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72B1 - 맨홀 구조 - Google Patents

맨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72B1
KR101543572B1 KR1020150056546A KR20150056546A KR101543572B1 KR 101543572 B1 KR101543572 B1 KR 101543572B1 KR 1020150056546 A KR1020150056546 A KR 1020150056546A KR 20150056546 A KR20150056546 A KR 20150056546A KR 101543572 B1 KR101543572 B1 KR 10154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guide plate
outer tube
inner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점래
김용만
천성옥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주)지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주)지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5005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및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나선 형상의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상측은 상기 맨홀의 유입수로에 접속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맨홀의 유출수로의 상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내관의 하측은 상기 맨홀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맨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을 일체로 결합하여 맨홀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맨홀의 유입수로와 유출수로의 사이가 고낙차인 경우에도 유입구로 유입된 수류를 나선 형상의 안내판으로 유도하여 세력을 감쇠시켜 소음과 맨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 구조{A manhole structure}
본 실시예는 맨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거의 방향, 경사, 관경이 변화하는 장소 및 관거가 합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맨홀은 빗물, 하수, 농업 용수, 공업 용수 등의 유수가 흐르는 유입수로와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나 관거 등의 사이에 지반 형상, 매설물, 지상의 이용 상황의 차이 등으로 인해 고낙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관거의 경사나 낙차가 심하면 소음이나 관거의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수의 유달시간이 단축되어 하류지점에서의 유량이 크게 되므로 종래에는 맨홀 내부에 단차를 두거나 계단식으로 수로를 설치하여 경사를 완만하게 하였으며, 또는 지형 상황에 따라 유속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감세공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시공과정이 번거로우며, 공기가 길어져 시공성이 떨어지고,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맨홀 내에 드롭샤프트(나선 형태의 수로)를 설치하여 맨홀 하부의 파손 및 세굴을 방지하였는데, 상기 드롭샤프트는 유입수로로부터 유입된 유수에 다량의 공기가 혼입되고, 혼입된 공기의 배출이 어려우며, 공기압에 의해 맨홀 뚜껑이 비산할 수도 있다. 또한 맨홀의 크기가 다양하여 규격화된 드롭샤프트를 설치하기가 어려워 시공에 제약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8562호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7676호
특허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7739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을 일체로 결합하여 맨홀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맨홀의 유입수로와 유출수로의 사이가 고낙차인 경우에도 유입구로 유입된 수류를 나선 형상의 안내판으로 유도하여 세력을 감쇠시켜 소음과 맨홀의 파손을 방지하는 맨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관의 하부에 뾰쪽한 돌기를 구비하거나 하부를 거칠게 함으로써,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을 맨홀 내부에 설치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맨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관에 배기구를 다수 구비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수류에 혼입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수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공기압에 의한 맨홀 뚜껑의 비산을 방지하는 맨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맨홀 내부에 스페이스장치나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맨홀의 크기와 상관없이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의 설치가 가능한 맨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내판의 하부 끝 지점에 수축부 및 개폐판을 구비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맨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는,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및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나선 형상의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상측은 상기 맨홀의 유입수로에 접속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맨홀의 유출수로의 상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내관의 하측은 상기 맨홀의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과 안내판의 연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안내판의 하측에 상기 내관을 관통하는 배기구들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들은 상기 내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들은 상기 내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짐과 동시에 수류의 흐름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의 상류측에 수류의 흐름을 외측으로 유도하는 돌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의 하부 끝 지점에 상기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이 형성하는 유로 단면을 축소하는 수축부, 상기 수축부에 구비되는 개폐판, 및 상기 수축부와 개폐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의 유입구에 구비되어 수류를 유도하는 수류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과 외관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스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스장치는 상기 외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 구비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신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너트와 볼트의 결합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과 맨홀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단면이
Figure 112015039148454-pat00001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외측 요홈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을 일체로 결합하여 맨홀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맨홀의 유입수로와 유출수로의 사이가 고낙차인 경우에도 유입구로 유입된 수류를 나선 형상의 안내판으로 유도하여 세력을 감쇠시켜 소음과 맨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관의 하부에 뾰쪽한 돌기를 구비하거나 하부를 거칠게 함으로써,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을 맨홀 내부에 설치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관에 배기구를 다수 구비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수류에 혼입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수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공기압에 의한 맨홀 뚜껑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내부에 스페이스장치나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맨홀의 크기와 상관없이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판의 하부 끝 지점에 수축부 및 개폐판을 구비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수류유도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배기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배기구의 상류측에 돌턱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수축부 및 개폐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스페이스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의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배기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배기구의 상류측에 돌턱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수축부 및 개폐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스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9는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는,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관(100), 외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200), 및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외관(100), 내관(200), 및 안내판(300)을 일체로 구비하여 맨홀의 내부에 설치한다. 외관(100), 내관(200), 및 안내판(300)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 어느 것도 무방하며, 이들은 용접, 부착 등으로 완전히 일체화될 수도 있고, 또는 조립에 의해 일체화될 수도 있다.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관(100)은 상측에는 맨홀의 유입수로(10)와 연결되는 유입구(110)가 구비되며, 하측은 맨홀의 유출수로(20)의 상측까지 연장된다. 유입구(110)는 유입수로(10)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유입수로(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관(100)의 유입구(110) 일측에는 수류유도판(120)(도 2 참조)을 구비하여 수류를 안내판(300)의 하향 방향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 외관(100)은 맨홀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도 1 참조)하나, 직경이 큰 맨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스페이스장치(500)나 간격유지부재(600)를 사용(도 7 내지 도 10 참조)할 수도 있다.
외관(100)의 내측에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관(200)은 하측은 맨홀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맨홀의 바닥에 지지되며, 상측은 유입구(110)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수류가 내관(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내관(200)의 하부는 평면으로 형성하나, 뾰쪽한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거칠게 함으로써 내관(200)이 맨홀의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내관(200)과 외관(100) 사이에는 수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판(310)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수직판(310)을 설치하는 경우 안내판(300)은 수직판(310)의 하측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내관(2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210)들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210)는 내관(200)과 안내판(300)의 연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안내판(30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관(2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210)를 통해 수류에 혼입된 공기가 내관(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며, 수류에 혼입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수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공기압에 의한 맨홀 뚜껑의 비산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구(210)는 내관(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하며, 또는 내관(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짐과 동시에 수류의 흐름방향으로도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기구(210)를 경사지게 하는 것은 안내판(300)을 따라 흐르는 수류 내의 공기만을 내관(200)의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관(2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00)에 형성된 배기구(210)의 상류측에 돌턱(22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배기구(210)의 상류측은 수류의 흐름이 안내판(300)을 따라 회전하면서 내려갈 때 그 흐름의 상류측을 의미하며, 이는 도 5의 확대된 도면에서 배기구(210)의 좌측을 가리킨다. 돌턱(220)은 안내판(300)을 따라 흐르는 수류의 흐름을 배기구(210)의 외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수류 내의 공기만을 배기구(210)로 배출하는 데 더 유리하다.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안내판(300)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관(100)의 내부 및 내관(200)의 외부를 따라 유입구(110)의 하측에서부터 유출수로(20)의 상측이나 맨홀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안내판(300)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수로(10)로부터 유출수로(20)까지의 낙차나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수류의 유량 등에 따라 피치를 더 짧게 하거나 길게 할 수도 있으며, 피치를 점점 커지게 하거나 작아지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안내판(300)을 단속적인 나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판(300)의 외측(외관과 접하는 쪽)이 내측(내관과 접하는 쪽)보다 높게, 즉 경사지게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안내판(300)은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수류를 한 방향으로 선회 유하시킴으로써, 수류가 나선 형상으로 유하하는 사이에 세력이 감쇠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류가 맨홀의 바닥에 직접적으로 떨어져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맨홀 바닥이 파손되지 않고, 소음이 방지된다.
안내판(300)의 하부 끝 지점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100), 내관(200), 및 안내판(300)이 형성하는 유로 단면을 축소하는 수축부(410)와, 수축부(410)에 구비되는 개폐판(420)과, 수축부(410)와 개폐판(420)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판(420)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420)을 맨홀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맨홀 하부로부터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 구조는 외관(100), 내관(200), 및 안내판(300)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맨홀의 내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유지관리도 편리하다. 즉, 내관(200) 등의 상측에 고리 등을 형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들어서 삽입하거나 쉽게 꺼내 보수한 후 재삽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는, 맨홀의 직경이 큰 경우에 맨홀과 외관(100) 사이에 스페이스장치(500)를 구비하여 일체화된 외관(100), 내관(200), 및 안내판(300)을 맨홀 내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스장치(500)는 외관(100)의 일부를 둘러싸는 플랜지(510), 및 플랜지(510)의 외측에 구비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신축부재(520)를 포함하며, 스페이스장치(500)는 맨홀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즉, 스페이스장치(500)는 맨홀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측에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관(200)의 하부가 맨홀 바닥에 돌기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움직일 염려는 없게 된다. 신축부재(520)는 플랜지(510)에 결합되는 너트(523)와 볼트(521)로 형성되며, 신축부재(520)의 너트(523)와 볼트(521)의 결합은 플랜지(5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너트(523)와 상기 너트(523)에 결합되어 길이를 조정하여 맨홀의 내벽에 접하는 볼트(521)로 구성(도 7 참조)되거나, 양측(플랜지와 맨홀 측)의 볼트(521)와 중간의 너트(523)로 구성(도 8 참조)될 수도 있다. 플랜지(510)와 너트(523) 또는 볼트(521)의 결합은 재질이 강재인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부착하여 결합한다. 즉, 결합은 재질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맨홀 구조는, 맨홀과 외관(100) 사이에 스페이스장치(500) 대신 간격유지부재(6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간격유지부재(600)는 전체 형상이 초승달 형상이며, 단면은
Figure 112015039148454-pat00002
형상으로서, 그 내측 요홈에 내관(200)의 상측이 삽입되어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간격유지부재(600)의 외측 플랜지에 또 다른 간격유지부재(600)의 내측 요홈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등 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600)의 외측 요홈에는 콘크리트(610)를 타설하여 간격유지부재(60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입수로
20 : 유출수로
100 : 외관
110 : 유입구
120 : 수류유도판
200 : 내관
210 : 배기구
220 : 돌턱
300 : 안내판
310 : 수직판
410 : 수축부
420 : 개폐판
430 : 힌지
500 : 스페이스장치
510 : 플랜지
520 : 신축부재
521 : 볼트
523 : 너트
600 : 간격유지부재
610 : 콘크리트

Claims (8)

  1.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나선 형상의 안내판; 및
    상기 외관과 맨홀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상측은 상기 맨홀의 유입수로에 접속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맨홀의 유출수로의 상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내관의 하측은 상기 맨홀의 바닥까지 연장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단면이
    Figure 112015067273397-pat00003
    형상이며,
    상기 안내판의 하부 끝 지점에 상기 외관, 내관, 및 안내판이 형성하는 유로 단면을 축소하는 수축부, 상기 수축부에 구비되는 개폐판, 및 상기 수축부와 개폐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안내판의 연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안내판의 하측에 상기 내관을 관통하는 배기구들이 다수 구비되는 맨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들은 상기 내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는 맨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들은 상기 내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짐과 동시에 수류의 흐름방향으로 경사지는 맨홀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의 상류측에 수류의 흐름을 외측으로 유도하는 돌턱이 구비된 맨홀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유입구에 구비되어 수류를 유도하는 수류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외측 요홈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맨홀 구조.
KR1020150056546A 2015-04-22 2015-04-22 맨홀 구조 KR10154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46A KR101543572B1 (ko) 2015-04-22 2015-04-22 맨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46A KR101543572B1 (ko) 2015-04-22 2015-04-22 맨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72B1 true KR101543572B1 (ko) 2015-08-12

Family

ID=5406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46A KR101543572B1 (ko) 2015-04-22 2015-04-22 맨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818A (ja) 2007-05-15 2008-11-27 Sekisui Chem Co Ltd 螺旋案内路付き縦管
JP4852440B2 (ja) * 2007-02-06 2012-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案内路付き縦管の流入部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2440B2 (ja) * 2007-02-06 2012-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案内路付き縦管の流入部構造
JP2008285818A (ja) 2007-05-15 2008-11-27 Sekisui Chem Co Ltd 螺旋案内路付き縦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694B2 (ja) 螺旋案内路付き縦管
KR101546394B1 (ko) 맨홀 구조
JP5526404B2 (ja) サイフォン式パイプ魚道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101543572B1 (ko) 맨홀 구조
US9157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hydraulic capacity of a sewer
JP2015098702A (ja) 排水トラップ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EP1951964B1 (en) Swirl chamber with movable non-return valve and air injector for prevention of sedimentation in storm water and waste water drains
US8973616B2 (en) Modified pipe inlet
JP4833789B2 (ja) 排水ヘッダとそれを用いた排水装置
NL2010689C2 (nl) Aansluiting voor een put.
JP2017082465A (ja) 減勢管
EP2107174A2 (en) Well and well bottom
JP2008214948A (ja) 螺旋案内路付き縦管の流入部構造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US7761934B2 (en) Drain socket and flush toilet
GB2267976A (en) Vortex valve flow control
JP2012077568A (ja) 逆流防止機能付き排水装置
CN106195413B (zh) 浮球阀
JP5577482B2 (ja) 伏越管
US9512609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low of liquid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JP7412179B2 (ja) 継手管、弁付き継手管
KR101722446B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