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754B1 -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754B1
KR101543754B1 KR1020090001591A KR20090001591A KR101543754B1 KR 101543754 B1 KR101543754 B1 KR 101543754B1 KR 1020090001591 A KR1020090001591 A KR 1020090001591A KR 20090001591 A KR20090001591 A KR 20090001591A KR 101543754 B1 KR101543754 B1 KR 10154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ries
marking
mark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841A (ko
Inventor
쟝-프랑스와즈 비알
올리비에 코우테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9007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88Multiple embedding, e.g. cocktail embedding, or redundant embedding, e.g. repe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85Time domain based watermarking, e.g. watermarks spread over severa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6Enforcing content protection by specific content processing
    • G06F21/1063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51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the spatial doma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1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each block of the image, e.g. segmented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92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using means for preventing making copies of projected video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식별을 위한 영화와 같은 이미지 시리즈를 마킹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영화 복사본은 이미지(10)를 커버하는 가상 격자의 필드에 대응하는 일련의 의사 랜덤 값과 연관된다. 시각력(visible) 마크는 다음 의사 랜덤 값을 이용하여 이를 반복하기 전에 N개의 마킹되지 않은 이미지(N ≥0)를 수반하는(630) M개 연속 이미지 내의 제 1 의사 랜덤 값에 대응하는 필드 내로 놓여 진다(640). 이 시각력 이미지는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최소의 방해만을 받도록 아주 작지만, 그러나 이들은 또한 꽤 잘 보여 질 수 있다. 또한 마킹 장치(700)가 제공된다.
영화, 불법복제, 필름, 마킹, 영사기

Description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RKING IMAGE SEQUENCES, A SUPPORT COMPRISING SUCH MARKS,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SUCH MARK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디오 마킹에 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다양한 측면의 기술을 독자에게 소개하려 의도된 것으로, 이는 이하에서 설명 및/또는 청구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를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배경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이들 진술은 이점에서 읽어 져야 하고, 종래 기술의 허용으로서 읽어지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영화와 같은 비디오 콘텐츠의 불법 복사는 몇가지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첫 번째 예는, 보통은 영화의 공개 상영 동안 몰래 가지고 온 비디오 카메라의 도움으로, 그러나 때때로는 영사기 기사의 도움으로 영화관에서 복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사는 종종 이 영화의 개봉 몇일 내에 인터넷 또는 DVD 또는 다른 서포트를 통해 퍼지게 되며, 이에 의해 영화 티켓의 판매 및 DVD의 판매 둘 다에 대하여, 영화 제작 산업의 수입에 상당한 손실을 끼친다.
이러한 복사와 싸우기 위해, 종래 기술은 특정 복사본 및 영화가 상영되었던 영화관을 식별하는 고유의 볼 수 있는 마크를 필름의 각 릴(reel) 또는 릴 배치(batch)에 낙인찍는 소위 "코딩된 반불법 복제 코드(CAP Code: Coded Anti-Piracy Code)"의 사용을 제안한다. CAP 코드 시스템의 단점은 마크가 관람객에게 분명하게 보일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그렇게 시도하여, 침해를 시도하기 위해 이들 마크는 제한된 개수의 프레임에만 도입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관객이 때때로 불평하는 한편, 그러나 불법 복사자들이 비교적 쉽게 수개 프레임을 억제함으로써 코드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관련한 두 번째 예는 "Academy Awards®"과 같은 영화 협회의 심사 위원에 배포된 "심사용 DVD"와 같은 제한된 배포 DVD로부터의 복제이다. 이 경우, 이 영화는 심지어 아직 개봉되지 않을 수 있어, 수입 및 권위의 더 훨씬 심각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예에서 솔루션은 DVD가 보내지는 개인 또는 협회를 식별하는 고유한 마크의 삽입이다. 차이는 이들 마크가 분명하게 보일 수 있고, 이들 마크가 복사가 되지 않아야 하는 점을 시청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사가 된다면 시청자가 식별될 수 있는 점이다. 단점은 이들 뚜렷하게 보여지는 마크는 영화에 대한 시청자의 이해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이다. 자연히, 만일 이러한 마크가 영화 시작 전에 삽입된다면, 이들 마크는 불법 복사자에 의해 너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 분야에서 덜 현저한 마킹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출원번호 제WO2007/149086호는 마크가 삽입될 수 있는 화상에서 "최선" 영역을 발견함으로써, 예를 들면 마크가 가장 적게 주목받을 만한 최선 부분을 발견함으로써 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그러나, 이 솔루션이 마크를 포함하는 곳을 가르쳐 줄지라도, 이는 어떤 새로운 마킹 알고리즘을 가르쳐 주는 것은 아니다.
영국특허번호 제GB 2407227호에서, 한 비디오 전체에 걸쳐 다수의 이미지가 선택되고, 각 이미지는 이 이미지에 대한 약간의 변경에 의해 2진수 1로서, 또는 이 이미지를 변경하지 않은 채로 남겨놓음으로써 2진수 0으로서 마킹될 수 있다. 시리즈로 고려하면, 1과 0이 비디오를 위한 마크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은 적어도 일부 경우에서 견고성을 부족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비디오 콘텐츠의 견고한 마킹을 허용하여 콘텐츠가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반면에 시청자에 대한 시각력 방해가 최소화되는 대안적인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있거나, 또는 만일 시청자 방해가 주요 관심사가 아니라면, 이 마킹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솔루션을 위한 필요성이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이러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비디오 콘텐츠의 견고한 마킹을 허용하여 콘텐츠가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반면에 시청자에게 시각력 방해가 최소화되는 대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만일 시청자 방해가 주요 관심사가 아니라면, 이 마킹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을 제공한다.
제 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의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P개 별도로 번호가 매겨진 가상 필드의 격자가 정의되므로 이 격자는 이 시리즈의 각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이후,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이 획득되고, 이미지 시리즈 내의 M개 연속 이미지가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과 동일한 숫자를 갖는 가상 필드 내에서 볼 수 있는 마크로 마킹된다. 획득 및 마킹 단계는 적어도 한 번 반복된다.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M개 마킹된 이미지 이후, N개 연속 이미지는 마킹되지 않으며, 여기서 N은 영 이상이다. 이 단계는 획득 및 마킹 단계의 각 반복 이후 반복된다.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은 각 반복을 위하여 획득된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이다.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격자는 전체 이미지를 커버한다.
제 4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M은 각 반복을 위해 획득된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이다.
제 5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크는 필드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놓인다.
제 6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크는 필드의 랜덤하게 선택된 위치에 놓인다.
제 7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킹을 위한 이미지의 필드가 분석되어 이 마크는 최소한의 시각력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제 8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의사 랜덤 값은 시드(seed)로서 복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다.
제 9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랜덤 값은 복사본의 식별자와 연관된다.
제 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의 복사본을 마킹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디바이스는 P개 별도 번호가 매겨진 가상 필드의 격자를 정의하여 이 격자가 시리즈의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수단;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을 획득하는 수단; 및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과 동일한 숫자를 갖는 가상 필드 내의 시각력 마크를 가지고 이미지 시리즈 내의 M개 연속 이미지를 마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 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청구된 방법을 이용하여 마킹된 동일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를 포함하고, N개 마킹이 안된 이미지를 수반하는 복수의 P 개 별도의 가상 필드 중 하나 내에 시각력 마크를 갖는 M개 연속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블록을 포함하는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N은 영일 수 있다.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는 필름 릴이다.
제 4 측면에서, 본 발명은 마킹된 이미지 시리즈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복수의 이미지는 마크를 위해 검색되고, 발견된 각 마크에 대하여, 이 마크가 발견된 이미지 및 필드가 주목되며, 이 필드는 한 값에 대응한다. 이후, 각 이미지에 대하여 주어진 단일값과 값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발생되고, 적어도 하나의 매칭을 발견하기 위해 복수의 일련 값과 비교된다. 만일 하나의 매칭 보다 더 많은 매칭이 발견되면, 마크는 추가 이미지를 위해 검색되고 단일 매칭이 발견될 때까지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제 5 측면에서, 본 발명은 마킹된 이미지 시리즈를 식별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디바이스는 마크를 위한 복수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발견된 각 마크에 대하여, 이 마크가 발견된 이미지 및 필드를 주목하는 검색 및 주목수단으로서, 이 필드는 한 값에 대응하는, 검색 및 주목하는 수단; 각 이미지를 위해 주어진 단일값과 값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생성하는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매칭을 발견하기 위해 복수의 일련값과 이 가능한 조합을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검색하는 수단은 추가 이미지내에서 마크를 검색하기 위해 추가로 적응되고, 비교하는 수단은 만일 하나의 매칭보다 더 많은 매칭이 제 1 비교에 의해 발견되면, 단일 매칭이 발견될 때까지 추가 이미지로부터의 값을 이용하여 비교를 반복하도록 추가로 적응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디오 콘텐츠의 견고한 마킹을 허용하여 콘텐츠가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반면에 시청자에게 볼일 수 있는 방해가 최소화되는 대안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만일 시청자 방해가 주요 관심사가 아니라면, 이 마킹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이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제한되지 않고 기술될 것이다.
시각력 마크를 일련의 이미지(즉 비디오)내로 삽입하는 발명은 다음 원리에 기초한다.
- 마크는 비디오의 상당한 부분, 바람직하게는 전부로 도입된다.
- 본 발명에 따라, 마크는 거의 주목될 수 없거나(예를 들면 작은 조각의 음영), 또는 만일 마크가 뚜렷해야됨을 원한다면, 선명하게 보여 질 수 있다(예를 들면, TV 이미지 내의 8x8개 픽셀의 백색 정사각형).
- 바람직하게는 각 이미지 내에 단일 마크가 있다.
- 마크는 각 새로운 마킹된 이미지를 위해 위치를 변경할 수 있지만, 그러나 또한 이를 위치 변경 전에 M개 이미지를 위해 동일한 위치에 남겨 놓는 것도 가능하다.
- 마크는 각 이미지 내에 존재할 수 있지만, 그러나 또한 N개 연속 마킹되지 않은 이미지를 각 마킹된 이미지 또는 M개 이미지 시리즈 사이에 남겨 놓는 것도 가능하다.
- 마크의 위치의 시간적 시퀀스는 바람직하게는 시드로서 코딩될 데이터(예를 들면, 릴 번호 또는 이름)를 갖는 의사 랜덤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나 또한 시드로서 랜덤 숫자를 사용하고 이후 이 랜덤 숫자를 코딩될 데이터와 링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이상적으로는 참 랜덤 값 생성기가 사용되고 최종 시퀀스는 디코딩될 데이터와 연관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a 및 1b(이는 도 1로서 공통적으로 표시될 수 있음)는 이미지(10) 시리즈(10a, 10b) 내의 2개의 마크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1a에서, M=1이고 N=0인데, 즉 마크는 매 새로운 마크(M=1)를 위한 위치를 변경하고 각 프레임이 마킹된다(N=0). 도 1b에서, M=2 이고 N=3인데, 즉 동일한 마크가 다음 2개 마킹된 이미지까지 3개 마킹되지 않은 이미지(N=3)와 함께 2개 연속 이미지(M=2)에서 사용된다. 도 1 및 다른 적용가능한 도면에서, 시간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흐르고, 마크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특히 크게 만들어지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값 M과 N은 견고성과 이미지 품질 사이에서 타협의 조정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M>1인 경우, 모든 마크가 복사본내에 존재하는 것이 보장되면서도, 견고성은 비디오 카메라(초당 25 또는 30개 이미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필름 복사본(초당 24개 이미지)에 대하여 증가되지만, 그러나 절충(trade off)으로서, 마크는 더 보여 질 수 있고 이 마크에 의해 수반되는 정보량은 감소된다. 한편으로, N>0인 경 우, 마크의 개수는 감소되며, 이는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야기하지만 전달된 정보의 더 적은 량을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N은 다른 마킹된 비디오 사이의 충돌 위험을 겪을 정도로 너무 크지 않아야 하며, 마크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마크내의 코드에 대한 비트의 개수보다 대개는 높아야함을 주목해야 한다.
이 마크는 유리하게는 P개 경우의 가상 격자 내에 분포된다. 도 2는 P=12를 갖는 이러한 격자를 예시한다. 당업자라면 이 격자가 마킹할 전체 이미지를 커버할 필요가 없고, 격자는 반드시 선형일 필요가 없으며, 필드는 반드시 동일한 사이즈일 필요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마크가 이미지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나타나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드가 이미지의 가장자리쪽에서 더 작을 수 있는 것이 상당히 가능하다. 마킹 장치는 이들을 발생시킴으로써 격자 및 필드를 정의할 수 있지만, 그러나 또한 이 마킹 장치가 또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된 격자 및 필드를 검색함으로써 이렇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의사 랜덤 생성기는 1과 P 사이의 값을 포괄하여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며, 마크가 대응하는 개수의 필드내로 삽입된다. 도 3은 M=1, N=1 및 값 6, 4, 11, 2, 5...을 갖는 마킹된 시퀀스의 예를 예시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필드 넘버 6 내의 마크의 3개 예시적인 위치를 위하여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마크는 바람직하게는 필드보다 더 작으며 이들은 반드시 필드의 중심에 삽입될 필요는 없다. 이후 더 설명될 것이지만, 일 마크의 검출에 대하여, 이는 마크가 필드 내에 존재하는지 아니하는지를 증명하는 것으로도 족하고, 이는 비록 복사본의 이미지가 변형되었을 지라도 견고한 검출을 허용할 수 있 다. 당업자라면 가능한 한 시청자를 거의 방해하지 않는 한 마크를 렌더링하도록 필드 내에서 삽입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마크를 검출하게 되고 코딩된 정보를 결정하게 되는 경우, 복사본의 이미지 주파수가 원본의 이미지 주파수와 다른 경우, M과 N의 재계산으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비디오 카메라(초당 25 또는 30개 이미지)에 의해 캡쳐된 영사된 필름(초당 24개 이미지)의 경우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명료성을 이유로, M=1 및 N=0임이 가정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만일 N>0이면, 마크가 기대되지 않는 이미지는 무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마크가 동일한 위치 내에 있어야만 하는 이미지를 평균화하는 것과 같은, 여러 옵션이 M>1에 대하여 이용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이후 단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명료성을 이유로, 단계 중 일부만이 도면에 예시된다.
1. 이미지는 차례로 처리된다. 먼저 이미지 인텍스 i는 제 1 마킹된 이미지의 인덱스에 설정된 마크 위치 인덱스 j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만일 신뢰값 c가 사용되면, 이 값은 영으로 초기화된다(단계(510)).
2. 이미지 내의 마크에 대한 철저한 검색이 수행된다(단계(520))(불법 복제자들은 추가 마크를 추가함으로써 이 마킹을 방해하려 시도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이후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충분한 개수의 마크가 발견된다면(단계(530)), 이 방법은 단계 3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가 다시 수행된다.
3. 일단 검출된 마크 및 가능한 코딩된 데이터 사이의 충분한 매칭이 발견된다면, 현재 이미지 I(i) 내의 마크의 위치 X(j)(즉, 이 마크가 의사 랜덤 시퀀스에 따라 위치되어야 하는 필드)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측된 필드 내에서 마크를 검출하기 위해 검색이 수행된다. 만일 마크가 발견되면, 다음 이미지 I(i+1)가 다음 예측된 위치 X(j+1) 내의 마크에 대해 검색되고, 만일 사용된다면, 신뢰값은 1씩 증가된다. 달리 말하면, 단계 3은 예측된 필드 내에 마크가 발견되는 한 반복된다(단계(540)).
4. 마크가 예측된 위치 내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이는 수많은 다른 이유때문일 수 있다.
a.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삭제된다. 이는 일부 경우에 현재 이미지 I(i)와 원본의 대응하는 이미지(이는 반드시 복사본을 위해 사용된 버전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의 비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현재 이미지 I(i)는 의사 랜덤 시퀀스 X(j+1) 더 아래의 값에 대응하는 마크에 대해 검색될 수 있지만, 그러나 또한 마크를 발견하고 이후 의사 랜덤 시퀀스에 대한 값을 매칭시키기를 시도하기 위해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b. 이 마크는 삭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결과로서, 방법은 다음 이미지 I(i+1) 및 다음 예측된 위치 X(j+1)로 진행한다.
c.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예를 들면 반복에 의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이 방법은 다음 이미지 I(i+1)로 진행하고 동일한 예측된 위치 X(j) 내의 마크를 검색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이미지의 재동기화를 허용하는 증가분 i+i' 및 j+j'과, 의사 랜덤 시퀀스를 발견할 때까지 수 번의 조합을 시도한다. 이용가능한 처리 파워 및 다른 제한에 의존하는 많은 잘 알려진 종래 기술이 이용가능하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이미지 시퀀스 내에서 뒤로 가는 것은 불가능함이 가정될 것이다. 먼저 위치가 기억된다(J=j).
5. 이후, 이 방법은 다음 위치 X(j+1)를 검색하고, 이미지 I(i) 내에서 이 마크를 검색한다. 만일 마크가 발견되면, 방법은 단계 3으로 계속 진행된다. 만일 마크가 발견되지 않으면, 단계 5가 단계 6으로 이동하기 전에 처리 파워에 따라 수회 반복된다.
6. 위치는 재초기화되고(j=J), 다음 이미지가 사용되며, 단계 5가 처리 파워에 따라 수회 반복된다. 만일 신뢰값 c가 사용된다면, 이 값은 이 값이 단계 7로 이동하기 전에 영에 도달할 때까지 각 반복 마다 1씩 감소될 수 있다.
7. 이 점에서, 코딩된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결론이 나야 하는데, 즉 이미지 내의 마크 시퀀스는 예측된 의사 랜덤 시퀀스에 대응하지 않는다. 이 경우, 방법은 철저한 검색과정인 단계 2로 이동한다.
이전에 언급된 철저한 검색 방법이 이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 철저한 검색은 마킹된 시퀀스가 전혀 없거나 또는 충분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때 사용된다.
1. 이미지 인덱스 i는 이미지 시퀀스의 장면 또는 다른 시각적 특징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이는 특히 이미지 시퀀스의 일부가 분실된다면, 가령 복사본의 시 작이 원본의 시작과 일치하지 못하면, 특히 중요하다. 이 검색은 따라서 특정 범위의 확률 지수에 대하여 수행된다.
2. 불법 복제자가 하나 이상의 마크를 삽입하고, 이미지의 실제 원 특징이 마크로 혼동될 수 있을지라도, 이 이미지는 모든 마크를 가리키는 모든 가능한 필드(이 필드가 반드시 전체 이미지를 커버하는 것은 아님을 주목하자) 내에서의 마크에 대해 검색된다.
3. 단계 2는 코딩된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추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10개인 다수의 연속 이미지에 대하여 반복된다. 단일 마크는 비록 마크가 정확하게 해석될지라도 가능한 시리즈의 총개수의 1/P에 대응한다. 만일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마크보다 더 많이 포함하면, 모든 가능한 조합이 검사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만일 제 1 이미지가 위치 5 및 11 내에서의 마크를 포함하고, 제 2 이미지가 위치 2 내에서의 마크를 포함하고, 제 3 이미지가 위치 4 와 7 내의 마크를 포함하면, 분석에 대한 시리즈 단편은 [5,2,4], [5,2,7], [11,2,4] 및 [11,2,7]이다.
4. 이후 모든 가능한 시리즈가 발견된 단편 또는 단편들과의 매칭을 위해 검색된다. 만일 단일 매칭이 이루어지면, 방법은 이전의 검출 방법의 단계 3로 계속될 수 있다.
5. 만일 매칭이 발견되지 않으면, 방법이 더욱더 멀리 이미지 지수를 검색하거나, 또는 이미지 시퀀스의 검색된 부분이 사용불가로 표시되고, 검색은 그 이미지 시퀀스 추가 아래에서 다시 시작된다. 만일 하나의 매칭 보다 많은 매칭이 발견된다면, 다음 마크 또는 마크들은 발견된 단편이 단일의 가능한 의사 랜덤 시퀀스 에 대응할 때까지 발견되어야 한다.
변형예에서, 추가 랜덤 또는 의사 랜덤 시퀀스 등에 따라, 마크의 출현(apparition), 즉 M 및 N 값의 주기성을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와 결합될 수 있는, 추가 변형예에서, 모양 또는 색깔과 같은, 마크의 특징은 추가 랜덤 또는 의사 랜덤 시퀀스 등에 따라 변동된다. 위 어느 한쪽의 변형예로부터 발생된 마크는 따라서 불법 복제자를 검출하기에 더 쉽지가 않으나, 그러나 2개 시퀀스를 동기화는 것이 더 어려우므로 이 마킹이 공격에 대하여 더 민감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불법 복제자가 2개의 마킹된 원본을 획득하여 그로부터 복사본을 만들려 한다면, 그 불법 복제자는 공모 공격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이미지 내의 마크를 검출하고, 예를 들면 단순히 비교하고, 이후 다른 복사본으로부터 이미지를 삽입하거나(만일 이 복사본이 마킹되어 있지 않으면), 또는 다른 이미지의 마킹되지 않은 부분을 복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마크가 양쪽 원 버전에서 동일한 필드내에 있는 P 내에 1번의 기회가 있으므로, 불법 복제자는 마크의 1-1/P까지 제거할 수 있는데, 즉 P=12로 마크의 92%까지 제거할 수 있다.
가능한 솔루션은 필드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P=4로 설정하는 것이며, 항상 필드 내의 동일한 위치 내에 마크를 삽입한다. 불법 복제자에 이용가능한 2개 복사본을 가지고, 이러한 교체 기술을 이용하여 마크의 75% 이상을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만일 검출 알고리즘이 충분히 견고하고 이미지의 개수가 충분히 크면, 2개 원본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마크를 소거하는 대신에, 불법 복제자는 또한 각 이미지가 어느 원본으로부터 복사되어야 하는 지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마크는 보여 질 수 있지만, 그러나 코딩된 데이터는 모든 이미지의 큰 절저한 검색 및 발견된 마크의 통계적 계산의 도움 없이는 발견하기 어렵다. 먼저, 모든 이미지 내의 모든 마크가 발견된다. 이후, 각 발견된 마크와 모든 가능한 의사 랜덤 시퀀스의 비교는 각 매칭에 대하여 의사 랜덤 시퀀스의 확률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최종적으로는, 의사 랜덤 시퀀스의 검색은 다른 시퀀스 보다 상당히 더 높은 확률 카운터를 갖는다.
도 6은 앞서 기술된 마킹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리를 예시한다.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P개 필드의 격자가 단계(610)에서 정의되며, 각 필드는 1과 P 사이의 값에 대응한다.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은 단계(620)에서 획득되고 대응하는 필드 내의 M개 연속 이미지를 마킹하기 위해 사용된다(단계(630)). N개의 다음 이미지는 이후 단계(640)에서 마킹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게 되며, 여기서 N ≥0이다. 단계(650)에서, 충분한 이미지가 마킹되는 지가 결정된다. 만일 그 경우라면, 방법은 단계(660)에서 종료하고, 만일 그 경우가 아니라면, 이 방법은 단계(620)로 계속한다.
도 7은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미지 시리즈를 마킹하는 장치(700)를 예시한다. 이 장치(700)는 소프트웨어로, 다수의 하드웨어 콤포넌트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는 다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즉 이들 모듈은, 격자 및 필드를 정의하기 위해 적응되는 격자 정의 모듈(740), 의사 랜덤 또는 랜덤 값을 생성 또는 검색하기 위해 적응되는 랜덤화 모듈(750), 마크를 이미지 내로 삽입하도록 적응되는 마킹 모듈(760), 및 마크가 최소한으로 시각력 장소를 발견하기 위해 이미지를 분석하도록 적응되는 분석 모듈(770)이다. 장치(700)는 상이한 모듈을 구현하고, 장치를 제어하며 이들 모듈로 구현되지 않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콤포넌트(720)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7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장치(700)는 예를 들면, 필름 릴, DVD 또는 임의 다른 적당한 서포트 상에 저장된 이미지 시리즈의 복사본(20)을 마킹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이점이 다음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 사용자에 대한 낮은 방해, 즉 종종 움직이는 작은 마크는 잡음으로 보일 것이다.
- 불법 복제자가 예기치 않은 장소에서 많은 상이한 이미지에서 소거할 마크를 검색해야 하므로, 마크의 소거에 대항하는 견고성.
- 마크의 삽입에 대항하는 견고성.
- 삽입된 정보의 사이즈로 인한 충돌의 제한된 위험.
설명 및 (적절하다면) 청구항 및 도면에 개시된 각 특징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 적당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기술된 특징은 또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반대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기술된 특징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적용가능하다면, 연결은 무선 연결 또는 유선 연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직접 또는 전용된 연결일 필요는 없다.
청구항에 보이는 참조 번호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청구항의 범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처리에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더 상세하게는 비디오 마킹에 이용가능하다.
도 1(도 1a 및 도 1b를 포함함)은 2개의 이미지 시리즈 내에서 일련의 마크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P개 경우의 가상 격자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마킹된 시퀀스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미지 필드 내의 마크에 대한 3개의 예시적인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다른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는 예시적인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

Claims (15)

  1.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으로서,
    a) P개의 별도 번호가 매겨진 가상 필드의 격자를 정의하여, 격자가 시리즈의 각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격자 정의 단계(610);
    b)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을 획득하는 단계(620);
    c)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과 동일한 숫자를 갖는 가상 필드 내에 시각력 마크로 이미지 시리즈 내의 M개의 연속 이미지를 마킹하고, 마킹된 M개의 연속 이미지의 바로 뒤에 계속되는 이미지 시리즈에서의 N개의 연속 이미지를 스킵하는, 마킹 및 스킵 단계(630); 및
    d) 적어도 한 번 단계 b) 내지 c)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N은 각 반복을 위해 획득된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인,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격자는 전체 이미지를 커버하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M은 각 반복을 위해 획득된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인,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마크는 필드의 사전 결정된 장소에 놓이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마크는 필드의 랜덤하게 선택된 장소에 놓이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마킹할 이미지의 필드가 분석되어 마크가 최소한의 시각력 장소 내에 놓일 수 있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의사 랜덤 값은 시드로서 적어도 복사본의 식별자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랜덤 값은 복사본의 식별자와 연관되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방법.
  11.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디바이스(500)로서,
    P개의 별도 번호가 매겨진 가상 필드의 격자를 정의하여, 격자가 시리즈의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격자 정의 수단(540);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을 획득하는 수단(550);
    (i) 랜덤 또는 의사 랜덤 값과 동일한 숫자를 갖는 가상 필드 내에 시각력 마크로 이미지 시리즈 내의 M개의 연속 이미지를 마킹하고, (ii) 마킹된 M개의 연속 이미지의 바로 뒤에 계속되는 이미지 시리즈에서의 N개의 연속 이미지를 스킵하고, (iii) (i) 및 (ii)을 적어도 한번 반복하는 수단(560)
    을 포함하는,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 복사본을 마킹하는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청구된 방법을 이용하여 마킹된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를 포함하는 서포트로서,
    N개의 마킹되지 않은 이미지를 수반하는 복수의 P개의 별도 가상 필드 중 하나 내에 시각력 마크를 갖는 M개의 연속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블록을 포함하는, 마킹된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를 포함하는 서포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서포트는 필름 릴(reel)인, 마킹된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시리즈를 포함하는 서포트.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001591A 2008-01-09 2009-01-08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1543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0013A EP2079050A1 (en) 2008-01-09 2008-01-09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rking image sequences, a support comprising such marks,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such marks
EP08300013.3 200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841A KR20090076841A (ko) 2009-07-13
KR101543754B1 true KR101543754B1 (ko) 2015-08-11

Family

ID=3953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591A KR101543754B1 (ko) 2008-01-09 2009-01-08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87612B2 (ko)
EP (2) EP2079050A1 (ko)
JP (1) JP5606679B2 (ko)
KR (1) KR101543754B1 (ko)
CN (1) CN1014829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4122B (zh) * 2010-02-08 2015-07-08 汤姆森特许公司 取证标记立体3d内容媒体的方法和系统
JP4950315B2 (ja) * 2010-02-26 2012-06-13 楽天株式会社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US8386339B2 (en) 2010-11-23 2013-02-26 Echostar Technologies L.L.C. Ordering via dynamic matrix code generation
US9792612B2 (en) 2010-11-23 2017-10-17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user support of electronic devices using dynamic matrix code generation
US9329966B2 (en) 2010-11-23 2016-05-03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user support of electronic devices using matrix codes
WO2012071377A1 (en) 2010-11-24 2012-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Tracking user interaction from a receiving device
US8439257B2 (en) 2010-12-01 2013-05-14 Echostar Technologies L.L.C. User control of the display of matrix codes
US9280515B2 (en) 2010-12-03 2016-03-08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vision of alternate content in response to QR code
US8886172B2 (en) 2010-12-06 2014-11-11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matrix code
US8875173B2 (en) 2010-12-10 2014-10-28 Echostar Technologies L.L.C. Mining of advertisement viewer information using matrix code
US8640956B2 (en) 2010-12-17 2014-02-04 Echostar Technologies L.L.C.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US9596500B2 (en) 2010-12-17 2017-03-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US9148686B2 (en) 2010-12-20 2015-09-29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based user interface
US8856853B2 (en) 2010-12-29 2014-10-07 Echostar Technologies L.L.C.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US8408466B2 (en) 2011-01-04 2013-04-02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ing matrix code capture by signaling matrix code readers
US8292166B2 (en) 2011-01-07 2012-10-23 Echostar Technologies L.L.C. Performing social networking functions using matrix codes
US8534540B2 (en) 2011-01-14 2013-09-17 Echostar Technologies L.L.C. 3-D matrix barcode presentation
US8786410B2 (en) 2011-01-20 2014-07-22 Echostar Technologies L.L.C. Configuring remote control devices utilizing matrix codes
US8553146B2 (en) * 2011-01-26 2013-10-08 Echostar Technologies L.L.C. Visually imperceptible matrix codes utilizing interlacing
US8468610B2 (en) 2011-01-27 2013-06-18 Echostar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fraudulent use of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matrix codes
US8430302B2 (en) 2011-02-03 2013-04-30 Echostar Technologies L.L.C. Enabling interactive activities for content utilizing matrix codes
US9571888B2 (en) 2011-02-15 2017-02-14 Echostar Technologies L.L.C. Selection graphics overlay of matrix code
US8511540B2 (en) 2011-02-18 2013-08-20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 for use in verification of data card swap
US8931031B2 (en) 2011-02-24 2015-01-06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based accessibility
US9367669B2 (en) 2011-02-25 2016-06-14 Echostar Technologies L.L.C. Content source identification using matrix barcode
US9736469B2 (en) 2011-02-28 2017-08-15 Echostar Technologies L.L.C. Set top box health and configuration
US8550334B2 (en) 2011-02-28 2013-10-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nching one or more matrix codes to content related to a multimedia presentation
US8443407B2 (en) 2011-02-28 2013-05-14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placeshifting using matrix code
US8833640B2 (en) 2011-02-28 2014-09-16 Echostar Technologies L.L.C. Utilizing matrix codes during installation of components of a distribution system
EP2525281B1 (en) 2011-05-20 2019-01-02 EchoStar Technologies L.L.C. Improved progress b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9086A1 (en) 2006-06-21 2007-12-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arking a fil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0441B2 (ja) * 1997-04-07 2004-09-02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複数フレーム・データ・ハイディング方法及び検出方法
JPH1141571A (ja) 1997-07-18 1999-02-12 Sony Corp 信号合成装置、信号合成方法、映像信号記録装置、映像信号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298865B2 (en) 2001-07-30 2007-11-20 Sarnoff Corporation Secure robust high-fidelity watermarking
BR0314737A (pt) 2002-09-27 2005-07-26 Technicolor Código antipirataria de filmes
US7206409B2 (en) * 2002-09-27 2007-04-17 Technicolor, Inc. Motion picture anti-piracy coding
US6882356B2 (en) * 2003-02-11 2005-04-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film
GB2407227B (en) * 2003-09-08 2006-11-08 Deluxe Lab Inc Program encoding and counterfeit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181641B2 (en) * 2003-09-24 2007-02-2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Data storage verification techniques for disk drivers
US8032754B2 (en) * 2004-01-09 2011-10-0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mbedding media forensic identification markings
CN1942895B (zh) 2004-04-27 2012-07-04 汤姆逊许可公司 电影拷贝的水印标识
US7295281B2 (en) * 2005-06-17 2007-11-13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arking and coding of film prints
WO2007149070A1 (en) 2006-06-17 2007-12-27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marking a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9086A1 (en) 2006-06-21 2007-12-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arking a fil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한국방송공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2964A (zh) 2009-07-15
JP5606679B2 (ja) 2014-10-15
US8787612B2 (en) 2014-07-22
KR20090076841A (ko) 2009-07-13
EP2079050A1 (en) 2009-07-15
JP2009165130A (ja) 2009-07-23
US20090175494A1 (en) 2009-07-09
EP2079051A1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754B1 (ko) 이미지 시퀀스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마크를 포함하는 서포트, 그리고 이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N103975605B (zh) 基于试验性水印的水印提取
JP2008211784A (ja) ビデオ信号に情報を挿入すること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ビデオ信号を保護すること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
US9485089B2 (en) Stego key management
US72952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arking and coding of film prints
US83799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watermarking of video content
GB2383220A (en) Adaptive strength watermarking
EP1501047A2 (en) Fingerprinting segments of data content for version identification
EP1324262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1510075B1 (en) Method of extracting a watermark
JP2008228344A (ja) 検出データ処理装置、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00674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8923549B2 (en) Watermark generating method, broadcast content generat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and watermarking system
EP1538561A2 (en) Encoding and detecting apparatus
JP2010532627A (ja) 低周波によるボリュームマーキング
JP4100675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EP1741056B1 (en) Film fingerprinting
CA2562852C (en) Film fingerprinting
KR102417767B1 (ko) 비디오 컨텐츠에 워터마크 데이터를 임베딩하는 방법 및 비디오 컨텐츠로부터 워터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Sahu et al. A survey on robust image watermarking techniques and different applications
Guerrini et al. A new video authentication template based on bubble random sampling
Sharma A Survey on Properties and Different Features of Digital Image Watermarking
Yoo et al. Invertible watermarking scheme for authentication and integ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