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21B1 - 조임너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임너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21B1
KR101541321B1 KR1020140087433A KR20140087433A KR101541321B1 KR 101541321 B1 KR101541321 B1 KR 101541321B1 KR 1020140087433 A KR1020140087433 A KR 1020140087433A KR 20140087433 A KR20140087433 A KR 20140087433A KR 101541321 B1 KR101541321 B1 KR 10154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unit includes
collet
inner diame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오
조병훈
황창환
박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정공
Priority to KR102014008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목과,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목보다 큰 외경을 갖는 몸통을 구비하는 콜렛을 공구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어셈블리로서, 중공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너트 유닛; 및 상기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 유닛이 상기 공구홀더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몸통의 선단면인 걸림턱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임너트 어셈블리{CLAMPING NUT ASSEMBLY}
본 발명은 콜렛을 공구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렛척과 같은 공구홀더는 조임너트에 의해 콜렛과 압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구홀더에 콜렛을 삽입한 후, 공구홀더의 나사부에 조임너트를 체결하면, 조임너트가 콜렛을 가압하면서 콜렛과 공구홀더가 상호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콜렛은 일반적으로 선단부인 헤드, 공구홀더에 삽입되는 몸통, 및 헤드와 몸통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임너트는 콜렛의 헤드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임너트가 몸통보다 변형률이 상대적으로 큰 헤드를 가압하게 되어, 절삭 가공시 콜렛에 장착된 절삭공구가 미세하게 흔들릴 수 있고, 이에 의해 가공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테이퍼 형의 헤드를 갖는 콜렛의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임너트는 일반형 너트, 및 제트 쿨런트용 너트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들은 양자 간의 구성이 상이하여 상호 호환될 수 없으므로, 쿨런트의 분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조임너트를 통째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반형 너트와 함께 제트 쿨런트용 너트를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렛을 공구홀더에 견고하게 압착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공구홀더에 쿨런트 분사 기능을 부가할 있는, 조임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조임너트 어셈블리는, 걸림목과,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목보다 큰 외경을 갖는 몸통을 구비하는 콜렛을 공구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어셈블리로서, 중공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너트 유닛; 및 상기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 유닛이 상기 공구홀더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몸통의 선단면인 걸림턱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디스크 부재; 및 상기 디스크 부재에 그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상기 걸림목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갖는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양 면 중 상기 플랜지의 반대편 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콜렛에 삽입되는 절삭공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밀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된 상기 콜렛의 헤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착홀이 형성되는 원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밀착홀의 내주면에 상기 실링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쿨런트 분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부재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갖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둘레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걸림턱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부재는, 상기 플랜지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중앙홀을 향해 변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조임너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가압 유닛이 콜렛의 몸통의 걸림턱을 직접 가압하도록 형성되므로, 콜렛을 공구홀더에 견고하게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압 유닛은 변위 가능한 디스크 부재를 가지므로, 걸림턱을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콜렛에 장착된 절삭공구와 공구홀더 상호간의 동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련된 조임너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가압 유닛은 쿨런트 분사홈을 포함할 수 있고, 너트 유닛의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가압 유닛 만을 교체함으로써 공구홀더에 쿨런트 분사 기능을 부가할 있다. 또한, 너트 유닛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임너트 어셈블리(100)는 너트 유닛(110), 및 가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 유닛(110)은 바디(111), 플랜지(115), 암나사부(117), 및 안착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의 내부에 중공부(112)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15)는 바디(111)의 내주면(113)에서 중공부(112)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15)는 중앙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홀(116)은 후술하는 콜렛(C)의 걸림턱(Cj)의 외경(D1)보다 큰 내경(D2)을 가질 수 있다.
암나사부(117)는 바디(111)의 내주면(113)에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117)는 공구홀더(H)의 나사부(Hs)와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119)는 암나사부(117)와 플랜지(1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9)는 후술하는 디스크 부재(131)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가압 유닛(130)은 디스크 부재(131), 중공홀(135), 평탄면(137), 및 가이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부재(131)는 대략 원판의 형태를 가지며, 중공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부재(131)는 중공부(112)를 통해 삽입되어, 안착부(119)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부재(131)는 플랜지(115)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홀(135)은 디스크 부재(131)에 그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중공홀(135)은 콜렛(C)의 걸림목(Cn)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평탄면(137)은 디스크 부재(131)의 양 면 중 플랜지(115)의 반대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부재(131)는 플랜지(115)와 마주하는 전면(132)과, 전면(132)의 반대편 면인 후면을 포함할 수 있고, 평탄면(137)은 이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9)는 디스크 부재(131)의 평탄면(137)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9)는 디스크 부재(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115)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콜렛(C)은 헤드(Ch), 걸림목(Cn), 및 몸통(Cb)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목(Cn)은 헤드(Ch)와 몸통(Cb)을 상호 연결하며, 헤드(Ch) 및 몸통(Cb)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몸통(Cb)은 걸림턱(Cj), 및 슬롯(Cs)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Cj)은 걸림목(Cn)에서 그의 방사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Cs)은 몸통(C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 유닛(130)은 암나사부(117) 측에서 안착부(119)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유닛(130)은 디스크 부재(1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139)를 가지므로, 디스크 부재(131)의 둘레면(133)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안착부(119)까지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가압 유닛(130)이 안착부(119)에 삽입되면, 디스크 부재(131)의 전면(132)이 플랜지(115)와 맞닿게 된다.
콜렛(C)은 그의 헤드(Ch)가 가압 유닛(130)의 중공홀(135)을 통해 삽입되면서 가압 유닛(130)에 장착될 수 있다. 콜렛(C)이 장착되면, 너트 유닛(110)이 공구홀더(H)에 체결될 수 있다.
너트 유닛(110)이 체결되면, 플랜지(115)가 디스크 부재(131)의 전면(13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부재(131)의 평탄면(137)은 몸통(Cb)의 걸림턱(Cj)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탄면(137)이 헤드(Ch)보다 상대적으로 변형률이 작은 몸통(Cb)을 직접 가압할 수 있으므로, 몸통(Cb)이 공구홀더(H)와 보다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절삭 가공시 절삭공구(T)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평탄면(137)이 수평한 형태의 걸림턱(Cj)과 면접촉하게 되므로, 걸림턱(Cj)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115)의 중앙홀(116)은 전술한 것과 같이 걸림턱(Cj)의 외경(D1)보다 큰 내경(D2)을 가지므로, 플랜지(115)로부터 걸림턱(Cj)으로 전달되는 힘은 디스크 부재(131)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부재(131)는 전술한 것과 같이 플랜지(115)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므로, 걸림턱(Cj)과 직접 맞닿는 영역이 중앙홀(116)을 향해 미세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탄면(137)과 걸림턱(Cj)의 사이에 공차 등으로 인해 상호 접촉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한 경우에도, 직접 맞닿는 디스크 부재(131)의 영역이 미세 변위됨으로써, 접촉되지 않는 영역을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부재(131)는 걸림턱(Cj)을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콜렛(C)에 장착된 절삭공구(T)와 공구홀더(H) 상호간의 동심도(concentric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가압 유닛(130)은 실링부(141), 및 고정 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41)는 디스크 부재(131)의 둘레면(133)과 안착부(119)의 내주면(113)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141)는 오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크 부재(131)의 둘레면(133)과 안착부(119)의 내주면(113)에는 실링부(141)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절삭 가공시 공작물로부터 되튀어 나오는 미세 칩(chip) 또는 기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3)는 안착부(119)의 내주면(1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3)는 "C"형 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43)는 가압 유닛(130)의 가이드부(139)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압 유닛(130)이 안착부(119)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가압 유닛(130')은 전술한 디스크 부재(131), 중공홀(135), 평탄면(137), 가이드부(139) 이외에, 실링 부재(145), 밀착홀(148), 및 쿨런트 분사홈(149)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145)는 원통부(146) 및 원판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146)는 디스크 부재(131)의 전면(132)에서 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146)는 콜렛(C)의 헤드(Ch)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원판부(147)는 원통부(146)에서 연장 형성되고, 디스크 부재(131)와 대체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밀착홀(148)은 원판부(147)의 중앙에 그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밀착홀(148)은 절삭공구(T)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쿨런트 분사홈(149)은 밀착홀(148)의 내주면에 원판부(147)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쿨런트 분사홈(149)은 밀착홀(148)의 내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쿨런트 분사홈(149)은 반원형 또는 호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콜렛(C)은 그의 헤드(Ch)가 가압 유닛(130')의 중공홀(135)을 통해 삽입되면서 가압 유닛(130')에 장착될 수 있다. 콜렛(C)이 장착되면, 절삭공구(T)는 실링 부재(145)의 밀착홀(148)을 통해 콜렛(C)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홀(148)은 절삭공구(T)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므로, 밀착홀(148)의 내면과 절삭공구(T)의 외면 사이에는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콜렛(C)의 슬롯(Cs)을 따라 유입되는 쿨런트는 밀착홀(148)의 내주면과 절삭공구(T) 사이의 실링에 의해 차단되고, 쿨런트 분사홈(149)을 통해서만 분사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는 제트 쿨런트(jet coolant)용 조임너트처럼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너트 유닛(11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너트 유닛(11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닛(13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너트 유닛(110)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유닛(130') 만을 교체함으로써 조임너트 어셈블리(100")를 일반형 또는 쿨런트 분사용 조임너트로 사용할 수 있고, 너트 유닛(110)을 공유할 수 있어 비용 효율면에서 우수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압 유닛(130')도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실링부(141), 및 고정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141)는 전술한 것과 같이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쿨런트의 누출을 방지하여 쿨런트의 내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실링부(141)와 고정 부재(143)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실링부(141)와 고정 부재(143)는 필요에 따라 택일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조임너트 어셈블리(100""')는 그의 가압 유닛(130"')이 도 6의 조임너트 어셈블리(100"")의 가압 유닛(130")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쿨런트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 유닛(130")은 수나사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부(138)는 디스크 부재(131)의 둘레면(1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수나사부(138)는 너트 유닛(110')의 암나사부(117)와 동일한 피치 및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너트 유닛(110')의 안착부(119')는 암나사부(117)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유닛(130")은 그의 수나사부(138)가 너트 유닛(110')의 암나사부(117)와 체결되면서 너트 유닛(110')과 착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작업시 제트 쿨런트의 분사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가압 유닛(130")을 수나사부(138)와 암나사부(117) 사이의 체결 해제 과정을 통해 제거하고, 도 7에 도시된 쿨런트 분사홈(149)을 가진 또 다른 형태의 가압 유닛(130"')을 수나사부(138)와 암나사부(117) 사이의 체결 과정을 통해 안착부(119')에 장착함으로써,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너트 유닛(110')의 암나사부(117)는 안착부(119')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므로, 가압 유닛(130")은 그의 수나사부(138)가 너트 유닛(110')의 암나사부(117)와 맞추어져 체결 해제되지 않는 이상, 안착부(119')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수나사부(138)는 그의 외경이 암나사부(117)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안착부(119')는 수나사부(138)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나사부(138)의 외면과 안착부(119')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압 유닛(130")은 안착부(119')에서 비교적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임너트 어셈블리(100"")가 콜렛(C) 및 공구홀더(H)와 체결되는 경우에, 평탄면(137)과 걸림턱(Cj, 도 7 참조)의 사이에 소정의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가압 유닛(130")이 일정량 만큼 변위되면서 평탄면(137)이 걸림턱(Cj)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탄면(137)은 걸림턱(Cj)을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콜렛(C)에 장착된 절삭공구(T)와 공구홀더(H) 상호간의 동심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임너트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조임너트 어셈블리
110: 너트 유닛 111: 바디
115: 플랜지 117: 암나사부
119: 안착부 130: 가압 유닛
131: 디스크 부재 135: 중공홀
137: 평탄면 139: 가이드부
145: 실링 부재 148: 밀착홀
149: 쿨런트 분사홈

Claims (14)

  1. 걸림목과,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목보다 큰 외경을 갖는 몸통을 구비하는 콜렛을 공구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 어셈블리로서,
    중공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너트 유닛; 및
    상기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 유닛이 상기 공구홀더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몸통의 선단면인 걸림턱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걸림목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갖는 중공홀을 가지는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걸림턱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양 면 중 상기 플랜지의 반대편 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을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콜렛에 삽입되는 절삭공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밀착홀을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디스크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된 상기 콜렛의 헤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착홀이 형성되는 원판부를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밀착홀의 내주면에 상기 실링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쿨런트 분사홈을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부재의 외경과 대응하는 사이즈의 내경을 갖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둘레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부재는,
    상기 플랜지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중앙홀을 향해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유닛은,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조임너트 어셈블리.
KR1020140087433A 2014-07-11 2014-07-11 조임너트 어셈블리 KR10154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33A KR101541321B1 (ko) 2014-07-11 2014-07-11 조임너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33A KR101541321B1 (ko) 2014-07-11 2014-07-11 조임너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321B1 true KR101541321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33A KR101541321B1 (ko) 2014-07-11 2014-07-11 조임너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183A (zh) * 2018-06-07 2018-10-19 绵竹市凯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应用于薄片件的夹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585A (ja) * 1999-02-26 2000-09-12 Kuroda Precision Ind Ltd 工具ホル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585A (ja) * 1999-02-26 2000-09-12 Kuroda Precision Ind Ltd 工具ホル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183A (zh) * 2018-06-07 2018-10-19 绵竹市凯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应用于薄片件的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2900B2 (ja) 工具ホルダ
KR101075292B1 (ko) 절삭 공구
JP6436322B2 (ja) 切削インサート固定部材および切削工具
US9022393B2 (en) Cutting tool lock nut having grooved collet-locking surface and cutting tool incorporating same
JP2016529127A5 (ko)
US7819723B2 (en) Retainer ring and polishing machine
US20090022553A1 (en) Clamping tool holder
KR101541321B1 (ko) 조임너트 어셈블리
JP2009214234A (ja) バリ取り工具
WO2010083064A3 (en) Clamping tool holder
US6457914B1 (en) Clamping tool holder
KR20150037433A (ko) 쿨런트 노즐장치
KR20120116107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US10618118B2 (en) Chuck with automatic positioning collet
KR101642016B1 (ko) 브러쉬 홀딩 디바이스
KR20160002129U (ko) 콜릿 척
JP5120734B2 (ja) 工具ホルダー
FR3100469A1 (fr) Bride de maintien d’un bloc de matière sur une table d’usinage, dispositif de bridage comprenant ladite bride et procédé de bridage d’un bloc de matière sur une table d’usinage
KR102086702B1 (ko) 절삭공구 홀더용 콜렛
US20210170505A1 (en) Rotary cutting tool
US20170021432A1 (en) Firmly assembled high-precision cutter holder
US10239190B2 (en) Release mechanism for clamping tools
TWI577470B (zh) 導引式筒夾
KR101239405B1 (ko) 급수호스 홀더
KR200471143Y1 (ko) 범용 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