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458B1 -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458B1
KR101543458B1 KR1020130120482A KR20130120482A KR101543458B1 KR 101543458 B1 KR101543458 B1 KR 101543458B1 KR 1020130120482 A KR1020130120482 A KR 1020130120482A KR 20130120482 A KR20130120482 A KR 20130120482A KR 101543458 B1 KR101543458 B1 KR 10154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ction
foreign
guid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404A (ko
Inventor
정양수
Original Assignee
정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양수 filed Critical 정양수
Priority to KR102013012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4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46Cleaning mov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5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 B65H2406/351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facing the surface of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로써,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필름 원단의 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의 사이에 고정되어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하게 설치되어 내부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필름 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의 이송경로에 이물질 흡입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필름 원단의 가공과정에서 발생 된 이물질이 필름 원단에 묻어 있는 경우 필름 원단이 이물질 흡입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흡입 제거됨에 따라 이물질이 포장내 내부의 내용물에 혼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foreign suction device of material film for food packaging}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의 가공과정에서 발생 되어 필름 원단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용 필름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폴리에틸렌(PE)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식품을 포장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포장지로 사용되거나, 식품을 직접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비닐랩 등으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포장용 필름은 두 겹으로 구성되기도 하지만 포장재의 용도에 따라 다층의 구조를 가지도록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이하 PE) 등의 내피재질, 알루미늄 등의 중간층재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thalate, 이하 PET) 또는 Oriented Poly Properene (이하 OPP) 필름 등의 외피재질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편, 포장용 필름 원단을 이용하여 포장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필름 원단의 이송과정 중 절단공정이나 실링공정 및 천공공정 등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정 중 포장재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공정의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0193198호 "포장용 비닐필름의 연속 천공장치"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필름 원단에 천공이나 절단을 하는 과정에서 필름 원단의 천공 또는 절단부위에서 발생 되는 이물질이 필름 원단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상태로 포장재에 내용물이 내재 될 경우 내용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면서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장용 필름 원단을 가공함에 있어서, 가공과정에서 발생 되는 이물질이 필름 원단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완성되는 포장재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는,
상기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되어 필름 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는 상기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필름 원단의 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이격된 사이에 고정되어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상면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흡입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봉의 대향된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입부재는 공기흡입수단과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대향된 반대쪽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필름 원단이 수평하게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는 슬롯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의 내부 상하면에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 되도록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흡입부재의 배출부는 슬롯홈과 동일 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부는 고정부의 상면에서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필름 원단의 이송경로 중 상기 이물질 흡입장치의 전단에 설치되어 필름 원단의 정전기를 중성화시킬 수 있는 이온아이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의 이송경로에 이물질 흡입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필름 원단의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필름 원단에 묻어 있는 경우 필름 원단이 이물질 흡입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흡입 제거됨에 따라 이물질이 포장내 내부의 내용물에 혼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흡입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흡입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흡입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흡입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흡입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면, 필름 원단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와, 그러한 가이드부재에 고정되어 필름 원단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예시된 도 1 및 도 2 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부재(100)는,
다수의 로울러(600)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 원단(500)의 이송경로에 설치되며, 필름 원단(500)의 진행방향에 수직상태인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00)의 양단에는 브라켓(도면부호 미표기)이 구비되며, 이러한 브라켓은 필름 원단(5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도면중 미도시)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어 가이드부재(1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가이드부재(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가이드부재(100)는 가이드봉(110)과, 고정부(200)와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가이드봉(11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필름 원단(5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때 가이드봉(110)의 길이는 필름 원단(50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고정부(200)는 전술한 가이드봉(110)에 설치되어 가이드봉(1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부는 가이드봉(110) 사이에 끼워지고, 그 상부는 양측 가이드봉(110) 상면에 안착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필름 원단(500)의 폭에 따라 고정부(2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이드봉(1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되며 이동되는 고정부(200)가 가이드봉(11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기 위해서 고정부(200)를 가이드봉(110)에 고정시켜 줄 수 있는 체결부재(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가이드봉(110)의 표면에 눈금과 같은 표시부재(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되면서 가이드봉(110)의 상면에서 이동되는 고정부(200)가 가이드봉(1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300)는 전술한 고정부(200)의 상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연결부(300)의 상단에는 후술 되는 흡입부재(400)가 연결되면서 고정부(200)로부터 흡입부재(4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300)는 고정부(200)에 단순하게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부(200)의 상면에서 필름 원단(5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로울러(600)에 의해 필름 원단(500)이 이송되고, 흡입부재(400)는 전술한 가이드봉(110)과 고정부(200)와 연결부(300)와 함께 로울러(60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때 필름 원단(500)은 로울러(600)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어야 하지만 필름 원단(500)이 흡입부재(400)가 위치한 부위에서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필름 원단(500)과 흡입부재(400)가 간섭을 일으켜 흡입부재(400)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300)를 고정부(20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연결부(300)와 함께 흡입부재(400)를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 흡입부재(400)의 위치변화를 통해 필름 원단(500)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연결부(300)의 상하의 길이 또한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흡입부재(400)의 설치위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흡입부재(400)는,
전술한 연결부(300)의 상단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면서 필름 원단(50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흡입부재(400)의 한쪽은 배출부(410)로 구성되어 진공펌프와 같은 공기흡입수단(도면중 미도시)과 연결되며, 흡입부재(400)의 배출부(410)에 대향 되는 반대쪽은 중앙에 슬롯홈(421)이 구비되는 흡입부(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출부(410)와 슬롯홈(421)의 배치는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이나 경사방향 등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지만, 배출부(410)와 슬롯홈(421)을 동일 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배출부(410)와 슬롯홈(421)을 통해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배출부(410)에 연결되는 공기흡입수단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흡입부(420)의 슬롯홈(421)은 필름 원단(500)이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수평형태로 구성되며, 슬롯홈(421)의 상하 높이는 슬롯홈(421) 내부를 수평하게 이동하는 필름 원단(500)과 간섭되지 않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슬롯홈(421)의 내부 상하면에는 흡입공(도면중 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흡입공은 배출부(410)와 연통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공기흡입수단이 작동되면 필름 원단(500)이 슬롯홈(421)을 통과할 때 필름 원단(500)에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흡입공으로 흡입된 후 배출부(410)를 통해 공기흡입수단으로 이동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흡입부(420)의 슬롯홈(421) 길이는 필름 원단(500)의 폭과 상응하게 형성되거나, 필름 원단(500)에 형성되는 가공부위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재(400)는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나로 구성되어 가이드부재(100)에 설치되어 흡입부재(400)의 슬롯홈(421)을 통과하는 필름 원단(500)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할 수도 있지만, 흡입부재(400)를 도 1 및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하여 가이드부재(100)의 대향된 양쪽에 각각 설치한 후 각각의 흡입부(420)에 형성된 슬롯홈(421)을 통해 필름 원단(500)의 이물질이 흡입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흡입부재(40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부재(100)의 대향된 양쪽에 설치되는 경우 마주하는 각각의 흡입부(420)는 동일 선상에 놓여 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흡입부(420)의 슬롯홈(421) 크기는 필름 원단(500)의 폭을 이분하여 이분된 양쪽 필름 원단(5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각각 흡입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흡입부재(400)가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부재(100)의 대향된 양쪽에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흡입부(420)가 동일 선상에 놓여지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놓이도록 전술한 연결부(300)를 고정부(200)로부터 이동시키게 되면 양쪽 흡입부(420)의 슬롯홈(421) 크기를 필름 원단(500)의 폭으로 각각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필름 원단(500)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필름 원단(5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중으로 흡입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다수의 로울러(600)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500)의 어느 한 구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흡입장치를 설치하여 필름 원단(5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필름 원단(500)의 이송 경로 상에서 이물질 흡입장치의 바로 전단에 필름 원단(500)에 발생된 정전기를 중성화시킬 수 있는 이온아이저(ionizer)(도면중 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해 필름 원단(50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온아이저에 의해 떨어진 상태에서 이물질 흡입장치를 통해 쉽게 흡입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에 의해 필름 원단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로울러(600)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500)의 이송 경로 상에 이송장치의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00)를 고정시켜 필름 원단(500)의 하부로부터 가이드부재(100)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00)와 필름 원단(500)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0)에 고정부(200)와 연결부(300)를 통해 연결된 흡입부재(400)를 가이드부재(100)를 따라 이동시켜 필름 원단(500)에 근접시키되 가이드부재(100)의 흡입부(420)에 형성된 슬롯홈(421) 내부로 필름 원단(500)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00)에 설치된 흡입부재(400)의 슬롯홈(421)과 필름 원단(500)은 동일한 수평을 이루면서 필름 원단(500)은 슬롯홈(421) 내부의 상하면에 닿지 않는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공기흡입수단이 연속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흡입부재(400)의 흡입부(420)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공기가 연속적으로 흡입되므로 슬롯홈(421)을 통과하는 필름 원단(500)의 이물질이 흡입공을 통해 배출부(410)를 거쳐 공기흡입수단으로 이동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흡입공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슬롯홈(421)의 내부에 위치한 필름 원단(500)이 진동을 하게 되면서 필름 원단(500)에 부착된 이물질이 더욱 쉽게 분리되면서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름 원단(500)의 이송경로 중 이물질 흡입장치의 전단에 정전기를 중성화시킬 수 있는 이온아이저를 구비할 경우 정전기에 의해 필름 원단(500)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물질 흡입장치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가이드부재 110 : 가이드봉
200 : 고정부 300 : 연결부
400 : 흡입부재 410 : 배출부
420 : 흡입부 421 : 슬롯홈
500 : 필름 원단 600 : 로울러

Claims (7)

  1.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필름 원단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필름원단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필름 원단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공기흡입수단과 연결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대향 된 반대쪽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필름 원단이 수평하게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필름 원단 상,하면에 근접되어 이격된 상태로 감싸는 슬롯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 내부 상,하면에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도록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로 이루어진 흡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 원단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필름 원단의 이격된 양측에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표면에는 표시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이격된 사이에 고정되어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 상면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하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필름 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름 원단의 처짐을 방지해주며, 상기 흡입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흡입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봉의 대향된 양쪽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의 배출부는 슬롯홈과 동일 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원단의 이송경로 중 상기 이물질 흡입장치의 전단에 설치되어 필름 원단의 정전기를 중성화시킬 수 있는 이온아이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KR1020130120482A 2013-10-10 2013-10-10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KR10154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82A KR101543458B1 (ko) 2013-10-10 2013-10-10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82A KR101543458B1 (ko) 2013-10-10 2013-10-10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404A KR20130119404A (ko) 2013-10-31
KR101543458B1 true KR101543458B1 (ko) 2015-08-11

Family

ID=4963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482A KR101543458B1 (ko) 2013-10-10 2013-10-10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00B1 (ko) 2019-08-26 2020-03-02 김태현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905B1 (ko) 2015-11-19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49B1 (ko) * 2002-11-15 200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표면의 연마상태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49B1 (ko) * 2002-11-15 200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표면의 연마상태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00B1 (ko) 2019-08-26 2020-03-02 김태현 필름원단의 이물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404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78079T3 (en) Deep draw packing machine with integrated product supply
KR101543458B1 (ko)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JP6121815B2 (ja) 横形製袋充填機における集合品の位置ズレ防止装置
US20120316047A1 (en) Device and process for folding web materials
JP6173434B2 (ja) 複数のシートを鱗状にずれ重ねて送りかつパイルに積み上げるための装置
US20170029150A1 (en) Thermo-forming packaging machine
JP2013202139A (ja) 紙粉除去装置及び紙粉除去装置を用いた衛生用紙の製造方法
KR20160101776A (ko) 물품포장 방법 및 장치
KR102171673B1 (ko) 웨브 절단 방법 및 웨브 절단 장치
CN106043806B (zh) 一种异形烟与常规烟混合包装机
JP2015039747A5 (ko)
JP2008229554A (ja) 蛍光灯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US11260999B2 (en) Thermoforming packaging machine with film deflection
JP7007727B2 (ja) 包装装置
US11008127B2 (en) Floating platen system
US20160176553A1 (en) Sheet Product Wrapping Apparatus
JP4294031B2 (ja) ロールフィーダ
US20170128278A1 (en) Device for folding at least one web feeding along a plant for producing absorbent sanitary articles
JP2003002301A (ja) 袋口部シール装置
JP6381949B2 (ja) 耳折り装置及び包装装置
JP5896731B2 (ja) ラベル供給装置
KR200473971Y1 (ko) 일자형 파우치 겸용 형상 파우치 커팅장치
JP2008174274A (ja) シュリンクラベル位置調節装置
JP2022177410A (ja) 包装機
KR101591732B1 (ko) 비닐백 형성 방법 및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장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