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441B1 -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441B1
KR100783441B1 KR1020070103133A KR20070103133A KR100783441B1 KR 100783441 B1 KR100783441 B1 KR 100783441B1 KR 1020070103133 A KR1020070103133 A KR 1020070103133A KR 20070103133 A KR20070103133 A KR 20070103133A KR 100783441 B1 KR100783441 B1 KR 10078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air supply
switchgear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원
Original Assignee
대신파워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파워텍 (주) filed Critical 대신파워텍 (주)
Priority to KR102007010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부형 밀폐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배전반의 내부로 깨끗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세척함으로써 습기 또는 염소가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유해성 물질에 의한 부품들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상단부로부터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 상기 수배전반의 하단부로부터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어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 상기 급기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도록 수배전반의 상단부에 설치하되,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으로 외부 공기를 분배하여 분사하도록 이어지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로써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의 내부 부품들을 세척하는 상부덕트; 및 상기 수배전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모아 배기덕트로 배출하는 하부덕트;를 구비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수배전반, 급기덕트, 상부덕트, 하부덕트, 여과수단

Description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corrosion-protected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배전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되, 순환되는 공기가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세척하게 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이 부품들에 달라붙어 발생되는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에 설치되어 전력공급처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케이스의 내부에 차단기를 비롯하여 공급되는 전기의 조작,제어 및 감시를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배전반을 필요로 하는 산업시설 중에는 프랜트 설비, 정수사업소, 하수처리장, 배수펌프장과 같이 오염물질이나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장소가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 설치된 수배전반은 부식에 취약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일예로 상수도 사업소의 경우, 혼탁한 물을 여과한 후 소독하는 과정에서 사 용된 염소로 인해 염소가스가 발생되며, 이러한 염소가스는 유해한 물질로서 시설되어 있는 장비를 부식시키게 되며, 특히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가 흐르는 동재질의 도전성 부품들에 염화가스가 접촉하면 이온변화에 의하여 급격한 부식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하수종말 처리장이나 쓰레기 매립지의 경우,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인 암모니아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암모니아 역시 앞서 설명된 염소가스와 마찬가지로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 부품들의 급격한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배전반은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 마련 없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어 오염물질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사용되는 수배전반의 경우 잦는 고장과 함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세척함으로써 습기 또는 염소가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유해성 물질에 의한 부품들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상단부로부터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 는 실외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
상기 수배전반의 하단부로부터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어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
상기 급기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도록 수배전반의 상단부에설치되되,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으로 외부 공기를 분배하여 분사하도록 이어지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로써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의 내부 부품들을 세척하는 상부덕트; 및
상기 수배전반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특고압반과 변압반 및 저압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모아 배기덕트로 배출하는 하부덕트;를 구비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방부형 밀폐 배전반은 오염물질 또는 습기에 의한 부품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배전반의 수명연장이 가능하고, 더욱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절연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었고, 부가적으로 수배전반 내의 온도를 낮추어 온도상승 영향에 의한 저항률 감소로 효율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와, 여과수단(130)과, 상부덕트(140)와, 하부덕트(150)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수배전반(100)은 급기덕트(110)와 상부덕트(14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수배전반(100)의 내부로 분사하여 부품들을 세척함으로써 습기나 각종 오염물질에 의한 부품을 부식을 방지토록 하며, 부품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는 배기덕트(120)와 하부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급기덕트(110)는 부품들의 세척을 위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것으로, 수배전반(100)의 상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수배전반(100)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수배전반(100)의 내부로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급기덕트(110)가 실외로 연장되게 설치될 경우,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미도시된 송풍팬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급기덕트(110)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공조 기 또는 건축물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영역(111)과, 상기 제1 영역(111)과 연속되어 수배전반(100)으로 연결되며 여과수단(13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영역(1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영역(112)의 단면적(A2)은 제1 영역(111)의 단면적(A1)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제1 영역(111)으로부터 제2 영역(112)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풍속이 완화되어 여과수단(130)에 작용하는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넓은 면적에 공기가 고르게 분산되므로 여과수단(130)을 구성하는 탄소필터(132)의 교체시기를 늦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기덕트(120)는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수배전반(100)의 하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수배전반(100)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기덕트(120)는 수배전반(100)의 하단부로부터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되, 일부 구간이 여과수단(130)이 설치된 급기덕트(110)의 제2 영역(112)에서 급기덕트(110)의 이웃한 위치에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여과수단(130)을 구성하는 회전 망 필터(131)의 일부분이 배기덕트(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수단(130)은 급기덕트(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망 필터(131)와 탄소필터(132) 및 풍력 팬(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망 필터(131)는 급기덕트(110)의 제2 영역(112)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영역(112)의 유로를 커버함으로써 먼지와 같이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급기덕트(110)의 이웃한 위치에서 평 행하게 배치되는 배기덕트(120)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탄소필터(132)는 회전 망 필터(131)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급기덕트(110)의 제2 영역(112)에 설치되어 회전 망 필터(131)에서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회전 망 필터(131)와 탄소필터(132)는 동일하게 제2 영역(112)에 설치되나, 탄소필터(132)가 설치된 곳이 회전 망 필터(131)가 설치된 곳에 비하여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탄소필터(132) 부근에서 최저 풍속을 유지하여 공기를 분산시킴으로써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탄소필터(132)의 교체시기를 늦추게 된다. 상기 풍력 팬(133)은 회전 망 필터(131)와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배기덕트(120) 내에 설치되어 회전 망 필터(131)에 풍력을 가함으로써 회전 망 필터(131)에 붙은 이물질을 날려 보내는 기능과 함께 회전 망 필터(131)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망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망 필터의 보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풍력 팬(133)의 풍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망 필터(131)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 망 필터(131)는 링-형상의 프레임(131a)과, 상기 프레임(131a)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대(131b)들 및 스크린 망(131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31a)은 링-형상으로서 그 원주상에는 풍력 팬(133)의 풍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보조 날개(131d)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날개(131d)들은 프레임(131a)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굽어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한쪽 방향에 대해서 개방된 포켓(pocket)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31b)들은 프레임(131a)의 내부에서 '+'형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31a)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는 것과 함께 풍차의 날개와 같이 받음각(α)을 갖도록 설치되어 풍력 팬(133)의 풍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 망(131c)은 프레임(131a)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회전 망 필터(131)에 붙은 이물질을 풍력을 이용해 제거함에 있어서,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더 용이하도록 회전 망 필터(131)의 회전시 회전 망 필터(131)의 스크린 망(131c)과 접촉하는 브러쉬(134)가 회전 망 필터(131)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배기덕트(120) 내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도 5의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홀들 중 외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분사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홀들 중 내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분사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덕트(140)는 급기덕트(11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수배전반(100)을 구성하는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내부로 고르게 분사하여 내부 부품들을 세척하는 것으로, 급기통로(141)와, 분사덕트(142)들 과, 유입팬(143)들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통로(141)는 급기덕트(11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공기를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으로 전달하도록 수배전반(100)의 상단부 중앙에서 특고압반(101)으로부터 저압반(103)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사덕트(142)들은 급기통로(141)의 양측에서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분사덕트(142)에는 급기통로(141)를 통해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2a)가 형성되고, 유입구(142a)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특고압반(101) 또는 변압반(102) 또는 저압반(103)의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사홀(142b)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홀(142b)들은 일정 개수의 분사홀(142b)들이 모여 여러개의 분사홀군(142c,142d)을 형성하게 되며, 이처럼 형성된 여러 분사홀군(142c,142d)들 중 이웃하는 두 분사홀군(142c,142d)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외부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분사되는 공기를 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부품들의 고른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어느 한 분사홀군(142c)의 분사홀(142b)들이 외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토록 형성된 경우, 이에 이웃하는 분사홀군(142d)의 분사홀(142b)들은 내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토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팬(143)들은 각 분사덕트(142)의 유입구(142a)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급기통로(141)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를 각각의 분사덕트(142)로 유입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급기통로(141)와 분사덕트(142) 양측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급기통로(141)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 중의 일부는 분사덕트(142)로 유입하 고, 나머지 공기가 말단에 위치한 저압반(103)까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통로(141) 내에서 외부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입팬(143)은 급기통로(141)와 분사덕트(142) 중 역할 비중이 큰 쪽으로 이동 설치할 수 있다. 즉, 급기덕트(110)와 가까운 거리일수록 압력이 높은 관계로 유입팬(143)의 위치를 급기통로(141) 쪽으로 보다 치우치게 설치하게 되며, 급기덕트(110)와 먼 거리일수록 압력이 낮은 관계로 분사덕트(142) 쪽으로 보다 치우치게 유입팬(143)을 설치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도 9의 'B'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홀들 중 외측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된 흡기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홀들 중 내측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된 흡기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덕트(150)는 내부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모아 배기덕트(120)로 배출하는 것으로, 배기통로(151)와 흡입덕트(152)들 및 배출팬(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통로(151)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기덕트(120)로 전달하도록 수배전반(100)의 하부에서 배기덕트(120)와 연결되게 설치되며, 수배전반(100)의 하단부 중앙에서 특고압반(101)으로부터 저압반(103)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덕트(152)들은 배기통로(151)의 양측에서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흡입덕트(152)에는 특고압반(101) 또는 변압반(102) 또는 저압 반(103)의 내부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개의 흡기홀(152a)들이 형성되며, 이 흡기홀(152a)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기통로(151)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홀(152a)들은 일정 개수의 흡기홀(152a)들이 모여 흡기홀군(152c,152d)을 형성하게 되며, 이처럼 형성된 여러 흡기홀군(152c,152d)들 중 이웃하는 두 흡기홀군(152c,152d)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고른 흡입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어느 한 흡기홀군(152c)의 흡기홀(152a)들이 외측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경우, 이에 이웃하는 다른 흡기홀군(152d)의 흡기홀(152a)들은 내측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팬(153)들은 각 흡입덕트(152)의 배출구(152b)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흡입덕트(152)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통로(151)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앞서 설명된 유입팬(143)과 마찬가지로 배기통로(151)와 흡입덕트(152) 양측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흡입덕트(152) 내의 공기를 배기통로(151)로 배출하는 것과 함께 배기통로(151)로 배출된 공기를 배기덕트(120)로 유인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팬(153) 역시 흡입덕트(152)의 위치에 따라 배기통로(151)에 보다 치우치게 설치하거나 흡입덕트(152)에 치우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변압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배전반(100)을 구성하는 변압반(102)의 경우, 내부 부품들로부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처럼 발생된 열로 인해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압반(102)의 내부에는 에어쿨러(160) 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쿨러(160)는 변압반(102)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미도시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작동하여 변압반(102)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 변압반(102)의 내부로 다시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쿨러(160)는 일반적인 공조분야에 사용되는 냉각기 또는 냉동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변압반(102)의 내부 공기를 냉각한 후, 냉각된 공기를 변압반(102)의 내부로 배출하게 되나, 실외기가 없는 단순한 구조로서 공기의 냉각시 발생되는 응축열은 하부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공기 냉각시 발생되는 응축수는 별도의 미도시된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배전반(100)은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판재들 간의 이음부가 완전한 밀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어와 케이스가 접합하는 부분에는 패킹재를 설치하여 수배전반(100)의 내부로 각종 유해가스 및 오염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100)은 수배전반(1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된 급기통로(141)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되며, 이러한 급기통로(141)를 이용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급기통로(141) 상에 설치된 여과수단(130)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과수단(130)을 구성하는 회전 망 필터(131)의 경우, 배기덕트(120)에 설치된 풍력 팬(133)으로부터 가해지는 풍력이 보강 대(131b)와 프레임(131a)에 작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망 필터(131)는 일정한 속도를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 망 필터(131)의 회전시, 프레임(131a)에 설치된 스크린 망(131c)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이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이처럼 외부 공기로부터 제거되어 스크린 망(131c)에 부착된 이물질은 배기덕트(120)에 설치된 풍력 팬(133)과 브러쉬(134)에 의해 스크링 망으로부터 떨어져 배기덕트(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망 필터(131)를 거친 외부 공기는 탄소필터(132)를 거치며 각종 유해물질과 보다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상부덕트(140)로 유입된다.
상부덕트(140)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부덕트(140)의 급기통로(141)를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때 각 분사덕트(142)의 유입구(142a)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유입팬(143)에 의하여 외부 공기 중의 일부는 각각의 분사덕트(142)로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는 급기통로(141)를 따라 계속적으로 유동하여 수배전반(100)의 말단에 설치된 저압반(103)까지 외부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분사덕트(142)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분사덕트(142)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홀(142b)들을 통하여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내부로 분사되어 부품들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을 날려보내거나 또는 오염물질이 부품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부품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덕트(152)들의 흡기 홀(152a)들을 통해 흡입덕트(152)로 유입되고, 흡입덕트(152)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팬(153)에 의하여 배기통로(151)로 배출되며, 배기통로(151)로 배출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배기덕트(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사덕트(142)나 흡입덕트(152)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유입팬(143) 및 배출팬(153)은 수배전반(100)의 가동시 항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만 주기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망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망 필터의 보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도 5의 'A'부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홀들 중 외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분사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홀들 중 내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분사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도 9의 'B'부 상세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홀들 중 외측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된 흡기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홀들 중 내측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된 흡기홀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변압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배전반 (110) : 급기덕트
(120) : 배기덕트 (130) : 여과수단
(140) : 상부덕트 (150) : 하부덕트

Claims (10)

  1. 수배전반(100)의 상단부로부터 수배전반(100)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110);
    상기 수배전반(100)의 하단부로부터 수배전반(100)이 설치된 건축물의 공조기 또는 실외로 연장되어 수배전반(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120);
    상기 급기덕트(110)에 설치되어 급기덕트(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130);
    상기 급기덕트(110)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도록 수배전반(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수배전반(100)을 구성하는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으로 외부 공기를 분배하여 분사하도록 이어지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로써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내부 부품들을 세척하는 상부덕트(140); 및
    상기 수배전반(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덕트(120)와 연결되어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모아 배기덕트(120)로 배출하는 하부덕트(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110)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영역(111)과, 상기 여과수단(130)이 설치되는 제2 영역(1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112)의 단면적이 제1 영역(11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풍속을 완화함으로써 여과수단(130)에 작용하는 풍압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130)은,
    상기 급기덕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급기덕트(110)의 유로를 커버하여 급기덕트(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이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되되, 급기덕트(110)의 이웃한 위치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기덕트(120)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는 회전 망 필터(131);
    상기 회전 망 필터(131)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급기덕트(110)에 설치되어 회전 망 필터(131)에서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탄소필터(132); 및
    상기 회전 망 필터(131)로 풍력을 가하여 회전 망 필터(131)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과 함께 회전 망 필터(131)의 붙은 이물질을 배기덕트(120)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기덕트(120)에 설치되는 풍력 팬(1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망 필터(131)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주상에 풍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보조 날개(131d)들이 구비된 프레임(131a);
    상기 프레임(131a)의 내부에서 '+'형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되, 풍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풍차의 날개와 같이 받음각(α)을 갖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보강대(131b)들; 및
    상기 프레임(13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 망(131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망 필터(131)의 회전시 회전 망 필터(131)와 접촉하여 회전 망 필터(131)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배기덕트(120)에 설치되는 브러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140)는,
    상기 급기덕트(11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받으며, 수배전반(100)의 상단부 중앙에서 특고압반(101)으로부터 저압반(103)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급기통로(141);
    상기 급기통로(141)의 양측에 배치되어 급기통로(141)를 통해 유동하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구(142a)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142a)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으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홀(142b)들이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덕트(142)들; 및
    상기 각 분사덕트(142)의 유입구(142a)에 설치되어 급기통로(141) 내의 공기를 분사덕트(142)로 유입하는 유입팬(1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덕트(142)의 분사홀(142b)들은 다수개가 모여 하나의 분사홀군(142c,142d)을 형성하되,
    이웃하는 두 분사홀군(142c,142d)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외부 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150)는,
    상기 배기덕트(120)와 연결되어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를 배기덕트(120)로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수배전반(100)의 하단부 중앙에서 특고압반(101)으로부터 저압반(103)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배기통로(151);
    상기 배기통로(15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특고압반(101)과 변압반(102) 및 저압반(103)으로 분사되어 부품들의 세척에 사용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흡기홀(152a)들이 형성되며, 흡기홀(152a)들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기통로(151)로 배출하는 배출구(152b)가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덕트(152)들; 및
    상기 각 흡입덕트(152)의 배출구(152b)에 설치되어 흡입덕트(152)의 공기를 배기통로(151)로 배출하는 배출팬(1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 폐 수배전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152)의 흡기홀(152a)들은 다수개가 모여 하나의 흡기홀군(152c,152d)을 형성하되,
    이웃하는 두 흡기홀군(152c,152d)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반(102)의 내부에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쿨러(160)가 설치되되, 상기 에어쿨러(160)는 실외기가 없는 구조로 변압반(102)의 내부 공기 냉각시 발생된 응축열은 상기 하부덕트(15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KR1020070103133A 2007-10-12 2007-10-12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KR10078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33A KR100783441B1 (ko) 2007-10-12 2007-10-12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33A KR100783441B1 (ko) 2007-10-12 2007-10-12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441B1 true KR100783441B1 (ko) 2007-12-07

Family

ID=3914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133A KR100783441B1 (ko) 2007-10-12 2007-10-12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4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593A (ko) * 2013-02-14 2014-08-22 송성석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KR101542081B1 (ko) * 2015-02-11 2015-08-06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KR101657011B1 (ko) * 2015-10-07 2016-09-22 김선태 냉각방습 배전함
KR101775618B1 (ko) * 2016-07-22 2017-09-07 미래전기기술단(주) 다량의 배선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용 배전함 장치
CN107994492A (zh) * 2017-12-24 2018-05-04 上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开关柜内部的清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779A (ja) * 1987-10-07 1989-04-13 Canon Inc 投影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H0364879A (ja) * 1989-08-02 1991-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ザーボー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779A (ja) * 1987-10-07 1989-04-13 Canon Inc 投影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H0364879A (ja) * 1989-08-02 1991-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ザーボード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4779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4879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593A (ko) * 2013-02-14 2014-08-22 송성석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KR101586123B1 (ko) 2013-02-14 2016-01-18 송성석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KR101542081B1 (ko) * 2015-02-11 2015-08-06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분진청소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청소방법
KR101657011B1 (ko) * 2015-10-07 2016-09-22 김선태 냉각방습 배전함
KR101775618B1 (ko) * 2016-07-22 2017-09-07 미래전기기술단(주) 다량의 배선을 위한 공동주택의 전용 배전함 장치
CN107994492A (zh) * 2017-12-24 2018-05-04 上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开关柜内部的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441B1 (ko) 방부형 밀폐 수배전반
EP2021698B1 (en) Air conditioning and cleaning apparatus
US9795971B2 (en) Semi-enclosed air cleaner used in an air-conditioner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1506324B1 (ko)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JP2007178099A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083234A (ko) 원통형의 바가 구비된 워터필터 와 이를 적용한 공기청정기 및 굴뚝분진저감장치
CN102836781A (zh) 一种全自动高效静电除尘装置
US20180021789A1 (en) Air cleaner
CN104043530A (zh) 静电除尘装置
CN106622669A (zh) 一种用于静电除尘设备的电极板模块及静电除尘设备
KR102167277B1 (ko) 하수처리시설의 배전함
CN204967008U (zh) 用于环网柜封闭空间的除湿除尘组合装置
JP2010142773A (ja) 集塵装置
CN101099943B (zh) 一种电子微尘处理装置
CN210187420U (zh) 商用一体式净化器
CN213905861U (zh) 一种开关柜用防尘除尘装置
CN205543730U (zh) 一种开关柜除尘装置
JP4447314B2 (ja) 空気清浄装置
KR102254741B1 (ko) 유체 접촉이 차단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수직형 백연제거 집진장치
CN209791087U (zh) 一种用于电控箱的盐雾清除净化装置
KR20140100819A (ko) 전기집진장치
CN203857593U (zh) 一种中央空调回风式空气净化器
JP2013138979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KR20090041013A (ko) 수배전반의 부식방지장치 및 그 부식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