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52B1 -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52B1
KR101543552B1 KR1020150080488A KR20150080488A KR101543552B1 KR 101543552 B1 KR101543552 B1 KR 101543552B1 KR 1020150080488 A KR1020150080488 A KR 1020150080488A KR 20150080488 A KR20150080488 A KR 20150080488A KR 101543552 B1 KR101543552 B1 KR 10154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ndle
gripping block
gripping
grip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길
Original Assignee
양만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길 filed Critical 양만길
Priority to KR102015008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부재의 검사, 추가가공 등을 진행하기 위하여 그 돌기를 물어 부재를 고정시키기에 적합하고, 그러한 고정 및 고정해제작업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대상부재의 돌기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 및 제2파지블록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와, 상기 조절뭉치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뭉치가 상기 제1자세와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단부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Releasing agent composition improved releasing property and anti-scale up property for forging}
본 발명은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각부에 설치되는 판넬 등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물품을 고정지지하기 위하여 그 물품에 형성된 돌기의 물림 및 물림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쉬보드, 커버보드 등 차량에 설치되는 판상부재는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복수의 돌기(91)들이 하면에 돌출됨으로써, 그 돌기(91)들을 타 조립부재의 조립홈에 끼워 넣어 고정하는 물림구조에 의해 부재간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은 판상부재에 대한 검사작업나 추가가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러한 판상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전용 클램핑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판상부재의 종류가 다양하고 형상이 복잡하므로 각 판상부재의 종류마다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바, 대체로 형태가 유사한 상기 돌기들을 잡아 고정하는 장치가 보다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한국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214028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바이스는 베이스에 고정죠오(1,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베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된 스크류(3)의 핸들(4)을 돌리면 고정죠오들(1,2)을 서로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의 고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고정죠오(1,2)의 형상은 전술한 판상부재의 돌기를 잡아 고정하기에는 물림형상이 적합하지 않고, 스크류(3)를 회전시켜 고정죠오들(1,2)을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바, 신속한 물림 및 물림해제에는 적합한 구조가 아니다.
또한, 상기 바이스는 그 부피가 큰 구조를 가짐으로써 판상부재의 다수의 돌기를 물어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바이스가 배치되는 것도 작업공간의 제약이 크고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도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197281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배터리 단자의 클림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클램핑 장치는 한 쌍의 베이스블록(5,6) 사이에 배터리의 단자(A)를 끼운 후 샤프트(9)를 돌리면 기어(8)와 피니언(8a,8b)이 동시에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피니언(8a,8b)에 각각 결합된 나사봉(7a,7b)이 회전하면서 한 쌍의 베이스블록(5,6)이 서로 접근하고, 단자(A)를 강하게 조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상태를 풀기 위해서는 기어(8)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단자(A)의 조임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러나, 그러한 클램핑 장치도 샤프트(9)를 수회 돌림으로써 기어(8)를 회전시키고 나사봉(7a,7b)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블록의 접근 및 이격이 이루어지는 바, 단자(물림대상 돌기)를 물어 고정하고 물림해제시키는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하나의 판상부재에 물어 고정시켜야 할 돌기가 도 1과 같이, 다수 배치된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과정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부재의 검사, 추가가공 등을 진행하기 위하여 그 돌기를 물어 부재를 고정시키기에 적합하고, 그러한 고정 및 고정해제작업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대상부재의 돌기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 및 제2파지블록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와, 상기 조절뭉치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뭉치가 상기 제1자세와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단부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상기 제1파지블록 및 상기 제2파지블록을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블록 및 상기 제2파지블록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에 의해 그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 사이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절뭉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 및 상기 제2파지블록과 이격된 간격을 가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파지블록의 하부에 상기 제2파지블록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1뭉치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제1뭉치운동공간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1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파지블록의 하부에도 상기 제1파지블록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2뭉치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제2뭉치운동공간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뭉치는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양쪽 제1경사면과 상기 양쪽 제2경사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을 밀어낸 상태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는, 중간에 작동공간을 가지고 그 작동공간의 양측으로 각각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작동공간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와,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를 타고 이동하며, 고정대상부재의 돌기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 및 제2파지블록과,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지지블록 및 제2지지블록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를 타고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와, 상기 조절뭉치가 상기 제1자세와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뭉치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샤프트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부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파지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제2파지블록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1뭉치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제1뭉치운동공간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1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파지블록의 하부에도 상기 제1파지블록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2뭉치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제2뭉치운동공간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뭉치는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양쪽 제1경사면과 상기 양쪽 제2경사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제1파지블록과 상기 제2파지블록을 밀어낸 상태이고, 상기 조절뭉치는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양쪽 제1경사면과 상기 양쪽 제2경사면에 모두 이격된 간격을 가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는,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부재의 검사, 추가가공 등을 위해 고정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고정 및 고정해제작업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성이 간단하고 작은 부피로 인해 작업대에서 돌기마다 다수 배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물림 및 물림해제를 위한 동작이 핸들의 작은 회전량에 의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대상부재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및 고정해제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작업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고정대상부재의 구조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는 배터리 단자의 클림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가 지그장치에 다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가 고정대상부재의 돌기를 물기위해 돌기물림홈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에서 돌기물림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에서 돌기물림홈의 개방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91)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h)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h)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과,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밀착하도록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61,62)과,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70)와, 상기 조절뭉치(70)에 결합되어 조절뭉치(70)가 제1자세와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샤프트(80)와, 상기 회전샤프트(80)에 부착된 핸들(85)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장치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회전샤프트(80)를 지지하고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이 작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몸체(20)는 중간에 작동공간(26)을 가지고 그 작동공간(26)의 양측으로 각각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블록(22) 및 제2지지블록(23)은 작동공간(26)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21)의 양측에 부착되고 있다.
또한,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에는 그들을 동시에 관통하여 회전샤프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중심부에 샤프트삽입공(22a,23a)이 형성되고, 샤프트삽입공(22a,23a)의 양측에는 가이드로드(51,5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샤프트삽입공(22a,23a)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로드고정공(22b,23b)이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에 모두 형성된다.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은 서로 협동하여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파지블록(30)은 몸체(20)에 설치되되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 상에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로드(51,52)를 매개로 몸체(20)에 지지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는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의 가이드로드고정공(22b,23b)에 양단이 고정되어 한 쌍이 서로 나란하도록 작동공간(26)에 설치된다.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관통공(36)이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로드관통공(36)의 사이에는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샤프트관통공(35)이 형성된다.
또한, 제1파지블록(30)의 상부에는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시 돌기(91)가 위치하는 오목한 물림공간(31a)이 형성되고, 제1파지블록(30)의 상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물림공간(31a)과 연통된 돌기물림홈(31)이 형성된다.
상기 물림공간(31a)과 돌기물림홈(31)은 제2파지블록(4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파지블록(40)에도 제1파지블록(30)을 향하는 면에서 대칭인 물림공간(41a)과 돌기물림홈(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밀착시 하나의 완성된 돌기물림홈(h)과 하나의 완성된 물림공간(31a,41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는 그들이 서로 밀착시 형성될 돌기물림홈(h)과 물림공간(31a,41a)이 분할되어 각각 절반씩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파지블록(40)도 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관통공(46)이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로드관통공(46)의 사이에는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샤프트관통공(45)이 형성된다.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에 의해 그 이동이 안내됨으로써 서로 접근하여 하나의 돌기물림홈(h)과 물림공간(31a,41a)이 정확히 형성되도록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61,62)은 몸체(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밀착하도록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 그들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수단(61,62)은 제1파지블록(30)의 후측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이고, 상기 몸체(20)에서 양측의 지지블록(22,23)의 샤프트삽입공(22a,23a)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삽입공(22a,23a)은 각각 작동공간(26)을 향하는 쪽이 직경이 크게 형성된 단턱이 있는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탄성스프링은 작동공간(26)에서부터 샤프트삽입공(22a,23a)으로 삽입되어 단턱에서 단부가 걸려 몸체(20)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탄성수단(61,62)은 항상 압축되어 있으므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이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를 타고 서로 밀착하도록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없으면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서로 밀착되어 탄성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뭉치(70)는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킨다.
조절뭉치(70)는 회전샤프트(80)에 결합되어 회전샤프트(8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90도 간격으로 제1자세와 제2자세가 교번하여 나타난다.
조절뭉치(70)는 직사각형태의 블록에서 그 모든 모서리를 깎아 모든 모서리들이 곡률을 가지거나 모따기된 형상이고, 도 5의 사시도 형상과 같이, 블록의 길이가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폭방향이 수평이 되는 제1자세에서는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지 않고, 회전샤프트(80)가 90도 회전하여 길이방향이 수평이 되는 제2자세에서는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킨다. 참고로, 도 5의 L방향이 블록의 길이방향이고, B방향이 블록의 폭방향이다.
상기 회전샤프트(80)는 조절뭉치(7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조절뭉치(7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샤프트관통공(35,45)을 통과하여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의 샤프트삽입공(22a,23a)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샤프트(80)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 사이에 위치하고 조절뭉치(70)도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 사이에 위치하여 자세가 변환되는 운동이 이루어진다.
회전샤프트(80)는 제1지지블록(22)의 외측에서 회전샤프트(80)를 구성하는 내측샤프트(81)와 외측샤프트(82)가 결합되고, 내측샤프트(81)가 조절뭉치(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의 샤프트삽입공(22a,23a)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외측샤프트(82)의 외측의 단부에는 핸들(85)이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샤프트(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조절뭉치(70)가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의 하부에는 각각 제1뭉치운동공간(37)과 제2뭉치운동공간(47)이 형성되며, 제1뭉치운동공간(37)과 제2뭉치운동공간(47)이 서로 접하여 하나의 뭉치운동공간(S)을 발생시킨다.
즉,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에는 제2파지블록(40)을 마주하는 면에서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형성하도록 그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1경사면(33a,33b)을 가지고,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하부에도 제1파지블록(30)을 마주하는 면에서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형성하도록 그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2경사면(43a,43b)을 가진다.
조절뭉치(70)는 뭉치운동공간(S) 내에서 제1자세인 경우, 그 폭이 상기 제1경사면(33a,33b)과 제2경사면(43a,43b)에 미치지 않으므로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과 이격된 간격을 가진다.
반면, 조절뭉치(70)는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는 바, 양쪽 제1경사면(33a,33b)과 양쪽 제2경사면(43a,43b)에 동시에 접촉하여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을 밀어낸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는 예컨대 도 1과 같이, 하면에 돌기(91)들이 다수 설치된 판상의 고정대상부재(9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고정대상부재(90)의 파지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가 다수 배치되는 지그장치(95)가 도 7과 같이 설치된다. 그 지그장치(95)에서는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본 실시예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의 개수 및 위치가 대응되게 배치된다. 도면부호 95a는 지그장치(95)에서 고정대상부재를 받치는 받침부분이다.
그러한 배치상태에서 고정대상부재(90)를 물어 고정하기 위해서는, 핸들(85)을 모두 90도씩 돌려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을 이격시킴으로써 모든 돌기물림홈(h)을 개방한다.
이후, 고정대상부재(90)를 올려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들을 개방된 돌기물림홈(h)에 삽입하도록 지그장치(95) 상부에 배치한다.
이후,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의 핸들(85)을 다시 90도씩 모두 돌리면 탄성스프링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이 밀착하면서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들을 모두 물어 고정시킨다.
그와 같이 지그장치(95)에 고정된 고정대상부재(90)에 대하여 검사공정이나 추가적인 가공고정이 진행될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의 핸들(85)의 회전에 따른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의 물림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핸들(85)을 회전하여 조절뭉치(70)가 제1자세를 유지하는 상태는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돌기(91)를 돌기물림홈(h)에 삽입된 상태에서 물어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9와 같이, 제1자세에서 조절뭉치(70)의 폭이 상기 제1경사면(33a,33b)과 제2경사면(43a,43b)에 미치지 않으므로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과 이격된 간격을 가지게 되고,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은 조절뭉치(70)의 간섭없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그 밀착된 상태에서는 돌기물림홈(h)에 삽입된 돌기(91)를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강한 탄성력으로 물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돌기(91)의 물림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핸들(85)을 9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조절뭉치(70)는 제2자세로 변환되고, 제2자세에서 조절뭉치(70)는 그 길이방향이 수평으로 누운 상태가 되며, 조절뭉치(70)의 길이방향이 누운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는 과정에서 조절뭉치(70)의 모서리부분이 양쪽 제1경사면(33a,33b)과 양쪽 제2경사면(43a,43b)에 접촉하면서 제1파지블록(30)과 제2파지블록(40)을 밀어낸다. 제2자세가 완료되면, 조절뭉치(70)가 양쪽 제1경사면(33a,33b)과 양쪽 제2경사면(43a,43b)을 밀어내어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은 변환하는 조절뭉치(70)와의 접촉점에서 양쪽 제1경사면(33a,33b)과 양쪽 제2경사면(43a,43b)이 미끄러지면서 회전샤프트(80)의 강제적 회전력에 의해 가이드로드(51,52)를 따라 이동한다.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격되어 돌기물림홈(h)을 개방시킬 수 있다.
다시, 다른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물어 파지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91)를 돌기물림홈(h)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85)을 90도 회전하여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조절뭉치(70)의 폭이 도 9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33a,33b)과 제2경사면(43a,43b)에 미치지 않으므로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과 이격된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간격은 조절뭉치(70)가 뭉치운동공간에서 놀 수 있는 여유를 가지도록 하는 바, 핸들(85)이 그 간격의 여유만큼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7과 같이, 다수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가 지그장치(95)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대상부재(90)가 지그장치(95)의 상면을 덮고 있으면 돌기물림홈(h)의 개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핸들(85)을 잡고 회전방향으로 약간 돌려봄으로써 조절뭉치(70)가 상기 간격의 여유만큼 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조절뭉치(70)가 상기 간격의 여유만큼 놀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면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밀착하여 물림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10)가 지그장치(95)에서 물림상태에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강제로 고정대상부재(90)를 빼내는 중 돌기(91)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클램핑 장치 20 ; 몸체
21 ; 베이스플레이트 22 ; 제1지지블록
22a ; 샤프트삽입공 22b ; 가이드로드고정공
23 ; 제2지지블록 23a ; 샤프트삽입공
23b ; 가이드로드고정공 26 ; 작동공간
30 ; 제1파지블록 31 ; 제1돌기물림홈
31a ; 제1물림공간 33a,33b ; 제1경사면
35 ; 제1샤프트관통공 36 ; 제1가이드로드관통공
37 ; 제1뭉치운동구간 40 ; 제2파지블록
41 ; 제2돌기물림홈 41a ; 제2물림공간
43a,43b ; 제1경사면 45 ; 제2샤프트관통공
46 ; 제2가이드로드관통공 47 ; 제2뭉치운동구간
51,52 ; 가이드로드 61,62 ; 탄성수단
70 ; 조절뭉치 80 ; 회전샤프트
85 ; 핸들 90 ; 고정대상부재
91 ; 돌기 95 ; 지그장치
h ; 돌기물림홈 s ; 뭉치운동구간

Claims (5)

  1.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91)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h)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h)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과,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61,62)과,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70)와,
    상기 조절뭉치(70)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뭉치(70)가 상기 제1자세와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샤프트(80)와,
    상기 회전샤프트(80)에 부착된 핸들(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에는 상기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을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가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에 의해 그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회전샤프트(8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 사이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절뭉치(7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 및 상기 제2파지블록(40)과 이격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파지블록(40)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형성하도록 그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1경사면(33a,33b)을 가지고,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하부에도 상기 제1파지블록(30)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형성하도록 그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2경사면(43a,43b)을 가지며,
    상기 조절뭉치(70)는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양쪽 제1경사면(33a,33b)과 상기 양쪽 제2경사면(43a,43b)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을 밀어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4. 중간에 작동공간(26)을 가지고 그 작동공간(26)의 양측으로 각각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이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제1지지블록(22)과 제2지지블록(23)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작동공간(26)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와,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를 타고 이동하며, 고정대상부재(90)의 돌기(91)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밀착시 상기 돌기(91)가 삽입되어 물림되는 돌기물림홈(h)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물림홈(h)이 분할되어 각각 상단부에 형성된 제1파지블록(30) 및 제2파지블록(40)과,
    상기 몸체(20)에서 상기 제1지지블록(22)과 상기 제2지지블록(23)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51,52)를 타고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 사이에 위치하고 제1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밀착을 허용하고 제2자세에서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이격상태를 발생시키는 조절뭉치(70)와,
    상기 조절뭉치(70)가 상기 제1자세와 상기 제2자세로 변환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뭉치(7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블록(2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샤프트(80)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회전샤프트(80)에 부착된 핸들(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블록(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파지블록(40)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형성하도록 그 제1뭉치운동공간(3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1경사면(33a,33b)을 가지고,
    상기 제2파지블록(40)의 하부에도 상기 제1파지블록(30)을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조절뭉치(70)가 위치하는 오목한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형성하도록 그 제2뭉치운동공간(47)을 향하는 수직인 양쪽의 제2경사면(43a,43b)을 가지며,
    상기 조절뭉치(70)는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양쪽의 제1경사면(33a,33b)과 상기 양쪽의 제2경사면(43a,43b)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제1파지블록(30)과 상기 제2파지블록(40)을 밀어낸 상태이고,
    상기 조절뭉치(70)는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양쪽의 제1경사면(33a,33b)과 상기 양쪽의 제2경사면(43a,43b)에 모두 이격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KR1020150080488A 2015-06-08 2015-06-08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KR10154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88A KR101543552B1 (ko) 2015-06-08 2015-06-08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88A KR101543552B1 (ko) 2015-06-08 2015-06-08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52B1 true KR101543552B1 (ko) 2015-08-10

Family

ID=5388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488A KR101543552B1 (ko) 2015-06-08 2015-06-08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430B1 (ko) * 2018-06-07 2019-10-01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244A (ja) 2008-03-18 2009-10-01 Star Seiki Co Ltd 揺動開閉チャック
JP2014131824A (ja) 2013-01-07 2014-07-17 Makita Corp 作業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244A (ja) 2008-03-18 2009-10-01 Star Seiki Co Ltd 揺動開閉チャック
JP2014131824A (ja) 2013-01-07 2014-07-17 Makita Corp 作業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430B1 (ko) * 2018-06-07 2019-10-01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7657B (zh) 夾持裝置
US4486928A (en) Apparatus for tool storage and selection
US7753216B2 (en) Tool suspension device
JPS62130189A (ja) ロボツト工具交換装置
CA2550456C (en) Combination vise and clamp
JP2013063503A (ja) モンキーレンチ
KR101543552B1 (ko) 돌기파지용 클램핑 장치
US20220281076A1 (en) Ball joint system and support device
US4928938A (en) Clamping device
JP2020524611A (ja) サードハンド機能を備えたクランプシステム
JPS60255385A (ja) ロボット把持工具
JP2006334672A (ja) クランプ式手工具
JP2013126271A (ja) ケーブル挟持具及び該ケーブル挟持具を備えるケーブル引張装置
JP5029183B2 (ja) 被加工物保持装置
KR101822857B1 (ko) 공작 기기에 구비되는 워크 홀더
JP2010017799A (ja) バイス内蔵型吸着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マシニングセンタ
US8850930B1 (en) Adjustable wrench
KR20140000466U (ko) 바이스 플라이어
TWI787860B (zh) 螺絲供給治具、使用螺絲供給治具之雙臂機器人以及螺絲供給方法
JP2011255478A (ja) 形状倣い機構
JP2989590B1 (ja) バイス
US5108080A (en) Machine tool vise
JP2022048536A (ja) 収容容器、間隔保持具、収容容器と間隔保持具との構造体
KR102435366B1 (ko) 와이어 작업용 지그
AU2007101159A4 (en) Tool suspen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