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35B1 -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35B1
KR101540335B1 KR1020120156046A KR20120156046A KR101540335B1 KR 101540335 B1 KR101540335 B1 KR 101540335B1 KR 1020120156046 A KR1020120156046 A KR 1020120156046A KR 20120156046 A KR20120156046 A KR 20120156046A KR 101540335 B1 KR101540335 B1 KR 101540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avel
information
character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191A (ko
Inventor
유영훈
윤원상
신경희
박선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타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타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타코드
Priority to KR102012015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광(여행)지 정보와 지도 정보와 캐릭터 및 아바타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콘텐츠 생산자의 고유 캐릭터와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콘텐츠 생산자가 여행의 시작점과 목적점 및 여행 예상 경로를 설정하는 제 3과정과; 콘텐츠 생산자가 여행의 시작점에서 여행을 시작하면 제 3과정에서 설정된 여행 예상 경로상에 제2 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여행 콘텐츠 아바타가 오버랩되며, 콘텐츠 생산자의 휴대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콘텐츠 생성시 마다 콘텐츠 생성 위치정보에 맞추어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여행 예상 경로상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 4과정과; 제 4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부가 콘텐츠와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한 콘텐츠 및 제 1과정을 통해 저장되어진 관광지 정보 중 콘텐츠 생산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주변 관광지 정보가 하나로 묶인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과정; 및 제 5과정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가 공개되면 다른 네티즌들은 여행기에 댓글과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콘텐츠를 평가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을 제공하면, 여행에 관련한 일차적인 콘텐츠는 개인이 발생시키더라도 발생되어진 1차 콘텐츠를 기준으로 그 주변정보에 따른 파생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 부가하여 보다 풍성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경로의 안내와 그 주변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생산자에게는 다른 이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CONTENTS MAKING METHOD USING MANAGEMENT BY SIGHTSEEING CAREER}
본 발명은 개인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행에 관련한 일차적인 콘텐츠는 개인이 발생시키더라도 발생되어진 1차 콘텐츠를 기준으로 그 주변정보에 따른 파생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 부가하여 보다 풍성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경로의 안내와 그 주변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생산자에게는 다른 이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빠르고 편리한 것을 추구하며, 타인의 영향으로 자신의 시간이나 계획 등이 제한되는 것을 불편해 하는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전자통신기기의 발달을 통해 의사교환 및 교류의 영역이 인터넷 웹사이트상의 가상공간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통적인 교류인 오프라인의 교류는 최소화 되고 가상공간상의 교류가 극대화되어지는 경향을 갖는다.
이에 현대인들은 지인들과 전통적인 교류(전화, 편지 등)보다는 각종 개인홈페이지(예를 들어, facebook, twitter 등등)를 통해 자신의 근황을 거의 실시간으로 지인(혹은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들에게 공개하고, 해당 지인들은 리플 혹은 댓글을 통해 관심을 표명하게 됨으로써 친교 및 의사 교환을 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개인적인 지식이나 정보 혹은 맛 집 이나 명소 등등을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는 '블로거'라는 콘텐츠의 생산자들이 발생되었고, 이중 '파워블로거'라는 꽤나 많은 영향을 행사하는 콘텐츠 생산자가 네티즌들로부터 각광받는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성향에 따라 각 개개인은 자신의 홈페이지를 남들과 다른 차별화된 정보나 모양으로 꾸미고자 하는 주목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갖는다.
상술한 현대인들의 문화성향 속에서 블로거들 혹은 개인이 여행을 떠나는 경우, 출발지에서부터 여행의 목적지를 경유하는 각 단계에서 여행지의 맛 집이나 여행 장소의 추억(자료) 등의 자료를 자신의 개인홈페이지에 올리게 된다.
이때 기존의 방식은 블로거가 단순히 사진을 올리고 후기의 작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자료를 올리고자 하는 블로거의 욕구를 충족하기 어려웠고, 더욱이 블로거 개인이 업로드 시키는 자료에 한정되기 때문에, 해당 블로거의 여행지 주변의 정보는 네티즌들이 검색해봐야 하는 불편함 등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행에 관련한 일차적인 콘텐츠는 개인이 발생시키더라도 발생되어진 1차 콘텐츠를 기준으로 그 주변정보에 따른 파생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 부가하여 보다 풍성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경로의 안내와 그 주변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생산자에게는 다른 이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특징은, 개인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관광(여행)지 정보와 지도 정보와 캐릭터 및 아바타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콘텐츠 생산자의 고유 캐릭터와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콘텐츠 생산자가 여행의 시작점과 목적점 및 여행 예상 경로를 설정하는 제 3과정과; 콘텐츠 생산자가 여행의 시작점에서 여행을 시작하면 상기 제 3과정에서 설정된 여행 예상 경로상에 상기 제2 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여행 콘텐츠 아바타가 오버랩되며, 콘텐츠 생산자의 휴대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콘텐츠 생성시 마다 콘텐츠 생성 위치정보에 맞추어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여행 예상 경로상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부가 콘텐츠와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한 콘텐츠 및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저장되어진 관광지 정보 중 콘텐츠 생산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주변 관광지 정보가 하나로 묶인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가 공개되면 다른 네티즌들은 여행기에 댓글과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콘텐츠를 평가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는 여행지의 음식, 숙박, 문화시설 관련 시설 업체들은 시설정보(광고)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 생산자의 개인 및 기타 홈페이지 등에 게시글로 등록가능 한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2과정의 캐릭터 생성과정은 콘텐츠 생산자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며, 콘텐츠 생산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동, 축소, 잘라내기를 함으로써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의 투명 레이어에 맞추어 캐릭터를 확정하며, 캐릭터 레이어와 실사 사진 레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캐릭터 이미지를 완성하게 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2장~5장 사이의 캐릭터 레이어 이미지를 실사 사진 레이어와 자동 결합시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2과정의 여행 콘텐츠 아바타 생성과정은 캐릭터 아바타 라이브러리의 카테고리가 자동차, 자전거 등의 탈것 및 이동수단의 분류로 이루어지고, 콘텐츠 생산자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콘텐츠 생산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동, 축소, 잘라내기를 함으로써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 아바타의 투명 레이어에 맞추어 캐릭터 아바타를 확정하며, 캐릭터 아바타 레이어와 실사 사진 레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캐릭터 아바타 이미지를 완성하게 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2장~5장 사이의 캐릭터 아바타 레이어 이미지를 실사 사진 레이어와 자동 결합시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4과정에서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하는 콘텐츠는 사진 정보와 그에 따른 메모정보이며, 위치정보는 사진 촬영시 사진 촬영장소에 대한 GPS 위치정보인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4과정에서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하는 콘텐츠는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해당 관광지의 여행후기에 따른 메모정보이며, 위치정보는 메모정보가 부가된 여행지의 GPS 위치정보인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4과정에서 생성되는 부가 콘텐츠는 여행 경로상에 설정된 캐릭터가 각 여행 경로을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 광고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에 해당 광고가 존재하게 되면 상기 콘텐츠 생산자 측에 광고에 따른 보상이 주어지는 데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개인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에 관련한 콘텐츠 생산에 있어서, 여행에 관련한 일차적인 콘텐츠는 개인이 발생시키더라도 발생되어진 1차 콘텐츠를 기준으로 그 주변정보에 따른 파생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 부가하여 보다 풍성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와 그 주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의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혜택을 콘텐츠 생산자 혹은 소비자에게 피드백시켜 선순환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콘텐츠 생산자에게는 다른 이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현대인들의 개성을 강조하는 취향에 부합할 수 잇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캐릭터와 아바타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방문지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여행지 정보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과 도 8은 여행 경로 생성 과정의 개요와 세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여행지 정보 자동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eBook 자동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과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캐릭터와 아바타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방문지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여행지 정보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여행 경로 생성 과정의 개요와 세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는 여행지 정보 자동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eBook 자동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예시도이다.
우선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살펴보면, 블로거는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진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생성하고, 이를 여행지 경로 기록상에 표시한다.
이때, 블로거는 정보 리스트 또는 지도상에 등록된 여행지 정보들을 보고, 이동 경로를 설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블로거는 콘텐츠 생성자이면서 동시에 콘텐츠 소비자이다.
상기 블러거는 우선 여행 경로 데이터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블로거는 경로 구성을 위한 모바일 저작도구 앱을 사용하여 실제 여행을 하지 않고, 스마트 기기에 이미 준비되어 저장된 데이터(사진 등)를 활용하여 여행 경로 데이터를 구성한다. 또한, 블로거는 저작도구 앱에서 자신 이전에 콘텐츠 생성자(타 블로거)가 등록한 여행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참조하여 여행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단, 동일한 경로여도 상관없음).
설정된 여행지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블로거는 실제 여행을 하며, 사진이나 댓글을 남기게 되고, 자신의 여행기에 반영하여 새로운 여행기를 생성하는데, 이 데이터들은 여러 개의 여행지 정보들을 하나로 묶어 놓은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이다.
블로거가 자신의 여행기를 공개하면, 다른 네티즌들은 여행기에 댓글과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콘텐츠를 평가한다. 이는 여행기 콘텐츠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블로거 자신의 여행기를 타 SNS 게시글로 등록하기 위해 SNS Open API를 이용한다.
여행지의 음식, 숙박, 문화시설 관련 시설 업체들은 별도의 전용 앱을 통해 자신의 시설정보(즉, 광고)들을 등록한다.
시설 업체들은 쿠폰, 할인 정보 등록이 가능하며, 이때는 별도의 수수료 지불 과정을 거쳐야 한다.
시설 업체들이 등록한 정보는 여행 정보 리스트 또는 지도상에 노출됨으로써, 블로거들이 여행 이동 경로 수립에 활용된다.
블로거는 자신의 여행기를 ePub 3 또는 pdf 파일 포맷 형태의 eBook으로 자동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모바일 스마트기기에서 읽고 공유할 수 있다. 자동 생성된 eBook은 콘텐츠 서버에서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은 크게 모바일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200)와 서버측 프레임워크(100)로 나뉘어 운영되는데, 이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 기기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 여행 경로 기록을 구성하고 eBook으로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캐릭터 생성 및 관리 모듈(210)은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 상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여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며, 블로거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동, 축소, 잘라내기를 함으로써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의 투명 레이어에 맞추도록 한다.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는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서버의 캐릭터 라이브러리로부터 전송 받으며, 블로거는 분류된 카테고리에서 세부 캐릭터를 선택한다. 캐릭터 라이브러리의 카테고리는 자동차, 자전거 등의 탈것 및 이동수단의 분류로 이루어져 있다.
캐릭터 레이어와 실사 사진 레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캐릭터 이미지를 완성하게 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2장~5장 사이의 캐릭터 레이어 이미지를 실사 사진 레이어와 자동 결합시킨다. 모바일 클라이언트에서 합성된 이미지들을 반복하여 출력하면 애니메이션 효과가 출력된다. 출력방법은 Android나 iOS의 그림 출력 SDK를 활용하거나, 웹뷰(WebView)에서 JavaScript를 이용한다.
실사 합성된 캐릭터는 모바일에서의 서버 요청/응답 모듈(참조번호 미부여)을 통해 서버(100)로 전송되며, 서버(100)는 개인정보 관리 모듈(160)을 통해 개인정보 DB(110d)에 저장 관리 된다.
또한, 방문지 입력 모듈(240)에서 방문지 입력은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2가지 방법으로 수행된다. 여행지 정보 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여행지 정보에서 "발도장 찍기"를 통해 입력하는 방법과 "현위치 등록"을 통해 입력하는 방법이다. "발도장 찍기" 입력은 다른 블로거에 의해 제공된 여행지를 방문하여 등록 입력하는 과정이며, "현위치 등록"은 제공되지 않는 여행지를 방문하여 등록 입력하는 과정이다. 각 화면 예시는 다음과 같다.
2가지의 등록과정 모두,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기능으로 사진과, 현재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며, 소재지명, 기본 정보, 여행 후기 등의 정보와 추가적으로 정보 공개 여부와 SNS 연동 여부를 설정한다. 설정된 정보는 서버의 여행지 정보 관리 모듈을 통해 DB에 저장 관리 된다.
또한, 여행지 정보 출력 모듈(230)에서 제공되는 여행지 정보는 다음의 예시문과 같은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예시문 : [지역소개, 관광 명소, 추천 코스, 숙박, 맛집, 장터, 축제/행사, 버스정보, 관광안내]
각 카테고리별로 지역을 기준으로 리스트 출력하며, 출력된 리스트에서 각 항목을 선택하여 세부 정보를 확인한다. 세부 정보는 서버의 여행지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여행지 설명과 소재지 정보를 출력하며, 지도 보기, 찜하기, 발도장, 전화걸기 기능을 가진다. 발도장은 블로거가 방문지를 등록하기 위한 방문지 입력 모듈로 이동시키며, 찜하기는 블로거가 여행 경로를 구성할 수 있는 여행 경로 생성 모듈(220)로 이동시킨다.
여행지 정보는 여행 경로 출력 화면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여행 경로 출력화면은 지도상에 각 방문지들이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블로거가 생성한 캐릭터가 지도상의 각 방문지 사이를 애니메이션 하면서 이동한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캐릭터 생성 및 관리 모듈에서 블로거에 의해 생성되어 서버의 개인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되며, 지도 Open API와 Android나 iOS의 그림 출력 SDK를 이용하거나, Android와 iOS의 각 웹뷰(WebView)에서 JavaScript를 이용하여 여러 장의 캐릭터 이미지들을 연속 출력함으로써 애니메이션 효과를 준다.
여행 경로 지도상에서 블로거가 각 여행지를 선택하면,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여행 경로 출력 화면 하단에 선택된 여행지의 상제 정보와 더불어 후기 기록이 출력된다.
상기 여행 경로 생성 모듈(220)은 블로거가 방문했거나 방문할 여행 경로를 생성하는 모바일 저작도구이다. 블로거는 서버의 개인정보 관리 모듈(160)에 이미 생성해둔 개인 캐릭터 정보와 사전에 지정해둔 발도장 목록과 개인 등록의 여행지 등록 정보들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블로거는 수신된 캐릭터 정보로 여행 경로상에서 애니메이션 시킬 캐릭터를 지정하고, 여행지 순서를 지정함으로써 전체 여행 코스를 완성한다. 애니메이션 재생 버튼을 선택하면 완성된 여행 코스에 대하여 지정한 캐릭터로 지도상에 애니메이션 된다. 여행 경로 생성 모바일 저작 도구 앱은 생성된 여행 코드에 대한 전체 후기를 입력하는 기능과 각 여행지에 대한 여행 후기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행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첨부한 도 8에 참조하여 살펴보면, 캐릭터 생성 및 관리 모듈(210)에서 서버(100)로부터 캐릭터 리스트를 수신 받고, 사진 촬영과 이미지 조작, 이미지 합성을 수행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캐릭터를 완성한다.
완성된 캐릭터를 서버에 저장 후, 여행지 정보를 요청하여 방문지를 등록한다. 방문지는 수신 된 발도장 목록에서 선택하거나, 찜 목록에서 선택함으로써 등록하거나 새로운 현 위치를 등록한다. 선택된 목록에 대하여 여행지 순서와 추가 정보를 입력하며, 추가 정보는 여행지에 대한 사진이나, 후기 등을 입력한다. 이때, GPS 좌표 정보도 서버로 전송하며, 이 좌표는 기존 방문 여행지와의 중복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도 활용된다.
블로거에게 출력되는 여행 경로는 등록한 캐릭터를 사용하여 각 여행지 간을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된다.
또한, eBook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5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eBook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클라이언트의 지정된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 목록 출력, 삭제, 이름 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eBook 출력 모듈(26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eBook 파일을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다. ePub 3.0 또는 pdf 포맷의 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지도 출력 모듈(270)은 여행 경로를 지도상에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 모듈은 Map Open API를 출력하기 위한 레이어와 캐릭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이어를 가지며, 캐릭터는 Android/iOS의 SDK를 이용하여 출력되거나, Android와 iOS의 각 웹뷰(WebView) 영역에 JavaScript로 출력된다.
또한, 모바일 UI(280)의 주요 특징은 상단에 여행 경로를 지도 형태로 출력하고, 하단에는 상단에 표시된 각 여행 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2단 분할 UI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참조번호를 미부여한 서버 요청/응답 모듈은 서버(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HTTPS로 서버와 보안 접속을 유지하며, JSON 정의에 의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시스템의 서버측 구성과 동작을 살펴보면, 여행 경로 관리 모듈(14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여행 경로를 DB에 저장하고,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요청이나, eBook 변환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여행 경로 DB에 저장된 여행 경로를 응답하는 모듈이다.
또한, 여행지 정보 관리 모듈(13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신규 여행지 정보를 여행지 정보 DB에 저장하고, 모바일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모듈로부터의 요청시 여행지 정보를 응답하는 모듈이다. 이 모듈은 여행지 후기 DB, 여행지 사진 DB, 여행지 정보 DB, 개인정보 DB와 연관되어 있다. 신규 여행지 정보가 입력될 경우엔 여행지 정보 자동 입력 모듈에 의해 이미 저장된 여행지인지 판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여행지 정보 자동 입력 모듈(15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방문지 입력 모듈인 "현위치 등록" 기능을 통해 입력된 방문지는 대표 방문지(여행지)로 입력되도록 조정하는 모듈이다. 모바일 클라이언트(200)에서 사진이 촬영될 때에 동시에 GPS 정보가 수집되며, 서버(100)로 전송된 GPS 좌표가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기존 여행지 정보 DB에 저장된 여행지의 GPS 좌표와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다면 이미 저장된 여행지로 판별한다. 이는 많은 블로거들이 입력한 여행지가 동일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GPS 수신 오차 또는 다른 이유로 다른 장소로 인식하는 오류를 줄이고자 함이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 모듈(160)에서는 개인정보와 각 개인 블로거와 관련된 여행기 기록, 여행지 후기, 사진, 캐릭터, eBook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모바일 클라이언트(200)의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DB로부터 요청 정보를 검색하여 응답한다.
또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지 않은 모바일 요청/응답 모듈은 모바일 클라이언트(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모바일 클라이언트(200)가 요청한 작업을 해석 후, 각 모듈로 요청하는 역할과 결과를 모바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HTTPS로 클라이언트와의 보안 접속을 유지하며, JSON 정의에 의해 클라이언트(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웹 기반 관리 UI(190)은 캐릭터 라이브러리, 여행지 정보, 여행 경로, 이벤트, 공지사항, 등록된 블로거 관리, 접속 로그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eBook 자동 변환 모듈(170)은 여행 경로 DB(110a)와 연관 정보인 여행지 정보 DB(110b), 여행지 사진 DB(120a), 여행지 후기 DB(120b)를 바탕으로 eBook으로 자동 변환한다.
eBook은 ePub 3.0 기반의 ePub 파일 포맷으로의 변환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pdf로도 변환한다. 변환된 결과는 eBook 파일 저장소에 저장된다. ePub 3.0 파일 포맷으로의 변환을 위한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진 순서에 따르는데, 먼저, ePub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기본 파일 디렉토리와 xml 문서를 생성한다. 그리고, eBook을 구성하기 위한 HTML 문서를 생성한다.
여행지 정보 자동 생성 모듈(150)에서의 ePub 파일은 템플릿 HTML 문서에 의해 문서의 디자인이 형성된다.
아래와 같은 템플릿 HTML 문서에 DB로부터 읽은 개인정보와 여행지 사진, 경로, 일정 정보들을 삽입함으로써 표지와 목차, 내용 페이지를 구성한다.
표지는 다양한 표지 문서들 중에서 블로거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지정하지 않을 경우엔 초기에 설정된 표지 양식으로 표지를 구성한다.
제목과 사진, 기간 항목은 개인정보와 여행지 사진으로부터 구성된다.
목차는 여행 경로 관리 모듈(140)로부터 얻어진 여행지 경로 목록으로부터 생성되며, 내용은 여행지 경로 목록의 각 여행지에 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지 사진 DB(120a), 여행지 후기 DB(120b), 여행지 정보 DB(110b)로부터 생성된다.
생성된 HTML 파일들은 ePub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표준 문서 포맷의 XML 문서를 생성하고, ePub 문서 기본 정보와 목차, 목차에 해당하는 실제 HTML 문서 위치 등을 설정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xml 문서 설정이 완료되면, 구성된 디렉토리와 생성한 파일들을 ZIP 압축 알고리즘으로 압축 파일을 생성하며, 이때의 확장자명은 *.epub으로 설정한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epub 파일은 eBook 파일 저장소로 옮겨서 저장되고, eBook 서버 관리 모듈(180)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개인 콘텐츠 생산자가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서버(100)에서 제공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컨텐츠 생산시 개인 콘텐츠 생산자의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에서 제공된 관광(여행)지 정보와 지도 정보와 캐릭터 및 아바타 정보로부터 개인 콘텐츠 생산자가 상기 모바일 스마트기기(200)를 통해 선택된 관광(여행)지 정보와 지도 정보와 캐릭터 및 아바타 기준 정보를 상기 서버(100)에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개인 콘텐츠 생산자가 선택한 캐릭터와 아바타 정보로부터 상기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에서 고유 캐릭터와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생성시키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상기 서버(100)에서 제공된 관광(여행)지 정보와 지도 정보로부터 개인 콘텐츠 생산자가 상기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에서 여행의 시작점과 목적점 및 여행 예상 경로를 설정하는 제 3과정과;
    콘텐츠 생산자가 여행의 시작점에서 여행을 시작하면 상기 제 3과정에서 설정된 여행 예상 경로상에 상기 제2 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여행 콘텐츠 아바타가 오버랩되며, 콘텐츠 생산자의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와 연동하여 콘텐츠 생성시마다 콘텐츠 생성 위치정보에 맞추어 여행 콘텐츠 아바타를 여행 예상 경로상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가 콘텐츠를 상기 서버(100)에서 생성시키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부가 콘텐츠와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한 콘텐츠 및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저장되어진 관광지 정보 중 콘텐츠 생산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주변 관광지 정보가 하나로 묶인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기기(200)에서 생성하는 제 5과정; 및
    상기 제 5과정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가 상기 서버(100)를 통해 공개되면 다른 네티즌들은 여행기에 댓글과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콘텐츠를 평가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는 여행지의 음식, 숙박, 문화시설 관련 시설 업체들의 시설정보(광고)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생산자의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 생산자의 개인 및 기타 홈페이지에 게시글로 등록가능하며,
    상기 제 2과정의 캐릭터 생성과정은 콘텐츠 생산자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며, 콘텐츠 생산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동, 축소, 잘라내기를 함으로써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의 투명 레이어에 맞추어 캐릭터를 확정하며, 캐릭터 레이어와 실사 사진 레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캐릭터 이미지를 완성하게 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2장~5장 사이의 캐릭터 레이어 이미지를 실사 사진 레이어와 자동 결합시키고,
    상기 제 2과정의 여행 콘텐츠 아바타 생성과정은 캐릭터 아바타 라이브러리의 카테고리가 자동차, 자전거와 같은 탈것 및 이동수단의 분류로 이루어지고, 콘텐츠 생산자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콘텐츠 생산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동, 축소, 잘라내기를 함으로써 사전에 준비된 캐릭터 아바타의 투명 레이어에 맞추어 캐릭터 아바타를 확정하며, 캐릭터 아바타 레이어와 실사 사진 레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캐릭터 아바타 이미지를 완성하게 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2장~5장 사이의 캐릭터 아바타 레이어 이미지를 실사 사진 레이어와 자동 결합시키며,
    상기 제 4과정에서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하는 콘텐츠는 사진 정보와 그에 따른 메모정보이며, 위치정보는 사진 촬영시 사진 촬영장소에 대한 GPS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4과정에서 콘텐츠 생산자가 생성하는 콘텐츠는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해당 관광지의 여행후기에 따른 메모정보이며, 위치정보는 메모정보가 부가된 여행지의 GPS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4과정에서 생성되는 부가 콘텐츠는 여행 경로상에 설정된 캐릭터가 각 여행 경로을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며,
    상기 제 1과정에서 저장되는 관광지 정보에 해당 관광지에 대한 광고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여행기 꾸러미 데이터에 해당 관광지에 대한 상기 광고가 포함되게 되면, 상기 콘텐츠 생산자측에 상기 광고에 따른 보상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KR1020120156046A 2012-12-28 2012-12-28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KR101540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46A KR101540335B1 (ko) 2012-12-28 2012-12-28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46A KR101540335B1 (ko) 2012-12-28 2012-12-28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91A KR20140087191A (ko) 2014-07-09
KR101540335B1 true KR101540335B1 (ko) 2015-08-10

Family

ID=5173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46A KR101540335B1 (ko) 2012-12-28 2012-12-28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04B1 (ko) * 2014-09-01 2021-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캐릭터 아이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45123A1 (ko) * 2017-08-26 2019-03-07 (주)유비스티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91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141B2 (ja) 関心のあるオブジェクトを指定することにより動作を開始し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5334911B2 (ja) 3次元地図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地図画像生成システム
US8321126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oute-related information
TWI273271B (en) Navigation system
CN103475729B (zh) 一种物联网应用的轨迹特征点提取方法
US20170116578A1 (en) Life event-based travel planning
CN101694669A (zh) 路书制作方法和装置、路书制作与共享系统
CN110388935A (zh) 获取地址
US9488489B2 (en) Personalized mapping with photo tours
CN115907423A (zh) 一种智慧旅游服务系统
KR20140031496A (ko) 여행 서비스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여행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1540335B1 (ko) 관광 이력 관리에 따른 콘텐츠 생산 방법
D'Amico et al. A Framework for Itinerary Personalization in Cultural Tourism of Smart Cities.
KR102229691B1 (ko)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ato et al. Push typed touris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beacon and augumented reality technologies
JP2014153338A (ja) 地図表示装置
Lu et al. Map-based storytelling tool for real-world walking tour
KR101520908B1 (ko) 팜플렛의 추가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9109749A (ja) 列車座席案内システムおよび列車座席案内方法
JP4978219B2 (ja) 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サーバ
JP6376654B2 (ja) ルート提示装置、移動端末、ルート提示方法、ルート表示方法、ルート提示プログラム及びルート表示プログラム
Cho et al. React Native and Android Mobile Apps for Smart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o FITs
CN112182135A (zh) 路书生成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861562B2 (ja) 画像共有システム、画像共有サーバ及び画像共有方法
KR100950070B1 (ko) 기행 정보 콘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