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859B1 -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859B1
KR101542859B1 KR1020140032099A KR20140032099A KR101542859B1 KR 101542859 B1 KR101542859 B1 KR 101542859B1 KR 1020140032099 A KR1020140032099 A KR 1020140032099A KR 20140032099 A KR20140032099 A KR 20140032099A KR 101542859 B1 KR101542859 B1 KR 10154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ball
link
ste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재
Original Assignee
넥스탑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탑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탑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8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공급에 의해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엑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볼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는, 내부에 관통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200)과;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볼(200)에 고정되어 볼(2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템(300)과;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에 의해 상기 볼(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과; 일단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을 상기 제어수단(4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수단(400)이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500)과; 일단은 상기 제어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템(30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6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볼밸브의 설치가 자유롭고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Ball-Valve Divice}
본 발명은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공급에 의해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엑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볼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밸브(ball valve)는, 밸브의 개폐 부분에는 구멍이 뚫린 구(球) 모양의 볼이 있으며, 이 볼을 회전시킴에 의해 구멍을 막거나 열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콕과 유사한 밸브이다.
볼 밸브는, 핸들을 90°로 조작하여 개폐하며, 완전 개방의 경우에는 관(Pipe) 단면적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저항이 적은 특징이 있고, 가스 배관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볼 밸브는, 한국 특허 제10-065343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의 필요에 따라 볼밸브에 부착된 수동레버를 열고 닫는 형식의 밸브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06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 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나 전동식의 자동밸브 제어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설치가 어렵거나 부가적인 전기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즉,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조에서는 수동 볼밸브가 설비나 플랜트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높은 위치의 관로에 설치될 때에는 그 설치는 물론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기를 외부로부터 유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전이나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제10-0653432호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06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공급에 의해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엑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링과 같은 내부의 부품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도 그 교환작업이 용이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는, 내부에 관통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과; 상기 바디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볼에 고정되어 볼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템과; 상기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에 의해 상기 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일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을 상기 제어수단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바디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템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 체적이 변화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측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챔버와; 일단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단은 다이어프램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에 결합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재에 일방향의 힘을 강제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부재는,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홀과; 상기 구동축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단과; 상기 구동축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단이 결합되는 장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는 바디단과;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에 결합되는 챔버단과; 상기 바디단과 챔버단 사이에 형성되어, 바디단과 챔버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는, 상기 스템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템홀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을 가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템과 유동부재는, 각각 스냅링에 의해 링크에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이용하여 볼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볼밸브에 비해 설치위치의 제약이 없으며,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에 비해서는 전기장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즉, 배관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볼밸브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제어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기간 사용으로 오링과 같은 내부의 부품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링크의 상하에 구비된 스냅링의 제거만으로도 오링이나 스템 등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위치의 제약이 없으며, 간단한 기계적 구조와 분해 조립의 편의로 인하여 설치와 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세부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air)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는, 주로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히터밸브나 산업용 에어(air) 관로 밸브 등에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정단면도와 분해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볼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링크(60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는, 내부에 관통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200)과, 일단이 상기 볼(200)에 고정되어 볼(2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템(300)과, 공기에 의해 상기 볼(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과, 상기 제어수단(400)이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500)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6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좌우로 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볼(2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바디(100)의 좌측에는 시트(110)가 구비되어 바디(100)의 좌측에 결합되며, 이러한 바디(100)와 시트(110) 사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50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볼(200)의 외측에는 시트링(120)이 구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볼(200)은,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바디(1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한다. 도 1에는 상기 볼(200)이 유로를 개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템(300)은,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볼(200)에 고정되어 볼(200)의 회전을 조절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템(300)의 상하로는 축이 돌출되어 하단은 상기 볼(200)의 상단에 고정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템(300)의 상단은 상기 링크(6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 체적이 변화되는 다이어프램(410)과,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410)을 지지하는 챔버(420)와, 상기 링크(600)에 결합되는 유동부재(430)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부재(430)에 일방향의 힘을 강제하는 복귀스프링(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다이어프램(410)은, 좌측에 형성되는 고정부(412)와 우측에 형성되는 변동부(414)로 이루어지며, 변동부(414)의 우측단에는 장착단(4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12)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변동부(4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그 체적이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변동부(414)는 다수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플렉시블하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면 우측으로 팽창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착단(416)은, 상기 고정부(41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430)의 장착턱(438)에 결합된다.
상기 챔버(420)는,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고정부(4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412)의 외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420)는 상기 고정부(412)와 같이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줄어들도록 단차를 가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챔버(420)에는 고정클립(422)이 우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클립(422)은, 상기 고정프레임(500)이 일단이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동부재(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체적변화에 따라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유동부재(430)는, 일단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단은 다이어프램(4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600)에 결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부재(430)이 좌측 부분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우측 부분은 다이어프램(41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유동부재(430)는,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축(432)과, 상기 링크(6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홀(434)과,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단(436)과,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일단이 결합되는 장착턱(43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4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이 좌측단에 비해 외경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단차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축(432)의 중앙부에는 장착턱(43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턱(438)은 좌우로 턱이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장착단(416)이 고정된다.
상기 장착턱(438)의 좌측에 형성되는 구동축(432)의 외경은, 상기 장착턱(438)의 우측에 형성되는 구동축(432)의 외경보다 그 크기가 크다.
상기 구동축(432)의 우측 끝단에는 링크홀(434)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홀(434)에는 상기 링크(60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432)의 좌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지지단(43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436)의 외경 크기는,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고정부(412) 좌측단 내경보다는 작고, 고정부(412)의 우측단 내경보다는 더 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단(436)의 우측면 테두리에는 좌측으로 함몰된 지지홈(43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436')에는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좌측단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복귀스프링(440)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재(430)에 좌측 방향으로 힘(압축력)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귀스프링(440)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은 상기 다이어프램(410) 고정부(412)의 좌측단 내경보다는 크고, 우측단 내경보다는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좌측단은 상기 유동부재(430)의 지지단(436)에 접하고, 우측단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고정부(412) 우측단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고정부(412) 좌측에는 커버(45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부(412)의 좌측에는 커버(450)가 구비되며, 이러한 커버(450)의 우측단과 고정부(412)의 좌측단은 서로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450)는,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좌측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다이어프램(410)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450)의 좌측단에는 포터(4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포터(46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다이어프램(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출입구가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좌측단)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우측단)을 상기 제어수단(4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수단(400)이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4026318212-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고정프레임(500)의 좌우에는 상기 제어수단(400)과 바디(100)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바디단(510)과,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420)에 결합되는 챔버단(520)과, 상기 바디단(510)과 챔버단(520) 사이에 형성되어 바디단(510)과 챔버단(5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단(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500)의 우측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시트(110)와 바디(10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챔버단(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500)의 좌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챔버(420)의 우측단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챔버단(520)은, 상기 챔버(4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클립(422)에 의해 챔버(420)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530)는, 상기 바디단(510)과 챔버단(520) 사이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바디단(510)과 챔버단(5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600)는,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상단)은 상기 제어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하단 또는 우측단)은 상기 스템(30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600)는, 평판 형상을 가지는 수평판(610)과, 끝단에는 상기 제어수단(4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축(6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6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수평판(610)의 우측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스템홀(612)이 형성된다.
상기 스템홀(612)에는, 상기 스템(30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링크축(6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610)의 좌측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상단)에는 상기 제어수단(400)의 우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크축(620)에는 상기 유동부재(430)의 링크홀(434)이 결합된다. 즉, 상기 링크축(620)의 상단이 상기 링크홀(43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유동부재(430)가 상기 링크축(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템(300)과 유동부재(430)는, 각각 스냅링(S)에 의해 링크(600)에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즉, 상기 링크축(620)의 상단에 상기 유동부재(430)의 링크홀(434)에 삽입되면 링크축(620)의 상단에는 스냅링(S)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스템(300)의 상단이 상기 링크(600)의 스템홀(612)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면 이러한 스템(300)의 상단에 스냅링(S)이 끼워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템(300)과 유동부재(430)는 스냅링(S)에 의해 링크(6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스냅링(snap ring)은, 축 또는 구멍에 설치한 틈에 삽입하여 상대의 보스 또는 축 등의 부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사용하는 스프링 작용을 갖는 체결 부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구조 및 기능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링크(600)와 스템(300) 사이에는 오링(7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오링(700)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600)와 스템(300) 사이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0) 내부의 유로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관로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그러다가, 상기 바디(10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터(460)를 통해 공기가 다이어프램(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 체적이 증가하여 상기 변동부(414)가 팽창하므로 상기 장착단(416)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장착단(416)에는 상기 유동부재(430)의 장착턱(438)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부재(430)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4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한 팽창력이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430)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유동부재(43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동부재(430)의 우측단에 연결된 링크(60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600)가 스템(300)을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템(300)에 결합된 볼(200)이 점차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바디(100) 내부의 유로가 점점 차폐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볼(200)이 9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바디(100)의 유로가 완전히 차단된다.
그런 다음, 다시 상기 바디(100)의 유로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터(460)를 통해 다이어프램(410) 내부로 공급하던 공기를 차단하면 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410) 내부로 강제 공급되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면,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430)가 다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430)의 우측단에 연결된 링크(600)가 회전하게 되므로, 링크(600)는 다시 원위치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링크(600)의 원위치에 따라 상기 볼(200)도 원위치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상기 바디(100) 내부의 유로는 다시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600)에는 스냅링(S)에 의해 스템(300)과 유동부재(43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냅링(S)을 제거하면, 상기 스템(300)과 유동부재(430)가 링크(600)로부터 바로 분리되므로, 상기 오링(700) 등의 부품 교환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상기 유동부재(430)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볼(200)이 상기 바디(100)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유동부재(430)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볼(200)이 바디(100)의 유로를 닫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바디 110. 시트
120. 시트링 200. 볼
300. 스템 400. 제어수단
410. 다이어프램 420. 챔버
430. 유동부재 440. 복귀스프링
450. 커버 460. 포터
500. 고정프레임 600. 링크
700. 오링 S. 스냅링

Claims (5)

  1. 내부에 관통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200)과;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볼(200)에 고정되어 볼(200)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템(300)과;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에 의해 상기 볼(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과;
    일단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을 상기 제어수단(4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수단(400)이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500)과;
    일단은 상기 제어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템(30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 체적이 변화되는 다이어프램(410)과,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410)을 지지하는 챔버(420)와, 일단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단은 다이어프램(4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600)에 결합되는 유동부재(430)와,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재(430)에 일방향의 힘을 강제하는 복귀스프링(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430)는,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축(432)과;
    상기 구동축(432)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6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홀(434)과;
    상기 구동축(432)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귀스프링(440)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단(436)과;
    상기 구동축(432)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410)의 일단이 결합되는 장착턱(4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바디단(510)과;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420)에 결합되는 챔버단(520)과;
    상기 바디단(510)과 챔버단(520) 사이에 형성되어, 바디단(510)과 챔버단(520)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600)는,
    상기 스템(3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템홀(612)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을 가지는 수평판(610)과;
    상기 수평판(61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제어수단(4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축(6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템(300)과 유동부재(430)는,
    각각 스냅링(S)에 의해 링크(600)에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KR1020140032099A 2014-03-19 2014-03-19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KR10154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99A KR101542859B1 (ko) 2014-03-19 2014-03-19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99A KR101542859B1 (ko) 2014-03-19 2014-03-19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859B1 true KR101542859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99A KR101542859B1 (ko) 2014-03-19 2014-03-19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771A (zh) * 2018-11-29 2019-02-01 象山宇翔机械有限公司 一种防残渣泄流的可快速断流石油管道球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771A (zh) * 2018-11-29 2019-02-01 象山宇翔机械有限公司 一种防残渣泄流的可快速断流石油管道球阀
CN109296771B (zh) * 2018-11-29 2024-05-24 象山宇翔机械有限公司 一种防残渣泄流的可快速断流石油管道球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2570A1 (en) Direct-action-type electrically-operated valv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2331425B1 (ko) 자체-정렬 스템 팁을 구비한 밸브
JP2011192159A (ja) 流体圧機器の弁構造
US3705599A (en) Universally-mountable gas service regulator
JP7082209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電子膨張弁
CA2675888A1 (en) Valve flow adjustment device
JP2015504144A (ja) 流体制御装置と使用するための取付けアセンブリ
JP5009107B2 (ja) サックバックバルブ
US20110100050A1 (en) Flow regulator f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s
CN205504121U (zh) 夹紧式阀盖组件及具有该组件的轴流式控制阀
KR101542859B1 (ko) 에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장치
JP2015535065A (ja) 液体又は気体媒体用の閉止弁
CN109357053B (zh) 一种超流量自动关闭件及双流量双控自闭阀
RU2013123872A (ru) Смещ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приводами клапанов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180306345A1 (en) Indicator of the Opening and/or Closing Status of a Tap or a Pressure Reducer
JP2015532480A (ja) 自動調心弁体
CN101469777B (zh) 用于气体管路上的气压调节装置
US20120181471A1 (en) Flow valve
JP6042631B2 (ja) 減圧弁
JP4926600B2 (ja) トグルバルブ
EP1308815A1 (en) Flow regulator
KR20120042300A (ko) 알람밸브
RU59186U1 (ru) Газовый редуктор
CN210423854U (zh) 一种超流量自动关闭件及双流量双控自闭阀
US10782713B2 (en) Fluid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