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27B1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1427B1 KR101541427B1 KR1020130119604A KR20130119604A KR101541427B1 KR 101541427 B1 KR101541427 B1 KR 101541427B1 KR 1020130119604 A KR1020130119604 A KR 1020130119604A KR 20130119604 A KR20130119604 A KR 20130119604A KR 101541427 B1 KR101541427 B1 KR 101541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vy object
- locking
- lifting
- heavy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중량물을 리프팅 및/또는 턴 오버할 수 있는 중량물 취급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중량물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 지지홀을 갖는 지그 본체, 중량물을 리프팅하도록 지그 본체의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구, 및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리는 턴오버 스트링이 걸리도록 지그 본체의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된 턴오버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lifting and / or turning over a heavy object. The apparatus includes a jig body having a heavy support hole into which a heavy object is inserted, a lifting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two places of the jig body for lifting a heavy object, and at least one And a turn-over connector provided at one pl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물을 리프팅 하거나 턴 오버할 수 있는 중량물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lifting or turning over a heavy object.
일반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기계, 부품 또는 조립 제품과 같은 중량물들은 크레인, 호이스트 또는 지게차 등과 같은 중량물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지거나 임의의 위치까지 운반 또는 이동된다.In general, heavy objects such as heavy machinery, parts or assemblies are lifted or transported or moved to any position using heavy material handling devices such as cranes, hoists or forklifts.
이러한 중량물 운반 장치들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중량물을 거꾸로 뒤집거나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There are many difficulties when the heavy object is lifted upside down using such heavy object carriers or when it is rotated by an arbitrary angle.
종래에는 상술한 중량물 운반 장치에 체인 또는 밴드 등을 설치하여 중량물을 턴오버 시키거나 리프팅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중량물을 턴오버시킬 때 중량물이 출렁거림으로써 큰 충격이 발생하고, 중량물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턴오버 동작시 넓은 작업 공간이 필요하였다. Conventionally, the above-mentioned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hain or band to turn over or lift a heavy object. However, in such a case, when a heavy object is turned over, a large impact occurs due to a heavy swinging motion, and since the size of the heavy object is large, a wide working space is required in the turnover operation.
예를 들어, 중량물로서, 선박용 크랭크 샤프트는 대형 선박용 엔진에 구비되는 구조물이 있다. 크랭크 샤프트는 다수의 크랭크 쓰로우와 저널 샤프트가 서로 열박음 연결어 하나의 크랭크 샤프트를 이룬다. For example, as a heavy material,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marine crankshaft is provided in a large marine engine. The crankshaft forms a single crankshaft with a plurality of crank throws and journal shafts interconnecting each other.
즉, 크랭트 샤프트를 이루기 위해서 크랭크 쓰로우와 저널 샤프트간의 단독 열박음 공정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단독 열박음 작업이 완료된 단위 크랭크 샤프트를 다시 여러 개 조립함으로써 대형 선박에 사용되는 하나의 크랭크 샤프트가 완성된다.In other words, a single crushing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crank throw and the journal shaft to form the crankshaft, and a single crankshaft used for the large-sized ship is comple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crankshafts, do.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에 각각 연결된 크랭크 쓰로우 사이에 커넥팅 로드가 조립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해 준다.When the crankshaft rotates, the connecting rod is assembled between the crank throws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vert the rotary motion into the reciprocating motion.
이러한 크랭크 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랭크 샤프트를 구성하는 샤프트를 리프팅하거나, 단위 크랭크 샤프트가 적어도 2개 이상 조립된 크랭크 샤프트를 턴오버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crankshaft, it is necessary to perform lifting of a shaft constituting the crankshaft, or turnover of a crankshaft assembled with at least two unit crankshafts.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용이하게 리프팅 할 수 있는 중량물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vy-matter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ifting a heavy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용이하게 턴 오버할 수 있는 중량물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turning over a heavy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리프팅 기능 및 턴 오버 기능이 접목된 중량물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vy-matter handling apparatus in which a heavy object is combined with a lifting function and a turn-over func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을 따르면, 중량물이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중량물 지지홀을 갖는 지그 본체, 및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구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ig body including a jig body having a weight support hole with one side opened to insert a heavy object therein, and a lifting attachment including at least two lifting connectors provided at the jig body for lifting the heavy object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을 따르면, 중량물이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중량물 지지홀을 갖는 지그 본체, 및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림 가능토록 상기 지그 본체에 구비된 턴 오버 연결구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ig body including a jig main body having a weight supporting hole having one side opened to insert a heavy object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turnover connector provided on the jig body so as to lift one end of the heavy object A handl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을 따르면, 중량물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물 지지홀을 갖는 지그 본체,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구, 및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리는 턴오버 스트링이 걸리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된 턴오버 연결구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ig body comprising: a jig body having a weight supporting hole into which a heavy object is inserted; a lifting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two places of the jig body for lifting the heavy object; There is provided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a turn-over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jig main body so as to receive a turnover string.
상기 리프팅 연결구는 상기 지그 본체의 3개소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 연결구는 상기 지그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리프팅 연결구와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connector may be provided at three places of the jig main body, and the lifting connector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jig main body to the lifting connector is the same.
상기 리프팅 연결구는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 양측 및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heavy material support hole an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pening.
상기 리프팅 연결구는 상기 지그 본체의 둘레에 구비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연결핀을 매개로 결합되고 리프팅 스트링이 걸리는 리프팅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connector may include a support piece provided around the jig body, and a lifting ring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through a connection pin and hooked with a lifting string.
상기 턴 오버 연결구는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리도록 턴오버 스트링이 걸리는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1개소에 돌출된 스트링 지지축, 및 스트링 지지축의 말단에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urn-over connector may include a string support shaf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jig main body to which the turnover string is attached so as to lift up one end of the weight, and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ring support shaft.
상기 스트링 지지축은 상기 지그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2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ring supporting shafts may be disposed at two opposite positions of the jig main body.
상기 스트링 지지축은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상기 개구를 지나는 중심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And the string support shaft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weight support hole.
상기 스트링 지지축의 외주에는 회전 가능한 부시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 rotatable bush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support shaft.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측에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And a 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to prevent the heavy object from coming off by closing the opening.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 양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킹바, 및 상기 로킹바의 타단에 구비되고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접촉 지지되는 로킹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ing hole, and a locking plat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상기 중량물은 선박 등에 채용되는 크랭크 샤프트 또는 크랭크 샤프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박음이 수행될 스러스트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vy object may include a thrust shaft to be subjected to shrinkage to form a crankshaft or a crankshaft employed in ship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에 의하면, 중량물의 플랜지부가 지그 본체의 중량물 지지홀 주변에 접촉 유지되며, 예컨대 3점 지지에 의해 리프팅하여 중량물을 출렁거림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heavy object is kept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of the jig body, lifted by the three-point support, for example, Can be transpor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에 의하면, 중량물의 플랜지부가 지그 본체의 중량물 지지홀 주변에 접촉 유지되며 상방향으로 지지되는 턴오버 스트링에 간섭됨 없이 중량물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턴오버 동작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heavy object is held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of the body of the jig, and the heavy object is smoothly rotat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turnover string supported in the upward direction, Can be easily and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에 의하면, 지그 본체가 중량물의 외주에 끼워지는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측에 로킹 부재가 마련되어 중량물을 리프팅 하거나 턴오버 하는 동안 중량물이 지그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an opening side of a support hole for a heavy object to be fitted in the outer periphery of a heavy object, so that the heavy objec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jig body during lifting or turning-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지그 본체에 중량물을 리프팅할 수 있는 리프팅 연결구 및 중량물을 턴오버 할 수 있는 턴오버 연결구가 함께 구비되어 지그 수를 줄여 지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그수를 줄임에 따라 지그 보관 장소가 축소 가능하여 작업 공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jig body is provided with a lifting connector capable of lifting a heavy object and a turn-over connector capable of turning over a heavy object,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jigs, can do.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jig is reduced, the storage space of the jig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work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리프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턴 오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표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의 리프팅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장치의 턴오버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turnov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II display portion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mas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fting operation of the multi-weight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urn-over operation of the multi-mas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아래에서, '중량물'이라 함은 운반 등을 위하여 들어 올려지거나 턴오버 될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모든 물체로서 플랜지를 포함하는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the term 'heavy object' includes all objects including flanges as all heavy and bulky objects that are lifted or turned over for transport or the like.
이하에서는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 및 크랭크 샤프트를 이루는 스러스트 샤프트(thrust shaft)를 예로 한다.Hereinafter, a crankshaft and a thrust shaft constituting a crankshaft are exe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취급 장치(리프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vy object handling apparatus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중량물 리프팅 장치(1A)는 중량물(3)이 그 내부로 삽입되는 중량물 지지홀(11)을 갖는 지그 본체(10)를 포함한다. 중량물 지지홀(11)의 일측은 개구(11a)가 형성되어 중량물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지그 본체(1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그 둘레의 적어도 2개소에 리프팅 연결구(30)가 구비된다. The
리프팅 연결구(30)는 지그 본체(10)의 둘레에 구비된 지지편(31) 및 지지편(31)에 연결핀(33)을 통해 고정된 리프팅 고리(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지지편(31)은 지그 본체(10)의 둘레에 끼워지되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리프팅 연결구(30)는 지그 본체(10)의 둘레부 3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연결구(30)의 각각과 지그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여기서, 하나의 리프팅 연결구(30a)는 개구(11a)를 지나는 중심축(C) 상에서 개구(11a)의 타측에 구비되고, 또 다른 2개의 리프팅 연결구(30b,30c)는 개구(11a)의 양측에 배치되어 삼각형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Here, on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량물(3)을 수평 상태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리프팅 고리(35)에는 크레인(미도시)이 연결된 리프팅 스트링(41), 예컨대 금속 체인 등이 걸릴 수 있다. The
중량물(3)은 몸체 둘레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갖는 물체로서 대형 선박에 채용되는 크랭크 샤프트를 구성하는 스러스트 샤프트가 될 수 있다. The
스러스트 샤프트(3)의 몸체는 중량물 지지홀(11)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러스트 샤프트(3)의 플랜지부(3a)가 중량물 지지홀(11)의 주위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The body of the
중량물 리프팅 장치(1A)는 지그 본체(10)의 개구(11a) 양측에 구비되어 중량물 지지홀(11)에 삽입된 중량물, 즉 스러스트 샤프트(3)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5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The
로킹 부재(50)는 중량물 지지홀(11)의 개구(11a) 양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킹바(51) 및 로킹바(51)의 타단에 구비되고 체결 부재(53)를 통해 서로 접촉 지지되는 로킹 플레이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지그 본체(10)의 개구(11a)측 양측에는 로킹바(51)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롯(13)이 마련되고, 슬롯(13)에 삽입된 로킹바(51)의 일단은 지지축(58)에 의해 회전가능케 지지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로킹바(5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 플레이트(55)가 인접된 상태를 이루며 체결부재(53) 예컨대, 체결볼트, 고정핀 등을 로킹 플레이트(55)에 형성된 체결홀(55a)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또 다르게는 로킹 플레이트(55)에 별도의 자석 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separate magnet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턴오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Ⅲ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vy object turn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III display portion of FIG.
도 2에서 지그 본체(10) 및 로킹 부재(5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2, the structure of the j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량물 턴오버 장치(1B)는 그 내부에 중량물, 예컨대 크랭크 샤프트(8)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중량물 지지홀(11)을 갖는 지그 본체(10)와, 지그 본체(10)의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된 턴오버 연결구(7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heavy-
턴오버 연결구(70)는 지그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크랭크 샤프트(8)의 일단을 들어올리는 턴오버 스트링(43)이 걸리는 스트링 지지축(71), 스트링 지지축(71)의 말단에 연결되어 턴오버 스트링(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스트링 지지축(71)의 외부에는 회전 가능한 부시 부재(75, bush)가 추가로 구성되어 크랭크 샤프트(8)를 턴오버 할 경우 턴오버 스트링(21)을 중심으로 크랭크 샤프트(8)가 쉽게 턴오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A
이와 같이 구성된 턴오버 연결구(70)는 지그 본체(10)의 둘레의 2개소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턴오버 연결구(70)는 중량물 지지홀(11)의 개구(11a)를 지나는 상기 지그 본체(10)의 중심축(C)과 직교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8)를 보다 안정적으로 턴오버 할 수 있다. The turn-ov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중량물 턴오버 장치(1B)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대상물 예컨대 선박에 채용되는 크랭크 샤프트(8)를 유용하게 턴오버 할 수 있다.A
크랭크 샤프트(8)는 저어널 샤프트(6a)에 크랭크 쓰로우(6b)가 열박음되어 단위 크랭크 샤프트(6)를 이루고, 그 단위 크랭크 샤프트(6)가 복수개 연결되어 하나의 크랭크 샤프트(8)를 이룬다. The
크랭크 샤프트(8)를 이루는 일단부에는 스러스트 샤프트(3)가 결합된다. A thrust shaft (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rankshaft (8).
이와 같이 구성된 크랭크 샤프트(8)를 턴오버 시킬 경우 저어널 샤프트(6a) 부근이 중량물 지지홀(11)의 내부에 삽입되고, 크랭크 쓰로우(6b)의 일면이 중량물 지지홀(11)의 주변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When the
그리하여 턴오버 스트링(43)을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에 걸어 크랭크 샤프트(8)의 일단을 들어올린 후 턴오버 가능케 된다. Thus,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ulti-mas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1C)는 중량물을 리프팅 하는 기능 및 중량물을 턴오버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multi-heavy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1C)는 도 1의 중량물 리프팅 장치(1A) 및 도 2의 중량물 턴오버 장치(1B)를 접목시켜 중량물 리프팅 기능 및 중량물 턴오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도 4에 도시된 지그 본체(10), 리프팅 연결구(30), 로킹 부재(50), 및 턴오버 연결구(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1 to FIG. 3,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1C)를 통해 스러스트 샤프트(3)가 리프팅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5를 참조하면, 스러스트 샤프트(3)의 몸체를 지그 본체(10)의 개구(11a)를 통해 삽입하고 스러스트 샤프트(3)의 플랜지부(3a)가 중량물 지지홀(11)의 주변의 지그 본체(10)의 일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5, the body of the
다음, 로킹 부재(50)의 로킹바(51)를 서로를 향하여 마주하도록 회전시켜 로킹 플레이트(55)를 접촉시킨다. Next, the locking bars 51 of the locking
로킹 플레이트(55)가 접촉되면 체결부재(55) 예컨대, 체결볼트 또는 체결핀 등을 이용하여 로킹 플레이트(55)에 마련된 체결홀(55a)에 삽입하여 두 개의 로킹 플레이트(55)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When the locking
스러스트 샤프트(3)를 리프팅 하기 위한 리프팅 스트링(41)을 지그 본체(10)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리프팅 고리(35)에 연결한다. The lifting
크레인,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리프팅 스트링(41)의 중심을 걸어서 지그 본체(10)에 지지된 스러스트 샤프트(3)를 들어올린다. The
이때, 리프팅 스트링(41) 각각은 지그 본체(10)의 3개소에서 지지되어 지그 본체(10)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그 본체(10)의 세로 중심축(V)상에서 지지된다. 즉, 리프팅 스트링(41)은 대략 피라미드 형상으로 지지된다. Each of the lifting strings 41 is supported at three places of the jig
그 결과, 스러스트 샤프트(3)는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균형 잡힌 상태로 스러스트 샤프트(3) 운송이 가능하다. As a resul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스러스트 샤프트(3)가 지지된 지그 본체(10)를 이송하는 동안 로킹 부재(50)는 개구(11a)를 폐쇄하여 스러스트 샤프트(3)가 지그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locking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를 통해 중량물이 턴오버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6A to 6C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turning over a heavy object through a multi-object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먼지 중량물인 크랭크 샤프트(8)를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1C)의 지그 본체(10) 내로 삽입한다. Referring to Fig. 6A, the
보다 구체적으로, 크랭크 샤프트(8)의 일단부측에 배치된 단위 크랭크 샤프트(6)의 저어널 샤프트(6a)를 지그 본체(10)의 개구(11a)를 통해 삽입한 후 크랭크 쓰로우(6b)의 일면이 지그 본체(10)의 중량물 지지홀(11) 주변에 접촉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after inserting the
다음, 로크 부재(50)를 록킹하여 지그 본체(10)의 개구(11a)를 폐쇄한다. Next, the locking
이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8)의 일단부측을 지그 본체(10)에 결합한 상태에서 턴오버 연결구(70)의 스트링 지지축(71)상에 턴오버 스트링(43)을 연결한다. The
스트링 지지축(71)에 연결된 턴오버 스트링(43)을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등의 후크에 걸어 크랭크 샤프트(8)을 수직으로 세운다. The
도 6b를 참조하면, 지그 본체(10)에 결합된 크랭크 샤프트(8)의 타단 즉, 스러스트 샤프트(3)측을 턴오버 장의 지면에 놓고 화살표 방향(A)을 따라 서서히 눕힌다. 6B, the other end of the
스트링 지지축(71)의 외주에 회전가능케 결합된 부시 부재(75)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8)를 회전시켜 눕힘 동작을 행하는 동안 상방향으로 지지되는 턴오버 스트링(43)에 간섭되지 않아 원활한 턴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한편, 이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8)를 회전시켜 턴오버 동작을 행하는 동안 스트링 지지축(71)의 말단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73)에 의해 턴오버 스트링(43)은 스트링 지지축(7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The
도 6c를 참조하면, 턴오버 스트링(43)에 지지된 크랭크 샤프트(8)를 계속시켜 지면과 대략 나란하게 눕힌다. 이때, 지면에 설치된 지지 블럭(B)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8)가 지지되어 턴오버 동작을 완료한다. Referring to FIG. 6C,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멀티 중량물 취급 장치(1C)에 의하면, 중량물을 리프팅 하고 턴오버 하는 2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지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그 보관 장소를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heavy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A,1B,1C: 중량물 취급 장치 10: 지그 본체
11: 중량물 지지홀 11a: 개구
3: 스러스트 샤프트 8: 크랭크 샤프트
30: 리프팅 연결구 31: 지지편
33: 연결핀 35: 리프팅 고리
41: 리프팅 스트링 43:턴오버 스트링
50: 로킹 부재 51: 로킹바
55: 로킹플레이트 70: 턴오버 연결구
71: 스트링 지지축 73: 지지 플레이트
75: 부시부재1A, 1B, 1C: heavy object handling device 10: jig body
11: Heavy
3: thrust shaft 8: crankshaft
30: lifting connector 31:
33: connecting pin 35: lifting ring
41: lifting string 43: turnover string
50: locking member 51: locking bar
55: locking plate 70: turnover connector
71: string support shaft 73: support plate
75: Bush member
Claims (26)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구; 및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킹바;
상기 로킹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로킹 플레이트; 및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바와 접촉하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비 로킹 시에 상기 개구를 지나는 중심축과 소정의 각을 이루며 경사지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상기 접촉면은 로킹 시에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A jig main body having a weight supporting hole with one side opened to allow the heavy material to be inserted therein;
A lifting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two points of the jig body for lifting the heavy object; And
And a locking member closing an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to prevent the heavy object from coming off,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locking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A locking plat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And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locking plate to fix the locking plate,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contacting the locking ba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t the time of non-locking, is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t the time of locking and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상기 지그 본체의 둘레에 구비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연결핀을 매개로 결합되고 리프팅 스트링이 걸리는 리프팅 고리
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connector
A supporting piece provided around the jig body; And
A lifting ring coupled to the supporting piece via a connecting pin and hooked to the lifting string,
Wherein the weight of the heavy-weight material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greater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림 가능토록 상기 지그 본체에 구비된 턴 오버 연결구; 및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킹바;
상기 로킹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로킹 플레이트; 및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바와 접촉하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비 로킹 시에 상기 개구를 지나는 중심축과 소정의 각을 이루며 경사지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상기 접촉면은 로킹 시에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 A jig main body having a weight supporting hole whose one side is opened so that a heavy objec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A turn-over connector provided on the jig body to lift one end of the heavy object; And
And a locking member closing an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to prevent the heavy object from coming off,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locking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A locking plat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And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locking plate to fix the locking plate,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contacting the locking ba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t the time of non-locking, and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t the time of locking and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리도록 턴오버 스트링이 걸리는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1개소에 돌출된 스트링 지지축; 및
상기 스트링 지지축의 말단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turn-
A string supporting shaf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jig main body to which a turnover string is applied so as to lift up one end of the weight; And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tring support shaft
Containers containing heavy materials.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구;
상기 중량물의 일단을 들어올리는 턴오버 스트링이 걸리도록 상기 지그 본체의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된 턴오버 연결구; 및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중량물 지지홀의 개구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킹바;
상기 로킹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로킹 플레이트; 및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바와 접촉하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비 로킹 시에 상기 개구를 지나는 중심축과 소정의 각을 이루며 경사지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상기 접촉면은 로킹 시에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로킹바의 상면과 직교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A jig body having a heavy support hole into which a heavy object is inserted;
A lifting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two points of the jig body for lifting the heavy object;
A turnover connector provided at at least one portion of the jig body so as to receive a turnover string for lifting one end of the heavy object; And
And a locking member closing an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to prevent the heavy object from coming off,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locking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heavy object support hole;
A locking plat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ar; And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locking plate to fix the locking plate,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contacting the locking ba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t the time of non-locking, is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t the time of locking and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ar.
상기 턴오버 연결구는 상기 개구를 지나는 상기 중량물의 중심축과 직교되게 배치된 중량물 취급 장치.2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said lifting connecto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said opening of said heavy object support hole and on the other side of said opening,
Wherein the turnover connector is disposed orthogonal to a center axis of the heavy articl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상기 지그 본체의 둘레에 구비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연결핀을 매개로 결합되고 리프팅 스트링과 연결되는 리프팅 고리
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 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lifting connector
A supporting piece provided around the jig body; And
A lifting ring coupled to the lifting string via a connecting pin,
Wherein the weight of the heavy-weight material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greater
상기 스트링 지지축의 말단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중량물 취급 장치. 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turn-over connector comprises: a string support shaft protruded from the jig main body so as to receive a turnover string for lifting one end of the heavy article;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ing support shaft,
Wherein the weight of the heavy-weight material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greater
19. The heavy-matter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heavy object includes a crankshaft of the ship or a thrust shaft constituting the crank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9604A KR101541427B1 (en) | 2013-10-08 | 2013-10-08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9604A KR101541427B1 (en) | 2013-10-08 | 2013-10-08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1287A KR20150041287A (en) | 2015-04-16 |
KR101541427B1 true KR101541427B1 (en) | 2015-08-03 |
Family
ID=530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9604A KR101541427B1 (en) | 2013-10-08 | 2013-10-08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142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0823A (en) * | 2019-12-23 | 2021-07-01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A jig structur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iston of compres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97541B1 (en) * | 2019-06-20 | 2022-03-18 | Nge Fond | Lifting clamp for concrete reinforcement or simila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1326Y1 (en) * | 2006-08-29 | 2006-11-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turnover apparatus for crank throw |
JP2011241084A (en) * | 2010-05-20 | 2011-12-01 | Ohbayashi Corp | Wal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
-
2013
- 2013-10-08 KR KR1020130119604A patent/KR10154142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1326Y1 (en) * | 2006-08-29 | 2006-11-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turnover apparatus for crank throw |
JP2011241084A (en) * | 2010-05-20 | 2011-12-01 | Ohbayashi Corp | Wal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0823A (en) * | 2019-12-23 | 2021-07-01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A jig structur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iston of compressor |
KR102350875B1 (en) * | 2019-12-23 | 2022-01-13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A jig structur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iston of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1287A (en) | 2015-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6387B2 (en) | Positioning mechanism | |
KR101541427B1 (en) |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object | |
CN102807151B (en) | Handheld boom lifting appliance | |
WO2006032182A1 (en) | Pallet container | |
US20060055188A1 (en) | Load-receiving device | |
KR102115889B1 (en) | Transporting apparatus and transporting method | |
KR101516296B1 (en) | Turnover jig for block | |
KR101590789B1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 turnover jig and mothod for fixing the block thereof | |
KR101988349B1 (en) | Structure for Openable Carrier rack of Lentinula timbers | |
CN110304354B (en) | Hard open top container | |
KR101437223B1 (en) | Turnover of the block construction | |
KR102006693B1 (en) | Adjustable and Changeable Shackle | |
KR100510991B1 (en) | A block turn-over method by a floating crane and crawler cranes | |
JPH07144873A (en) | Method and device for overturning segment | |
JP2016159991A (en) | Workpiece suspension tool and workpiece suspension method | |
JP2005201104A (en) |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 |
JP6307808B2 (en) | Bearing jig device | |
WO2022264497A1 (en) | Backstop | |
JP6762517B2 (en) | Transport stand | |
JP2020007126A (en) | Crane attachment | |
KR200481861Y1 (en) | Magnetic crane | |
US20240083730A1 (en) |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manhole covers | |
JP2020033724A (en) | Temporary suspension scaffold and scaffold panel theref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JP3269769B2 (en) | Retaining device for slewing bearing fixing bolt of construction machine and transport structure of slewing bearing | |
KR101685036B1 (en) | Versatile palet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