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200B1 -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200B1
KR101542200B1 KR1020120103426A KR20120103426A KR101542200B1 KR 101542200 B1 KR101542200 B1 KR 101542200B1 KR 1020120103426 A KR1020120103426 A KR 1020120103426A KR 20120103426 A KR20120103426 A KR 20120103426A KR 101542200 B1 KR101542200 B1 KR 10154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behavior
diagnosis
individual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437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12010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2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인이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아실현 진단 문항에 응답하고, 응답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고, 자아실현을 향상시키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 서버가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받고자 하는 개인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다수의 고객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고객이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자아실현진단을 안내하는 진단 안내부,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진단 안내부에서 안내된 자아실현진단의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을 선택하는 진단 선택부, 상기 진단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자아실현진단의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에 따라 고객에 대한 자아실현을 진단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진단 출력부 및 고객이 원하는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위한 비용을 결제하는 비용 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의 개발 정도를 측정하여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고, 이러한 진단으로부터 자아실현 능력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규명하고 이것을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증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Diagnostic System of Individual's Self-Actualization and Diagnostic Method}
본 발명은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이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아실현 진단 문항에 응답하고, 응답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고, 자아실현능력을 향상시키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태어나서부터 성장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동기요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취하게 된다. 그것은 하나의 경향성을 이루게 되어 자신이 일하고 있거나 생활하고 있는 환경에서 아주 편안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다.
인간의 내면에는 자아실현 경향성이 선천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자아실현 경향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이 되고자 하는 것 중에 최선의 것이 되고자 한다. 또한 자아실현 경향성은 민주적 가치를 선호하고 상생과 협력의 공동체 질서 구축에 기여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러한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자아실현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아실현 경향성이 충분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자아실현 경향성을 충분히 개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동 패턴에 대해 개인적인 상담을 통해 인지하고, 개선하는 상담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포괄적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방식이어서 신뢰성 저하와 객관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고, 오프라인에서 구현되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지시 입력에 응답하는 인간의 의지발현을 시뮬레이션하는 의지발현 모델 장치로서, 이해 해석부, 감정 창발부 및 의지발현부를 구비하고, 이해 해석부는 지시 입력을, 미리 정의된 유쾌불쾌 이해관계 테이블과 대조하여, 유쾌/불쾌 등을 의미하는 기분 요인을 출력하고, 감정 창발부는 인간의 감정을 모델화한 감정 상태를 데이터로서 복수 준비하고, 기분 요인에 따라 감정 상태를 상태 천이시킴으로써, 지시 입력에 따른 인간의 감정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며, 의지발현부는 인간의 의지를 감정 모델화한 심리 의지 상태를 데이터로서 미리 복수 준비하고, 감정 상태 또는 「심리 의지 상태와 감정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새로운 심리 의지 상태를 선택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메인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고 가입란 클라이언트가 콘텐츠를 불러 설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한 심리진단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1차로 논리가치를 1)논리적, 2)경제적, 3)미적, 4)이타적, 5)정치적, 6)규정적, 종교적 필드로 구분하고, 구분된 필드마다 정의한 단어나 문장을 저장하고, 2차로 논리가치를 개인별로 우선 순위가 높은 2개의 가치관이 복합된 복합필드와, 복합필드에 맞게 정의한 복합 단어나 복합 문장을 추가 저장하고, 상기 필드별 문장을 각각 규정하여 선택하도록 하여 개인가치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진단지를 구비하는 예비과정을 수행하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가입자(클라이언트)는 서버 접속 및 인증 후 메인화면에서 진단지를 불러들이는 제 1 과정, 불러온 진단지에 서버는 설문 답안을 작성토록 유도하고 작성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하는 제 2 과정을 수행하고, 서버는 작성한 진단지를 기초로 작성한 단어나 문장에 대응하는 가치의 필드로 판단하여 클라이언트에 알려주는 제 3 과정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통한 개인 가치 판단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733호(2012.01.16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46431호(2007.05.03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심리 의지 상태와 감정 상태의 조합 또는 작성한 진단지를 기초로 작성한 단어나 문장에 대응하는 가치의 필드로 판단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응답자가 진실되게 응답하지 않은 경우, 그 진단의 효용 가치가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진단 시스템은 단순히 심리 의지 또는 가치진단에 한정하고 있어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이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진단 시스템은 개인으로 하여금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나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한 체계적이고 검증된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이나 자아실현은 선천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자아실현 경향성에 의존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완전히 기능하는 것이나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이 충분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자아실현 경향성을 충분히 개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아실현능력은 자아실현 경향성의 개발 정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은 개인의 내면에 선천적으로 내재한 자아실현 경향성의 개발 정도를 측정하여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한다. 또한 이것을 기반으로 자아실현 능력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개인으로 하여금 완전히 기능하는 것이나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한 체계적이고 검증된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모두 개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성취지향적 삶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자아실현 경향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이 되고자 하는 것 중에 최선의 것이 되게 하며, 민주적 가치를 선호하고 상생과 협력의 공동체 질서 구축에 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민주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아실현이나 성취지향적 인재 양성을 지원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은 관리 서버가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받고자 하는 개인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다수의 고객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으로서, (a) 진단 안내부에서 고객에게 자아실현 진단을 안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안내된 진단 종류에 따라 고객이 작성한 자기보고서에서 성실성이나 일관성을 진단부에서 평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평가된 성실성과 일관성이 있는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부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자아실현 진단의 안내는 일반진단과 정밀진단으로 실행되고, 상기 일반 진단의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성실성과 일관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재입력하거나, 진단불가로 판정하거나 또는 정밀 진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은 개인의 성취행동요소, 완전기능행동특성 및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을 진단하고, 상기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개인의 행동의 방향성(파워의 5 속성)과 파워프로세스의 파워의 5결정요소에 의한 행동의 가치화 및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체계적 및 심층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진단부에서 완전기능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2) 상기 진단부에서 성취행동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c3) 완전기능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단계, (c4) 진단 출력부에서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진단부에서 자아실현 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2) 상기 진단부에서 행동의 방향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방향 포지션을 도출하는 단계, (c3) 진단부에서 행동의 가치화 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도출하는 단계, (c4) 진단부에서 그리드 포지션을 도출하고,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 의하여 자아실현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c5) 완전기능이나 자아실현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단계, (c6) 진단 출력부에서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 진단 문항은 성취행동요소 문항, 완전기능 행동특성 문항 및 개인의 환경특성 문항을 포함하고, 상기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 진단 문항은 행동의 방향성 요소 문항, 행동의 가치화 요소 문항 및 자아실현의 행동특성 문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결과 출력은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 성취행동요소 프로파일 및 완전기능 행동특성 프로파일의 양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실시 결과 출력은 행동방향성 포지션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행동방향성 요소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요소 프로파일 및 자아실현포지션 프로파일의 양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의하면, 자아실현능력 진단(자아실현능력 일반 및 정밀 진단)은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의 개발 정도를 측정하여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고, 이러한 진단으로부터 자아실현 능력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규명하고 자아실현 경향성을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증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에 의하면, 개인으로 하여금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게 하여 성공적인 삶을 누리게 하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자아실현능력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다.
2.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자아실현 경향성 개발을 통해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게 한다.
3. 자신이 되고자 하는 것 중에 최선의 사람이 되게 한다.
4. 완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며 나아가 절대적 가치지향적 삶을 추구한다.
5. 환경이나 상황에 무관하게 자신의 이미지를 주체적으로 구현하는 사람이 된다.
6. 민주적 가치를 존중하며 건강한 민주사회 구현에 기여한다.
7. 상생과 협력의 사회공동체적 질서 구현에 기여하는 인재양성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정밀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하기 문헌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자아와 자아실현 >
자아(self)는 개인이 자신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지각(perception)이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 또는 사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지각이다. 자아개념은 자신의 행동과 내적 특성에 대해서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관계하며, 성격의 본질은 자아개념에 포함되어 있다(자아와 자아개념은 흔히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자아개념은 성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자아는 우리의 행동, 감정 또는 생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로써 우리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있을 경우 낙관적이거나 건설적으로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한다. 이에 비하여 우리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을 경우 비관적이거나 파괴적으로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한다. 우리가 자신의 자아를 발견함으로써 성격에서 많은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문헌 1 참조).
자아개념은 개인에게 의미와 일관성의 감정(sense)을 가지게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자신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으나 자신의 정확하지 않는 이미지에 충실하여 어떤 일관성을 획득한다. 자아개념은 사람들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아개념은 자신에 대한 지각이며, 개인으로 하여금 스스로 되고자 하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개인은 자신의 삶에서 이러한 이미지를 성취하고자 한다. 자아는 개인의 성취동기를 제공한다(문헌 2 참조). 따라서 자아 또는 자아개념은 자신에 대한 지각된 이미지이며, 이러한 이미지는 개인으로 하여금 고유한 전체(unique whole)를 형성하게 한다.
자아는 흔히 이상적 자아(idea self)와 실제적 자아(real self)로 구분한다. 이상적 자아는 사람이 기꺼이 되고자 하거나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신에 대한 그림이나 이미지이다. 이상적 자아는 자아개념의 성장과 함께 개인의 절대적 가치 또는 최종가치를 형성하여 세계관을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실제적 자아는 자신의 실제적 특성과 능력에 대한 지각이다. 실제적 자아는 우리의 실질적인 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우리가 우리자신을 실제로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적 자아는 경험에 의한 학습된 가치를 추구한다(문헌 1 참조).
실체적 자아와 이상적인 자아가 일치(agreement)할 경우 사람들은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으로 나아간다(문헌 1 참조).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의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문헌 2 참조).
1. 실체를 정확하게 지각한다.
2.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 및 그 특성을 수용한다.
3. 자발적 행동 성향을 가진다.
4. 사람보다 문제해결에 관심을 가진다.
5. 모든 사람을 자신과 동일시하고 이들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진다.
6. 호의적인 유머감각을 가진다.
7. 홀로 있는 것의 가치를 부여하고 혼자 있을 경우에도 편안을 느낀다.
8. 소수의 사람과 깊은 사랑과 유대감을 가진다.
9. 인생의 기본요소에 대하여 새롭게 그 진가를 인정한다.
10. 민주적 가치를 수용한다.
11. 윤리의식이 강하다.
12. 창조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13. 절정의 경험을 흔히 체험하거나 큰 즐거움과 조화로움 및 세계와 하나라는 느낌을 가진다. 세상은 아름다움과 선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한다.
자아실현은 자신의 모든 잠재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자아실현의 사람들은 완전히 성취되고 자신의 모든 가능성을 실현한다. 자아실현은 자아에 대한 지각을 실체로 전환하는 개인의 동기부여이다(문헌 3 참조).
< 자아실현에 대한 인본주의적 접근 >
모든 유기체는 어떤 내적 능력이나 가능성 즉, 유전적 청사진을 가지고 태어나며, 생명이 진전되어 가면서 여기에 실질적인 것이 추가된다. 인생의 목적은 이러한 유전적 청사진을 성취하고, 우리가 유전적으로 될 수 있는 것 중에 최선의 것이 되는 데 있다. 성취경향성이나 자아실현 경향성(self-actualization tendency)은 이러한 성취로 나아가는 생물학적 추진(유전적 청사진)을 의미한다(문헌 1참조).
개인의 자아실현은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모두 개발하고 이것을 완전히 사용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목적을 성취하여 성공적인 삶으로 나아가게 한다. 자아실현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개인의 성취 경향성 또는 자아실현 경향성에 의존한다. 그러나. 사람이 선천적으로 이러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아실현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개인이 직면한 환경이 이러한 성취 또는 자아실현 경향성의 개발을 방해하기 때문이다(문헌 2참조).
인간의 내면에는 선천적으로 유기체적 가치부여 프로세스(organisimic valuing process)가 내재하고 있다. 유기체적 가치부여 프로세스는 인간의 경험이나 감각에 대한 가치부여를 통해 개인의 가치체계(value system)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치부여 프로세스가 개인에게 지각될 경우 개인의 자아개념이 된다(문헌 1참조).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유전적 청사진)과 자아개념이 적합할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변화의 과정에 있으며 이들의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경험을 기꺼이 받아들이며,
2. 자신에 관한 견해를 왜곡하거나 부정할 이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3. 사랑, 혐오감, 즐거움, 분노 및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깊게 느끼고 이것에 따라 행동한다. 왜냐하면 이들은 자신의 유기체적 자아를 믿기 때문이다.
4. 비록 불쾌하거나 비위에 거슬리는 경험이라도 학습과 성장의 기회로 간주하며,
5. 탐욕스러운 생각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명확하게 지각한다.
6. 다른 사람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는다. 왜냐하면 이들은 자기자신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이 좋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동하기 때문이다(문헌 1 참조).
완전히 기능하는 것과 자아실현은 긴밀히 관계되고 있으나 이들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자아실현은 사람들이 도달하고자 언제나 노력하는 목적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완전히 기능한다는 것은 자아실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완전히 기능하는 것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며 자아실현을 위한 동기를 제공한다(문헌 3 참조).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개인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을 받아야 한다. 그러한 인간이 이러한 존중을 받는다는 것을 불가능함으로 소수의 사람만이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고 자아실현으로 나아갈 수 있다(문헌 1 참조). 따라서 자아실현에 대한 인본주의적인 접근은 한계가 있다.
<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 >
1. 파워속성과 행동의 방향성
인간의 내면에는 파워의 5 속성(파워의 창조, 보존, 결합, 지배 및 귀속 속성)이 선천적으로 본능의 형태나 잠재적 귀속으로 내재하고 있다. 파워의 5 속성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을 지배하여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에 따른 고유한 성취 경향성이나 행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목적지향적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나 정서를 만들어 낸다(문헌 4 참조).
파워의 창조속성(creative attribute of power)은 독창적인 것, 새로운 것, 창안, 진기함과 상상력을 추구하는 파워의 능력을 의미한다(문헌 5 참조). 창조속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창조적 생각이나 행동을 유발하고, 창조적 자아(creative self)를 형성한다. 창조적 자아는 장애를 극복하고 창의적이고 진취적이며 적극적이고 성취지향적 행동을 유발한다.
파워의 보존속성(conservative attribute of power)은 고유한 가치나 정체성을 추구하는 파워의 능력을 의미한다(문헌 5 참조). 파워의 보존속성은 고유한 가치나 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이들의 계승을 통해서 전통을 확립하게 하여, 파워의 역사성을 보존한다. 또한 파워의 보존속성은 자기존중(self-esteem)의 행동을 유발한다. 자기존중이 높은 개인은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인간다운 삶을 누리고자 한다.
파워의 결합속성(combinative attribute of power)은 파워들 간에 수평적 결합이나 통합을 추구하는 파워의 능력을 의미한다(문헌 5 참조). 파워의 수평적 결합은 파워들 간의 결합을 수평적 균형으로 유발한다. 파워의 결합속성은 사람에게 친교동기(affiliation motive)를 유발한다. 친교동기는 다른 사람과 결속을 도모하며 협력적 행동을 통해 재생산적 프로세스를 유발한다. 파워의 결합속성은 도덕과 같은 사회의 수평적 질서의 구축에도 기여한다.
파워의 지배속성(dominative attribute of power)은 다른 파워를 지배하거나 통제하고자 하는 파워의 능력을 의미한다(문헌 5 참조). 파워의 지배속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의견을 조정하여 하나의 의견으로 수렴하고자 하는 리더십을 가지게 한다. 또한 파워의 지배속성은 환경을 지배하거나 통제하고자 하는 성향에 관계한다. 파워의 지배속성을 지각한 개인은 내재적 통제성향(internal locus of control)을 보인다. 내재적 통제성향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운명은 자기가 결정한다고 믿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환경을 리드하고자 한다.
파워의 귀속속성(belonging attribute of power)은 다른 파워에 복종하거나 종속하고자 하는 파워의 능력에 관계한다(문헌 5 참조). 파워의 지배적 속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환경에 적응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행동에 관계한다. 파워의 귀속속성을 지각한 사람은 자기 감시적(self-monitoring) 행동을 흔히 보인다. 자기 감시적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기 전에 상황을 관측하고 이것에 적합한 행동을 유발한다.
인간의 행동은 목적 지향적이다. 개인의 목적 지향적 행동은 개인의 내면에 형성된 개인행동포지션(individual's behavioral position)에 의해서 형성된다. 개인행동포지션은 개인의 행동목적과 이것을 달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목적과 수단은 뒤엉키어 있거나 연쇄관계에 있다. 예로써 학생이 특정의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는 것은 학생의 목적일 뿐만 아니라 이것은 다음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된다. 즉, 수단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이며 새로운 목적을 위한 수단이다. 목적은 사람의 행동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문헌 6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속성은 인간행동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개인의 목적과 수단 즉, 개인행동포지션은 파워속성에 의해서 형성된다.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 작용하는 파워의 5 속성을 지각할 경우 이는 개인으로 하여금 방향 지향적 자아를 형성하게 한다. 방향지향적 자아는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의 방향으로(예: 창조, 보존, 결합, 지배 또는 귀속 지향적) 행동을 유발하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한다.
2.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Concordance process)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
파워의 5 속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지배함으로써 인간의 생존을 위한 본원적 방향을 제시한다. 파워속성은 각각 단독으로 작용할 때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파워속성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지배한다. 예로써 파워의 창조속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 지식, 문화, 제도와 같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하여, 인간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파워의 창조속성과 보존속성이 동시다발적으로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지배할 경우, 이들은 새로울 뿐만 아니라 고유한 가치를 창출하게 하여 사회적 변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사회의 다양성을 촉진한다(문헌 6 참조).
따라서 개인의 내면에 파워의 5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또는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수록 개인의 성취 경향성이나 행동의 방향성은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성취 경향성이나 행동의 방향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높은 성과를 획득하게 한다. 파워의 5 속성이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 능률적 또는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라고 한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간의 자아실현 경향성이나 성취경향성은 인간의 내면에 있는 파워의 5 속성에 관계한다(문헌 4 참조).
파워의 5 속성은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의 생존에 가장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파워의 5 속성이 '인간의 생존에 가장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은 파워의 5 속성에 의한 가치부여에 의존한다. 즉, 파워의 5 속성은 가치부여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다(문헌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자아실현 경향성은 파워의 5 속성에 관계하며 이러한 경향성이 가치부여와 밀접히 적합할 경우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 따라서 파워의 5 속성이 인간의 내면에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수록 즉,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 일어날수록 인간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문헌 4 참조).
표 1은 파워속성의 작용수준과 조직성과로서, 우리나라의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는 전기전자분야의 128개 기업의 조직 구성원의 내면에 파워 5 속성이 작용하는 정도에 따른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문헌 7 참조).
Figure 112012075564341-pat00001
주: ( )내 숫자는 기업수와 표준편차 임.
출처: 전기선 (2009), 경쟁우위를 위한 기업의 경쟁과 협력에 관한 연구: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청구논문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구성원의 내면에 파워의 5 속성의 작용수준이 높은 3군에 속한 기업의 조직성과, 시장성과 및 제조성과는 다른 군에 속한 기업보다 높게 나타낸다. 파워의 5 속성의 작용수준이 가장 낮은 1군에 속한 기업의 성과는 모두 낮게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5 속성의 작용수준이 높을수록 사람들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것이 실증된다.
3.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의 제거와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내면에는 파워 5 속성이 선천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를 유발하여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않게 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의 비합리성 4 조건 중에 어느 하나 이상에 지배될 경우 파워의 5 속성은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문헌 5 참조).
파워의 비합리성 4 조건은 1)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이 합리성에 의존하지 않고 감정이나 군중심리와 같은 파행적 동학에 의존하거나, 2) 사회구성원들의 표출된 욕구와 내재된 욕구가 다르거나, 30 사회구성원들의 욕구가 다르면서 이들의 파워가 대등하거나, 4) 개인의 주체적 행동 에너지가 역기능적에 의해서 무효화된 경우에 관계한다(문헌 5 참조).
파워의 비합리성 4 속성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행동의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및 자율성이 확보될수록 제거된다. 즉, 개인의 행동이 합리적, 일관적, 긍정적 및 자율적일수록 개인은 파워의 비합리성 4 속성에 지배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 행동의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및 자율성을 성취행동요소라고 한다.
행동의 합리성: 합리성은 사건이 일관된 행동 주체에 의한 목적 지향적 선택을 가정하므로, 행동은 의식적이며 목적 지향적 행위의 반응이거나 이것에 의해서 결정된다(문헌 5 참조). 즉, 행동의 합리성은 일련의 행동이 최대의 능률로서 미리 정해진 목적으로 이끄는 정도에 관계한다. 따라서 행동의 합리성 정도는 개인의 행동이 목적달성에 기여하는 정도에 의존한다.
가치화는 가치를 만들어 내고 이것을 다른 사람에게 유익하다고 지각하게 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이다(문헌 8 참조). 개인은 목적달성을 위해 자신의 목적과 수단 즉, 개인행동포지션에 대해 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 예로써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 디자인이나 공정기술을 통하여 제품에 대한 가치화를 도모한다. 경쟁자에 비해 효과적으로 가치화를 도모하는 기업은 경쟁우위를 누린다.
가치화는 지적이며 의식적인 자각에 의한 판단을 포함한다(문헌 8 참조). 이러한 가치화에 의한 행동은 감정적 행동이나 군중심리와 같은 파행을 배제한다. 따라서 행동의 합리성을 의식적 또는 의도적으로 추구할 경우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은 전술한 파워의 비합리성의 1) 조건에 지배되지 않는다.
행동의 일관성: 행동의 일관성은 개인의 신념, 감정, 행동의도 또는 태도와 같은 개인의 내적 성향과 외부적 행동 간의 일치성 정도에 관계한다. 행동의 이러한 일관성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낸다. 정체성은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이 동일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안정감을 가지게 한다.
정체성은 행동의 일관성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형성된 정체성은 다시 행동을 일관되게 한다. 예로써 개인의 행동과 태도 간의 불일치 즉, 인지부조화가 있을 경우 불편감이 생겨 서로 다른 태도나 태도와 행동을 조화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유발된다. 이러한 동기는 행동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복원력이나 균형능력으로 작용한다. 일관성을 위한 복원력이나 균형능력은 정체성에 의존한다.
행동의 일관성이 높을 경우 행동은 예측 가능해지고 신뢰성과 성실성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행동의 일관성은 우연이나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위한 의식적이거나 동기화된 노력이 요구된다. 행동의 일관성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인간의 표출된 욕구와 내재된 욕구를 일관되게 한다. 따라서 행동의 일관성은 파워의 비합리성의 2) 조건을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제거한다.
행동의 긍정성: 행동은 목적 지향적이다. 행동의 긍정성은 나의 목적달성과 함께 다른 사람의 욕구나 가치를 만족시키는 것에 관계한다. 즉, 행동이 보다 많은 사람의 욕구나 가치를 만족시킬수록 보다 긍정적 행동이 된다.
의도는 어떤 방향으로 행동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이다. 긍정적 행동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등은 개인의 이해가 다른 사람에 의하여 방해를 받거나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에 관계한다. 다른 사람의 의도를 잘못 파악할 경우 갈등이 흔히 일어난다(문헌 7 참조).
감정이입은 사람이 다른 사람의 감정을 느끼는 것을 지각하는 것에 관계한다. 이러한 감정이입은 상대가 말하는 것을 주의 기쁘게 듣고 그가 느끼는 것을 함께 느끼는 과정을 포함한다. 사회의 구성원들간의 감정이입과 서로의 가치가 존중될 경우 이들 간에 갈등해소는 보다 용이하다(문헌 4 참조). 따라서 사회구성원들 간의 감정이입과 서로에 대한 배려는 갈등을 해소하고 행동의 긍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행동의 긍정성은 사회구성원들 간의 결합을 촉진하여 서로의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행동의 긍정성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를 통해 효과적인 갈등관리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갈등관리는 우연이나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이거나 동기화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은 파워의 비합리성의 3) 조건을 사회구성원들로부터 제거한다.
행동의 자율성: 행동의 자율성은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에 관계한다. 자유의지는 인간의 의지작용이 외부로부터 부가되는 힘과는 독립적으로 개인의 내적 기준에 의해서 행동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문헌 9 참조).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은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와 같은 다양한 관계에서 자신의 포지션(position)을 확립하고자 한다. 자율적 행동은 인간이 자신의 포지션을 확립하고자 하는 프로세스에서 흔히 발생한다. 예로써 인간은 자유의지에 따라 자신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과정을 선택한다.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internal motive)는 잠재된 창의력을 실제적인 창의적 아이디어로 전환한다(문헌 10 참조). 행동의 자율성은 내재적 동기에 의해서 흔히 유발되므로 자율적 행동은 창조적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인간의 의지는 선택이나 행동의 자유로운 결정을 위한 내부적이며 개인적인 능력이다. 따라서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의 자율성은 파워의 비합리성의 4) 속성을 배제할 뿐만 아니라 창조적 행동을 유발한다.
표 2는 인천 지역의 초등학생에 대해서 성취행동요소가 이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정도에 따른 완전기능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문헌 11 참조).
Figure 112012075564341-pat00002
주: ( )내 학생수와 표준편차 임.
출처: 이지영 (2012), 전게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취행동요소가 가장 활발히 작용하는 3군에 속한 학생들의 완전기능 수준은 그렇지 않은 1군 및 2군에 속한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낸다. 성취행동요소의 작용이 가장 낮은 1군에 속한 학생들의 완전기능 수준은 1군 및 3군에 속한 학생보다 낮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성취행동요소가 활발히 작용할수록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은 높아진다는 것이 실증된다. 따라서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이 성취행동요소를 따른 경우 인간은 자신의 내면에 작용하는 파워의 비합리성 4 속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인간은 성취행동요소를 만족시킬 때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이 우연이나 자연적으로 성취행동요소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어느 하나 이상에 지배될 때 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1) 성취행동요소를 위한 의도적이거나 동기화된 프로세스가 있거나, 2) 이들에 대한 학습이 있거나, 3) 성취행동요소를 지각하여 이미지가 형성될 경우이다.
3. 파워프로세스와 행동의 가치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목적 지향적 행동은 개인행동포지션에서 유발된다. 그러나 개인의 이러한 행동이 모두 개인으로 하여금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행동포지션이 사회의 다른 구성원의 목적과 수단 즉, 사회 다른 구성원의 행동포지션과 결합할 때 개인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로써 기업은 이윤을 위하여 제품을 만든다. 그러나 제품의 생산이 곧 기업의 이윤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제품이 고객의 목적이나 수단에 적합하여 이들이 결합할 때 제품이 널리 확산되고 기업은 이윤을 창출한다(문헌 6 참조).
개인행동포지션이 사회의 다른 구성원의 행동포지션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들은 가치화(valuation)가 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치화는 가치를 만들어 내고 이것을 다른 사람에게 유익하다고 지각하게 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이다(문헌 8 참조). 개인은 목적 달성을 위해 자신의 목적과 수단 즉, 개인행동포지션에 대해 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
가치화는 지적이며 의식적인 자각에 의한 판단을 포함함으로 인지(cognition)를 전제로 한다. 파워의 5 속성은 인지프로세스를 포함하므로 가치화를 유발한다(문헌 4 참조). 그러나 이러한 가치화가 언제나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파워의 5 속성은 어떠한 여건에서도 개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함으로 부정적인 가치화가 흔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파워프로세스는 파워의 5 결정요소 즉, 파워요소, 욕구, 가치, 관계 및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가치를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치가 적용되는 상황을 만들어낸다. 즉, 파워프로세스는 가치화 프로세스이다. 파워프로세스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는 가치창출과 가치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고유한 역할을 한다(문헌 4 참조).
파워요소(power element): 파워요소는 개인의 가지고 있는 무형적, 유형적 또는 경제적 자원이나 능력으로써 파워프로세스의 방향을 제시하고 가치 창출과 소멸의 원인이 된다. 예로써 기술은 제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경제적 가치 창출의 원인이 된다.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가치화에서 파워요소는 가치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가치의 창출과 소멸의 원인을 제공한다(문헌 5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치화는 지적이며 의식적인 자각에 의한 판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치화 정도나 수준은 가치화에 대한 개인의 지식, 경험, 태도 및 환경과의 관계형성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나 성향에 크게 의존한다. 예로써 개인의 가치화에 대한 태도, 문제 해결이나 가치창출의 능력, 관계형성 능력 및 자기개발 능력은 가치화 정도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파워요소(예: 개인의 지적 능력, 성격, 태도, 환경과의 관계)는 선천적인 것도 있으나 대개의 경우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개인은 가치화 정도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의 파워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노력을 도모해야 한다.
욕구(needs): 욕구는 결핍이나 새로운 형성을 위한 도약에 관계한다. 욕구는 행동을 유발하는 단서(cue)가 된다. 즉, 욕구가 없으면 행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개인이 다른 사람의 욕구를 만족시킬수록 이들의 내면에는 개인과 결합하고자 하는 결합 동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동기는 사람들의 내면에 개인과 결합하고자 하는 행동포지션을 만들어 내는 원인을 제공한다(문헌 5 참조).
수단은 목적을 달성하는 도구이다. 개인의 수단이 다른 사람의 욕구를 만족시킬수록 개인은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것을 만족시키는 개인의 능력은 개인으로 하여금 목적 달성을 위한 적절한 수단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왜냐하면 욕구 파악에 따른 이해조정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다양한 욕구가 있다. 예로써 Maslow (1954)는 사람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자기 존중의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로 구분하고 있다(문헌 2 참조). 하나의 욕구에 의해서 동기가 형성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다른 수준의 욕구가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여 동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개인은 효과적인 가치화를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치(values): 가치는 믿음, 행동의 바람직한 최종상태, 상황의 초월, 행동이나 사건에 대한 선택의 지침 및 상대적 중요성에 따른 질서에 관계한다(문헌 13 참조). 이러한 가치는 선택의 기준이며 선택된 것의 목적이다. 행동이 욕구에 의해서 시작될지라도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는 가치에 의존한다. 예로써 배가 고프면 음식에 대한 욕구가 일어난다. 그러나 어떠한 음식을 선택할 것인가는 음식의 가치에 의존한다. 따라서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다른 사람의 가치에 부응할수록 이들은 개인과 결합하고자 하는 행동을 유발한다.
목적은 개인이 추구하는 특정의 가치이다(문헌 6 참조). 즉, 가치는 사람으로 하여금 목적을 만들어 내게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가치를 파악하고 이러한 가치에 부응하고자 하는 노력은 긍정적 목적을 만들어 내게 한다. 긍정적 목적은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행동을 유발하게 한다. 왜냐하면 목적은 사람의 행동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들의 생각과 행동의 안내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비록 목적이 달성되지 않더라도 사람들은 목적에 따라 반응하고 실행한다.
인간의 행동은 목적 지향적이며, 궁극적 목적은 자신의 생존이다. 인간은 영적, 혼적 및 육체적 존재이므로 영적, 혼적 및 생물학적 생존을 추구한다. 영적 생존은 절대적 가치(예: 믿음, 진리)를 추구하고, 혼적 생존은 주로 상대적 가치(예: 도덕, 윤리, 이념 또는 학습된 가치)를 추구한다. 생물학적 생존은 육체적 생존을 위한 본능적 또는 경제적 가치를 추구한다. 사람들은 이러한 가치 중에 어느 하나를 추구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자신의 가치체계에 따라 이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추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가치화를 위해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의 가치체계를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목적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문헌 4 참조).
관계(relationship): 관계는 사회 구성원들이 하나가 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관계는 사회 공동체를 형성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요소이다. 사람들은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동기를 보인다. 부모와 자식 관계에서는 유친 동기를 보이고, 사업관계에서 권력동기를 보이고, 아내에게는 의존동기를 보일 수 있다. 동기는 사람으로 하여금 목적지향적 행동으로 이끄는 힘이나 능력이다. 따라서 관계는 행동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관계에 따라 동기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긍정적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관계는 우연이나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관계형성을 위한 의도적이거나 동기화된 노력이 요청된다. 긍정적 관계를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관계관리 기능이 요구된다.
1. 어떠한 관계든지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서로 간에 오해는 관계개발을 방해하고 긍정적인 관계일지라도 긴장을 야기한다.
2.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상호 이익을 존중해야 한다.
3. 신뢰형성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4. 서로 간에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5. 정신적 또는 정서적 유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문헌 13 참조).
따라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사람으로 하여금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이것을 위한 의도적 또는 동기화된 노력과 함께 효과적인 관계관리 기능이 요구된다.
환경(environment): 개인의 환경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개인이 상대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요소로 구성된다. 예로써 개인이 속한 사회의 문화, 제도 또는 사회 집단의 규범은 개인의 환경이 된다. 왜냐하면 문화, 제도, 규범과 같은 요소들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이 상대적으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의 환경은 개인에게 파워요소를 제공하는 근원이 될 뿐만 아니라 개인에 의해서 창출된 가치가 확산되거나 작용하는 통로가 된다(문헌 12 참조). 예로써 개인의 지식이나 경험은 가치화를 위한 개인의 파워요소이다. 개인은 이러한 파워요소를 사회의 교육제도로부터 획득하여 이것을 기반으로 가치를 만들어 낸다. 또한 만들어진 가치는 개인이 속한 사회에 확산된다. 교육제도는 사회구성원들이 지식을 획득하는 통로가 된다.
개인의 환경은 개인의 가치화에서 기회와 위협이 된다. 예로써 개인이 창출할 가치가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의 전통이나 관습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가치는 확산될 수 없으며 개인은 목적달성에 실패한다. 그러나 개인이 창출한 가치가 사회구성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사회의 전통이나 관습에 부응할 경우 사회에 널리 확산된다. 따라서 개인은 성공적인 가치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환경의 변화를 탐색해야 한다.
개인의 환경은 개인이 속한 집단이나 사회뿐만 아니라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은 이 모든 환경을 탐색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환경은 파워요소를 제공하고 창출된 가치가 확산되는 통로가 된다. 따라서 개인에게 파워요소를 제공하는 환경과 창출된 가치가 확산되는 통로가 되는 환경을 탐색할 경우에도 성공적인 가치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각은 사람들이 환경에 대해서 그들의 느낌이나 생각을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프로세스이다. 사람들이 환경의 특성에 대해서 실체적인 것과 지각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관련성이 크지 않다. 사람으로 하여금 의사결정으로 이끄는 것은 실체가 아니라 지각이다. 실체의 세상보다 지각된 세상이 행동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문헌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성공적인 가치화를 위해서 파워요소를 제공하거나 가치가 확산되는 환경을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인은 파워요소를 제공하거나 자신이 창출한 가치가 확산되는 통로가 된다고 지각되는 환경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써 경제적 환경(예: 경쟁과 협력의 질서 또는 경제적 환경), 비가시적 환경(예: 윤리, 도덕, 문화와 같이 자발적 행동을 유발하는 질서), 가시적 환경(제도, 법률과 같이 의도적 행동을 유발하는 질서), 또는 사회적 환경(자기개발 기획, 기회 균등)이 가치화에 중요하다고 지각될 경우 이러한 환경을 집중 탐색한다.
행동의 가치화 수준은 파워 가치화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과 그 수준에 의존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프로세스는 행동의 단서가 되고, 행동을 선택하는 요소와 함께 행동을 이끌어 내고 확산되는 상황을 만들어 내는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워프로세스에 의해서 개인의 목적이나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 즉, 개인행동포지션을 만들어 낼 경우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긍정적 가치화를 도모하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표 3은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102개 기업을 대상으로 파워프로세스의 파워의 5 결정요소에 의한 가치화 수준에 따른 기업의 성과를 실증 연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문헌 14 참조).
Figure 112014071130247-pat00003
주: ( )내 숫자는 기업 수를 나타낸다.
출처: 신 흠(2011), 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청구논문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업에서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수준이 가장 높은 3군 기업들은 조직, 제조, 경제적 성과 모두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높게 나타내고 있다.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수준이 가장 낮은 1군에 속한 기업들의 조직, 제조 및 경제적 성과는 2군 기업보다 낮게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가 이루어질수록 긍정적 가치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실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속성은 가치부여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다. 파워속성에 의해서 형성된 가치는 가치화에서 준거의 틀로 사용된다. 그러나 개인이 어떠한 유형의 가치화를 선호할 것인가는 후천적인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파워프로세스는 긍정적인 가치화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개인행동포지션에 대한 긍정적인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를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는 우연이나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위한 의도적이거나 동기화된 프로세스가 있거나, 이것에 대한 학습을 하거나, 또는 파워프로세스를 지각하여 이미지가 형성될 경우 촉진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파워의 5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가치화는 보다 활성화된다.
5. 행동의 가치화 및 방향성과 자아실현 능력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이나 방향성은 인간의 내면에 작용하는 파워 5 속성에 의존한다. 또한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는 자아개념 즉, 유기체적 가치부여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즉,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는 자아개념에 관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과 자아개념이 적합할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고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파워속성에 의한 자아실현 경향성이나(또는 행동의 방향성)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가 서로 적합할 경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인간의 내면에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파워의 5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 작용할 경우 즉,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가 일어날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고, 나아가 자아실현을 구현한다(문헌 4 참조). 즉, 개인이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행동포지션을 만들고 이러한 과정에서 파워의 5 속성이 능률적이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때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표 4는 인천지역의 초등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파워속성에 의한 행동방향성과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수준에 따른 자아실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문헌 11 참조).
Figure 112012075564341-pat00004
주: ( )내 숫자는 학생수 임.
출처: 이지영 (2012),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2. 07
표 4의 행동방향성/가치화 수준과 자아실현에서 가로축은 파워의 5 속성의 활성화에 의한 행동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행동의 방향성 축이다. 행동의 방향성 축에서 우측으로 나아갈수록 파워의 속성은 활성화된다. 그러나 좌측으로 나아갈수록 파워속성의 활성화 수준은 낮아진다. 따라서 행동방향성 축에서 우측으로 나아갈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
표 4의 세로 축은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정도를 나타내는 행동의 가치화 축이다. 행동의 가치화 축에서 위쪽으로 나아갈수록 파워프로세스에 가치화는 활성화되어 긍정적인 가치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비하여 아래쪽으로 나아갈수록 파워의 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활성화되지 않아 부정적인 가치화가 이루어진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워속성에의 작용이 활발하고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가 활성화가 되는 'A'영역에 속한 학생들의 자아실현 능력은 모두 정(+)의 값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파워속성의 작용이 활발하지 않고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가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D'영역에 속한 학생들의 자아실현 능력은 모두 부(-)의 값을 가지고 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워속성의 작용과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중에 어느 하나가 활성화가 되지 않는 'B'와 'C'영역에 속한 학생들의 자아실현 능력은 정(+)과 부(-)의 값이 혼재하고 있다. 이것은 파워속성 작용에 의한 행동의 방향성이나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 중 어느 하나가 결핍될 경우 자아실현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4는 개인의 행동에서 행동의 방향성이 활성화되고 파워프로세스에 의해 가치화 활성화될 경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학습은 인간행동에서 거의 영구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자아실현의 4 요소와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가 우연이나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위한 의식적이거나 동기화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이들에 대한 학습을 유발하고 나아가 자아개념을 형성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자아실현 4 요소에 따라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를 통해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이러한 접근을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이라고 한다(문헌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에 대한 인본주의적 접근에 의하면 개인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받을 때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개인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인본주의적 접근을 통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것은 한계가 있다.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에서는 개인의 내면에 작용하는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성취적 행동요소를 충족시키어 개인으로 하여금 완전 기능하는 사람이 되게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가치화를 촉진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을 배경 기술로 하여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시한다.
< 문헌 목록 >
1.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Boston : Hughton Mifflin 52.
2.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 Harper & Row,
3. Saundra K. Ciccarelli, J. Noland White (2009), Psychology,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 Hall.
4. 이경환 (2011), 상생과 혁신경영, 신론사
5. 이경환 (2001), 국가생존전략, 도서출판 두남
6. 이경환 (2009), 행동경영과 조직혁신, 도서출판 두남
7. 전기선 (2009), 경쟁우위를 위한 기업의 경쟁과 협력에 관한 연구: concordance process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청구논문
8. John Dewey (1958), Theory of Valuation,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Jaime A. Perkins (2009), What is Psychology?, 2nd Edition, Michele Sordi
9. Cash Adam, Psy D (2002), Psychology For Dummies, Wiley
10. Robbins S. P. (1996), Organizational Behavior, Concepts, Controversies, Application, 7th 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1. 이지영 (2012), 파워순환적 접근과 자아실현,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이경환 (2007), 국가혁신전략, 도서출판 두남
13. Cohen, Fink, Gadon, Willits (1995), Effect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Cases, Concepts, and Student Experiences, 6th Edition, IRWIN
14. 신흠 (2011), 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청구논문
15. Joseph F, Hair., Rolph E. Anderson, Ronald L.Tatham (1979),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troleum Publishing, Tulsa
16. Wayne Weiten (2008), Psychology: themes & variations, THOMS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개인이 진단을 요청하고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가 원격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받고자 하는 개인(이하 '고객'이라 한다)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다수의 고객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에 제공한다. 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통상의 서버로서,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또는 소프트웨어)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의 각각은 각각의 고객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자아실현능력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PC, PDA, 모바일 기기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고객(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처리를 위한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고, 그 처리 결과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의 화면 등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수행하는 설명은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상기 자아실현능력 진단의 유형선택 기능은 진단받고자 하는 진단 유형을 고객이 선택하는 절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아실현능력 진단은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GSAD: General Self-Actualizing Diagnostic)과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DSAD: Detailed Self-Actualizing Diagnostic)으로 구분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상의 저장장치로서,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또는 온톨로지DB 구축이론)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위한 자아실현능력 진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진단 시스템의 관리 서버(100)는 고객이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원하는 자아실현진단을 안내하는 진단 안내부(101),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을 통해 진단 안내부(101)에서 안내된 자아실현진단의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을 선택하는 진단 선택부(102), 진단 선택부(102)를 통해 선택된 자아실현진단의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에 따라 고객에 대한 자아실현을 진단하는 진단부(103), 진단부(103)의 진단결과를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으로 출력하는 진단 출력부(104) 및 고객이 원하는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위한 비용을 결제하는 비용 처리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은 본 발명의 적용 조건에 따라 키보드 또는 터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고객접속 하위시스템(301, CISS: Client Interface Subsystem)과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 SRS: Self-Report Subsystem) 및 출력용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으로 이루어진 진단결과출력 하위시스템(303, DROS: Diagnostic Results Output Subsystem)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객접속 하위시스템(301)은 상기 관리 서버(100)와의 접속을 위한 고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은 상기 진단 안내부(101)를 통해 안내된 자아실현 진단 정보에 따라 고객의 자기 보고를 위한 수단이며, 상기 진단결과출력 하위시스템(303)은 진단 출력부(104)를 통해 고객의 진단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고객접속 하위시스템(301)을 통해 입력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자기보고 데이터베이스(401), 자아실현 일반진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 진단 데이터베이스(402), 자아실현 정밀진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밀 진단 데이터베이스(403), 진단 출력부(104)를 통해 출력될 자아실현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의 보고서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 데이터 베이스(404), 고객이 입력한 성취행동요소 및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와 성취행동요소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적인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성취행동포지션 도출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성취행동 데이터베이스(405), 고객이 입력한 파워속성에 관한 자료 및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와 행동의 방향성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적인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행동의 방향성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향성 진단 데이터베이스(406), 고객이 입력한 파워의 5 결정요소와 자료와 파워의 5 결정요소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성이 있는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행동의 가치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치화 진단 데이터베이스(407)를 구비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의 고객접속 하위시스템(301)은 고객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인증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확인, 자아실현능력 진단 안내, 자아실현능력 진단 유형선택 및 진단비용 결제와 같은 일련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확인 기능은 고객이 자신의 성명, 이메일 주소와 함께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입력하여 본인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자아실현능력 진단 안내 기능은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받기 전에 진단 안내부(101)를 통해 자아실현능력 진단이 무엇인지, 고객이 받고자 하는 진단이 어떠한 유형인지 또는 어떻게 응답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상기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GSAD)은 전술한 성취행동요소, 완전기능행동특성 및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을 진단한다.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DSAD)은 전술한 행동의 방향성(파워의 5 속성)과 파워프로세스의 파워의 5 결정요소에 의한 행동의 가치화 및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보다 체계적 및 심층적으로 진단한다. DSAD는 GSAD를 받은 고객에 대하여 실시한다.
상기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에서 자기보고(self-report)는 진단 안내부(101)를 통해 전송된 일단의 진술문이나 형용사에 대해 이것들이 대상자의 행동이나 심적 상태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기술하는지 그 정도를 표시하도록 요구하는 일련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 본 발명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은 개인의 행동특성에 대한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행동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 문항에 대하여 Likert 7점 등간 척도를 적용한다.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은 고객이 자신의 선택한 자아실현능력 진단유형에 따라 진단을 위한 문항을 기반으로 자기보고를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GSAD를 위한 설문은 성취행동요소, 개인의 완전기능 행동특성 및 개인의 환경특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다. 성취행동요소는 합리성에 대해 8 문항, 일관성에 대해 7 문항, 긍정성에 대해 9 문항 및 자율성에 대해 6 문항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완전기능 행동특성은 15 문항으로 구성되며 고객의 환경특성에 대해서는 4문항으로 구성된다. 인구통계학적 문항은 10문항으로 구성된다.
상기 DSAD를 위한 설문은 행동의 방향성, 행동의 가치화 및 자아실현의 행동특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다.
행동의 방향성에 관한 문항은 파워의 5 속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행동의 방향성은 파워의 창조속성을 기반으로 8문항, 파워의 본존 속성을 기반으로 8 문항, 파워의 결합속성을 기반으로 7 문항, 파워의 지배속성을 기반으로 7 문항 및 파워의 귀속속성을 기반으로 6 문항으로 구성된다.
행동의 가치화에 관한 문항은 파워프로세스의 파워 5 결정요소에 관한 문항이다. 이러한 행동의 가치화는 파워요소에 대해 7 문항, 욕구의 가치화에 대해 6 문항, 가치의 가치화에 대해 6문항, 환경의 지각에 대해 7 문항, 관계의 가치화에 대해 8 문항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자아실현의 행동특성에 관한 문항은 20 문항으로 구성된다. 인구통계학적 문항은 10문항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단부(103)에서의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은 개인의 행동특성이나 성격특성에 대한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보고에는 응답자의 진단에 대한 불성실한 태도나 의도적으로 오답을 해서 검사결과가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문항들은 응답자의 불성실한 태도나 의도적 오답에 의한 진단결과를 왜곡하는 성향을 평가하는 성실성 평가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성실성 평가 문항은 본 발명의 GSAD나 DSAD의 결과에 대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성실성 평가 문항에 의한 응답자의 불성실한 태도나 의도적 오답 분석을 위한 방법은 '자기보고의 성실성 평가'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각 문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은 하기 자료 1의 자아실현능력 일반진단을 위한 문항과 같이 제시한다.
< 자료 1 >
1. 성취행동 요소
Figure 112012075564341-pat00005
2. 완전기능행동 특성
Figure 112014071130247-pat00006
3. 개인의 환경특성
Figure 112014071130247-pat00007
4. 인구통계학적 요소.
1) 성함, 2) 생년월일, 3) 직업, 4) 직위(직책), 5) 연락처, 6) 학력, 7) 성별, 8) 부모의 직업, 9) 가족관계, 10) 취미
상기 진단결과출력 하위시스템(303)은 자아실현능력 진단결과를 출력하고 고객의 클라이언트 시스템(300)의 출력용 모니터 또는 프린터이나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방법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내면에는 선천적으로 자아실현 경향성이 내재하고 있다. 자아실현 경향성이 충분히 개발될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나아간다.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자아실현 과정에 있거나,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적합을 경험하거나,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과 능력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은 지속적인 변화의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방법은 개인의 행동을 분석하여, 개인이 완전히 기능하는가 또는 그렇지 않는가 즉, 개인행동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행동이 완전히 기능하는 수준에 충분히 이르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진단하고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화된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을 실시한다.
먼저, 고객은 상기 고객접속 하위시스템(301) 및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상의 인터넷 회원관리 방법과 같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고, 고객에 대한 기본 정보, 예를 들어 성함, 생년월일, 직업, 직위(직책), 연락처, 학력, 성별, 부모의 직업. 가족관계, 취미 등을 입력한다(S10).
상기와 같이 고객이 입력한 정보는 자기보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다. 이러한 고객 정보의 입력에 따라 진단 안내부(101)는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을 통해 자아실현 진단을 안내한다(S20). 고객은 이러한 진단 안내에 따라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을 선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진단에 따른 비용 처리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에 대한 소정의 비용 처리를 통상의 인터넷 관련 비용 처리와 같이 결제한다. 이러한 결제는 신용카드 또는 인터넷 뱅킹 처리와 같이 실행된다(S30).
상술한 바와 같은 자아실현 진단에 대한 비용 결제가 확인되면, 진단 선택부(102)를 통해 선택된 일반진단 또는 정밀진단에 따라 고객에 대한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실행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는 일반 진단에 대한 안내로 진행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고객은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을 통해 하기 자료 1과 같은 자아실현능력 일반진단을 위한 문항에 대한 자기 보고서를 작성하여 진행한다(S40). 이러한 자기 보고서는 진단 선택부(102)에서 선택된 일반진단에 따라 일반진단 데이터베이스(402)에 저장된 자기 보고서가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로 전송되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아실현 일반 진단은 고객(응답자)의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자기보고는 응답자의 진단에 대한 태도나 의도적 오답에 의해서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는 진단결과를 왜곡하는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진단부(103)에서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 평가를 실시하고 성실한 자기보고에 대해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을 실시한다(S50). 이것을 위하여 성실한 자기보고를 중심으로 일반진단 데이터베이스(402)에 자아실현 일반 진단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단계 S50에서의 성실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미만이면, 자기보고를 재입력하거나 진단불가판정 또는 자아실현 정밀 진단으로 안내하고(S60), 상기 단계 S50에서의 성실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완전기능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S70).
개인의 완전기능 행동특성(fully functioning behavioral traits)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포지션(fully functioning position)를 도출하여 개인행동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 개인의 완전기능 포지션은 개인행동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행동특성과 그렇지 않는 행동특성의 구성비율에 관계한다. 개인의 완전기능 포지션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행동특성 비율이 그렇지 않는 행동특성 비율보다 클수록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은 높다.
다음에, 진단부(103)에서 성취행동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한다(S80).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이 성취행동요소를 만족시킬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본 발명의 GSAD는 개인의 행동특성이 성취행동요소 즉, 행동의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및 자율성을 만족시키는 정도를 측정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개인의 자아실현능력 일반진단을 시행한다.
또한, 성취행동요소로부터 성취포지션을 도출한다. 성취포지션은 개인의 행동에서 성취행동요소가 작용하는 정도에 관계한다. 개인의 행동에서 성취행동요소가 활발하게 작용할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 따라서 성취포지션은 완전히 기능하는 개인의 능력에 관계한다. 즉, 성취포지션에 따라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결정된다.
그 후, 진단부(103)에서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의 일관성을 판단한다(S90). 상기 단계 S90에서 일관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미만이면, 자아실현 정밀 진단으로 안내하고, 상기 단계 S90에서의 일관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진단부(103)에서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S100).
상기 단계 S100에서 완전기능수준이 일정 기준치 미만이면, 완전기능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한다(S110).
즉 상기 단계 S110에서는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낮을 경우 그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완전기능으로 나아가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완전기능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성취포지션의 관점에서 완전기능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성취포지션은 개인으로 하여금 완전기능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는 일관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때로는 이들 간의 일관성의 결여가 나타나기도 한다.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의 일관성이 높으면서 완전기능 수준이 낮을 경우 이것은 개인의 선천적인 자아실현 경향성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의식적이거나 동기화된 접근과 함께 이들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요청된다.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충분한 학습 후에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 대한 재 진단을 실시한다.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높고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높을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 개발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기능한다는 것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한 필요 단계이다. 따라서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성취행동요소를 자신의 이미지로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 일관성의 결여는 흔히 고의적인 속임(deliberate deception), 사회적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 및 반응습관(response sets)과 같은 진단을 받는 자의 진단 태도에 크게 의존한다(문헌 15 참조).
고의적 속임은 진단받는 자가 응답에서 속이고자 하는 의도적 행동에 관계한다. 사회적 편향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관계하며, 반응습관은 문항의 내용과 무관하게 체계적으로 특정에 반향으로 응답 하고자 하는 진단태도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일반 진단에서는 상기 단계 S60 및 S90에서 성취포지션과 완전기능 포지션 간에 불일치가 있을 경우 고의적인 속임, 사회적 편향 또는 반응습관을 검토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단계 S110에서의 학습프로그램을 제시 후, 상기 S40 단계로 되돌아가서 자아실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단계를 반복 실행한다.
상기 단계 S100에서의 완전기능수준이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진단 출력부(104)에서 진단결과 출력 하위 시스템(303)을 통해 진단결과를 출력한다(S120).
다음에 상술한 프로세스에 대한 해결수단을 제시한다.
먼저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해결수단으로서 자기보고의 성실성 평가에 대해 기술한다.
행동의 일관성은 상황이 다를 경우에도 동질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나 자아실현의 사람은 자신의 자아 즉, 자기 이미지에 충실한 행동함으로 이들은 상황에 무관하게 일관된 행동을 나타낸다.
자기보고 작성에서 응답자가 불성실한 태도나 고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결과를 왜곡하고자 할 경우 유사한 동질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문항에 대한 응답의 일관성은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성실성 평가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성실성 평가 문항은 동질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응답자가 자기보고에서 고의적인 의도로 결과를 왜곡하고자 할 경우 이들 문항에 대한 응답의 일관성을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 진단부(103)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성실성 평가 문항에 대한 자기보고의 일관성을 측정하여 응답자의 자기보고 태도에 대한 성실성을 평가한다.
1 단계: 본 발명의 자기보고 DB로부터 자아실현능력 일반진단에 포함된 10개의 성실성 평가 문항에 대해 응답자가 응답한 7점 척도별로 응답 빈도수를 도출한다. 이러한 것 중에 빈도가 제일 큰 척도에 해당하는 빈도를 응답 일관성을 측정하는 척도로 한다.
표 5는 성실성 평가 문항의 척도별 응답 빈도에 따른 성실성 척도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08
표 5에서 강 춘소의 경우 척도 '1'에 최대 응답 빈도가 8이므로 성실성 척도는 80%이고, 홍 길동의 경우 척도 '7'에 최대 응답 빈도가 4이므로 성실성 척도는 40%이다.
2 단계: 1단계 도출된 성실성 척도에 따라 응답자의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 평가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성실성 측정척도가 50% 미만일 경우, 자기보고의 낮은 성실성으로 자아실현 능력 일반 진단 불가로 판정하고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받게 한다.
2. 성실성 척도가 50%이상이고, 70% 미만일 경우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이 수용 가능한 것으로 판정하고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을 실시한다.
3. 성실성 척도가 70% 이상이고, 90% 미만일 경우 자기보고의 성실성은 양호 한 것으로 판정하고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을 실시한다.
4. 성실성 척도가 90% 이상일 경우, 자기보고의 성실성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고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실시한다.
3 단계: 집단이나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 일반 진단 불가로 판정을 받는 구성원이 전체 구성원 중에 20∼30% 범위에 있을 경우 이러한 조직이나 집단은 성장을 위하여 이들로 하여금 행동의 일관성을 위한 학습을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집단이나 조직 구성원 중에 50% 이상이 일반 진단 불가로 판정받을 경우 이러한 조직은 심각한 조직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4 단계: 일반 진단 데이터베이스(403)를 구축하고, 완전기능포지션과 성취포지션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로 간다.
이하, 완전기능포지션의 도출과 완전기능 수준 측정(S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이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갈수록 이들의 행동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행동특성의 작용수준은 높아진다. 따라서 개인이 완전기능으로 나아가는 정도에 따라 그들의 행동에서 완전기능의 13개 행동특성이 작용하는 정도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행동특성이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적합하는 정도나 개인의 행동에서 완전기능 행동특성이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dominant behavioral trait of fully functioning), 대등적 완전기능 행동특성(equivalent behavioral trait of fully functioning) 및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indifferent behavioral trait of fully functioning)으로 구분한다.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완전기능 행동특성보다 현격하게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큰 완전기능 행동특성을 의미한다. 대등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완전기능 행동특성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거나 영향을 미치는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관계한다.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영향력이 약하거나 다른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비하여 거의 나타나지 않는 완전기능 행동특성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기능포지션은 개인의 행동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행동특성과 그렇지 않는 행동특성의 비율이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완전기능포지션에서 지배적 완전기능행동특성이 다른 행동특성에 비해서 보다 많이 분포할수록 개인은 보다 더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에 비하여 개인의 완전기능포지션에서 무관적 완전기능행동특성이 다른 행동특성에 비해 보다 많이 분포할수록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은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완전기능포지션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의 비율이나 분포에 의해서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완전기능 포지션의 도출과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음의 절차를 적용한다.
1 단계: 일반 진단 데이터 베이스(402)로부터 진단부(103)는 완전기능 행동특성 15 개 문항에 대해 개인이 응답한 값을 표준화 값(Z-score)으로 변환하고, 다음의 기준을 적용하여 이들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으로 구분한다.
1. 완전기능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5보다 큰 완전기능 행동특성을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이라 한다.
2. 완전기능 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3보다 크거나 같고 0.5보다 적거나 같은 완전기능 행동특성을 대등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이라 한다.
3. 완전기능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3보다 작은 완전기능 행동특성을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이라 한다.
2 단계: 표준파워모형(standard power model)을 적용하여 개인의 표준 완전기능포지션 모형을 도출한다.
표준파워모형은 개인, 집단 및 조직과 같은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내는 파워분포를 의미한다. 표준파워모형은 30-50-20%의 파워분포에 관계한다. 예로써 조직구성원 중에 30%가 조직의 핵이고, 50%가 조직핵을 적극적으로 추종하고, 20%가 방관자일 경우 이러한 조직은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낸다. 한 국가의 벼농사에서 전체 경작 면적 중에서 30%가 풍작이고, 50%는 평년작이며, 나머지 20%는 평년작 미만이라도 이러한 국가의 벼농사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흔히 나타난다(문헌 4 참조).
본 발명에서는 표준파워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의 표준 완전기능포지션 모형을 30-50-20%로 한다. 즉, 개인이 표준 완전기능모형에 따를 경우 개인의 행동이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30%, 대등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50%,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20% 지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의 행동이 표준 완전기능포지션에 속할 경우 이러한 개인이 완전히 기능하는 정도는 자신이 속한 인구 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수준이다.
3 단계: 개인의 완전기능포지션을 도출한다.
완전기능 15개 행동특성이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대등하다. 즉, 완전히 기능하는 것을 100%로 볼 때 각각의 완전기능 행동특성이 완전히 기능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은 6.67%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15개의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6.67%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완전기능 포지션을 도출한다. 예로써 개인의 완전기능 행동특성 중에서 4 행동특성이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속하고, 5 행동특성이 대등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속하며, 6 행동특성이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에 속할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포지션은 26.68-33.35-40.02%로 나타난다.
4 단계: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한다.
개인의 완전기능 포지션 분포가 표준 완전기능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이 완전히 기능하는 수준은 개인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수준이다. 개인의 완전기능포지션에서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30%,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20%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크다. 또한 개인의 완전기능포지션에서 지배적 완전기능 행동특성<30%, 무관적 완전기능 행동특성>20%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낮다.
다음에 성취포지션의 도출을 위한 성취행동포지션과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 측정의 단계(S8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성취행동요소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작용하는 정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성취행동요소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성취행동요소, 대등적 성취행동요소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구분한다.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성취행동요소보다 현격하게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큰 성취행동요소를 의미한다. 대등적 성취행동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성취행동요소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거나 영향을 미치는 성취행동요소에 관계한다.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영향력이 약하거나 다른 성취행동요소에 비하여 거의 나타나지 않는 성취행동요소를 의미한다. 예로써,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행동의 합리성이 다른 성취행동요소보다 빈번히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클 경우 행동의 합리성은 지배적 성취행동요소가 된다.
성취행동요소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패턴이나 수준에 따라 각각 고유한 행동특성을 나타낸다. 예로써 행동의 합리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목적 지향적이거나 계획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통제하는 행동을 흔히 보인다. 이에 비하여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행동의 합리성이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비합리적이 되거나 감정에 흔히 지배된다.
행동의 일관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내적 일관성을 추구하며 태도와 행동 간에 조화를 만들어 내고 균형을 유지한다. 태도와 행동 간에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행동이 균형 상태로 가기 위한 내적 욕구가 일어나며, 이러한 내적 욕구는 행동의 조화를 위한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이에 비해 행동의 일관성이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수록 인간의 행동은 내면의 욕구와 표출된 욕구가 다르거나 모순적 행동을 흔히 보인다.
행동의 긍정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경쟁과 협력의 질서를 존중하고 이러한 질서에 따라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통제한다. 경쟁은 시행착오의 발전적 또는 창조적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경쟁은 갈등-보완-순화-협력의 프로세스이다. 협력은 개별적 노력이 체계적으로 결합되어 집합적 목적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행동에서 긍정성이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경쟁과 협력을 통해 상생의 질서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행동의 긍정성이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부정적 또는 자기중심적 행동을 보인다.
행동의 자율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자발적이거나 주도적 행동을 흔히 보인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자유의지에 따라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스스로 목적을 설정하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행동이나 문제해결 수단을 선택한다. 그러나 행동의 자율성이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수록 개인의 행동은 타율적이거나 외재적 동기에 의해서 흔히 유발된다.
표 6은 성취행동요소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작용하는 정도와 개인행동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09
주: DR, ER, IR은 합리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
DC, EC, IC는 일관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
DP, EP, IP는 긍정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
DA, EA, IA는 자율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 즉, 완전기능 능력은 성취행동요소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정도에 의존한다. 앞에서 우리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성취행동요소가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개인의 완전기능능력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이러한 성취행동요소가 작용하는 수준이나 분포에 크게 의존한다. 예로써 성취행동요소 모두가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성취행동요소가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할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갈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가 작용하는 분포를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actualized behavioral position)이라고 한다. 표 6의 성취행동요소와 개인행동특성에서 성취행동요소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3수준(지배적, 대등적 또는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작용)에서 한 수준을 선택할 경우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은 81가지가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취행동포지션의 유형을 표 6의 성취행동요소와 개인행동특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취행동요소가 개인의 행동을 지배하는 수준에 따라 부여한 기호(예: DR, EP 또는 IA)를 결합하여 구분한다. 예로써 성취행동포지션 DR-DC-EP-EA에서 행동의 합리성과 일관성이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며, 행동의 긍정성과 자율성은 대등적 성취행동요소다.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 ER-EC-DP-IA는 행동의 합리성과 일관성이 대등적 성취행동요소며 행동의 긍정성은 지배적 성취행동요소고, 행동의 자율성은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다.
표 7의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은 본 발명에서 도출된 성취행동포지션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2075564341-pat00010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은 성취행동요소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작용하는 비율이나 분포 즉 성취행동포지션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성취포지션에 따른 완전기능 능력을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성취행동요소 즉,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및 자율성이 완전기능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동등하다. 완전기능 능력을 100으로 볼 때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및 자율성이 완전기능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5%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성취행동요소에 대해 25%의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완전기능 능력을 산출한다. 그러나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서 성취행동요소가 2가지 이상의 요인으로 구성될 경우 요인의 고유값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한다. 왜냐하면 요인의 고유값은 해당요인의 설명력에 관계하기 때문이다(문헌 16 참조). 예로써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성취행동요소가 각각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나고 성취행동포지션이 DR-DC-EP-EA일 경우 완전기능 능력은 50-50-0.0이다. 고유치에 의한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완전기능 능력측정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 7단계에서 제시한다.
표준 성취행동포지션 모형은 진단 대상 집단의 평균 수준의 완전기능 능력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표준파워모형을 적용하여 표준 성취행동포지션 모형을 30-50-20%로 한다. 즉, 개인행동특성 중에 지배적 성취행동요소가 30%, 대등적 성취행동요소가 50%, 무관적 성취행동요소가 20%일 경우 이러한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 수준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는 성취행동포지션에 따른 완전기능능력을 표준성취포지션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진단부(103)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1,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이 표준 성취행동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개인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수준의 완전기능 능력으로 진단한다.
2.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이 지배적 성취행동요소>30%, 무관적 성취행동요소<20%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큰 완전기능 능력을 가지고 있다.
3. 개인의 성취행동포지션에서 지배적 성취행동요소<30%, 무관적 성취행동요소>20%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작은 완전기능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완전기능 능력 측정을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완전기능 능력 측정을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단계: 성취행동 데이터베이스(405)를 구축한다.
즉, 고객이 입력한 성취행동요소 및 고객의 환경특성 자료와 성취행동요소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적인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성취행동포지션 도출을 위한 성취행동 데이터베이스(405)를 구축한다. 상기 성취행동 데이터베이스(405)에는 성취행동요소의 30문항과 환경 4문항에 관한 고객의 자기보고 자료이다.
2 단계: 성취행동요인 도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다수의 상관관계가 있는 자료를 축소 또는 종합하여 요인을 추출하여 통계분석을 용이하게 한다(문헌 16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취행동요소는 30문항으로 구성되고 이들 간에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성취행동DB의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자료를 기초로 성취행동요소에 따라 요인분석을 하여 자료를 축소하고, 요인을 도출한다.
본 발명에서 도출된 성취행동요인은 성취행동요소에 관련된 개인의 행동특성(behavior trait)을 나타낸다. 또한 요인분석에서는 고유치(eigen value)가 1 이상인 요인을 추출하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변수 즉, 요인적재변수(factor loading variables)는 요인 적재치(factor value) 0.4 이상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귀방법(regression method)으로 요인값을 도출한다(문헌 16 참조).
표 8은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11
3 단계: 성취행동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정
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정은 요인을 구성하는 변수들에 대한 구성 타당성을 검정하는 것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요인에 대해 신뢰도를 검정하여 의미가 있고 신뢰도가 높은 요인을 중심으로 성취행동요인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요인의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크론바흐-알파(Cronbach-Alpha) 0.5를 사용한다. 요인의 신뢰도가 크론바흐-알파 0.5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 요인을 구성하는 변수에 대한 구성타당성을 검토하여 2단계로 다시 간다. 표 8에서 '신뢰도'는 성취행동요인에 대한 신뢰도분석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4 단계: 성취행동집단 추출
군집분석(clustering analysis)은 관측대상을 유사성이나 거리에 기초하여 집단화(grouping)하는 기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2 단계에서 도출한 성취행동요인에 대한 요인값을 기준으로 ward 방법을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하여 행동특성이 유사한 사람들을 집단화하여 성취행동집단을 도출한다. 성취행동집단은 동일한 완전기능 특성을 가진 개인의 집합이다.
군집분석에서 집단의 수는 군집의 밀도가 갑자기 감소하는 집단의 수로 흔히 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다(문헌 16 참조). 본 발명에서 요인의 수와 집단 간의 요인값의 유의성을 고려하여 행동특성집단의 수를 결정한다.
표 9는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5 성취행동집단에 따른 행동특성의 요인값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12
주: n은 사람의 수임.
5단계: 성취행동집단에 대한 판별분석
진단부(1063)에서의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은 구성원들이나 집단들이 여러 판별요인(discriminant variables)들에 의해 구분되는 정도에 알아보거나 판별요인과 해당 범주(category)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새로운 개인이나 집단이 어떤 범주에 속하는가를 알고자 할 때 유용한 기법이다(문헌 16 참조).
본 발명의 진단부(103)에서는 상기 4 단계에서 도출된 성취행동집단을 범주로 하고 해당 성취행동집단의 요인적재변수를 판별요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4단계에서 도출된 개인의 성취행동집단(이하, '도출성취행동집단'이라 한다)과 판별분석에 의해서 예측된 성취행동집단(이하, '예측성취행동집단'이라 한다)이 동일한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출성취행동집단과 예측성취행동집단이 일치하는 비율 즉, hit-ratio가 70~80% 미만일 경우 2단계로 다시 간다. 그러나 hit-ratio가 70~80% 이상일 경우 6단계로 간다.
표 10은 4단계에서 도출된 성취행동집단에 대한 판별분석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13
6 단계: 성취행동포지션 도출
본 발명에서는 2 단계에서 도출된 성취행동요인에 따른 요인값의 크기에 따라 성취행동요인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로 구분한다. 성취행동요인의 요인값이 -0.30.5 범위에 있는 성취행동요인을 대등적 성취행동요소라 한다. 지배적 성취행동요소는 그 요인값이 0.5보다 큰 성취행동요인을 의미하며, 무관적 성취행동요소는 그 요인값이 -0.3보다 적은 성취행동요인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인값의 크기에 따라 성취행동요인을 구분하기 위하여 성취행동집단에 대해 요인값을 중심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성취행동집단에 따라 행동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정한다. 이 경우 유의수준 α≤0.05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취행동포지션은 성취행동집단에 따른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의 비율이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성취행동포지션은 성취행동집단에 따른 성취행동요소의 유형과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표 11은 본 발명의 성취행동포지션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14
주: 합리성1, 2의 내용은 표 6의 행동의 합리성 요인분석 일 예 참조.
7 단계: 환경특성포지션 도출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특성은 개인이 지각하는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예로써 개인이 지각하는 환경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에서 멀어질수록 개인의 행동특성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또한 진단부(103)는 자기보고 데이터베이스의 고객환경특성 자료와 고객이 입력한 고객환경 자료와 성취행동 데이터베이스(405)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유사한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고객환경분석을 위한 고객환경 데이터베이스(408)를 구축한다.
본 발명에서 고객환경 데이터베이스(408)를 기반으로 진단부(103)는 환경특성포지션을 도출한다. 환경특성포지션은 고객이 지각한 환경특성에 대한 분포를 나타낸다. 진단부(103)에서 환경특성포지션을 도출하는 공정은 자아실현 능력 일반 진단의 2단계부터 6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8 단계: 완전기능 능력 측정
전술한 바와 같이 성취행동포지션은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의 분포나 비율에 관계하고 이는 완전기능 능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성취행동요소의 비율을 산출하여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한다. 완전기능 능력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취행동요소가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각각 25%이다. 요인의 고유값은 요인에 의해서 설명되는 분산량(amount of variance)이다(문헌 16 참조). 따라서 2단계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성취행동요소에 대해 2가지 이상의 요인이 도출될 경우 각 요인에 관계된 고유치 비율에 따라 요인의 가중치를 산출한다. 예로써 행동의 합리성이 표 8의 행동의 합리성 요인분석에서와 같이 합리성 1, 합리성 2 두 요인으로 나타날 경우 이들의 고유값 비율에 따라 각 요인에 부과되는 가중치를 산출할 경우 합리성 1 요인에는 17.25, 합리성 2 요인에는 7.25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러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산출한다.
표 12는 본 발명에서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표 11을 기반으로 산출한 완전기능 능력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15
본 발명에서 6단계에서 도출된 성취행동포지션을 기반으로 표준 성취행동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한다.
첫째로 개인이 속한 도출 성취행동집단과 예측 성취행동집단이 일치할 경우 표준 성취행동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6단계에서 도출된 성취행동포지션에서 개인의 행동특성이 어떠한 성취행동집단에 속하는가를 파악하여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한다. 즉, 개인의 행동특성이 특정의 성취행동포지션에 속할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해당 성취행동포지션의 완전기능 능력으로 한다.
둘째로 개인의 속한 도출 성취행동집단과 예측 성취행동집단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완전기능 능력 측정은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도출 성취행동집단과 예측 성취행동집단 중에 어느 것에 속하는가를 판단한다. 즉, 개인의 환경특성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에서 멀어질수록 도출 및 예측 성취행동집단 중에 완전기능 능력이 낮은 성취행동집단의 완전기능 능력을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으로 한다. 그러나 개인의 환경특성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에서 가까워질수록 도출 및 예측 성취행동집단 중에 완전기능 능력이 높은 성취행동집단을 선택한다.
9 단계: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성취행동포지션 수준 즉, 완전기능 능력과 일관성이 있는가를 진단하기 위하여 도 3의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흐름도의 S90로 간다.
즉, 진단부(103)에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실시한다(S90~S120).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은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그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원인을 규명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완전기능으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취행동포지션은 개인행동의 완전기능의 원인이 되고, 완전기능포지션은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에 관계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는 일관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때로는 이들 간에 일관성의 결여가 나타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 일관성 정도에 따라 의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실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의 일관성이 높으면서 완전기능 수준이 낮을 경우 이것은 개인의 선천적인 자아실현 경향성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취행동요소에 대한 의식적이거나 동기화된 접근과 함께 이들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요청된다. 이후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 대한 재 진단을 실시한다.
2.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높고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이 높을 경우 이것은 개인의 자아실현 경향성 개발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기능한다는 것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한 필요 단계이다. 따라서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성취행동요소를 자신의 이미지로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3.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포지션 간에 일관성의 결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의적인 속임, 사회적 편향 및 반응습관과 같은 진단을 받는 자의 진단 태도에 크게 의존한다.
고의적 속임은 진단받는 자가 응답에서 속이고자 하는 의도적 행동에 관계한다. 사회적 편향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관계하며, 반응습관은 문항의 내용과 무관하게 체계적으로 특정에 반향으로 응답 하고자 하는 진단태도에 관계한다.
본 발명 일반 진단에서는 성취행동포지션과 완전기능 포지션 간에 불일치가 있을 경우 고의적인 속임, 사회적 편향 또는 반응습관을 검토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도 3의 진단결과출력(S120)로 간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결과 출력은 다음과 같다.
진단결과출력 하위시스템(303)은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결과를 출력하고 고객에게 인터넷이나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의 경우 고객은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과 성취행동요소 프로파일 및 완전기능 행동특성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자료 2는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 성취행동요소 프로파일 및 완전기능 행동특성 프로파일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 자료 2 >
1.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 일 예
Figure 112012075564341-pat00016
2. 성취행동요소 프로파일 일 예
Figure 112012075564341-pat00017
3. 완전기능 행동특성 프로파일 일 예
Figure 112012075564341-pat00018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따라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정밀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의 개요에 대해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은 선천적인 것으로서 자아실현 경향성이나 행동의 방향성에 관계한다. 파워의 5 속성이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능률적이거나 동시 다발적으로 작용할수록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된다. 뿐만 아니라 파워의 5 속성이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가치화와 결합할 경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간다. 자아실현의 사람은 자신의 재능, 능력 및 잠재적 가능성의 모든 사용과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람은 상생과 협력의 질서를 만들어 내어 사회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여 성공적인 삶을 누린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개인의 행동을 분석하여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과 수준을 측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진단하고 자아실현의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도 4에서 단계 S210~S230은 자아실현능력 일반진단의 도 3과 동일하므로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객은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을 통해 하기 자료 3과 같은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위한 문항에 대한 자기 보고서를 작성하여 진행한다(S240). 이러한 자기 보고서는 진단 선택부(102)에서 선택된 정밀진단에 따라 정밀진단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된 자기 보고서가 자기보고 하위시스템(302)로 전송되어 실행된다.
진단결과는 응답자의 성실한 진단태도나 의도적 오답에 의해서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는 진단결과를 왜곡하는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진단부(103)에서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 평가를 실시하고(S250), 성실한 자기보고에 대해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실행한다. 이것을 위하여 성실한 자기보고를 중심으로 자아실현 정밀진단 데이터베이스(403)를 구축한다.
상기 단계 S250에서의 성실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미만이면, 자아실현 정밀 진단으로 불가로 안내하고(S260), 상기 단계 S250에서의 성실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자아실현 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한다(S270).
즉, 개인의 자아실현 행동특성으로부터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self-actualization position)을 도출하여 자아실현의 수준을 측정한다.
개인의 자아실현 행동특성은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개인 행동특성 20개 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자기보고이다.
각 문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은 하기 자료 3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위한 문항과 같이 제시한다.
< 자료 3 >
1. 행동의 방향성 요소
Figure 112012075564341-pat00019
2. 행동의 가치화 요소
Figure 112012075564341-pat00020
3. 자아실현의 행동특성
Figure 112012075564341-pat00021
4. 인구통계학적 요소.
1) 성함, 2) 생년월일, 3) 직업, 4) 직위(직책), 5) 연락처, 6) 학력 7), 성별 8). 부모의 직업 9). 가족관계 10). 취미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은 개인행동에서 자아실현의 행동특성과 그렇지 않은 행동특성의 구성 비율이나 그 분포에 관계한다.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에서 자아실현 행동특성이 그렇지 않은 행동특성보다 빈번히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클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은 높다.
다음에, 진단부(103)는 행동의 방향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방향 포지션을 도출한다(S280).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의 방향성 요소는 파워의 5 속성에 관계한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방향 포지션은 개인의 행동에서 파워의 5 속성이 작용하는 정도나 분포에 관계한다.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경쟁과 협력 프로세스가 일어날수록 행동방향성이 활성화되고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의 방향성은 개인으로 하여금 방향지향적 행동을 만들어 내는 에너지의 원천이다. 이러한 에너지가 강하게 작용할수록 즉, 행동의 방향성이 활성화될수록 개인은 혁신적, 학습지향적, 성취지향적 및 소신지향적 행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고 다른 사람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으며,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나아간다.
이에 비하여 행동의 방향성이 비활성화될수록 개인은 답습적, 퇴행적, 상황적 및 구태의연한 행동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사람은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조화롭거나 균형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게 되며 완전히 기능하는 것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방향 포지션은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에 관계한다. 즉,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은 완전기능 능력의 원인이 된다.
그 후, 진단부(103)은 행동의 가치화 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도출한다(S290).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의 가치화 요소는 파워프로세스의 파워의 5 결정요소에 관계한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프로세스가 작용하는 정도에 관계한다. 즉,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상호작용 수준에 의존한다.
개인이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가치화를 도모할수록 개인행동은 보다 긍정적이며 이는 개인으로 하여금 목적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하게 한다.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이 긍정적일수록 개인은 배려적이고 협력적이며 상생지향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개인행동은 긍정적인 목적과 함께 목적달성에 적합한 수단을 만들어 내므로 개인의 행동포지션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행동가치화 포지션이 부정적일수록 개인은 자기중심적이며 경쟁지향적 및 독선적인 행동을 흔히 보이다. 이러한 개인행동은 부정적인 목적과 수단을 흔히 만들어 내어 개인의 행동포지션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개인의 파워프로세스 운용능력에 관계한다.
그리고, 진단부(103)에서는 그리드 포지션 도출 및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 의하여 자아실현 능력을 측정한다(S300).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유발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파워의 5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또한 파워프로세스는 행동의 가치화에 관계하고, 파워의 5 속성은 행동의 방향성에 관계한다. 따라서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은 행동의 가치화 수준과 행동의 방향성 수준에 관계한다. 예로써 개인의 행동에서 가치화 및 방향성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개인은 퇴행적이거나 자아실현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행동의 가치화 및 방향성 수준에 따른 개인행동의 이러한 특성을 도 5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는 행동의 방향성을 가로축으로 하고 가치화를 세로축으로 하여 행동의 방향성과 가치화의 쌍(pair)에 의하여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측정하는 유용한 수단을 제공한다.
행동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가로축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긍정적 행동방향성을 나타내고, 좌측으로 갈수록 부정적 행동방향성을 나타내며, 중심점은 평균수준의 행동방향성을 의미한다. 행동의 가치화를 나타내는 세로축에서 위로 갈수록 긍정적 가치화를 나타내고, 아래로 갈수록 부정적 가치화를 의미하며, 중심점은 평균수준의 가치화에 관계한다.
도 5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Ⅰ, Ⅱ, Ⅲ, Ⅳ에 속한 개인의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Ⅰ'은 행동의 가치화와 방향성 모두가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인간의 내면에서 가치화를 기반으로 한 행동방향성의 활성화는 목적을 달성하고 자아실현의 행동을 만들어 낸다. 또한 행동의 예측가능성과 통제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예측 가능한 행동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행동은 성장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2.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Ⅱ'에 속한 개인의 행동에는 가치화는 활성화되고 있으나 방향성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치화는 환경이 선택하는 기준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는 상황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Ⅱ'에 속한 개인은 환경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관계지향적 또는 배려지향적 행동을 보인다. 그러나 부정적 방향성으로 인하여 답습적이거나 상황지향적 행동특성을 나타낸다.
3.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Ⅲ'에 속한 개인의 행동은 가치화 수준은 낮고 방향성 수준은 높다. 지적한 바와 같이 파워의 다섯 속성은 어떤 경우에도 자기의 이익에 가장 유리한 패턴으로 작용한다. 개인의 내면에서 가치화 수준이 낮을 경우 자기의 이익 중심적인 행동을 흔히 보인다. 이러한 개인은 자신의 이익에는 적극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수준은 낮게 나타나므로 흔히 경쟁적 행동을 보인다.
4.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Ⅳ'에 속한 개인의 행동은 가치화와 방향성 모두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은 비활성화되어 퇴행지향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낸다. 퇴행지향적인 행동은 개인의 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여 비사회적 행동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행동의 방향성과 가치화의 쌍을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포지션(grid position)이라 한다(이하 '그리드 포지션'이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은 행동의 방향성 및 가치화 수준에 의존하므로 그리드 포지션은 자아실현 능력에 관계한다. 그리드 포지션에 따른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해결수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 후, 진단부(103)는 자아실현 포지션과 그리드 포지션으로부터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실시한다(S310).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하고 그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규명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자아실현으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즉,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리드 포지션의 관점에서 자아실현으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그리드 포지션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아실현능력으로 나아가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는 일관성이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이들 간의 일관성 결여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서는 일관성과 그리드 포지션을 평가한다.
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서,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의 일관성이 높으면서 자아실현 수준이 낮을 경우 이것은 개인의 행동방향성이나 가치화 수준이 낮은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개인이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파워의 5 속성과 파워프로세스에 대한 의식적이거나 동기화된 접근관계와 함께 이들에 대한 학습이 요청되므로,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340).
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서,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의 일관성이 높으면서 자아실현 수준이 높을 경우 이것은 개인의 행동방향성과 가치화의 학습이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실현은 완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발전의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개인은 보다 한 차원 높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파워의 5 속성과 파워프로세스를 자신의 이미지로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의 일관성의 결여는 흔히 진단자의 불성실한 진단태도나 고의적인 오류에 의한다. 즉, 단계 S320에서 일관성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치 미만이면, 본 발명의 정밀진단에서는 응답자와의 면담을 통해 그 원인을 규명하고 응답자가 원할 경우 정밀진단을 재실시하기 위해 자기보고를 다시 하게 한다(S360).
단계 S330, S340 및 S360의 결과에 따라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결과를 출력한다(S350).
즉, 본 발명은 도 4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자기보고의 성실성평가(S250),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데이터베이스(403) 구축, 자아실현포지션 도출(S270), 행동의 방향포지션 도출(S280), 행동가치화 포지션 도출(S290), 그리드 포지션 도출 및 자아실현 능력 측정(S300),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실시(S310)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위한 해결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해결수단으로서, 자기보고의 성실성 평가(S250)에 대해 기술한다.
도 4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단부(103)에서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응답자의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 평가(S250)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보고 작성에서 응답자가 불성실한 태도나 고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결과를 왜곡하고자 할 경우 유사한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문항에 대한 응답의 일관성은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성실성 평가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성실성 평가 문항은 동질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응답자가 자기보고에서 고의적인 의도에 의해 결과를 왜곡하고자 할 경우 이들 문항에 대한 응답의 일관성을 낮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는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 포함된 10개 성실성 평가문항에서 전술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 자기보고에 대한 성실성 평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성실성 평가를 실시한다.
성실성 평가에서 '성실성이 높다'라고 판정된 자기보고를 중심으로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을 위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데이터베이스(403)를 작성하고 자아실현 포지션을 도출한다(S270).
자아실현포지션 도출과 자아실현 수준 측정(S2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이 자아실현으로 나아갈수록 이들의 행동에서 자아실현의 행동특성의 작용수준은 높아진다. 따라서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에 따라 그들 행동에서 자아실현의 20 행동특성이 작용하는 정도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행동특성이 자아실현의 행동특성에 적합한 정도나 그들의 행동에서 자아실현의 행동특성이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것을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 대등적 자아실현 행동특성 및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으로 구분한다.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자아실현 행동특성보다 현격하게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큰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의미한다. 대등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자아실현 행동특성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거나 영향을 미치는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관계한다.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영향력이 약하거나 다른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비하여 거의 나타나지 않는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포지션은 개인의 행동에서 자아실현 행동특성과 그렇지 않는 행동특성의 비율이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자아실현포지션에서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이 다른 행동특성에 비해서 보다 많이 분포할수록 개인은 보다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이에 비하여 개인의 자아실현포지션에서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이 다른 행동특성에 비해 보다 많이 분포할수록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은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아실현포지션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의 비율이나 분포에 의해서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 진단부(103)는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의 도출에 따른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음의 절차를 적용한다.
1 단계: 자아실현 행동특성 20 개 문항에 대해 개인이 응답한 값을 표준화 값 (Z-score)으로 변환하고, 다음의 기준을 적용하여 이들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으로 구분한다.
1. 자아실현 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5보다 큰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이라 한다.
2. 자아실현 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3보다 크거나 같고 0.5보다 적거나 같은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대등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이라 한다.
3. 자아실현 행동특성의 표준화 값이 -0.3보다 작은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이라 한다.
2 단계: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을 도출한다.
자아실현 20개 행동특성이 개인의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은 대등하다. 즉, 자아실현을 100%로 볼 때 각각의 자아실현 행동특성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은 5%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20개의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5%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자아실현 포지션을 도출한다. 예로써 개인의 자아실현행동특성 중에서 6개 행동특성이 지배적 자아실현행동특성에 속하고, 8개 행동특성이 대등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속하며, 6개 행동특성이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속할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은 30-40-30%로 나타난다.
3 단계: 표준 자아실현포지션 모형을 설정한다.
전술한 표준파워모형을 적용하여 표준 자아실현포지션 모형을 30-50-20%로 한다. 즉, 개인이 표준 자아실현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의 행동이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30%, 대등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50%,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에 20% 지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의 행동이 표준 자아실현포지션 모형에 속할 경우 이러한 개인의 자아실현 정도는 자신이 속한 인구 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수준이다.
4 단계: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한다.
1.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이 표준 자아실현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이 자아실현 수준은 개인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수준이다.
2.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에서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30%,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20%일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크다.
3. 개인의 자아실현 포지션에서 지배적 자아실현 행동특성<30%, 무관적 자아실현 행동특성>20%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보다 낮다.
5 단계: 행동의 방향포지션 도출로 간다(S280).
이하, 행동의 방향포지션 도출과 행동의 방향성(S28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을 지배하여 자신의 특성에 따른 행동방향을 제시하거나 동기나 정서를 만들어 낸다. 본 발명에서는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 대등적 행동방향성 요소 및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구분한다.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파워속성보다 현격하게 작용하거나 영향력이 큰 파워속성을 의미한다. 대등적 행동방향성 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파워속성과 유사한 수준으로 작용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파워속성을 의미한다.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다른 파워속성에 비하여 거의 작용하지 않거나 영향력이 현격히 약한 파워속성을 의미한다. 예로써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창조속성이 다른 속성보다 빈번히 나타나거나 영향력이 클 경우 파워의 창조속성은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가 된다.
파워의 5 속성이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작용하는 패턴이나 수준에 따라 고유한 행동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예로써 파워의 창조속성이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창의적이며 진취적이고 적극적이다. 이에 비하여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창조속성이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답습적(imitative)이거나 퇴영적(retrogressive) 또는 소극적으로 나타난다.
파워의 보존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자존감을 가지며 자립적이고 개성적이다. 이에 비하여 파워의 보존속성이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행동은 자멸감(self-destructrive)으로 나타나거나 의존적 또는 몰개성적이다.
파워의 결합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대등적(상대와 대등한 거래나 관계를 가지고자 한다)이거나 협력적, 또는 감성적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하여 파워의 결합속성이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차등적이며 경쟁적이거나 이성적이다.
파워의 지배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수렴적 또는 융합적(여러 사람의 의견을 조정하여 한 두 의견으로 수렴한다)이며 책임감과 함께 자율적이다. 이에 비하여 파워의 지배속성이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흔히 독선적이거나 무책임 하고 타율적이 된다.
파워의 귀속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융통성이 있어 유연하며 적응적이고 소속감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하여 파워의 귀속속성이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행동은 완고해지며 부적응적이며 소속감이 약해진다.
표 13은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작용하는 정도에 따른 행동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75564341-pat00022
주 : DCr, ECr, RCr은 각 파워의 창조속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작용
DCo, ECo, RCo은 각 파워의 보존속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작용
DCm, ECm, RCm은 각 파워의 결합속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작용
DDo, EDo, RDo은 각 파워의 지배속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작용
DBe, EBe, RBe은 각 파워의 귀속속성이 각각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작용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의 행동방향성은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정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이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행동의 방향성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이러한 파워속성이 작용하는 패턴이나 분포에 크게 의존한다. 예로써 파워의 5 속성 모두가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수록 개인의 행동은 보다 탄력적이 되고 동기화된다. 이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파워의 5 속성이 모두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할수록 개인은 동기부여가 되지 않고 무기력한 행동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가 작용하는 패턴이나 분포를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position of behavioral direction)이라 한다. 표 14의 파워속성과 행동방향성에서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작용하는 3수준(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로 작용)에서 한 수준을 선택할 경우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은 243가지가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행동방향포지션 유형을 표 13의 파워속성과 행동방향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지배하는 수준에 따라 부여한 기호(예: DCr, DCo )를 결합하여 구분한다. 예로써 행동방향포지션 DCr-DCo-ECm-EDo-EBe에서 창조 및 보존속성이 지배적 파워속성이며, 결합, 지배 및 귀속속성은 대등적 파워속성이다.
표 14는 본 발명에서 도출된 행동방향포지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2075564341-pat00023
파워의 5 속성이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행동의 방향포지션은 이러한 파워속성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행동의 방향포지션은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행동의 행동방향포지션에 따라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출한다.
파워의 5 속성 즉, 파워의 창조, 보존, 결합, 지배 및 귀속속성이 행동의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등하다. 행동의 방향성을 100으로 볼 때 파워의 5 속성이 이것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0%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파워의 5 속성에 대해 20%의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행동방향 포지션의 완전기능 능력을 산출한다. 그러나, 파워의 5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서 하나의 파워속성에서 2가지 이상의 요인이 도출될 경우 요인의 고유값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한다. 예로써 파워의 창조속성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두 요인이 도출되고 나머지 파워속성들은 각각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날 경우 파워창조속성에 관련된 요인에 대해서는 요인의 고유값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하고 나머지 속성에 대해서는 각각 20%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표준 행동방향포지션 모형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평균 수준으로 파워의 5 속성이 작용하는 것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표준파워 모형을 적용하여 표준 행동방향포지션 모형을 30-50-20%로 한다. 즉, 행동의 방향포지션 중에 지배적 행동방향성 요소가 30%, 대등적 행동방향성 요소가 50%, 무관적 행동방향성 요소가 20%일 경우 이러한 개인의 내면에 작용하는 파워속성의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적 수준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파워의 5 속성에 대한 개인의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행동방향포지션을 도출하고 표준 행동방향포지션 모형에 따라 개인 행동의 완전기능 수준을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이 표준 행동방향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개인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을 따른다.
2.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에서 지배적 파워속성>30%, 무관적 파워속성<20%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보다 크다.
3. 개인의 행동방향포지션에서 지배적 파워속성<30%, 무관적 파워속성>20%일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보다 낮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행동방향성을 진단하기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행동의 방향성 진단을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단계: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입력한 파워속성에 관한 자료,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 및 방향성 진단 DB와 행동의 방향성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적인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행동의 방향성 진단을 위한 방향성 진단 데이터베이스(406)를 구축한다. 이 방향성 진단 데이터베이스(406)는 파워의 5 속성과 환경에 관한 응답자의 자기보고 데이터베이스이다.
2 단계: 행동의 방향성 요인 도출
방향성 진단 데이터베이스(406)를 기초로 파워속성별로 요인분석을 하여 자료를 축소하고 행동의 방향성 요인을 도출한다. 행동의 방향성 요인을 도출을 위한 방법은 전술한 GSAD의 2단계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3 단계: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정
상기 2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대해 신뢰도를 검정한다.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대해 신뢰도 검정방법은 GSAD의 3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4 단계: 행동의 방향성 집단 도출
상기 2 단계에서 도출한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대한 요인값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하여 행동의 방향성이 동질적인 개인으로 구성된 행동의 방향성 집단을 도출한다. 행동의 방향성 집단을 도출하는 방법은 GSAD의 4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표 15는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행동의 방향성 집단과 행동방향성 요인의 요인값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2075564341-pat00024
5 단계: 행동의 방향성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
상기 4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방향성 집단을 범주로 하고 해당 행동의 방향성 집단의 요인적재변수를 판별요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4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방향성 집단(이하, '도출 행동방향성 집단'이라 한다)과 판별분석에서 예측된 행동 방향성 집단(이하, '예측 행동방향성 집단'이라 한다)이 동일한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출 행동방향성 집단과 예측 행동방향성 집단이 집단간의 hit-ratio가 85% 미만일 경우 2단계로 다시 간다. 그러나 hit-ratio가 85% 이상일 경우 6단계로 간다.
표 16은 상기 4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방향성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25
6 단계: 행동방향 포지션 도출
본 발명에서는 상기 2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따른 요인값의 크기에 따라 행동의 방향성 요인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방향성 요소로 구분한다.
행동의 방향성 요인의 요인값이 -0.3~0.5 범위에 있는 행동의 방향성 요인을 대등적 방향성 요소라 한다. 지배적 방향성 요소는 그 요인값이 0.5보다 큰 행동의 방향성 요인을 의미하며, 무관적 방향성 요소는 그 요인값이 -0.3보다 적은 행동의 방향성 요인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 행동의 방향성 집단에 대해 요인값을 중심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행동의 방향성 집단 간에 요인값 즉, 행동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정한다. 이 경우 유의수준 α≤0.05로 한다.
행동방향 포지션은 행동의 방향성 집단에 따른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방향성요소의 비율이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행동방향 포지션은 행동의 방향성 집단에 따른 파워 5 결정요소의 역할과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표 17은 본 발명에서 도출된 행동방향 포지션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26
7 단계: 환경특성포지션 도출
본 발명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는 방향성 진단 데이터베이스(406)에 포함된 환경자료를 기반으로 환경특성포지션을 도출한다. 환경특성포지션을 도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의 2 단계에서부터 6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8 단계: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 측정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방향 포지션은 완전기능 능력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 행동의 방향성 포지션의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방향성요소 즉, 파워 5 속성의 분포에 따라 완전기능 능력을 다음과 같이 방법으로 측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 5 속성이 행동의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각각 20%이다. 요인의 고유값은 요인에 의해서 설명되는 분산량(amount of variance)이다(문헌 참조). 따라서 2 단계의 파워 5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하나의 파워속성에 대해 2 이상의 요인이 도출될 경우 각 요인에 관계된 고유치 비율에 따라 요인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행동방향 포지션의 완전기능능력은 GASD의 7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표 18은 본 발명에서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표 17을 기반으로 산출한 행동방향 포지션과 완전기능 능력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27
본 발명에서 4 단계에서 5 단계에 의해서 도출된 행동방향 포지션에 대해 표준 행동방향 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한다.
1. 개인이 속한 도출 행동의 방향성 집단과 예측 행동의 방향성 집단이 일치할 경우 표준 행동방향 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4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방향 포지션에서 개인이 어떠한 행동의 방향성 집단에 속하는가를 파악하여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진단한다. 즉, 개인의 행동특성이 특정의 행동방향 포지션에 속할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은 해당 행동방향 포지션의 완전기능 능력으로 진단한다.
2. 개인의 속한 도출 행동방향 집단과 예측 행동방향 집단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 진단은 7 단계에서 도출된 환경특성 포지션을 고려하여 도출 행동방향 집단과 예측 행동방향 집단 중에 어느 것에 속하는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두 행동방향 집단 중에 어는 것에 속하는가를 결정하는 방법은 GSAD의 9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9 단계: 행동가치화 포지션 도출 프로세스(S290)로 간다.
행동가치화 포지션 도출과 행동의 가치화 수준측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의 가치화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과 수준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과 수준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가치화 요소(dominant valuation component), 대등적 가치화 요소(equivalent valuation component) 및 무관적 가치화 요소(indifferent valuation component)로 구분한다.
지배적 가치화 요소는 행동의 가치화에서 다른 파워결정요소보다 현격한 역할을 하거나 영향력이 큰 파워결정요소이다. 대등적 가치화 요소는 행동의 가치화에서 다른 파워결정요소와 유사한 수준으로 작용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파워결정요소다. 무관적 행동의 가치화 요소는 가치화에서 다른 파워결정요소에 비하여 거의 작용하지 않거나 영향력이 현격히 약한 파워결정요소다. 예로써 가치화에서 개인이 다른 사람의 욕구를 다른 파워결정요소보다 만족시키고자 노력할 경우 욕구는 지배적 가치화 요소가 된다.
파워의 5 결정요소가 행동의 가치화에서의 역할과 수준에 따라 행동의 고유한 가치화를 도모한다. 예로써 파워요소가 지배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가치화는 활성화되어 촉진된다. 이에 비하여 파워요소가 무관적 가치화 요소가 될 경우 개인의 가치화 수준은 매우 낮거나 가치화가 유발되지 않는다.
개인이 가치화에서 다른 사람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것을 잘 충족시키고자 할 경우 욕구는 지배적 가치화 요소가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무관적 가치화 요소가 된다. 욕구가 지배적 가치화 요소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은 다른 사람의 내면에 개인과 결합하고자 하는 결합 동기를 유발하거나, 목적 달성을 위한 긍정적 수단을 용이하게 만들어 낸다. 그러나 욕구가 무관적 가치화 요소일 경우 개인은 다른 사람의 내면에 결합 동기를 유발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긍정적 수단을 만들어 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가치가 가치화에서 지배적 가치화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은 다른 사람의 가치체계를 보다 잘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다른 사람과 가치를 공유하거나 긍정적 목적을 만들어 냄으로써 이들과의 결합을 촉진한다. 그러나 가치화에서 가치가 무관적 가치화요소로 작용할 경우 다른 사람의 가치체계에 부응하는 목적을 용이하게 만들어 낼 수 없으므로 가치화가 수준이 낮아진다.
가치화에서 관계가 지배적 가치화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과 다른 사람들간에는 신뢰를 기반으로 서로의 욕구와 가치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추구되어 진다. 이러한 경우 개인과 다른 사람들간에는 긍정적이며 상생하는 관계가 형성되어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한 행동이 리드(lead)된다. 그러나 관계가 가치화에서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과 다른 사람들은 서로의 욕구와 가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뢰가 형성되지 못하여 비생산적이고 불만족스러운 관계가 형성되거나 갈등이 유발된다. 이러한 경우 서로 간에 결합하는 행동은 리드될 수 없다.
가치화에서 환경이 지배적 가치화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은 경제적, 비가시적, 가치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이거나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나아가고 개인의 내면에는 긍정적 가치화가 촉진된다. 이에 비하여 가치화에서 환경이 무관적 가치화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은 개인이 지각한 환경이 조건적 긍정적 존중이거나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부정적 가치화를 흔히 유발한다.
표 19는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가치화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과 수준에 따른 행동의 가치화 정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28
주: DPe, EPe, IPe는 파워요소가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
DNs, ENs, INs는 욕구가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
DVa, EVa, IVa는 가치가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
DRe, ERe, Ire는 관계가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
DEn, EEn, IEn는 환경이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의 가치화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과 그 수준에 의존한다. 앞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역할이나 수준에 따라 이들을 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행동의 가치화는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이러한 파워 5 결정요소가 작용하는 패턴이나 분포에 크게 의존한다. 예로써 파워의 5 결정요소 모두가 지배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할 경우 개인 행동의 가치화 수준은 높고 보다 긍정적인 가치가 창출되어 목적 달성에 크게 기여한다. 그러나 파워의 5 결정요소 모두가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작용할수록 부정적 행동이 유발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치화에서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가치화요소가 작용하는 패턴이나 분포를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behavioral valuation position)이란 한다. 표 19의 파워결정요소와 행동의 가치화에서 파워의 5 결정요소가 가치화에 작용하는 3수준(지배적, 대등적, 무관적 가치화 요소)에서 한 수준을 선택할 경우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243 유형이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행동가치화 포지션 유형을 표 19의 파워결정요소와 행동가치화 포지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워의 5 결정요소가 가치화에서 작용하는 수준에 따라 부여한 기호(예: DPe, ENs)를 결합하여 구분한다. 예로써 행동가치화 포지션 DPe-DNs-EVa-ERe-EEn에서 파워요소와 욕구가 지배적 가치화 요소이며 가치, 관계 및 환경은 대등적 가치화 요소이다.
표 20은 본 발명에서 도출된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29
파워의 5 결정요소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상호작용을 할수록 행동의 가치화는 보다 촉진된다.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이러한 파워의 5 결정요소의 상호작용 정도나 그 가중치에 관계한다. 따라서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가치화 능력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행동가치화 포지션에 따라 개인의 가치화 능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출한다.
파워의 5 결정요소 즉, 파워요소, 욕구, 가치, 관계 및 환경이 행동의 가치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동등하다. 행동의 가치화를 100로 볼 때 파워의 5 결정요소가 가치화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0%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파워의 5 결정요소에 대해 20%의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행동가치화 포지션의 가치화 능력을 산출한다. 그러나 파워의 5 결정요소에 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서 하나의 파워결정요소에서 2가지 이상의 요인이 도출될 경우 요인의 고유값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한다. 예로써 파워요소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두 요인이 도출되고 나머지 파워결정요소들은 각각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날 경우 파워요소에 관련된 요인에 대해서는 요인의 고유값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하고 나머지 파워결정요소에 대해서는 각각 20%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표준 행동가치화 포지션 모형은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서 평균 수준으로 파워의 5 결정요소가 작용하는 것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표준 파워모형을 적용할 경우 행동가치화 포지션 중에 지배적 가치화 요소가 30%, 대등적 가치화 요소가 50%, 무관적 가치화 요소가 20%일 경우 이는 표준 행동 가치화 포지션 모형이 된다. 표준 행동 가치화 포지션 모형에 속한 개인의 가치화 수준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적 수준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파워의 5 결정요소에 대한 개인의 응답을 기반으로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도출하고 표준 행동가치화 포지션 모형에 따라 가치화 수준을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1.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 분포가 표준 행동가치화 포지션 모형을 따를 경우 개인의 행동가치화 능력은 개인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수준으로 진단한다.
2.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에서 지배적 가치화 요소>30%, 무관적 가치화 요소<20%일 경우 개인의 행동가치화의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보다 크다.
3.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에서 지배적 가치화 요소<30%, 무관적 가치화 요소>20%일 경우 개인의 가치화 능력은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보다 낮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행동가치화를 진단하기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즉, 진단부(103)에서 행동의 가치화 진단을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단계: 가치화진단 데이터베이스(407) 구축
고객이 입력한 파워의 5 결정요소와 자료 및 가치화 진단DB의 파워의 5 결정요소 데이터로부터 고객과 인구통계학적으로 동질성이 있는 관련자료를 결합하여 행동의 가치화 진단을 위한 가치화진단 데이터베이스(407)를 구축한다.
2 단계: 행동의 가치화 요인 도출
가치화진단 데이터베이스(407)를 기초로 파워 5 결정요소 별로 요인분석을 하여 자료를 축소하고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도출한다.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도출을 위한 방법은 GSAD의 2단계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3 단계: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정
상기 2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대해 신뢰도를 검정한다.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대해 신뢰도 검정방법은 GSAD의 3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4 단계: 행동의 가치화 집단 도출
상기 2 단계에서 도출한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대한 요인값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하여 행동의 가치화가 유사한 개인으로 구성된 행동의 가치화 집단을 도출한다. 행동의 가치화 집단을 도출하는 방법은 GSAD의 4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표 21은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행동의 가치화 집단과 가치화 요인값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30
5 단계: 진단부(103)에서 행동의 가치화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을 실행한다.
상기 4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가치화 집단을 범주로 하고 해당 행동의 가치화 집단의 요인적재변수를 판별요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4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가치화 집단(이하, '도출 행동가치화 집단'이라 한다)과 판별분석에서 예측된 행동 가치화 집단(이하, '예측 행동가치화 집단'이라 한다)이 동일한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출 행동가치화 집단과 예측 행동가치화 집단이 집단간의 hit-ratio가 85% 미만일 경우 2단계로 다시 간다. 그러나 hit-ratio가 85% 이상일 경우 6단계로 간다.
표 22는 4단계에서 도출된 행동가치화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2075564341-pat00031
a. 분석시 해당 케이스에 대해서만 교차유효화가 수행됩니다. 교차유효화시 각 케이스는 해당 케이스를 제외한 모든 케이스로부터 파생된 함수별로 분류됩니다.
b. 원래의 집단 케이스 중 89.7%이(가) 올바로 분류되었습니다.
c. 교차유효화 집단 케이스 중 88.6%이(가) 올바로 분류되었습니다.
6 단계: 진단부(103)에서 행동의 가치화포지션 도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2 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따른 요인값의 크기에 따라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가치화 요소로 구분한다.
행동의 가치화 요인의 요인값이 -0.3~0.5 범위에 있는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대등적 가치화 요소라 한다. 지배적 가치화 요소는 그 요인값이 0.5보다 큰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의미하며, 무관적 가치화 요소는 그 요인값이 -0.3보다 적은 행동의 가치화 요인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 요인값의 크기에 따라 행동의 가치화 요인을 구분하기 위하여 행동의 가치화 집단에 대해 요인값을 중심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행동의 가치화 집단에 따라 행동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정한다. 이 경우 유의수준 α≤0.05로 한다.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행동의 가치화 집단에 따른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가치화 요소의 비율이나 분포에 관계한다. 따라서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행동의 가치화 집단에 따른 파워 5 결정요소의 역할과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표 23은 본 발명의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32
7 단계: 진단부(103)에서 개인의 가치화 능력 측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지배적, 대등적 및 무관적 가치화 요소의 분포나 비율에 관계하며 이는 개인의 가치화 능력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서 행동가치화 포지션에 따른 가치화 능력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 5 결정요소가 행동의 가치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각각 20%이다. 요인의 고유값은 요인에 의해서 설명되는 분산량(amount of variance)이다(문헌 참조). 따라서 2단계의 파워 5 결정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하나의 파워 결정요소에 대해 2가지 이상의 요인이 도출될 경우 각 요인에 관계된 고유치 비율에 따라 요인의 가중치를 산출하며 그 방법은 GASD의 7 단계의 방법과 동일하다.
표 24는 본 발명에서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표 23을 기반으로 산출한 행동가치화 포지션에 따른 가치화 능력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112014071130247-pat00033
본 발명에서 4단계, 5단계에서 도출된 행동의 가치화에 대해 전술한 표준 행동가치화 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의 가치화 능력을 진단한다.
첫째로 개인이 속한 도출 행동가치화 집단과 예측 행동가치화 집단이 일치할 경우 표준 행동가치화 포지션 모형을 적용하여 6단계에서 도출된 행동가치화 포지션에서 개인의 가치화 특성이 어떠한 행동가치화 집단에 속하는가를 파악하여 개인가치화 능력을 진단한다. 즉, 개인의 행동특성이 특정가치화 포지션에 속할 경우 개인의 가치화 능력은 해당 행동가치화 포지션의 가치화 능력으로 진단한다.
둘째로 개인의 속한 도출 행동가치화 집단과 예측 행동가치화 집단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개인의 가치화 능력 진단은 '행동의 방향성 진단을 위한 구체적 프로세스'의 7 단계에서 도출된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도출 행동가치화 집단과 예측 행동가치화 집단 중에 어느 것에 속하는가를 판단한다. 이 경우 2 가치화 집단 중에 어느 것에 속하는가를 결정하는 방법은 GSAD의 9 단계의 방법을 적용한다.
8 단계: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도출(S300)로 간다.
상기 진단부(103)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와 자아실현 능력을 측정한다.
9 단계: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도출과 자아실현 능력 측정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는 행동의 방향성과 가치화의 쌍, 즉, 진단 그리드에 의해서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도 5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를 도출한다.
첫째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가로축을 먼저 구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서 가로축은 행동의 방향성에 관계한다. 행동의 방향성은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에 관계하므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서 가로축의 우측으로 갈수록 완전기능 능력은 보다 크며, 좌측으로 갈수록 완전기능 능력보다 적어지고, 그 중심은 평균 수준의 완전기능 능력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방향 포지션은 완전기능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행동방향 포지션 중에 완전기능 능력이 가장 낮은 행동방향 포지션을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가장 좌측에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완전기능 능력이 보다 큰 행동방향 포지션을 배치하여 맨 우측에는 완전기능 능력이 가장 큰 행동방향 포지션을 배치한다. 가로축의 중앙에는 평균 수준의 완전기능 능력 가진 행동방향 포지션이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동의 방향포지션 간에 완전기능 능력에 대한 차이를 명확히 판단할 수 없을 경우 행동방향 집단의 요인값의 크기를 기준으로 판정한다.
둘째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세로축을 구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서 세로축은 행동의 가치화를 나타낸다. 행동의 가치화는 긍정적 가치화 능력에 관계한다. 따라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세로축에서 위로 나아갈수록 긍정적 가치화 능력은 보다 크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부정적 가치화 능력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중심은 평균 수준의 가치화 능력에 관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동가치화 포지션은 가치화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행동가치화 포지션 중에 가치화 능력이 가장 낮은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세로축의 가장 아래에 배치한다. 또한 위로 나아갈수록 가치화 능력이 큰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배치하여 맨 위에는 가치화 능력이 가장 큰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배치하고, 중앙에는 평균 수준의 능력을 가진 행동가치화 포지션이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동가치화 포지션 간에 가치화 능력에 대한 차이를 명확히 판단할 수 없을 경우 행동의 가치화 집단의 요인값의 크기를 기준으로 판정한다.
셋째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구축한다.
앞에서 도출된 행동 방향성 축과 가치화 축을 결합하여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를 구축한다. 도 6은 이러한 절차를 적용하여 '표 18의 행동의 방향성 포지션과 완전기능 일 예' 및 '표 24의 행동가치화 포지션과 가치화 능력의 일 예'를 기반으로 구축된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6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일 예에서 행동의 방향성 축의 맨 좌측에는 표 18에서 완전기능 능력이 가장 낮은 행동방향 포지션 2가 위치하고, 가장 우측에는 완전기능 능력이 가장 큰 행동방향 포지션 1이 위치한다. 도 7에서 완전기능 능력에 따라 행동방향 포지션 2,4,3,5,1 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행동가치화 축의 맨 위에는 표 24에서 가치화 능력이 가장 큰 행동가치화 포지션 Ⅰ이 배치되고, 가장 아래에는 가치화 능력이 가장 적은 행동가치화 포지션Ⅴ가 배치되어 아래서부터 위로 행동가치화 포지션Ⅴ, Ⅳ, Ⅲ, Ⅱ, Ⅰ의 순으로 배치된다. 가로축과 세로축의 교차점에는 평균 수준에 가장 가까운 행동방향 포지션과 가치화 포지션이 배치되어 있다.
넷째로 진단 그리드로부터 자아실현능력을 측정한다.
도 6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의 자아 실현적 행동 영역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자아실현능력은 커지고, 배려적 행동 영역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나아갈수록 보다 배려적 행동이 나타난다. 또한 경쟁적 행동 영역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나아갈수록 보다 경쟁적 행동이 되며, 퇴행적 행동 영역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나아갈수록 보다 퇴행적 행동이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단 그리드 포지션 즉, 행동의 방향성과 가치화의 쌍은 자아실현능력에 관계한다. 개인의 행동방향성과 가치화가 그리드 포지션(X, Y)에 속할 경우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은 해당 그리드 포지션의 자아실현 능력으로 한다. 예로써 도 6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서 그리드 포지션(1,I)에 속한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은 그리드 포지션(3,Ⅴ)에 속한 개인보다 크다.
다섯째로 자아실현능력 정밀 진단을 실시한다.
도 4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흐름도의 (S310~S340)로 간다.
10 단계: 진단부(103)에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실행한다(S310-S340).
전술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개인의 자아실현능력 수준을 측정하고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진단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드 포지션은 개인 행동의 자아실현의 원인이 되고 자아실현 포지션은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에 관계한다. 즉, 이들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는 일관성이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일관성의 결여가 있기도 한다.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 일관성 정도와 함께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서 그리드 포지션의 좌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정밀진단한다.
1.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행동특성이 도 5의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Ⅰ"에 있을 경우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경우 개인은 상황이나 환경에 무관하게 자신의 자아 이미지에 따른 일관된 행동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람의 성취도는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 성취도보다 크다. 따라서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Ⅰ"에 속한 개인은 자신의 목적을 지속적으로 달성하여 성공적인 삶을 누릴 수 있다.
2.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행동특성이 도 5의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Ⅱ"에 있을 경우 개인의 행동은 배려적 특성을 한 보인다.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Ⅱ"에 속한 사람들의 성취도는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 수준 이상이다. 그러나 때로는 평균 수준 미만의 성취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개인이 지각한 파워의 5 결정요소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급짝히 깨어지거나 변화할 때 흔히 일어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은 자신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방향지향적 행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그리드 포지션 "Ⅱ"에 속한 개인의 내면에 파워의 5 속성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능률적으로 작용할 경우 이러한 개인은 목적을 달성하고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평균 이상의 행동성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의 활성화는 성취행동요소가 충족될 때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리드 포지션 "Ⅱ"에 속한 개인이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성취행동요소를 학습하여 개인의 내면에 파워의 5 속성을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행동특성이 도 5의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Ⅲ"에 있을 경우 개인의 행동은 경쟁적이거나 적극적이다.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Ⅲ"에 속한 개인의 성취도는 일반적으로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 수준 이상이다. 그러나 개인이 지각한 환경과 실제의 환경 간에 차이가 크고 환경이 부정적인 경우 개인의 성취도는 평균 미만으로 흔히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의 5 속성은 행동의 방향성에 관계한다. 행동의 방향성은 개인으로 하여금 목적을 설정하거나 비전이나 소망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그리드 포지션 "Ⅲ"에 속한 개인은 자신의 비전이나 소망을 구현하기 위한 적극적 행동을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프로세스는 긍정적 가치화의 수단이다. 따라서 파워프로세스는 인간으로 하여금 과정중심의 행동에 관계한다. 과정중심의 행동은 목적을 달성하는 프로세스에 관계한다. 따라서 그리드 포지션 "Ⅲ"에 속한 개인이 파워프로세스를 학습할 경우 이들은 목적을 달성하고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4.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에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행동특성이 도 5의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Ⅳ"에 있을 경우 개인행동은 퇴행적이다.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Ⅳ"에 속한 개인의 성취도는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자아실현 능력 진단 그리드의 "Ⅳ"에 속한 개인이 자신이 속한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평균 이상의 성취도를 획득하고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동기화를 통해 파워프로세스와 성취적 행동조건에 대한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학습이 요청된다.
5.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간의 일관성이 결여는 흔히 고의적인 속임, 사회적 편향 및 반응습관과 같은 응답자의 진단 태도에 크게 의존한다.
본 발명 정밀 진단에서는 그리드 포지션과 자아실현 포지션 간의 불일치가 있을 경우 고의적인 속임, 사회적 편향 또는 반응습관을 검토하여 그 원인을 규명한다. 이후 개인에게 그 내용을 알리고 진단 문항에 대해 성실하게 응답하도록 유도한다.
11 단계: 진단 출력부(104)에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결과를 출력한다(S350).
진단결과출력 하위 시스템(303)은 자아실현 능력 진단 결과를 출력하고 고객에게 인터넷이나 기타 방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아실현 능력 정밀진단에서 고객은 행동방향 포지션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및 자아실현 포지션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하기 자료 4는 행동방향 포지션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및 자아실현 포지션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 자료 4 >
1. 행동의 방향성 요소
Figure 112012075564341-pat00034
2. 행동의 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
Figure 112014071130247-pat00035
3.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Figure 112014071130247-pat00036
4. 행동의 방향성 요소 프로파일
Figure 112012075564341-pat00037
5. 행동의 가치화 요소 프로파일
Figure 112012075564341-pat00038
6. 자아실현 행동특성 프로파일
Figure 112012075564341-pat00039
12단계: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을 종료한다.
즉, 도 4의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흐름도에서 '종료'로 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개인의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하고, 자아실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직구성원에 대해 적용할 경우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
100 : 관리 서버
200 : 네트워크
300 : 클라이언트 시스템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관리 서버가 원격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자아실현 능력을 진단받고자 하는 개인의 자아실현능력 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다수의 고객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으로서,
    (a) 진단 안내부에서 고객에게 자아실현 진단을 안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안내된 진단 종류에 따라 고객이 작성한 자기보고서에서 응답빈도 측정에 따라 성실성이나 일관성을 진단부에서 평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평가된 성실성과 일관성이 있는 자기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부에서 자아실현능력 진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자아실현 진단의 안내는 일반진단과 정밀진단으로 실행되고,
    상기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은 개인의 성취행동요소, 완전기능행동특성 및 개인의 환경특성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완전히 기능하는 능력을 진단하고,
    상기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은 개인의 행동의 방향성(파워의 5 속성)과 파워프로세스의 파워의 5 결정요소에 의한 행동의 가치화 및 자아실현 행동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자아실현능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진단의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성실성과 일관성이 미리 설정된기준치 미만이면, 자기보고 재입력, 진단불가 판정 또는 정밀 진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진단부에서 완전기능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2) 상기 진단부에서 성취행동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완전기능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c3) 진단 출력부에서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진단부에서 자아실현 포지션으로부터 개인의 자아실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2) 상기 진단부에서 행동의 방향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방향 포지션을 도출하는 단계,
    (c3) 진단부에서 행동의 가치화 요소로부터 개인의 행동가치화 포지션을 도출하는 단계,
    (c4) 진단부에서 그리드 포지션을 도출하고,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에 의하여 자아실현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c5) 진단 출력부에서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에서 진단 문항은 성취행동요소 문항, 완전기능 행동특성 문항 및 개인의 환경특성 문항을 포함하고,
    상기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에서 진단 문항은 행동의 방향성 요소 문항, 행동의 가치화 요소 문항 및 자아실현의 행동특성 문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3)에서 자아실현능력 일반 진단 결과 출력은 성취행동포지션 프로파일, 성취행동요소 프로파일 및 완전기능 행동특성 프로파일의 양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5)에서 자아실현능력 정밀진단 실시 결과 출력은 행동방향성 포지션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포지션 프로파일, 자아실현능력 진단 그리드, 행동방향성 요소 프로파일, 행동가치화 요소 프로파일 및 자아실현포지션 프로파일의 양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KR1020120103426A 2012-09-18 2012-09-18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KR10154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26A KR101542200B1 (ko) 2012-09-18 2012-09-18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26A KR101542200B1 (ko) 2012-09-18 2012-09-18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437A KR20140037437A (ko) 2014-03-27
KR101542200B1 true KR101542200B1 (ko) 2015-08-07

Family

ID=5064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26A KR101542200B1 (ko) 2012-09-18 2012-09-18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7176B6 (cs) * 2016-11-14 2018-02-21 Usspa, S.R.O. Způsob vzdálené správy SPA a systém k jeho prováděn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490A (ja) * 2007-10-31 2009-05-21 Think Project:Kk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家族の心の健康診断・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490A (ja) * 2007-10-31 2009-05-21 Think Project:Kk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家族の心の健康診断・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쌩쌩짝꿍. "다면적 인성검사(MMPI) 방법". 네이버 블로그*
최영일. "단학에 기초한 자아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437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dra et al. To be or not to be… human? Theorizing the role of human-like competencies in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Chang et al. Teacher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classroom misbehavior
Wiesenfeld et al. Construal level theory in organizational research
Mumford Values, technology and work
Alabed et al. AI anthropomorphism and its effect on users' self-congruence and self–AI integr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research agenda
Kim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psychological, cultural and ecological analysis
Rauthmann et al. The Situational Eight DIAMONDS: a taxonomy of major dimensions of situation characteristics.
Gilbert et al. Technophobia, gender influences and consumer decision‐making for technology‐related products
Lajnef The effect of social media influencers' on teenagers behavior: An empirical study using cognitive map technique
Beattie Developmental managers: Line managers as facilitators of workplace learning in voluntary organisations
Van Eijk et al. Public professionals’ engagement in coproduction: The impact of the work environment on elderly care managers’ perceptions on collaboration with client councils
Murray et al. Cautious to a fault: Self-protection and the trajectory of marital satisfaction
Xiaobao et al. The predictive effect of relative intuition on social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How do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learning and personal identity interact?
Carter-Browne et al. There is no “AI” in teams: A multidisciplinary framework for AIs to work in human teams
Black Psychological knowledge relevant to leadership in wildlife conservation
Gjefsen et al. Propping up interdisciplinarity: responsibility in university flagship research
Labun Social networks and informal power in organizations
Magalhaes The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s: towards a new theory
KR101542200B1 (ko) 자아실현 능력 진단 방법
KR101464289B1 (ko) 자아실현 리더십 능력 진단시스템 및 진단방법
McLeod et al. Beyond three faces: Toward an integrated social psychology of inequality
Bauer Resistance to change: a functional analysis of reponses to technical change in a swiss bank
Nesterova et 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KR101542201B1 (ko) 자아실현 전략경영 능력 진단시스템 및 진단방법
Clark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leadership styles,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among generations: A quantit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