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81B1 -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81B1
KR101542081B1 KR1020150020901A KR20150020901A KR101542081B1 KR 101542081 B1 KR101542081 B1 KR 101542081B1 KR 1020150020901 A KR1020150020901 A KR 1020150020901A KR 20150020901 A KR20150020901 A KR 20150020901A KR 101542081 B1 KR101542081 B1 KR 10154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cleaning
pipe
guid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언
장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Priority to KR102015002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내부에 세정액 또는 고압의 공기를 반사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수배전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는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세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에 수납되어 있는 전기장치와 계측장치 및 측정장치를 세정할 수 있는 수배전반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의 구비되는 안내배관;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안내배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안내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안내배관에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SWITCHBOARD WITH DUST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내부에 세정액 또는 고압의 공기를 반사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수배전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는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세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대형건물 등과 같은 시설물이 대형화 및 복잡화되어 전력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 수요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고사양의 수배전반이 요구되고 있다. 수배전반은 시설물 내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선들과 상기 전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각종 계측장치와 제어장치 등이 내장된 박스형태의 장치로, 수요전력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불평형률, 유효전력, 주파수, 역률, 부하율, 패널의 온도 등과 같은 수십 여종의 요소들을 측정하고, 이들 요소들을 제하거나 관리하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설치면적이 좁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배전반의 크기는 작아지는 반면, 상기 수배전반의 전력용량은 증가하고 각종 디지털 계측장치와 제어장치가 증가함에 따라 수배전반은 복잡하고 고밀화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수배전반이 복잡화 또는 고밀화되고, 사용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수배전반 내의 각종 설비가 절연열화(Insulation Degradation) 되면서 전기적 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수배전반 내부로 분진이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면 접촉불량이나 설비의 노후화를 촉진하여 수배전반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정전사고나 전기화재 등이 발생할 위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의 수전설비는 매년 3회 정도의 정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 오늘날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고난도의 작업을 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장치가 많은 시대에서 예기치 못한 정전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배전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차단하거나 이미 유입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고전압으로 인하여 분진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강하고 내부의 열을 식혀주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공기순환이 필요한 수배전반의 특성상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배전반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정전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여야 하며, 전기를 차단하더라도 불완전한 차단이나 작업 도중에 부주의한 통전으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수배전반을 점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배전반을 개방하여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각종 측정기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측정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KR 10-1366663 A KR 10-076364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배전반 내에 온도측정기 또는 열상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관리자가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를 가동하게 하여 수배전반 내에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각종 전기장치나 기계장치를 노화시키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배전반 클리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클리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에 수납되어 있는 전기장치와 계측장치 및 측정장치를 세정할 수 있는 수배전반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의 구비되는 안내배관;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안내배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안내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안내배관에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공급모듈은,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안내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가 상기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유닛과 결합하는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기 조인트유닛과 상기 안내배관의 접촉부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공급배관의 타측에 두 개의 외부공급관과 상기 두 개의 외부공급관을 상기 공급배관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은,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수배전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수배전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이상온도로 판단되는 경우에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열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는 열상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이상온도로 판단되는 경우에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의 전단계 또는 후단계에는 수배전반클리닝장치를 이용하여 수배전반을 청소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배전반을 청소하는 단계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절연세척액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세척액을 분사한 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자동청소 장치는 수배전반 내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열상카메라; 상기 열상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전송하는 영상신호전송부; 상기 영상신호전송부에 의하여 송신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를 만드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만들어진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산출부가 구비된 연산처리부; 기준온도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산출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배전반 내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장치 및 상기 연산처리부와 클리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에는 촬영된 영상이나 산출된 온도 값을 표시하는 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내배관,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안내배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안내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안내배관에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모듈은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안내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가 상기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유닛과 결합하는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기 조인트유닛과 상기 안내배관의 접촉부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종 전기장치나 측정장치를 오염시키는 분진 등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배전반을 정전(off)시키지 않고 클리닝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배전반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배전반에 쌓여있던 먼지나 중금속 등이 대기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분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 스파크에 의하여 수배전반 설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가 수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가 수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가 수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가 수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는 수배전반(10)의 내부 양측과 수배전반(10)의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기장치 등의 전후방향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만 구비되는 등 다양한 위치와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가 적용되는 수배전반(10)은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전기장치 및 전자장치가 수납되는 공지의 기술이다. 따라서 수배전반(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는 수배전반(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내배관(110), 상기 안내배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130), 상기 안내배관(110)을 수배전반(10)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50), 상기 안내배관(110)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170) 및 상기 안내배관(110)에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배관(1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된다. 안내배관(110)은 적용되는 수배전반(10)의 크기와 설치위치 등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는 수배전반(10)의 상하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분사되는 세척액이나 공기가 균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수배전반(10)의 좌우측에 되도록 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의 상하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는 안내배관(110)을 좌·우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분사노즐(130)은 안내배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안내배관(11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분사노즐(130)은 액체나 기체가 분사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분사노즐(130)은 분사되는 액체나 기체가 상하방향으로 얇고 넓게 퍼지는 형상의 노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150)은 안내배관(110)의 양단에 구비되며, 각각의 고정브라켓(150)은 일단이 상기 안내배관(110)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수배전반(10)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배관(110)을 수배전반(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브라켓(150)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회전모터(170)는 안내배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11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모터(170)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서보모터 및 스테핑모터는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급모듈(200)은 안내배관(110)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안내배관(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모듈(200)은 공급배관(210)과 조인트유닛(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배관(210)은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배관(210)의 일측이 조인트유닛(230)의 길이방향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배관(210)의 일측이 조인트유닛(2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배관(11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조인트유닛(23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조인트유닛(230)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안내배관(110)이 관통하면서 결합된다. 조인트유닛(23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가이드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233)은 원통형상의 조인트유닛(230)의 내주면을 따라 함몰된 고리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인트유닛(230)의 내부에 안내배관(110)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유닛(230)의 내주면이 안내배관(11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가이드홈(233)이 안내배관(110)의 주변을 감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조인트유닛(230)으로 공급된 세척액이나 압축공기가 가이드홈(233)을 따라 안내배관(110)의 외주면에 공급된다. 한편, 조인트유닛(23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안내배관(110)의 둘레방향에는 복수의 연통홀(115)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115)이 조인트유닛(230)의 가이드홈(233)에 대응하도록 결합된다. 즉, 연통홀(115)은 가이드홈(233)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115)이 가이드홈(233)에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연통홀(115)은 안내배관(110)의 외주면에 곧바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유닛(230)과 대면하는 별도의 하우징(237)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조인트유닛(230)과 연통홀(115)이 형성된 면이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안내배관(110)의 다른 부위보다 높은 정밀도와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가이드홈(233)의 상하방향(도 4를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으로 조인트유닛(230)과 안내배관(110)의 접촉부에는 오링(O-ring, 235)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233)으로 유입된 세척액이나 압축공기가 조인트유닛(230)과 안내배관(110)의 접촉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조인트유닛(230)으로 유입된 세척액 등은 가이드홈(233)을 따라 안내배관(110)의 외주면으로 분배되어 상기 안내배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홀(115)을 통하여 안내배관(110)의 내부로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공급배관(210)의 타측에는 두 개의 외부공급관(25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외부공급관(250)과 공급배관(210)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부공급관(250)에는 각각 세척액과 압축공기가 흐르며, 솔레노이드밸브는 세척액과 압축공기를 공급배관(2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공급관(25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가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배관(210)으로 공급된다. 공급배관(210)으로 공급된 세척액 등은 조인트유닛(230)의 가이드홈(233)으로 주입되고, 가이드홈(233)으로 주입된 세척액 등은 연통홀(115)을 통하여 안내배관(110)으로 주입된다. 그런 후에 안내배관(110)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한 세척액 등은 일정한 압력이 되면 분사노즐(130)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 클리닝에 공급되는 세척액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세척액으로 구성되어 수배전반(10)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분진이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부도체 성질의 세척액은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방법은 수배전반(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와, 수배전반(10)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110)와, 수배전반(10)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이상온도로 판단되는 경우에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배전반(10)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이상온도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를 가동시켜 수배전반(10) 내부를 세척하는 단계(S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배전반(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는 수배전반(10)의 내부에 설치된 열상카메라(310)를 이용하여 수배전반(10)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수배전반(10)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110)에는 열상카메라(310)로 촬영된 이미지를 연산처리부(350)에서 데이터화한 후에 이를 분석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추출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열상카메라(310)에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유무선을 통하여 연산처리부(350)로 전송하는 영상신호전송부(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상카메라(310)가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연산처리부(350)에 전송하면, 상기 연산처리부(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처리한 후에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수배전반(10) 내부의 각 부위별 온도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것이다. 기준온도는 수배전반(10)의 내부의 각 구성이 정상상태일 때 온도한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산출되거나 연산처리부에서 시간별로 측정된 값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은 시간이나 날짜별로 정리하여 메모리부(36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36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클리닝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이나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열상카메라(3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100)를 이용하여 수배전반(10)을 청소하게 된다(S150). 수배전반(10)청소는 먼저 분사노즐(130)을 통하여 절연세척액을 분사하여 분진이나 이물질을 세척하고, 분진이나 이물질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압축공기를 분사하에 세척액과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통합제어부(370)는 연산처리부(350)와 클리닝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산출된 값을 출력부(3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감시부(390)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하여 출력부(380)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을 원거리에서 확인하거나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380)에서는 열상카메라(310)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수배전반 클리닝 장치 110: 안내배관
115: 연통홀 130: 분사노즐
150: 고정브라켓 170: 회전모터
200: 공급모듈 210: 공급배관
230: 조인트유닛 233: 가이드홈
235: 오링 237: 하우징
250: 외부공급관 310: 열상카메라
330: 영상신호전송부 350: 연산처리부
360: 메모리부 370: 통합제어부
380: 출력부 390: 이동감시부

Claims (10)

  1.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배전반에 수납되어 있는 전기장치와 계측장치 및 측정장치를 세정할 수 있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내배관;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안내배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안내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안내배관에 공급하는 공급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안내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가 상기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유닛과 결합하는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기 조인트유닛과 상기 안내배관의 접촉부에는 오링이 구비되어 있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의 타측에 두 개의 외부공급관과 상기 두 개의 외부공급관을 상기 공급배관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수배전반 내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열상카메라;
    상기 열상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전송하는 영상신호전송부;
    상기 영상신호전송부에 의하여 송신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를 만드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만들어진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산출부가 구비된 연산처리부;
    기준온도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산출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배전반 내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장치; 및
    상기 연산처리부와 클리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배전반 클리닝 자동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내배관,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안내배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안내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안내배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부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상기 안내배관에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모듈은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배관에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안내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가 상기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유닛과 결합하는 안내배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상기 조인트유닛과 상기 안내배관의 접촉부에는 오링이 구비되어 있는 수배전반 클리닝 자동청소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0901A 2015-02-11 2015-02-11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KR10154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01A KR101542081B1 (ko) 2015-02-11 2015-02-11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01A KR101542081B1 (ko) 2015-02-11 2015-02-11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81B1 true KR101542081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901A KR101542081B1 (ko) 2015-02-11 2015-02-11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8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031B1 (ko) * 2016-12-23 2017-11-16 백종현 친환경 기기 외함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공법
KR101833053B1 (ko) 2017-12-04 2018-02-27 두양전기건설(주) 특고압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 철탑
JP2020182340A (ja) * 2019-04-25 2020-11-05 共進電機工業株式会社 キュービクル式受変電設備
CN111106545B (zh) * 2020-02-21 2021-02-12 浙江友业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柜
CN113097890A (zh) * 2021-05-25 2021-07-09 江西丰源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除尘的开关柜
CN113458089A (zh) * 2021-05-26 2021-10-01 黎鑫燚 一种配电房污物识别清洁系统及其清理方法
CN113798230A (zh) * 2021-08-27 2021-12-17 安徽富煌电力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防凝露配电箱
CN113877884A (zh) * 2021-09-16 2022-01-04 重庆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 一种配电柜自动清灰系统
CN114345769A (zh) * 2021-12-20 2022-04-15 郑小华 一种水利工程设备用防潮处理装置
CN115069648A (zh) * 2022-08-11 2022-09-20 湖南省康普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配电柜检修用清灰装置
CN116845714A (zh) * 2023-06-28 2023-10-03 海安美物菲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除尘的防尘散热式电气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41B1 (ko) * 2007-10-12 2007-12-07 대신파워텍 (주)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KR100947785B1 (ko) * 2009-05-11 2010-03-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열상카메라를 통한 내부부품의 온도센싱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41B1 (ko) * 2007-10-12 2007-12-07 대신파워텍 (주)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KR100947785B1 (ko) * 2009-05-11 2010-03-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열상카메라를 통한 내부부품의 온도센싱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031B1 (ko) * 2016-12-23 2017-11-16 백종현 친환경 기기 외함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공법
KR101833053B1 (ko) 2017-12-04 2018-02-27 두양전기건설(주) 특고압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 철탑
JP2020182340A (ja) * 2019-04-25 2020-11-05 共進電機工業株式会社 キュービクル式受変電設備
CN111106545B (zh) * 2020-02-21 2021-02-12 浙江友业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柜
CN113097890A (zh) * 2021-05-25 2021-07-09 江西丰源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除尘的开关柜
CN113458089A (zh) * 2021-05-26 2021-10-01 黎鑫燚 一种配电房污物识别清洁系统及其清理方法
CN113798230A (zh) * 2021-08-27 2021-12-17 安徽富煌电力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防凝露配电箱
CN113877884A (zh) * 2021-09-16 2022-01-04 重庆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 一种配电柜自动清灰系统
CN114345769A (zh) * 2021-12-20 2022-04-15 郑小华 一种水利工程设备用防潮处理装置
CN114345769B (zh) * 2021-12-20 2023-11-03 郑小华 一种水利工程设备用防潮处理装置
CN115069648A (zh) * 2022-08-11 2022-09-20 湖南省康普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配电柜检修用清灰装置
CN115069648B (zh) * 2022-08-11 2022-12-09 湖南省康普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配电柜检修用清灰装置
CN116845714A (zh) * 2023-06-28 2023-10-03 海安美物菲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除尘的防尘散热式电气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081B1 (ko)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152B1 (ko) 전기철도 전력설비 모니터링 장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CN108052081A (zh) 一种工业自动化控制装置
CN105785164B (zh) 电涌保护器预期寿命的判断方法及系统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CN105371967A (zh) 电力电缆接头测温装置
KR20170049423A (ko) 배전반 고장 감시 시스템
CN103368261A (zh) 变电站用在线监测和巡检系统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847971B1 (ko) 영상 처리기반의 수배전반 감시장치
KR101088866B1 (ko) 광복합 지중 배전케이블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9137A (ko) 원격 배전반 관리시스템
CN107340468A (zh) 一种高压隔离开关检测系统
KR20090107774A (ko) 배전급 개폐기의 상시 감시 및 진단 장치
KR101663489B1 (ko) 열화상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설비의 화재 모니터링 장치
KR100995989B1 (ko) 지상 개폐기의 절연가스 점검장치
KR101333672B1 (ko) 무정전 활선 절연 세척 시스템 및 방법
EP3306328B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KR20190058848A (ko) 수배전반 자동 분진청소장치
KR101693434B1 (ko) 전력 설비의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06205A (ko) 수배전반
CN211698672U (zh) 一种智能电机远程监测系统
JP2018036222A (ja) 漏洩検知システム、漏洩検知方法及び超電導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