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84B1 -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84B1
KR101541484B1 KR1020150027500A KR20150027500A KR101541484B1 KR 101541484 B1 KR101541484 B1 KR 101541484B1 KR 1020150027500 A KR1020150027500 A KR 1020150027500A KR 20150027500 A KR20150027500 A KR 20150027500A KR 101541484 B1 KR101541484 B1 KR 10154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fficiency
building
buildings
facility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준
이군재
이춘경
조동열
Original Assignee
(주)엘씨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씨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엘씨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2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 및 건축물의 주요 에너지원인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측된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사용하여 설비 또는 건축물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을 계산하고 상태효율지수를 구하여 관리, 리모델링 또는 교체의 운선순위를 판단하고 예측한다.

Description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Evaluation method of facilities and building via efficiency analysis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의 주요 설비의 전력사용량을 계측하여 상태효율을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건축물 또는 설비의 경우, 전문가를 제외한 일반 유지관리자가 건축물 또는 설비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중소형 건축물의 경우, 전문가의 투입 및 대형 건물 관리시스템의 도입이 어려운 현실 하에서, 건축물과 설비 상태의 점검 및 평가와 이상현상 및 사고 발생의 예방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건축물의 에너지 운용 상태와 환경조건을 파악하고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건축물 및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평가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으나, 주로 대형 건축물에 적용된다. 중소형 건축물의 경우에 BEMS를 도입하는 것은 효과 대비 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다.
특허문헌 1은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 정보 및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 실태를 평가하고 에너지 절감 방안 및 에너지 절감량을 도출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효과 향상을 도모한다.
그러나 건축물의 노후도 및 설비의 고장률이 적정한 한계를 넘으면 그에 따른 에너지 비용 및 수선비의 증가를 초래하며 안전관리에도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건축물 및 설비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관리를 위하여, 에너지 비용 관리뿐만 아니라 설비의 수선 또는 교체와 건축물의 리모델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동시에 중소형 건축물에도 적용 가능한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4918호 (2014년 07월 07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비 및 건축물의 주요 에너지원인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전력사용량)을 용이하게 계측하고, 계측된 전력사용량에 대한 상태효율을 분석하고, 상기 상태효율 분석을 위한 연산 규칙 및 스마트플러그 제어를 위한 제어규칙을 갖춘 간단한 설비 및 건축물 노후화 평가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시스템은, 전기 기기 또는 설비에 설치되어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복수의 스마트플러그; 개별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플러그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플랫폼 및 상기 스마트플랫폼과 인터넷으로 연결된 중앙서버로 이루어진 설비 및 건축물 노후화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플랫폼은 상기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수집한 계측정보를 바탕으로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효율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각 설비를 제어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태효율지수로 이상현상 발견, 관리의 우선순위, 리모델링 및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은, 중앙서버는 시설물 정보, 설비 정보, 연산규칙 및 제어규칙을 스마트플랫폼에 정보를 제공하고; 스마트플랫폼은 중앙서버의 연산규칙에 따라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효율을 분석하여 표출정보로 디스플레이하고;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플랫폼에서 분석한 상태효율 및 상태효율지수를 바탕으로 이상현상의 발견, 관리의 우선순위 및 리모델링 또는 교체의 시기를 판단하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설비의 상태효율은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건축물의 상태효율은 노후도, 고장률 및 경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노후도는 고시 소비전력량에 대한 소비전력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고장률은 측정횟수에 대한 적정사용량 초과 횟수의 비율로 계산되고; 운전율은 평균 전력사용량에 대한 설정기간 동안의 평균 전력사용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경제성은 고시된 에너지 비용에 대한 실투입 에너지 비용의 비율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노후도는 연간 1차 에너지 소요량에 대한 연간 실에너지 사용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고장률은 측정횟수에 대한 적정사용량 초과 횟수의 비율로 계산되고; 경제성은 해당연도까지의 에너지비 누적에 대한 해당연도까지 수선교체비 누적의 비율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비의 상태효율지수는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을 모두 합한 값을 평균하고,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는 노후도, 고장률 및 경제성을 모두 합한 값을 평균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표출정보는 각 상태효율 항목 또는 상태효율지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표출정보는, 안전구간은 운전현황파악 또는 외부환경변화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경계구간은 운전부하 또는 설비부하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위험구간은 정밀진단, 리모델링 또는 교체를 지시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중앙서버는 스마트플랫폼의 상태효율 또는 상태효율지수 분석결과를 일정기간 단위로 축적하여 설비 또는 건축물의 상태효율의 추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리, 리모델링 또는 교체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전문가가 아니어도 건물관리자 또는 소유자가 설비 또는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다양한 상태효율을 직접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의 장치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설비 및 건축물의 관리의 우선순위, 리모델링 또는 교체 우선순위와 시점의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수행내용과 구성요소 간의 정보 교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복수의 건물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을 확대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과 설비는 준공 또는 설치 이후 일정기간이 소요된 이후부터 노후화가 진행된다. 그러나 준공 이후 초기단계부터 지속적인 계측을 실시한다면 노후화 발생 시 그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설비 또는 기기에 연결하는 스마트플러그, 건물 단위 또는 건물의 일정한 구역 단위로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플러그와 무선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스마트플랫폼, 관리업체 또는 건물의 중앙관리실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플랫폼과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스마트플러그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되고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언제 어디서든 기기나 설비의 전기제품을 켜고 끌 수 있으며,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기이다.
스마트플러그는 건축물 내에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설비 또는 기기에 연결되어 전력사용량을 계측하여 저장하되, 계측 날짜, 시간, 설비 또는 기기의 식별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동시에 상기 계측한 전력사용량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는 에너지비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가동되는 개별적인 전기제품으로 조명기기, 난방기, 냉방기, 공기정화기 및 송풍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설비는 공조나 난방과 같은 목적에 따라 필요한 기기들을 갖추어 갖춘 장비나 시설을 말한다. 이하 기기와 설비를 편의상 설비로 통칭하여 기술한다.
설비의 전력사용량은 각 설비의 상태뿐만 아니라 설치된 건축물의 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성능을 가진 난방시스템이 노후한 건축물 내에 설치되어 운전되는 경우와 양호한 상태의 건축물 내에 설치되어 운전되는 경우를 비교하면, 같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을 때 노후한 건축물 내의 난방시스템의 전력사용량이 훨씬 크다. 따라서 건축물 내의 설비의 전력사용량은 건축물의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건축물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중요 자료가 된다.
상기 스마트플러그의 계측정보 및 저장정보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플랫폼에 보내진다.
스마트플랫폼은 스마트플러그와 연결되어 여러 가지 기술이나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기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스마트플러그의 제어, 전력 사용량 측정수집, 분석 및 저장 등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플랫폼은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로부터 받은 계측정보 및 계측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1차 저장하고,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연산규칙을 적용하여 상태효율분석을 수행하고, 상태효율 분석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중앙서버로부터 받은 제어규칙에 따라 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on/off하고, 조도, 온도, 습도, 풍속 등을 조절한다.
상기 상태효율분석은 크게 두 가지 종류의 분석내용으로 나누어지되, 각 설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설비 상태효율분석과, 건축물 내에서 스마트플러그에 연결된 모든 설비의 계측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건축물 상태효율분석으로 나누어진다.
중앙서버는 통합관제하는 서버로서 일반적으로 유지관리업체서 설치 관리하며, 상태효율분석을 위한 연산규칙과 제어규칙을 설정하고 스마트플랫폼에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한다.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플랫폼의 1차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여 2차 저장하고, 스마트플랫폼에서 수행한 상태효율 분석결과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저장한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중앙서버는 설비 및 건축물의 이력관리를 하며 상태효율 분석을 하고 이상징후를 발견하여 스마트플랫폼에 전송하고 제어를 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플러그, 스마트플랫폼 및 중앙서버, 각 구성요소의 수행내용과 구성요소 간의 정보 교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플랫폼은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처리하는 도구로서, 각 설비의 전력사용량과 고시된 표준 전력사용량을 비교분석한다. 건축물 전력사용량은 건축물 내의 계측된 모든 설비의 전력사용량의 합으로서 계측된 모든 설비의 표준 전력사용량의 합과 비교하여 분석된다.
스마트플랫폼은 수집한 전력사용량을 토대로, 설정한 일정기간 동안의 각 설비의 에너지 비용을 계산하고 건축물의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게 될 에너지 비용을 계산한다. 건축물의 에너지 비용은 건축물 전력사용량을 환산하여 계산한다.
스마트플랫폼이 수행하는 설비 상태효율분석은 각 설비의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을 분석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상태효율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 1은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효율의 세부항목으로서 백분율로 표시된다. 설비의 상태효율은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되며, 건축물의 상태효율은 노후도, 고장률 및 경제성의 3가지 항목으로 평가된다.
Figure 112015019355081-pat00001
설비의 노후도는 계측된 소비전력량을 고시된 소비전력량으로 나눈 값이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을 고시된 에너지소비전력량으로 나눈 값과 같거나, 시간당 CO2배출량을 고시된 시간당 CO2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도 환산된다.
설비의 고장률은 사전에 설정된 적정값을 상회하거나 하회하는 횟수인 제1 적정사용량 초과횟수를 측정횟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적정 사용량 이상인 경우 이상현상으로 간주한다.
설비의 운전율은 설정기간 동안의 평균 전력사용량을 평균 전력사용으로 나눈다. 평균 전력사용량은 계절별로 또는 월별로 정할 수 있다.
설비의 경제성은 실제 사용된 에너지 비용을 고시 에너지비용으로 나눈다. 고시 에너지비용은 계절별 또는 월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계절별이나 월별 고시에지 비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연단위로도 환산할 수 있다.
건축물의 노후도는 실에너지 사용량을 1차에너지 소요량으로 나눈 값이거나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연간 LCC에너지 비(또는 설계단계에서 예측한 연간 1차 에너지 소요량)로 나눈값이다.
건축물의 고장률은 건축물 내에 있는 설비들의 전력사용량이 적정사용량 범위를 초과한 횟수인 제2 적정사용량 초과 횟수를 측정횟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적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의 적정값은 계약 피크전력과 평균값의 중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건축물의 경제성은 해당연도까지 수선교체비 누적을 해당년도까지 에너지비의 누적으로 나누거나 연평균 수선교체비를 연평균 에너지비로 나눈값이다.
건축물 상태효율 분석을 위한 계측기간은 설비 상태효율 분석을 위한 계측기간보다 긴 기간이다.
스마트플랫폼은 상태효율 분석결과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색으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등, 경보음으로 알리는 경보장치, 수치나 표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된다.
상태효율지수(E2CI: Energy Efficiency Condition Index)는 평가된 상태효율의 종합적인 지수로서, 이상현상의 발견, 관리, 리모델링 및 교체의 우선순위를 예측하는데 활용된다.
설비의 상태효율지수는 설비의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 등 4가지 항목의 평균값이다.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는 건축물의 노후도, 고장률 및 경제성 등 3가지 항목의 평균값이다.
상태효율지수는 높으면 상태효율이 나쁜 것으로 평가되며 관리의 우선순위 대상이 되며, 리모델링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표출정보는 각 상태효율 항목 또는 상태효율지수를 5점 척도로 구분한다. 안전구간은 50%이하이고, 경계구간은 50%초과 80%이하이고, 위험구간은 80%초과이다.
안전구간은 운전현황파악 및 외부환경변화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경계구간은 운전부하 및 설비 부하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며, 위험구간은 정밀진단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중앙서버는 스마트플랫폼의 상태효율분석의 연산과정에 적용할 연산규칙과 제어정보 생성을 위한 제어규칙을 보관하고, 연산규칙 및 제어규칙을 제공한다. 중앙서버는 스마트플랫폼에서 1차 저장한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2차 저장하고, 상태 효율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중앙서버도 상태효율지수를 계산하되, 장기간에 걸쳐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태효율지수를 토대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리모델링 및 교체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설비의 개선 및 보수교체 우선순위는 상태효율지수가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이다. 중앙서버는 설비 상태효율지수와 설비 상태효율지수의 증가율를 계산하여, 설비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중앙서버에서 계산한 건축물 상태효율지수 크기와 그 증가율를 분석하여, 건축물의 리모델링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리모델링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중앙서버는 2차 저장한 계측정보, 상태효율 분석결과, 제어정보 등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복수의 건물에 적용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주택 A, 주택 B, 빌딩 C 및 빌딩 D, 각 건물 내부에 원격제어와 전력 사용량 계측 및 수집을 위한 스마트플러그를 설치하고, 각 건물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스마트플랫폼을 설치하여, 전력 사용량의 계측정보를 수집하여 상태효율을 분석한다. 스마트플랫폼은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연산규칙에 따라 상태효율을 분석하고,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제어규칙에 따라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상태효율 분석결과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스마트플랫폼은 상태효율지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상태효율지수의 증가율이 갑자기 커지는 설비 또는 상태효율지수가 위험구간에 도달하는 설비에 대하여 전기를 차단하도록 해당 설비에 연결된 스마트플러그를 제어한다.
중앙서버는 각 건물에 설치된 스마트플랫폼으로부터 계측정보, 상태효율 분석결과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중앙서버는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의 시간에 대한 증가율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경우 경계신호를 해당 건축물의 스마트플랫폼에 보내고, 경계신호를 받은 스마트플랫폼은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중앙서버는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가 위험구간에 속하면, 해당 건축물의 스마트플랫폼에 위험신호를 보내고 해당 건축물 내의 모든 설비의 전기차단 제어명령을 보낸다. 또 다른 예로써, 중앙서버는 설비의 상태효율지수가 일정수준 이상인 설비들의 관리목록을 작성하여,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가 위험구간에 속할 때 상기 관리목록에 속하는 설비들에 대한 전기차단 제어명령을 스마트플랫폼에 보낸다. 스마트플랫폼은 중앙서버로부터 도달된 전기차단 제어명령을 스마트플러그에 보내어 제어한다.
중앙서버에서 계산한 설비 및 건축물 상태효율지수의 크기와 그 증가율을 분석하여, 이상징후의 발견, 관리의 우선순위, 리모델링 또는 교체 여부를 예측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전기 기기 또는 설비에 설치되어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복수의 스마트플러그;
    개별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플러그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플랫폼 및
    상기 스마트플랫폼과 인터넷으로 연결된 중앙서버로 이루어진 설비 및 건축물 노후화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서버는 시설물 정보, 설비 정보, 연산규칙 및 제어규칙을 스마트플랫폼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플랫폼은 중앙서버의 연산규칙에 따라 설비 및 건축물의 상태효율을 분석하여 표출정보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플랫폼에서 분석한 상태효율 및 상태효율지수를 바탕으로 이상현상의 발견, 관리의 우선순위 및 리모델링 또는 교체의 시기를 판단하고 예측하되,
    설비의 상태효율지수는 설비의 노후도, 고장률, 운전율 및 경제성의 4가지 평균값으로서,
    상기 설비의 노후도는 고시 소비전력량에 대한 소비전력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상기 설비의 고장률은 측정횟수에 대한 적정사용량 초과 횟수의 비율로 계산되고;
    상기 설비의 운전율은 평균 전력사용량에 대한 설정기간 동안의 평균 전력사용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상기 설비의 경제성은 고시된 에너지 비용에 대한 실투입 에너지 비용의 비율로 계산되며,
    건축물의 상태효율지수는 건축물의 노후도, 고장률 및 경제성의 3가지 평균값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노후도는 연간 1차 에너지 소요량에 대한 연간 실에너지 사용량의 비율로 계산되고;
    상기 건축물의 고장률은 측정횟수에 대한 적정사용량 초과 횟수의 비율로 계산되고;
    상기 건축물의 경제성은 해당연도까지의 에너지비 누적에 대한 해당연도까지 수선교체비 누적의 비율로 계산되어,
    상기 상태효율지수의 크기와 증가율을 분석하여 건축물의 리모델링 여부를 판단하거나 리모델링 시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표출정보는 각 상태효율 항목 또는 상태효율지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정보는,
    안전구간은 운전현황파악 또는 외부환경변화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경계구간은 운전부하 또는 설비부하 확인을 지시하는 신호이고,
    위험구간은 정밀진단, 리모델링 또는 교체를 지시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11. 삭제
KR1020150027500A 2015-02-26 2015-02-26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54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00A KR101541484B1 (ko) 2015-02-26 2015-02-26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00A KR101541484B1 (ko) 2015-02-26 2015-02-26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484B1 true KR101541484B1 (ko) 2015-08-04

Family

ID=5388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500A KR101541484B1 (ko) 2015-02-26 2015-02-26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957B1 (ko) 2018-11-23 2020-04-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평가를 위한 데이터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0894A (ko) 2018-11-23 2020-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평가 시스템
KR20210107372A (ko) * 2020-02-24 2021-09-01 박찬우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497203B1 (ko) * 2022-07-06 2023-02-09 주식회사 샤인레즈 냉난방기에 대한 uvc, uva 및 led 샬균 모듈의 설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50B1 (ko) * 2011-07-21 2012-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관리 단말기 및 전력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50B1 (ko) * 2011-07-21 2012-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관리 단말기 및 전력 관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957B1 (ko) 2018-11-23 2020-04-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평가를 위한 데이터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0894A (ko) 2018-11-23 2020-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평가 시스템
KR20210107372A (ko) * 2020-02-24 2021-09-01 박찬우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301349B1 (ko) * 2020-02-24 2021-09-10 박찬우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497203B1 (ko) * 2022-07-06 2023-02-09 주식회사 샤인레즈 냉난방기에 대한 uvc, uva 및 led 샬균 모듈의 설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2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arbon emissions calculation for electrical devices
CN109709912B (zh) 基于物联网的能源管理控制方法及系统
US10223167B2 (en) Discrete resource management
Wang et al. Time-varying stochastic assessment of 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 based on load modeling
US20140249876A1 (en) Adaptive Stochastic Controller for Energy Efficiency and Smart Buildings
KR101683256B1 (ko)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144918A (ja) 空調機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371936A1 (en) System and methods to aggregate instant and forecasted excess renewable energy
KR101541484B1 (ko) 전력사용량 기반 상태효율 분석을 통한 설비 및 건축물의 노후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9454173B2 (en) Predictive alert system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US20130041853A1 (en) Valuat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JP2011122908A (ja) 分析装置及び計測管理システム
GB2492216A (en)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systems and methods
JP6202386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CN113206546A (zh) 超市电力设备的运行维护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0953687A (zh) 一种空调的健康度评价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164363B1 (ko) Bas와 fms가 통합된 지능형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지능형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의한 설비 관리 방법
KR20120108463A (ko) 건축물에 대한 lcc 및 lcco2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6332B1 (ko) 클라우드기반의 소규모 매장 전기에너지 절감을 위한 ems 서비스 시스템
KR20120074761A (ko)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arayanan et al. Systems approach to energy efficient building operation: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d in a university campus
KR101954645B1 (ko) 성과검증을 위한 기반정보시스템
Weiming Shen PhD Load forecasting and equipment sequencing in a central heating and cooling plant: a case study
KR102301349B1 (ko)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