단, 제13 저항 소자(R13)의 일단 및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의 기준 단자(R)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AC다이오드 소자(D2)의 애노드 단자(A)는 AC저항 단자(R10)의 타단, 제3 스위칭 소자(Q3)의 컬렉터 단자(C), 제4 커패시터(C4)의 타단, 제5 커패시터(C5)의 타단, 제13 저항 소자(R13)의 타단 및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의 캐소드 단자(K)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STVCC 전원 단자는 제4 스위칭 소자(Q4)의 컬렉터 단자(C)와 제14 저항 소자(R14)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4 스위칭 소자(Q4)의 이미터 단자(E)는 제15 저항 소자(R15)의 일단 및 제5 다이오드 소자(D5)의 애노드 단자(A)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4 스위칭 소자(Q4)의 베이스 단자(B)는 제14 저항 소자(R14)의 타단, 제15 저항 소자(R15)의 타단, 제16 저항 소자(R16)의 일단 및 제3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 단자(B)는 제16 저항 소자(R16)의 타단, 제4 다이오드 소자(D4)의 애노 드 단자(A)와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된다. 제4 다이오드 소자(D4)의 캐소드 단자(K)는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의 캐소드 단자(K)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5 다이오드 소자(D5)의 캐소드 단자(K)는 제5 스위칭 소자(Q5)의 베이스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5 스위칭 소자(Q5)의 이미터 단자(E)는 기준 전압원(G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6 저항 소자(R16)의 타단은 제17 저항 소자(R17)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7 저항 소자(R17)의 타단은 제18 저항 소자(R18)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8 저항 소자(R18)의 타단은 제19 저항 소자(R19)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9 저항 소자(R19)의 타단은 제5 스위칭 소자(Q5)의 컬렉터 단자(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AC 입력이 접속되는 동안에는 온/오프 회로부(220)는 동작 하지 않고 방전 저항부(230)는 온/오프 회로부(220)와 오픈(Open)상태가 될 수 있다. 즉, AC 입력 인가되면 AC 입력 감지부(210)의 AC커패시터(C3)와 AC저항 소자(R10)를 통해 AC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감지 전압이 제3 다이오드 소자(D3), 제11 저항 소자(R11), 제4 커패시터(C4), 제12 저항 소자(R12), 제5 커패시터(C5), 제13 저항 소자(R13)를 거친 후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온(Turn on) 동작을 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온(Turn on)되면, 제3 스위칭 소자(Q3)의 베 이스 단자(B)에 STVCC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오프(Turn off)되어 온/오프회로부(220)가 동작 하지 않는다. 즉,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오프(Turn off)됨에 따라 제4 스위칭 소자(Q4) 및 제5 스위칭 소자(Q5)가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또한,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온/오프 회로부(220)가 동작하고 방전 저항부(230)는 온/오프 회로부(220)와 연결되어 X 커패시터(CX3, 2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즉, AC 입력이 차단되면 AC 입력 감지부(210)의 AC커패시터(C3)와 AC저항 소자(R10)를 통해 AC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감지 전압이 차단되어 션트 레귤레이터(U1, 213)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오프(Turn off) 되면, STVCC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제3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 단자(B)에 공급됨으로써,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온(Turn on)된다.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온(Turn on)됨에 따라, 제4 스위칭 소자(Q4)가 턴 온(Turn on)되어 STVCC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제5 스위칭 소자(Q5)의 베이스 단자(B)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스위칭 소자(Q5)가 턴 온(Turn on)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저항부(230)가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방전 저항부(230)는 제5 스위칭 소자(Q3)를 통해 X 커패시터(CX3, 2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AC 입력 감지부(210)에 AC 입력이 접속되면 온/오프 회로부(220)는 턴 오프(Turn on)하고, AC 입력이 차단되면 온/오프 회로 부(220)는 턴 온(Turn on)할 수 있다. 또한, 션트 레귤레이터(U1, 213)는 AC 입력이 접속되면 턴 온(Turn on)하고, AC 입력이 차단되면 턴 오프(Turn on)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온(Turn on)하면 스위칭 소자(Q3, Q4, Q5)는 턴 오프(Turn on)하고, 션트 레귤레이터(U1, 213)가 턴 오프(Turn on)하면, 스위칭 소자(Q3, Q4, Q5)는 턴 온(Turn on) 함으로써, 방전 저항부(230)는 스위칭 소자(Q3, Q4, Q5)가 턴 오프(Turn on)되면 동작을 하지 않고, 턴 온(Turn on) 되면 X 커패시터(CX3, 201)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X 커패시터(CX3, 201)에 충전된 전하를 효율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시간을 줄일 수 있어 대기 전력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메인 전원 공급부 110: 온/오프 회로부
111: 감지부 112: 전달부
113: 제1 스위칭 소자 114: 제2 스위칭 소자
120: 방전 저항부 200: 메인 전원 공급부
210: AC 입력 감지부 211: AC 감지부
212: 전압 전달부 213: 션트 레귤레이터
220: 온/오프 회로부 230: 방전 저항부

Claims (26)

  1.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AC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상기 AC 입력이 접속되거나 차단됨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상기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는 STBY 입력 커패시터와 X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 저항부는 상기 STBY 입력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 및 상기 X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회로부는
    상기 AC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공급된 감지 전압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감지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저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저항부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바이폴라 졍선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 FET)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 소자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다이오드 소자의 애노드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회로부는 상기 AC 입력이 접속되면 오프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면 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이 접속되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턴 온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면 턴 오프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턴 온하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턴 오프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턴 오프하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턴 온하는 전원 공 급 장치.
  14. AC 입력 또는 DC 입력 등을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AC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AC 입력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AC 입력 감지부;
    상기 AC 입력 감지부의 동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하는 온/오프 회로부; 및
    상기 온/오프 회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 방전 저항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원 공급부는 STBY 입력 커패시터와 X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 저항부는 상기 STBY 입력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 및 상기 X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 감지부는
    상기 AC 입력을 감지하는 AC 감지부;
    상기 AC 감지부를 통해 공급된 감지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 및
    상기 전압 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감지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션트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바이폴라 졍선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 FET)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AC 감지부는 AC저항 소자 및 AC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AC저항 소자 및 상기 AC커패시터를 통해 AC 입력을 감지하는 전원 공급 장치.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저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저항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23. 삭제
  24.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 감지부에 상기 AC 입력이 접속되면 상기 온/오프 회로부는 턴 오프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온/오프 회로부는 턴 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5.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상기 AC 입력이 접속되면 턴 온하고, 상기 AC 입력이 차단되면 턴 오프하는 전원 공급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가 턴 온하면 상기 스위칭 소자는 턴 오프하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가 턴 오프하면, 상기 스위칭 소자는 턴 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090009696A 2009-02-06 2009-02-06 전원 공급 장치 KR10154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96A KR101544493B1 (ko) 2009-02-06 2009-02-06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96A KR101544493B1 (ko) 2009-02-06 2009-02-06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29A KR20100090429A (ko) 2010-08-16
KR101544493B1 true KR101544493B1 (ko) 2015-08-13

Family

ID=4275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696A KR101544493B1 (ko) 2009-02-06 2009-02-06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62B1 (ko) * 2013-03-13 2014-02-12 주식회사 포티스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42A (ja) * 2004-11-26 2006-06-15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42A (ja) * 2004-11-26 2006-06-15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29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1395B2 (ja) フライバック方式の快速起動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US20130027827A1 (en) Protection circuit
JP2013059245A (ja) 過電圧保護回路及び該過電圧保護回路を備える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
KR101544493B1 (ko) 전원 공급 장치
AU2005287436B2 (en) A switch circuit
US7002783B2 (en) Over voltage and surge voltage preventing circuit
JP4483867B2 (ja) 電源装置
US7737644B2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with feedback circuit
US20100109554A1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8213196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protecting circuit having switch element for protecting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KR101007034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237152Y1 (ko) 손난로
WO2014180034A1 (zh) Led背光源及液晶显示装置
TW200818986A (en) Discharge-lamp lighting apparatus
KR101007035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US7782640B2 (en) Inverter circuit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047800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TW201306656A (zh) 發光裝置
US8223513B2 (en) Invert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oft start circuit to overcome power loss in transistor switching
CN110199464A (zh) 限流电路
KR20120079339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류 조절 장치
KR20100072733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33972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TW587406B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KR20110058027A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원 공급용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