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789B1 - 흙막이용 토류판 - Google Patents

흙막이용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789B1
KR101542789B1 KR1020140168322A KR20140168322A KR101542789B1 KR 101542789 B1 KR101542789 B1 KR 101542789B1 KR 1020140168322 A KR1020140168322 A KR 1020140168322A KR 20140168322 A KR20140168322 A KR 20140168322A KR 101542789 B1 KR101542789 B1 KR 10154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haped
plate
present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건설
Priority to KR102014016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걸이공을 구비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한 쌍의 U자형 밴드와, 상기 U자형 밴드가 안쪽으로 쏠리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U자형 밴드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대와, 상기 한 쌍의 U자형 밴드 안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흙차단판과, 상기 흙차단판을 U자형 밴드에 고정하기 위한 못으로 구성되는 흙막이용 토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미리 공장에서 U자형 밴드를 생산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 못을 박기 쉽도록 미리 밴드에 통공을 형성하므로 현장에서는 각목을 못으로 밴드에 고정만 하면 되는 구조여서 비숙련자 및 비전문가라 할 지라도 쉽게 토류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종래 제작비용의 1/3, 제작 시간의 1/10이면 충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흙막이용 토류판{BOARD F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본 발명은 흙막이용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흙막이용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판이라 함은 건설 및 토목현장에서 흙을 파낸 뒤 주위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시행하는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흙막이 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간이 흙막이 벽체 또는 토류벽 등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상기 흙막이 공사는 현장여건과 작용되는 토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공방법 중에서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박아 설치한 H형강 타입의 기초말뚝(10)과, 상기 기초말뚝(1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단 성형된 토류판(1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토류판(15)은 주로 목재를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토류판(15)은 목재가 기초말뚝(10)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이들을 하나하나 빼내기가 곤란하므로 대개 매몰시켜 폐기하는 실정이다.
이는 자원의 낭비와 공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벽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입 설치된 H형강 타입의 기초말뚝(50)과, 상기 기초말뚝(50)의 전면에 적층되어 토사가 붕괴되거나 유출됨을 방지하는 토류판(55)과, 상기 토류판(55)을 기초말뚝(50)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초말뚝(50)의 전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구멍(50a) 및 상기 토류판(55)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구멍(55a)을 관통하는 볼트(60a) 및 너트(60b)로 이루어지는 철거가 용이한 강재 토류판이 안출되어 토류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토류판을 기초말뚝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말뚝과 토류판에 모두 볼트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 비용을 소모하는 일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작업은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어야만 하고,또 토류판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다시 이들 볼트와 너트로 다 풀어야 하므로 고비용의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체결수단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등록 : 20-0229224호
1. 국내실용신안등록 : 20-0437825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유지대를 구비하는 U자형 밴드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해오고, 현장에서는 흙차단판, 즉 각목을 상기 U자형 밴드의 내측에 끼워넣고 못을 박는 것만으로도 토류판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비숙련자 및 비전문가라 할 지라도 쉽게 토류판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비용의 현저한 절감이 가능하다.
또 각목에 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별도의 천공 및 볼트 등의 체결공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훼손되거나 파손된 각목은 못만 뽑으면 되므로 언제든지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 각목에 천공할 필요가 없이 원하는 길이의 각목을 끼워넣기만 하면 원하는 넓이의 토류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또 테두리가 종래의 토류판과 달리 강철로 되어 있지 않아 양단을 잘라내기만 하면 짧게도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 및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흙막이용 토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단에 걸이공을 구비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한 쌍의 U자형 밴드와, 상기 U자형 밴드가 안쪽으로 쏠리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U자형 밴드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대와, 상기 한 쌍의 U자형 밴드 안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흙차단판과, 상기 흙차단판을 U자형 밴드에 고정하기 위한 못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흙차단판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미리 공장에서 U자형 밴드를 생산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 못을 박기 쉽도록 미리 밴드에 통공을 형성하므로 현장에서는 각목을 못으로 밴드에 고정만 하면 되는 구조여서 비숙련자 및 비전문가라 할 지라도 쉽게 토류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종래 제작비용의 1/3, 제작 시간의 1/10이면 충분하다.
또 각목에 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현장에 가져갈 별도의 천공 및 볼트 등의 체결공구를 챙길 필요가 없고, 훼손되거나 파손된 각목은 못만 뽑으면 되므로 언제든지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 각목에 천공할 필요가 없이 원하는 길이의 각목을 끼워넣기만 하면 원하는 넓이의 토류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또 짧은 길이의 토류판이 필요하면 양단을 잘라내기만 하면 되므로 재활용 및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용 토류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흙막이용 토류판의 사용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용 토류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토류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용 토류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용 토류판(100)은 상단에 걸이공(111)을 구비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112)이 천공된 한 쌍의 U자형 밴드(110)와, 상기 U자형 밴드(110)가 안쪽으로 쏠리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U자형 밴드(110)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대(120)와, 상기 한 쌍의 U자형 밴드(110) 안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흙차단판(130)과, 상기 흙차단판(130)을 U자형 밴드에(110) 고정하기 위한 못(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간격유지대(120)는 U자형 밴드(110)에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가장 견고하고 간단한 방법으로는 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흙차단판(130)은 목재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못이 박힐 수 있고 상당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라면 무방하다. 따라서 플라스틱도 가능한 재료일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흙차단판(130)을 U자형 밴드에(110)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못(113)을 예로 들었으나, 나사 등도 가능하다. 그러나 나사 등은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못보다는 오래걸리는 것이어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못이라 할 것이다.
상기 걸이공(111)은 본 발명 토류판(100)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릴려고 할 때 걸이구를 걸거나 끈을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나, 상기 걸이공(111) 역시 다양한 유사한 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U자형 밴드(110)는 명칭으로 사용된 것일 뿐 하단의 형상이 U자형보다는 "
Figure 112014115803658-pat00001
" 형상을 가짐이 더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경우 흙막이판으로 각목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흙막이용 토류판
110: U자형 밴드
111: 걸이공
112: 통공
113: 못
120: 간격유지대
130: 흙차단판
A: 용접부

Claims (2)

  1. 흙차단판과 상기 흙차단판을 고정하기 위한 못을 구비하는 흙막이용 토류판 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흙차단판들의 양측면과 하단을 감싸도록 단면형상이 "
    Figure 112015043662821-pat00009
    "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걸이공을 구비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한쌍의 U자형 밴드와,
    상기 U자형 밴드의 통공을 통해 못이 박혀 흙차단판이 U자형 밴드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적층된 흙차단판들의 상단을 감싸는 간격유지대는 U자형 밴드 상부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U자형 밴드가 안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한쌍의 U자형 밴드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토류판.

  2. 삭제
KR1020140168322A 2014-11-28 2014-11-28 흙막이용 토류판 KR10154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22A KR101542789B1 (ko) 2014-11-28 2014-11-28 흙막이용 토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22A KR101542789B1 (ko) 2014-11-28 2014-11-28 흙막이용 토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789B1 true KR101542789B1 (ko) 2015-08-10

Family

ID=5388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322A KR101542789B1 (ko) 2014-11-28 2014-11-28 흙막이용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7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27B1 (ko) * 2006-04-07 2007-01-19 윤임규 흙막이용 토류패널
KR101205900B1 (ko) * 2012-05-08 2012-11-28 주식회사 신양건설 토류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27B1 (ko) * 2006-04-07 2007-01-19 윤임규 흙막이용 토류패널
KR101205900B1 (ko) * 2012-05-08 2012-11-28 주식회사 신양건설 토류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805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79141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기초 보강 구조물
KR100789210B1 (ko)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956078B1 (ko) 식생틀이 구비된 기능성 식생 에코 옹벽
KR101257367B1 (ko)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KR20120089665A (ko) 흙막이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JP6484481B2 (ja) 型枠パネル、型枠パネルユニット、躯体コンクリート構造、及び、型枠施工方法
KR101542789B1 (ko) 흙막이용 토류판
KR100714434B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KR100789209B1 (ko) 합성형 말뚝과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542602B1 (ko) 건축용 가설 흙막이시설
KR100742335B1 (ko) 절토부의 자연석을 이용한 조경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20110022956A (ko) 변단면 파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구조물
KR101335578B1 (ko) 수직구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150099916A (ko) 자연 친화적 옹벽
KR101386206B1 (ko) 식생블록 고정구
JP3923463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固定金具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90766B1 (ko) 수직구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101336900B1 (ko) 수동날개판과 탄성지지판을 이용한 장경간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090096077A (ko)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