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661B1 -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661B1
KR101540661B1 KR1020080071199A KR20080071199A KR101540661B1 KR 101540661 B1 KR101540661 B1 KR 101540661B1 KR 1020080071199 A KR1020080071199 A KR 1020080071199A KR 20080071199 A KR20080071199 A KR 20080071199A KR 101540661 B1 KR101540661 B1 KR 10154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mode
compression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284A (ko
Inventor
변상명
김상모
최호림
김정훈
노태영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661B1/ko
Priority to CN2009801311109A priority patent/CN102119277A/zh
Priority to US13/055,189 priority patent/US9429158B2/en
Priority to PCT/KR2009/004059 priority patent/WO2010011081A1/ko
Priority to EP09800562.2A priority patent/EP2317147B1/en
Publication of KR2010001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압축기 인가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여 압축기가 연속 운전되도록 하는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저전압으로 인해 압축기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 전원이 반복적으로 온/오프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기, 공기조화기, 전압, 운전모드

Description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COMPRESSOR THEREIN}
본 발명은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 사정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압축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주로 에어콘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적용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에어콘 등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압축기에서 용량을 가변하는 기술로는 인버터 모터를 채용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기술과, 베인을 기구적으로 제어하여 공회전시키는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먼저, 상기 인버터 모터를 채용한 기술은 상기 인버터 모터가 고가여서 원가 부담이 크고, 난방조건에서의 냉동능력을 높이는 것에 비해 냉방조건에서의 냉동능력을 높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베인을 기구적으로 제어하여 공회전시키는 기술은 두가지의 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첫번째 방식은 실린더의 압축공간으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가변 시켜 상기 베인이 구속/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식은 상기 베인의 후면에 가세되는 압력을 가변하면서 상기 베인이 구속/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기의 경우에 있어서 전압 사정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흔히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기의 기동력이 부족하여 압축기를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압축기 전원이 오프되는 일정 시간 동안은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냉방효과가 없어 지게 되므로 쾌적 냉방 실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위 온도가 높으면 압축기가 정지함으로써 압축기 전원이 오프되는 일정 시간 동안은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냉방효과가 없어 지게 되므로 쾌적 냉방 실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압축기 전원이 온/오프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소비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압축기 전원이 온/오프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위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서 압축기가 파워모드로 연속 운전됨으로써 야간에는 과도 냉방이 이루어져 쾌적 냉방이 되지 않고, 큰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인가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을 근거로 공기조화기를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여 압축기가 연속 운전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및 공기조화기의 신뢰성 및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하도록 한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 온도 또는 주위 온도를 검출하여 공기조화기를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및 공기조화기의 신뢰성 및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하도록 한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축공간을 가지며 압축기 인가전압에 따라 파워모드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압축공간은 공회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되는 압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 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압축유닛은 미리 설정된 시간영역 중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운전 모드 중 하나로, 예를 들어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영역은 일 예로 평균온도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압축유닛은 그 압축유닛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매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공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갖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때 상기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전압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미만부터 제2 기준전압 이상까지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가지는 압축기, 및 하나 이상의 시간영역이 설정되고, 그 시간영역별로 압축기의 운전모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시간영역 중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영역은 일 예로 평균온도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갖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실측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온도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실측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실측온도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검출유닛은 압축기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그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거나, 공기 조화되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저전압으로 인해 압축기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쾌적 냉방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전원이 반복적으로 온/오프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주위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대에서 특정 운전모드로 압축기가 운전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야간에 과도 냉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쾌적 냉방이 되고,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갖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유닛(30)과,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유닛(20)을 포함한다. 또한, 냉매의 배분 및 순환을 제어하는 실외기(40) 및 상기 실외기(40)와 공유되어 각 실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때 상기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되는 전압 값으로서, 압축기 구동 가능 전압 범위를 벗어나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압축기 구동 가능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압축기 구동에 장애가 될 정도로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에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하는 전압 값이다. 예를 들어, 상용 전원의 전압이 220V이고, 압축기 구동 가능 전압 범위가 187~253V인 경우에 기준전압을 200V로 설정한 다음, 압축기 인가전압이 200V보다 작은 전압이 인가되면 압축기를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압축기를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는 경우에 파워모드로 운전하는 경우보다 작은 전압이 필요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압축기 구동 가능 전압 범위를 확장하여 기준전압을 180V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기준전압보다 저전압이 발생한 경우에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한다.
상기 파워모드(Power Mode)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하는 압축기 운전모드이고, 상기 세이빙모드(Saving Mode)는 상기 파워모드의 압축용량 중 0 이상 100 % 미만의 범위 내의 압축용량으로 운전하는 압축기 운전모드이다. 운전 조건에 따라, 세이빙모드에 최대 압축용량의 20, 40, 60, 80% 등으로 설정하여 압축기를 운전하나, 흔히 50%로 압축용량을 설정한 다음 운전하도록 한다. 이를 two-stage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모드 및 세이빙모드의 two-stage를 기초로 한다. 다만, 두 가지의 모드로 나누는 모든 전기적 또는 기계적 수단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검출 유닛(30)에서 검출된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전압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제어한다. 여기서, 실측온도 검출주기는 실측온도를 검출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인가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10)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미만부터 제2 기준전압 이상까지이면 상기 압축기(10)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10)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전압 및 제2 기준전압은 압축기(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10)를 구동 가능한 전압을 미리 측정하여 설정된 전압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은 하나 이상의 시간영역이 설정되고, 그 시간영역별로 압축기의 운전모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시간영역 중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갖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유닛(30)과,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 출된 인가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유닛(20)과,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실측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유닛(60)을 포함한다. 또한, 냉매의 배분 및 순환을 제어하는 실외기(40) 및 상기 실외기(40)와 공유되어 각 실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때 상기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하기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즉 정상 전압인 때에는 상기 온도검출유닛(60)을 통해 실측온도를 검출하여 실측온도를 근거로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온도검출유닛(60)에서 검출된 실측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실측온도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모드를 제어하도록 한다. 여기서, 실측온도 검출주기는 실측온도를 검출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준온도는 과부하 보호장치 등이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값으로서, 과부하 보호장치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온도검출유닛(60)은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과부하 보호장치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에서 제2 기준온도 미만까지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측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상기 세이빙모드와 상기 파워모드를 구분하는 기준 온도값이고, 상기 제1 기준온도부터 상기 제2 기준온도까지가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가 되며,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 값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검출유닛(30)은 압축기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그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거나, 공기 조화되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검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운전 모드 변화를 보인 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침, 낮, 저녁 시간대로 구분되고, 파워모드 및 세이빙모드의 두 가지 운전모드로 구분된다.
먼저, 압축기의 전원을 켜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 다음 공기조화기를 구동하면, 상기 압축기는 파워모드로 운전되어 실내온도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이르도록 구동된다. 또한, 미리 일정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일정온도보다 낮으면 세이빙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면 파워모드로 운전하도록 한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예를 들어 도 3의 오전 시간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여 기준전압보다 낮아서 저전압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저전압에서도 운전 가능한 세이빙모드로 운전 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한다.
평균 온도가 더욱 높은 낮 시간대에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따르면 주위 온도가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를 넘게 되어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에 다시 압축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하면, 다시 주위 온도가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를 넘게 되어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열대 지역 중에서도 특히 평균 온도가 높은 낮 시간대에서는 압축기의 전원이 온/오프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쾌적 냉방이 되지 아니하고, 소비 전력이 급증하는 원인이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따르면,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보다 낮은 온도이고, 파워모드 영역의 온도범위의 상한에 대한 기준온도를 설정하여 실측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상이 되면 압축기를 강제로 세이빙모드로 전환하여 운전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압축기 기동 소음 등 압축기 운전에 따른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위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저녁(또는 밤) 시간대에서도 높은 온도가 유지되어 압축기가 파워모드로 운전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특정 시간 영역을 설정하여 특정 운전 모드, 예를 들어 저녁 시간대에서는 세이빙모드로 압축기를 운전하도록 하고, 파워모드로 연속운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도 냉방을 방지하고,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축공간을 가지며 압축기 인가전압에 따라 파워모드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압축공간은 공회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되는 압축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저전압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즉 정상 전압인 경우, 상기 압축유닛은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되고,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고 제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파워모드로 가변되며, 상기 실측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상기 세이빙모드와 상기 파워모드를 구분하는 기준 온도값이고, 상기 제1 기준온도부터 상기 제2 기준온도까지가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가 되며,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 값이다.
또한, 상기 압축기(10)는 어큐뮬레이터(110)와, 냉매가 이동하도록 하고, 실 외기(40) 및 실내기(5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는데, 상기 연결유닛은 저압측 연결관(12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고압측 연결관(130)과, 상기 저압측 연결관(120)과 고압측 연결관(130)에 교차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공용측 연결관(1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상기 압축유닛은 미리 설정된 시간영역 중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시간영역은 하루 24시간 등 다른 기준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평균 온도에 따라 설정된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도 2에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상기 압축유닛은 그 압축유닛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매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공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축공간을 가지며 압축기 인가전압에 따라 파워모드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압축공간은 공회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되는 압축유닛과, 각각의 압축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들과,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으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흡입관과, 상기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롤링피스톤들과, 상기 롤링피스톤들과 함께 각 실린더들의 압축공간들을 각각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 개의 베인들과, 상기 베인들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실린더의 베인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가변하는 베인구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저전압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베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그 일측에 상기 롤링피스톤과 접하는 실링면(sealing surface)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면의 반대쪽은 압력에 의해 상기 베인이 롤링피스톤쪽으로 가세되도록 가압면(pressure surface)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들 중 한쪽 실린더의 베인 가압면측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분리되어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가 채워지는 챔버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베인의 가압면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드전환유닛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유닛은 상기 베인의 가압면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밸브와,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1 입구와 흡입관을 연결하는 저압측 연결관과,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2 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고압측 연결관과,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출구와 상기 베인의 가압면쪽에 연결하는 공용측 연결관으로 이 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즉 정상 전압인 경우, 상기 압축유닛은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되고,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고 제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파워모드로 가변되며, 상기 실측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상기 세이빙모드와 상기 파워모드를 구분하는 기준 온도값이고, 상기 제1 기준온도부터 상기 제2 기준온도까지가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가 되며,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 값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축공간을 가지며 압축기 인가전압에 따라 파워모드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압축공간은 공회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되는 압축유닛과, 각각의 압축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들과,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으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흡입관과, 상기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롤링피스톤들과, 상기 롤링피스톤들과 함께 각 실린더들의 압축공간들을 각각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 개의 베인들과, 상기 베인들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실린더의 베인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가변하는 베인구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저전압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상기 실린더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에는 베인이 반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베인슬롯이 연통되고, 그 베인슬롯에서 움직이는 베인의 이동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구속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실린더에는 그 베인슬롯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구속구멍의 반대쪽에서 상기 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제2 구속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즉 정상 전압인 경우, 상기 압축유닛은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되고,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고 제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파워모드로 가변되며, 상기 실측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상기 세이빙모드와 상기 파워모드를 구분하는 기준 온도값이고, 상기 제1 기준온도부터 상기 제2 기준온도까지가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가 되며,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파워모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 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축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복수 개의 가스흡입관(SP1)(SP2)과 한 개의 가스토출관(DP)이 연통 설치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상측에 설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케이싱(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0)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구부(300) 및 제2 압축기구부(400)와, 상기 제2 압축기구부의 제2 베인(440)의 배면을 고압분위기 또는 저압분위기로 전환하면서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가 파워모드 또는 세이빙모드로 운전을 하도록 하는 밸브유닛(500)과, 상기 밸브유닛(500)에 의해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가 제어되도록 상기 밸브유닛(500)이 상기 케이싱(100)과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6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와 제2 압축기구부(400)는 압축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정속 구동을 하거나 또는 인버터 구동을 하는 모터이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고정자(210)와, 상기 고정자(210)의 내부에 일정 공극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210)와 상호 작용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자(220)와, 상기 회전자(22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와 제2 압축기구부(400)로 전달하는 회전축(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는 제1 실린더조립체의 일부를 이루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실린더(310)와, 상기 제1 실린더(310)와 함께 제1 압축공간(V1)을 갖는 제1 실린더조립체를 이루도록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상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베어링플레이트(이하,상부베어링)(320) 및 중간베어링플레이트(이하,중간베어링)(3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는 상기 회전축(230)의 상측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제1 압축공간(V1)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1 롤링피스톤(340)과, 상기 제1 롤링피스톤(340)의 외주면에 압접되도록 상기 제1 실린더(310)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제1 압축공간(V1)이 제1 흡입실과 제1 압축실로 각각 구획되는 제1 베인(350)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는 상기 제1 베인(350)의 후방측이 탄력 지지되도록 압축스프링으로 된 베인지지스프링(360)과, 상기 상부베어링(320)의 중앙부근에 구비된 제1 토출구(321)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공간(V1)의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토출을 조절하는 제1 토출밸브(370)와, 상기 제1 토출밸브(370)가 수용되도록 내부체적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베어링(320) 에 결합되는 제1 머플러(3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는 제2 실린더의 조립체의 일부를 이루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310)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실린더(410)와, 상기 제2 실린더(410)와 함께 제2 압축공간(V2)을 갖는 제2 실린더조립체를 이루도록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상하 양측에 결합되는 중간베어링(330) 및 하부베어링(4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는 상기 회전축(230)의 하측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V2)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2 롤링피스톤(430)과, 상기 제2 롤링피스톤(430)의 외주면에 압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실린더(410)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V2)이 제2 흡입실과 제2 압축실로 각각 구획 또는 연통되도록 하는 제2 베인(440)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는 상기 하부베어링(420)의 중앙부근에 구비한 제2 토출구(421)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토출을 조절하는 제2 토출밸브(450)와, 상기 제2 토출밸브(450)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체적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베어링(420)에 결합하는 제2 머플러(4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실린더(410)는 제2 압축공간(V2)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2 베인(440)이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제2 베인슬롯(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일측에는 냉매가 제2 압축공간(V2)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제2 흡입구(412)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타측에는 냉매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2 토출안내홈(미도시)이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방사상 후방측에는 후술할 연결유닛(600)의 공용측 연결관(630)에 연통되어 밀폐되고, 상기 제2 베인(440)의 후방측에 흡입압(Ps) 또는 토출압(Pd)을 제공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와 분리되는 베인챔버(4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챔버(413)는 상기 공용측 연결관(630)과 연통되어 상기 제2 베인(440)이 완전히 후진하여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안쪽에 수납되더라도 그 제2 베인(440)의 후면이 후술할 공용측 연결관(630)을 통해 공급되는 압력에 대해 압력면을 이루도록 소정의 내부체적을 갖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린더(410)에는 상기 제2 베인(440)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거나 또는 소정의 엇갈림각을 갖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와 제2 베인슬롯(411)이 연통되도록 하여 그 케이싱(100) 내부공간(101)의 토출압(Pd)으로 상기 제2 베인(440)이 구속되도록 하는 제1 유로(4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414)의 맞은편에는 상기 제2 베인슬롯(411)과 제2 흡입구(412)가 연통되어 상기 제1 유로(414)와 압력차가 유발되면서 상기 제2 베인(440)이 신속하게 구속되도록 하는 제2 유로(4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유로(414)와 제2 유로(415)는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500)은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2)에 연결되는 메인밸브부(510)와, 상기 메인밸브부(510)에 연결되어 그 메인밸브부(510)의 개폐동 작을 제어하는 서브밸브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유닛(600)은 상기 제2 가스흡입관(SP2)에서 분관되어 상기 메인밸브부(510)에 연결되는 저압측 연결관(12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01)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밸브부(510)에 연결되는 고압측 연결관(130)과,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2)에 연결되어 상기 저압측 연결관(120)과 고압측 연결관(130)에 교차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밸브부(510)에 연결되는 공용측 연결관(1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압측 연결관(130)은 케이싱(100)과 연결되는 일측이 상기 전동기구부(200)의 하단과 제1 압축기구부(30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오일의 유면보다 높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상기 베인챔버(412)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압측 연결관(130)의 입구에 망체로 된 오일차단망 또는 하측으로 개구된 오일차단판이 더 설치되어 오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고, 상기 고압측 연결관(130)이 연결지점에서 멀어질수록 높게 배치되어 그 고압측 연결관(130)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케이싱(100)으로 흘러내려 오일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모터(200)의 고정자(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자(220)가 회전하면, 회전축(230)이 상기 회전자(2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제1 압축기구부(300)와 제2 압축기구부(400)에 전달하고, 공기조화기에서의 필 요 용량에 따라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와 제2 압축기구부(400)가 모두 파워운전을 하여 대용량의 냉력을 발생하거나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만 파워운전을 하고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는 세이빙운전을 실시하여 소용량의 냉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와 제2 압축기구부(400)는 압축유닛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가 파워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메인밸브부(510)와 서브밸브부(520)에 의해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고압의 냉매가 고압측 연결관(130)을 통해 베인챔버(413)로 유입되고, 상기 베인챔버(413)로 유입된 고압의 냉매가 제2 베인(440)을 지지하여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는 물론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반면, 상기 압축기가 세이빙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밸브부(510)와 서브밸브부(520)에 의해 상기 가스흡입관(SP2)을 거쳐 제2 실린더(410)로 흡입되던 저압의 냉매가 저압측 연결관(120)을 통해 베인챔버(413)로 유입되고, 베인챔버(413)로 유입된 저압의 냉매가 제2 베인(440)의 후면을 지지하는 한편 제2 베인(440)의 전면에는 제2 압축공간(V2)의 압축력이 가해지게 되어 상기 제2 베인(440)이 제2 롤링피스톤(430)에서 이격된 상태로 남게 된다. 그리고, 제2 실린더(410)에 구비되는 제1 유로(414)와 제2 유로(415)에 의해 상기 제2 베인(440)의 양측면에 가세되는 압력차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제2 베인(440)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구속된다. 예컨대, 제1 유로(414)로 고압의 오일 또는 냉매가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베인챔버(413)에 잔류하는 일부 토출압(Pd)의 냉매 또는 오일이 상기 제2 베인(440)과 베인슬롯(411) 사이의 틈새와 제2 유로(415)를 통해 제2 흡입 구(412)로 빠르게 누설되면서 압축기의 운전모드 전환시 상기 제2 베인(440)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는 상기 제1 압축기구부(300)에서만 정상적으로 압축이 일어나는 반면 상기 제2 압축기구부(400)에서는 압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거나,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주위 온도를 검출하여 공기조화기를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운전 모드로 운전하도록 하여 압축기가 연속 운전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및 공기조화기의 신뢰성 및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명세서 전체로 압축기 인가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인가 전압을 근거로 압축기를 운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압축기 인가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된 인가 전류를 근거로 압축기를 운전하는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운전 모드 변화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압축기 20:제어 유닛
30:검출 유닛 40:실외기/실외 열교환기
50:실내기/실내 열교환기 60:온도검출유닛
100:케이싱 200:구동모터

Claims (23)

  1. 최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파워모드와, 상기 파워모드 보다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를 갖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압축기 인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실측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유닛; 및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유닛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실측온도를 검출하거나, 또는 공기 조화되는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의 실측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때 상기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측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에서 제2 기준온도 미만까지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측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기준온도는,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인가전압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 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 기준전압 미만부터 제2 기준전압 이상까지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실측온도와 상기 제1 기준 온도 및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실측온도 검출주기에 따라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하나 이상의 시간영역이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영역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모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영역은 상기 압축기가 설치된 지역의 평균온도를 기준으로 시간대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삭제
  11. 삭제
  12.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축공간을 가지며 압축기 인가전압에 따라 파워모드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압축공간은 공회전을 하는 세이빙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되는 압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유닛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실측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측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상에서 제2 기준온도 미만까지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파워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측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가 상기 세이빙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실측온도는,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실측온도이거나, 또는 공기 조화되는 실내의 실측온도이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과부하 보호장치의 한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은 특정 시간영역에서는 상기 세이빙모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영역은 상기 압축기가 설치된 지역의 평균온도를 기준으로 시간대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5.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은 그 압축유닛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매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냉매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공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압축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들;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으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흡입 관;
    상기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롤링피스톤들;
    상기 롤링피스톤들과 함께 각 실린더들의 압축공간들을 각각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 개의 베인들; 및
    상기 베인들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실린더의 베인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가변하는 베인구속유닛;을 포함하는 압축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그 일측에 상기 롤링피스톤과 접하는 실링면(sealing surface)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면의 반대쪽은 압력에 의해 상기 베인이 롤링피스톤쪽으로 가세되도록 가압면(pressure surface)이 형성되는 압축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 중 한쪽 실린더의 베인 가압면측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분리되어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가 채워지는 챔버가 더 형성되는 압축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상기 베인의 가압면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드전환유닛이 더 구비되는 압축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유닛은 상기 베인의 가압면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밸브와,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1 입구와 흡입관을 연결하는 저압측 연결관과,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2 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고압측 연결관과,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출구와 상기 베인의 가압면쪽에 연결하는 공용측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압축기.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 구속되는 압축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에는 베인이 반경방향으로 움직 일 수 있도록 하는 베인슬롯이 연통되고, 그 베인슬롯에서 움직이는 베인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구속구멍이 형성되는 압축기.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그 베인슬롯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구속구멍의 반대쪽에서 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제2 구속구멍이 형성되는 압축기.
KR1020080071199A 2008-07-22 2008-07-22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54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99A KR101540661B1 (ko) 2008-07-22 2008-07-22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2009801311109A CN102119277A (zh) 2008-07-22 2009-07-22 压缩机及具有该压缩机的空气调节器
US13/055,189 US9429158B2 (en) 2008-07-22 2009-07-22 Air conditioner and compressor having power and saving modes of operation
PCT/KR2009/004059 WO2010011081A1 (ko) 2008-07-22 2009-07-22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EP09800562.2A EP2317147B1 (en) 2008-07-22 2009-07-22 Compressor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99A KR101540661B1 (ko) 2008-07-22 2008-07-22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84A KR20100010284A (ko) 2010-02-01
KR101540661B1 true KR101540661B1 (ko) 2015-07-31

Family

ID=4208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199A KR101540661B1 (ko) 2008-07-22 2008-07-22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689B1 (ko) * 2014-06-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1721B1 (ko) * 2014-06-12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221A (ko) * 2004-08-06 2006-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US20070137233A1 (en) * 2005-12-15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 conditioner
KR20080018735A (ko) * 2006-08-25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221A (ko) * 2004-08-06 2006-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US20070137233A1 (en) * 2005-12-15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 conditioner
KR20080018735A (ko) * 2006-08-25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84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9158B2 (en) Air conditioner and compressor having power and saving modes of operation
US7976287B2 (en) Capacity variable type twin rotary compres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68612B1 (ko) 주파수 가변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US7611341B2 (en)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EP1653085A1 (en) Multi-stage rotary compressor with variable capacity
US10309700B2 (en) High pressure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a high pressure compressor
WO2006013959A1 (ja) 容積型膨張機及び流体機械
KR20060013221A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US20080317610A1 (en) Capacity Variable Type Rotary Compres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023632A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619767B1 (ko) 다단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가변장치
JP4516122B2 (ja) 容積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その運転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エアコンの運転方法
WO2008023962A1 (en) Variable capacity type rotary compressor
KR101540661B1 (ko)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504202B1 (ko)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80018735A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0585809B1 (ko) 용량 가변형 다중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585807B1 (ko) 용량 가변형 복식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690892B1 (ko) 용량 가변 압축기 및 그 운전방법
CA2606308A1 (en) Capacity control for refrigerant system with multiple compressors
KR100611323B1 (ko) 공조기용 텐뎀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455802C (zh) 具有吸入量调节装置的涡旋式压缩机
KR100677527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80024814A (ko)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KR20070072104A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