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691B1 -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691B1
KR102229691B1 KR1020200086664A KR20200086664A KR102229691B1 KR 102229691 B1 KR102229691 B1 KR 102229691B1 KR 1020200086664 A KR1020200086664 A KR 1020200086664A KR 20200086664 A KR20200086664 A KR 20200086664A KR 102229691 B1 KR102229691 B1 KR 10222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filiated store
terminal
social media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임동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인스
Priority to KR102020008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후 GPS가 태깅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권한을 허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의 GPS 태그와 기 등록된 가맹점의 GPS 태그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GPS 태그, 상호 및 상품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GPS 태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가맹점과 매핑되도록 등록하는 매핑부,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 및 리스트업하되, GPS 태그가 일치한 가맹점은 사용자 방문 가맹점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LOCATION BASED SERVICE BASED PUBLIC PARTICIPATION TYPE SOCIAL MEDIA SERVICE CONNECTED TO LOCAL STORE CONTENTS}
본 발명은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가맹점에 대한 콘텐츠를 소셜미디어로 공유하며 지도상에 연동하여 표시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국제 관광객 수가 급감하고, 관광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국내 관광산업은 전례 없는 충격과 위기를 맞고 있다. 코로나19는 관광수요 감소뿐 아니라 사람들의 관광패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데, 당분간 해외여행 대신 국내여행, 장거리 여행보다는 근거리 여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의 위기 속에서 관광패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는데, 첫째, 관광객 실시간 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방역관리체계와 관광지 적정수요관리를 위한 사전예약제 도입이 필요하고, 둘째, 지역관광 경쟁력 강화를 위해 ICT 기반의 스마트관광도시 조성과 의료관광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이 요구되며, 마지막으로 생활밀착형 관광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소규모및 야회활동이 가능한 근거리 여행지를 발굴하고, 생활권 여가 공간을 확충하여 코로나19에 지친 시민들의 여가욕구를 충족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때, 소셜미디어 기반 관광투어를 운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6760호(2017년12월12일 공개)에는, 맞춤형 관광투어맵 시스템을 기반으로 여행관련 공공데이터와 공개지도를 활용하고, 지도에 관한 앱 검색과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그리고 지도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API,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여행계획을 근거로 맞춤형 여행코스를 제공하고 리뷰를 작성함과 아울러 관광객에게 맞춤형 관광 투어 맵을 생성하며, 사용자 로그인을 담당하고, 소셜네트워킹서비스에 필요한 소통과 정보공유, 인맥, 프로필, 승인, 관계형성 및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공공 데이터에는 지도와 같은 데이터만 포함되어 있을 뿐, 각 사용자의 의견이나 사진 등의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른 데이터 구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 소셜미디어를 본다고 할지라도 각 인간관계 중심의 콘텐츠 공유이기 때문에 각 장소나 관광지 등의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이를 다시 지도 중심으로 검색을 하거나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하여 일상생활 속의 여행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데 막상 어디로 가야할지, 가면 어떠한 곳이 좋은지 등은 전혀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각 지역 호스트(Local Host)의 신뢰할만한 콘텐츠를 수집하여야 할 니즈가 존재한다. 이에, 지도상에 각 가맹점의 정보를 대중참여형으로 수집하여 누적 및 공유하는 소셜미디어형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진 또는 영상에 태깅된 GPS 태그를 기준으로 사진 또는 영상을 분류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으로 등록하고, 그룹을 생성하여 각 위치를 공유하는 경우 상호간 방문했던 가맹점 및 이에 따른 사진이나 영상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며, 그룹이 아니더라도 상호 팔로우를 신청한 사용자 간에도 실시간 피드로 가맹점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받음으로써 어느 여행지가 좋은지, 그 여행지에서는 어떠한 가맹점이 좋은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후 GPS가 태깅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권한을 허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의 GPS 태그와 기 등록된 가맹점의 GPS 태그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GPS 태그, 상호 및 상품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GPS 태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가맹점과 매핑되도록 등록하는 매핑부,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 및 리스트업하되, GPS 태그가 일치한 가맹점은 사용자 방문 가맹점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진 또는 영상에 태깅된 GPS 태그를 기준으로 사진 또는 영상을 분류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으로 등록하고, 그룹을 생성하여 각 위치를 공유하는 경우 상호간 방문했던 가맹점 및 이에 따른 사진이나 영상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며, 그룹이 아니더라도 상호 팔로우를 신청한 사용자 간에도 실시간 피드로 가맹점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받음으로써 어느 여행지가 좋은지, 그 여행지에서는 어떠한 가맹점이 좋은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의 접근권한을 허용한 후, GPS 태그가 부착된 사진 또는 영상을 추출하여 지도상에 오버레이하여 "내바닥"으로 표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을 선택하여 그룹을 생성하거나, 그룹원으로 채택되어 그룹으로 소속되고, 상호간 다녀간 장소를 "우리바닥"으로 공유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팔로워 또는 팔로잉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장소 공유 콘텐츠를 피드로 생성할 수 있고, 지도상에 원하는 타인 또는 타그룹의 장소 공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주소, 상호, 상품, 영업시간, 가격,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가맹점 정보를 수집하여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지도상에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이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기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GPS 태그가 부착된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출력하여 "내바닥"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그룹을 생성하거나 그룹에 소속된 경우, 상호간 장소 기반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지도상에 그룹원들의 장소 기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팔로잉하는 타 사용자의 위치 기반 콘텐츠(장소 기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의 지도상에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기업 등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400)은, GPS 태그나 주소, 상호, 메뉴나 상품, 영업시간 등의 정보를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여 가맹점 등록을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OS(Point of Sal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룹원 간 장소 기반 콘텐츠를 공유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그룹원 단말(500)은 그룹에 속해달라는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받고 승낙의 의사표시를 한 그룹원의 단말일 수 있다. 물론, 그룹원 단말(500)도 사용자 단말(10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역할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확인부(320), 매핑부(330), 표시부(340), 출력부(350), 아이콘부(360), 분류부(370) 및 피드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로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GPS 태그, 상호 및 상품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GPS 태그는 GPS 좌표를 의미하나, 상호, 주소 등 키워드나 검색어 기반의 태그일 수도 있다.
확인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진이나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촬영할 때, GPS를 켜고 촬영하는 경우 해당 사진이나 영상에 GPS 태그가 기록되어 어느 위치인지를 자동으로 태깅해주는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단말 상에 모두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진이나 영상에 GPS 태그가 부착된 경우에는 이를 기반으로 모두 추출을 한 후 지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어느 가맹점을 방문했는지, 또 어느 가맹점은 방문하지 않았는지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A 지점을 기준으로 5KM 반경 내에 사용자 B가 C,D,E 가맹점을 가보았다면, 지도상에 C,D,E 가맹점을 표시하고, 가보지 않은 가맹점은 리스트업하는 형태로 이하와 같이 구분을 할 수도 있다.
매핑부(330)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GPS 태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가맹점과 매핑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 및 리스트업하되, GPS 태그가 일치한 가맹점은 사용자 방문 가맹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후 GPS가 태깅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권한을 허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의 GPS 태그와 기 등록된 가맹점의 GPS 태그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고층빌딩의 경우 주소는 하나인데 각 층이 달라 고도를 나타내는 좌표가 없거나 상호를 나타내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나 키워드 등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표시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사진과 사용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사진 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사진을 해당 가맹점의 사진으로 등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택되고, 상호간 장소공유를 할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태깅된 GPS 태그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GPS 태그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의 위치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호간 공유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로부터 공개형으로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GPS 태그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사진 또는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에서 기록한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연예인이 간 곳을 그대로 따라가는 서비스를 예로 들면, A 연예인이 제주도에서 B->C->D->E 루트를 따라 각 가맹점을 들렀다고 가정하자. 이때, F 사용자가 해당 루트를 그대로 따라간다고 했을 때 A 연예인이 제주도에서 공개한 가맹점 및 동선을 F 사용자의 지도상에 오버레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F 사용자는 하나하나 가맹점을 설정하고 루트를 설정하지 않아도 A 연예인과 동일한 이동경로로 제주도를 여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력부(350)는, 시계열적으로 GPS 태그가 태깅된 사진 또는 영상을 매핑(Mapping)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또는 영상은 GPS 태그가 모두 태깅되었으므로, 지도에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원하는 소셜미디어 데이터나 특정 단어가 들어가는 소셜미디어 데이터들만 따로 키워드 검색을 통해서 지도와 분석을 같이하는 작업을 통해서 보여줄 수도 있다. 지도를 통해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소셜미디어 스트리밍 API를 통해서 현재 실시간으로 모이고 있는 데이터를 히트맵(Heat Map)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현재 수집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지도 음영의 정도가 달라진다. 두 번째로는 실시간으로 모여지는 데이터를 보고 실제로 원하는 키워드나, 지정되는 날짜나 시간을 지정해서 검색하게 되면 지정된 소셜미디어 데이터들만 따로 검색해서 지도에 매핑을 하는 방법이다. 매핑을 하는 작업은 지도에 최대 축소를 통해서 소셜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하나의 글을 직접 모두 다 읽어 볼 수 있고 지도의 축척에 따라서 자동으로 영역도 조절해주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검색 키워드와 날짜 등에 따라서 제한된 검색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지도에 매핑 시켜준 후에는 Sentiment Analysis를 통해서 추출된 결과를 통계적 그래프를 통해서 요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두색은 Neutral로 감정을 나타내는 글이 아닌 어떠한 사실을 나타내는 글이거나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은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 글에 해당한다. 빨간색은 Negative로 부정을 뜻한다. 소셜미디어 데이터에 부정적인 어휘가 많이 들어간 경우를 나타낸다. 파란색은 Positive로 긍정을 뜻하는 색깔로 긍정적인 어휘를 많이 포함한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아이콘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 아이콘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할 때 적어도 하나의 장소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은 관광지나 명소, 맛집 등을 구분하여 카테고리화하기 위한 이미지 아이콘일 수 있다. 물론, GIF와 같이 애니메이션 효과를 넣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지도상에서는 텍스트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이콘으로 표시하면 직관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도시에서 어느 곳을 갔는지 또는 이용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분류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를 수집하고, GPS 신호를 시간에 동기화시켜 이동 패턴을 수집하고, 이동 패턴 상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동안 머무른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지역의 호스트로 지정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에 거주하고 강남구 역삼동으로 출근을 한다고 가정하면, 사당동과 역삼동에 머무른 시간이 많게 GPS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고 이 동선 또한 패턴화되어 추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당동과 역삼동에 머무른 시간이 많은만큼 해당 사용자는 사당동과 역삼동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현지인일 수 있다. 이때, 현지인이 자주가는 식당과 관광객이 자주가는 식당이 나뉘어지곤 하는데, 관광객을 주로 상대하는 식당은 한 번 보고 말 상대이기 때문에 음식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편견이 존재하고, 관광객들은 현지인들이 가는 곳들을 주로 가고 싶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당동과 역삼동에 오래 머무른다면, 해당 사용자를 로컬 호스트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가 추천하거나 자주가는 곳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에 대하여 신뢰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동네, 예를 들어, 성남에 한 번 가보았는데 해당 식당을 추천하는 것과, 사당동이나 역삼동에서 추천하는 것의 신뢰도를 서로 다르게 부여하는 것이다. 이렇게 분류를 하는 경우, 지도상에 해당 지역의 호스트들이 높은 점수를 준 식당과, 그렇지 않은 식당이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광객들은 질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식당에 찾아갈 수 있는 이정표를 얻게 되는 셈이다.
피드관리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팔로우한 대상의 피드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지도상에 실시간 피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팔로우나 팔로잉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타인이 어디에 갔는지 그 순서는 어떻게 되는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객관적인 요소와 주관적인 요소가 모두 반영된 여행지 코스 추천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관광 데이터와 SNS 올라오는 관광 게시물들을 활용한다. 관광지들을 소개하고 특정 지역을 관광하고자 할 때 다른 관광자들이 자주 방문하는관광지들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관광 코스를 생성 후 사용자에게 추천해 주도록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는 크게 2 가지의 방법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데, 객관적인 요소인 위치 정보를 통해 최적의 코스 추천이 진행되도록 변형된 TSP(Traveling Salesman Problem) 알고리즘과, 주관적인 요소인 SNS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엘라스틱 검색(Elasticsearch) 엔진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구축된 플랫폼의 재활용성을 위하여 설계 방법론은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방법론을 기준으로 모든 설계 산출물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있는 데이터들과 SNS에 올라오는 관광지들에 대한 게시물들에 대한 자동 크롤링 모듈을 이용하여 관광지 포인트에 대한 전처리 리스트를 처리할 수 있다. SNS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관광지를 추천하고 한 지역 내 추천된 관광지들에 대한 최적 경로를 추천해 주기 위하여 변형된 TSP 알고리즘과 엘라스틱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지역에 대한 최적의 관광 코스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한국관광공사의 관광 데이터와 SNS 관광 게시물을 이용한 관광지 추천 시스템과 TSP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관광코스 추천 시스템, 관광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관광지와 관광 코스 및 관광 데이터를 엘라스틱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해줄 수 있다.
첫 번째로, 관광지 데이터를 전처리해야하는데, SNS 데이터를 이용하기 전에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관광 데이터를 가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한 데이터 중 관광지명에 대한 항목들을 가져와 관광지명을 기준으로 SNS에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SNS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게시물을 직접 SNS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 후 수집된 데이터 중 게시글 수, 게시글 제목, 사진, 게시글의 내용, 게시 날짜를 시스템 DB로 로딩하고, 사용자들이 방문한 관광지를 추천해주기 위해 관광지에 대한 전체 게시물 수와 최근 올라온 게시물 수를 이용하여 추천한다.
두 번째는 최적의 관광 코스를 추천해야하는데, 한국관광공사의 데이터와 SNS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광하고자 하는 지역의 관광지에 대해 추천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이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와 같다. 계산된 추천코스는 Top-k 알고리즘을 통해 상위 5개의 관광지를 선택하여 관광 추천코스로 최종 결정된다. 코스를 생성하기 전 출발지와 관광지들의 위치 좌표값을 가져와 저장하고, 다음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좌표값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고, 거리 계산은 Haversine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지점 1의 좌표 (x1, y1), 지점 2의 좌표 (x2, y2), 두 점 사이의 거리 d, 구의 반경을 r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20073015710-pat00001
Figure 112020073015710-pat00002
Figure 112020073015710-pat00003
Figure 112020073015710-pat00004
수학식 1의 hav(Θ)는 두 지점의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여 두 지점 사이의 중심각을 구하는 식이다. 수학식 2의 hav(Θ)는 주어진 각의 versed sine(버스드 사인, 1-cos(Θ))의 절반을 뜻한다. 다음 수학식 3부터 hav(Θ)는 h라 표기한다. 거리 d를 풀려면 수학식 3과 같이 지구의 반경 r에 대하여 inverse haversine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4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적용하여 정리한 식이다. 최종적으로 두 지점의 위경도 값을 이용하여 거리 d를 구할 수 있다. 계산된 거리값들과 최적화된 관광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TS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광 코스를 생성하는데 TSP 알고리즘 슈도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변형된 TSP 알고리즘은 리스트에 있는 모든 관광지를 출발점으로 설정하여 출발점에서 모든 관광지를 방문하는 코스를 최단 거리로 계산 및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생성한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특정 출발점이 존재하고 그 지점을 기준으로 최단 경로를 찾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광지 리스트에 있는 관광지들을 모두 방문할 때까지 현재 위치에서의 각 관광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단 거리를 다음 관광지로 설정하여 반복한다. 기존 TSP 알고리즘과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모든 관광지를 출발점으로 하여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 관광 경로들을 생성한다. 생성한 관광 경로들을 총 거리를 이용하여 정렬한 후 상위의 경로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에를 들어, 4개의 지점에서 각 지점의 거리가 각각 10, 20, 30, 40, 40, 40일 때 먼저 임의의 한 점을 시작점으로 설정한다. 그 후 시작점과 연결된 지점 중 가장 가까운 지점을 선택한다. B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B 지점과 가장 거리가 가까운 C 지점이 선택된다. 그 후 B 지점과 C 지점을 방문했으므로 C 지점에서 방문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 중 가까운 지점인 D를 선택하여 이동한다. 다시 방문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 중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이동을 반복한다. 모든 지점을 방문하게 되면 다시 시작점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시작점으로부터 출발하여 모든 지점을 방문하는 최적 코스를 완성하게 된다.
관광지 추천 웹페이지 또는 앱페이지는, 사용자가 메인 GUI에 접근을 할 때 관광지 추천 시스템에 requestRecommendTour() 메소드로 추천 관광지를 요청한 후, 추천 시스템이 requestTourData(), sendTourData() 메소드로 DB에서 데이터를 불러온다. 불러온 데이터의 정보의 조회수, 최근 조회수 등을 이용하여 추천도를 계산한 후 추천 관광지를 DB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관광지를 선택하여 메인 GUI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메인 GUI에 접근할 때 관광 추천 시스템에 requestRecommendTourCourse(adress) 메소드로 현재 지역의 추천 관광 코스를 요청한다. 관광 추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호출하고 calcRecommendTourData() 메소드를 이용하여 추천도를 계산한 후 관광지 목록을 수신한다. 그리고 추천받은 관광지 중 상위 관광지들을 선택하기 위해 calcDistance() 메소드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calcTourCourse() 메소드에서 상위 관광지들과 계산된 거리값은 변형된 TS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관광 코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사용자가 관광지를 검색하고자 할 때 requestCategory() 메소드를 이용하여 DB에서 카테고리 리스트를 호출한 후 출력된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직접 선택한다. searchCategoryTourList() 메소드를 이용하여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관광지들을 엘라스틱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검색 키워드를 분석한다. 사용자가 관광지를 선택하면 requestTourInfo() 메소드를 호출한 후 DB에서 관련 관광 데이터를 가져와 사용자 UI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주변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requestGPSInfo() 메소드를 이용한다. 해당 메소드는 GPS 정보를 요청해서 사용자의 GPS 정보를 호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GPS 정보 호출 후 searchNearTour() 메소드로 관광지들의 GPS 정보와 사용자의 GPS 정보를 Elasticsearch 및 변형된 TS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관광지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하인 관광지들의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관광 정보 GUI에서 관광 리뷰 GUI에 접근할 때 requestTourReviewList() 메소드를 호출하고 DB에서 관광 리뷰 리스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는 wirteReview(), updateReview(), deleteReview() 메소드들을 이용하여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 후기 등을 작성,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원 가입 후 로그인하여 카테고리 및 키워드를 이용한 관광지 검색, GPS 정보를 이용한 주변 관광지 검색, 관광 코스 추천과 게시판을 통해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광 경로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예를 들어, DBMS는 MySQL를 이용할 수 있고, 총 7개의 테이블(TOUR, TOUR_REVIEW, TOUR_COURSE, SNS_DATA, MEMBER, BOARD, ANSWER_BOARD)이 존재할 수 있다. MEMBER 테이블은 회원의 정보를, TOUR 테이블은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TOUR_REVIEW와 BOARD, ANSWER_BOARD는 각각 리뷰 게시판, 자유게시판과 댓글에 대한 정보를 가진 테이블이다. SNS_DATA 테이블은 SNS에서 크롤링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로 올라온 게시글의 작성자, 내용, 업로드 날짜, 이미지를 저장한다. TOUR_COURSE 테이블은 관광 코스 추천 시스템으로 생성된 관광 코스를 저장할 수 있다.
덧붙여서, AR 글래스(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는 경우, 길안내 음성지원이 없더라도 어느 건물이 내가 갈 건물인지, 내가 현재 직진을 해야하는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해야하는지, 우회전을 해야 하는 도로가 이 도로가 맞는지 등을 AR 콘텐츠로 알려주게 되므로 더욱 길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이때, AR 글래스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AR 마커가 존재하는 AR 객체를 탐지해야 하는데, 각 건물의 위치는 GPS 좌표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각 건물의 크기나 높이 너비 등도 절대적인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각 건물의 비율이나 위치에 대응하도록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고, 해당 특징점을 AR 마커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박물관은 가로X세로의 비율이 1:2라고 가정하면, A 박물관의 각 코너점(모서리)을 AR 마커로 사용하고, 그 비율이 1:2이면서, GPS 좌표가 일치하는 경우 A 박물관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때, drawMarker() 함수를 통해 마커 이미지를 생성하고 detectMarker() 함수를 사용하여 이미지 상의 마커에서 4개의 코너점 값과 ID를 얻을 수 있다. 얻어낸 마커의 4개의 코너점 값과 ID를 활용하여 OpenCV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Estimate Pose Single Markers Method 함수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카메라의 3차원 위치와 방향을 알아낸다. 카메라의 자세 추정을 실행하기 전에 카메라 고유의 파라미터(Focal Length, Pricipal Point, Skew Coefficient)을 얻어내서 오차 값을 보정하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작업을 하여 정밀한 카메라 위치와 방향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 EstimatePoseSingleMarkers Method 함수를 사용하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마커를 받아 카메라에 대한 포즈 추정을 개별적으로 반환한다.
따라서 각 마커에 대해 하나의 회전(Rotation Vector) 및 평행이동 벡터(Trasform Vector)가 반환되는데 입력 값으로 마커 한 변의 길이를 얻어내면 마커 코디네이트(Coordinate) 시스템은 마커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z축은 마커 평면에 수직이 된다. 이렇게 되면, AR 글래스의 카메라가 깊이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이미 절대적인 크기와 위치를 알고 있는 물체를 함께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AR 글래스의 카메라와 관광목적지 간의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이용하여 카메라 고유의 파라미터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오차를 보정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영상 내에서 XYZ 좌표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있다.
이때, AR 글래스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및 특징점을 추출하여 AR 글래스 상에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충분히 지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GPU를 이용하도록 하여 동일한 컴퓨팅 자원에서도 높은 성능을 낼 수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전방 영상 내에 표시를 해야하기 때문에, 속도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멀티 GPU를 이용한 병렬처리 기법을 사용하며, 각각의 GPU에 대한 활성화 정도를 파악해 GPU를 스레드에 할당하여 리소스를 최적의 상태로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멀티 GPU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G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할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나의 GPU에 과부하가 걸려 안정적인 시스템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 개의 스레드(Thread)에 쿠다를 사용하여 GPU 리소스를 최적의 상태로 분배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GPU 할당 알고리즘은 첫 번째로 모든 GPU 디바이스의 활성화된 코어 수와 메모리 활성화 정도를 파악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각 GPU가 현재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두 번째로 각 GPU의 현재 리소스 사용 상태를 따라 가장 점유율이 낮은 GPU를 스레드에 할당한다. 이때 메모리 사용량과 활성화된 코어의 개수를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하는데, 예를 들어, 리소스 점유율이 가장 낮은 GPU #2를 스레드 #1에 할당하게 된다. 스레드 #N-1과 스레드 #N에 대해서도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수행하여 모든 스레드에 대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모든 스레드에 대하여 최적의 GPU를 할당한 후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매 프레임 반복시 오히려 GPU에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GPU 점유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에만 다시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준치를 높여 알고리즘을 실행할 경우에는 예상보다 빠르게 GPU 점유율이 높아져 GPU를 스위칭하기 전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준치를 낮추는 경우에는 GPU 스위칭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해 오히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시 수행하는 기준인 GPU 점유율이 기 설정된 퍼센트, 예를 들어 60%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는, 여행일정이 늘 계획된대로 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정이 지체되어 다른 일정을 하지 못하는 경우 대체 문화관광 이벤트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추가될 수 있다. 코스가 아닌, 잠깐씩도 가능한 문화관광도 추천할수 있고 대표적인 문화관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관광지와 문화예술활동들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penAPI를 활용한 Spring Framework기반으로, JSP를 이용한 웹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컨트롤러는, API 파싱(Parsing)을 위한 APIController, View 운영을 위한 APIBoardController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메인(Domain)은 데이터를 담아 옮길 수 있는 VO(Value Object)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Service)와 맵퍼(Mapper)는 컨트롤러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파서는, OpenAPI에서 가져오는 데이터를 원하는 정보로 분류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종 문화행사는 각종 지자체나 정부에서, 또는 소셜미디어나 포털을 통하여 수집하게 되는데, JSP Page에서 파싱 액션(Parsing Action)이 일어나면 Open API에서 인증받은 Key값을 통해 필요한 API의 JSON형식 데이터에 접근한다. 접근한 JSON형식의 데이터를 파스 자바 클래스(Parse Java Class)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만 분류한다. 파스 자바 클래스에서 분류한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넘겨 모델에 접근하고, 모델에서는 맵퍼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엑세스한 서비스를 통하여 파서에서 얻은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엑세스하게 되면, 해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엑세스 시간을 Java의 Date객체로 가져오게 되며 이는 시스템 접근시간이 된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접근시간에 맞춰진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이후에는 자유롭게 날짜를 설정하여 문화관광 정보를 찾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스템 접근위치는 JavaScript와 공공 MAP API를 이용할 수 있다. JavaScript로 사용자 IP를 통해 가져온 Coordinate 좌표계를 MAPS API의 지오코더(Geocoder)로 활용하여 위치를 확인한다. 확인한 위치를 컨트롤러를 통해 View로 다시 넘겨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문화관광은 문화재와 대표할만한 장소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문화관광은 단순히 문화재와 대표할만한 장소만이 아닌 여러 문화시설과 문화축제, 그리고 문화예술행사까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일정때문에 다음 일정을 놓쳐서 그 날의 일정이 종료되어 버렸을지라도, 현재 일정이 끝난 시간 및 위치를 이용하여 문화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있는 지역과 날짜를 기점으로 문화재, 문화축제, 문화시설, 문화예술 행사 등을 추천해줄 수 있어 시간을 낭비하거나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색다른 경험을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름은 "발자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터팬의 게스트 하우스를 다녀간 사람 또는 현재 머무르고 있는 사람의 방에서 어느 맥주집이 좋은지, 어느 빵집을 해당 그룹원들이 추천하는지를 표시하거나, 또 사용자 자신은 어느 가맹점이 좋은지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b와 같이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어느 곳을 가야할지를 모르고, 소상공인들은 홍보를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른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즉, 관광객은 지역주민(로컬 호스트)이 전달하는 생생한 지역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지도상에서 이를 출력함으로써 빠르게 해당 지역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소상공인은 업체 주변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기반의 광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c와 같이 "내바닥"과 "우리바닥"으로 나뉘고, 내바닥은 사용자 자신만의 기록이며, 우리바닥은 그룹원 상호간에 지역 기반 콘텐츠를 공유하는 공간이다. 이를 실행하게 되면 도 3d와 같이 홈(Home) 화면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핫플레이스 및 화제가 되는 그룹지도와 지도스크랩의 확인할 수 있고, 발자국은, 주변 지역의 피드가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소비형 콘텐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e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 뿐만 아니라 그룹 중심적인 피드 공유할 수 있고, 그룹지도에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채팅 기능이 제공되며, 지역 기반화 및 관심사 서비스 크라우드 소싱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공유할 수 있다. 또, 그룹간 지역 커뮤니티를 통하여 사용자간 원할한 소통을 진행할 수 있고, 특정 지역만으르 타겟으로 하는 정보를 업로드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크라우드 소싱을 통한 대량 정보 수집이 가능한 그룹 지도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그룹 중심적인 피드 공유가 가능 그룹 간 지역의 정보 공유 및 게시물 협력 작성을 위하여 그룹 지도 내 라이브 채팅을 추가하여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f와 같이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를 분석하여 관광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역주민과 연계하여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확장하여 글로벌화할 수 있다. 언어장벽이 있다고 할지라도 사진이나 영상 위주의 장소 기반 콘텐츠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국민이 외국에 나갈지라도, 외국인이 자국에 올지라도 상호간의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 3g와 같이 지도스크랩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특정 테마와 고나련된 정보가 필요한 관광객에게 테마로 다양한 장소 경험을 묶어서 업로드 후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고, 지역 내 거주하는 호스트로부터 경험을 업로드받고 이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소통할 수 있는 그룹지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3h와 같이 홍보비용을 최소화하고 거리기반으로 지면 노출함으로써 높은 반응률을 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도 4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사진이나 영상의 위치정보를 가져오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때, GPS 태그가 태깅된 사진이나 영상이 도 4b와 같이 추출되고 나면, 도 4c와 같이 사용자의 "내바닥" 지도 상에 자신이 어느 곳을 갔는지가 표시가 된다. 도 4d와 같이 썸네일이나 아이콘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고, 도 4e와 같이 확대 또는 축소함에 따라 아이콘만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f와 같이 추천 발바닥, 즉 타인이 공개한 지도나 추천 지도를 온(● 표시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경우, 해당 지도 내 선택된 가맹점이 내 지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된다. 만약, 사용자가 역삼동 테헤란로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연예인 테헤란로 맛집 지도를 온(On)시키는 경우, 내 위치를 중심으로 연예인이 다녀갔던 맛집들이 발바닥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 도 4g와 같이 내주변 둘러보기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현위치를 기준으로 뉴스나 주변바닥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고, 도 4h와 같이 우리바닥이라는 그룹원 간 지도 공유가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A와 사용자 A의 가족, B,C,D가 제주도로 여행을 간 경우, 각자 찍은 사진이나 영상이 GPS 태그를 기준으로 지도상에 오버레이되고, 각자 사진이나 영상을 교환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의 가맹점(POI, Point of Interest)을 누르면, A,B,C,D가 찍은 사진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i와 같이 우리바닥은 비공개 바닥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는 개인 또는 그룹 모두 공개, 비공개, 친구공개 등 공유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j와 같이 각 그룹원은 비공개 바닥을 그룹원끼리만 공유하게 되는데, 각 그룹원은 자신의 POI를 설정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면서 해시태그나 검색어 또는 이에 대한 설명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k와 같이 그룹은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장이 존재할 수 있고, 비공개 그룹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그룹장의 허가나 승인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l과 같이 공개바닥이 존재할 수 있고, 공개바닥을 만드는 그룹원의 목록 및 각 그룹원이 다녀간 가맹점(POI)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각 그룹원이 해당 지역에서 어느 곳을 다녀갔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때에도, 도 4m과 같이 가고싶은 곳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길찾기를 진행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록하기로 발자국 기록을 남길 수도 있다. 도 4n과 같이 위치를 선택한 후, 도 4o와 같이 장소 아이콘, 즉 장소콘을 선택한 후, 도 4p와 같이 업로드할 사진을 선택하고, 도 4q와 같이 사진이나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렇게 업로드되면 도 4r과 같이 그룹원 이름과 장소콘이 함께 지도상에 오버레이된다.
도 4s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업로드한 장소 기반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리스트업될 수 있고, 어떠한 장소를 많이 갔는지에 따라 전문분야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A가 치킨집을 자주 방문했다면, 프로필 사진 옆에 치킨 아이콘이 함께 부착되어 "치킨전문가"로 지정될 수 있다. 또, 도 4t와 같이 가보고 싶은 곳은 별표로 저장하여 이후 그 지역을 방문했을 때 별표 및 위치를 띄움으로써 사용자가 그 가맹점(POI)를 가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4u와 같이 폴더를 생성할 때 비공개로 할 것인지 공개로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 4v와 같이 타 사용자를 팔로우할 수 있고, 역으로 타 사용자가 사용자를 팔로잉할 수도 있다. 도 4w와 같이 각 폴더는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될 수도 있고 지역별로 나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설정하고 싶은대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 장소 기반 콘텐츠는 도 4x와 같이 내바닥, 즉 내 페이지에 업로드할 것인지, 우리바닥, 즉 그룹 페이지에 업로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GPS 태그, 상호 및 상품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5200),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GPS 태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가맹점과 매핑되도록 등록한다(S5300).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 및 리스트업하되, GPS 태그가 일치한 가맹점은 사용자 방문 가맹점으로 표시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후 GPS가 태깅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권한을 허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의 GPS 태그와 기 등록된 가맹점의 GPS 태그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GPS 태그, 상호 및 상품을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하는 등록부(310),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에 GPS 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320), 상기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GPS 태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GPS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지도상에 상기 가맹점과 매핑되도록 등록하는 매핑부(33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 및 리스트업하되, 상기 GPS 태그가 일치한 가맹점은 사용자 방문 가맹점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택되고, 상호간 장소공유를 할 대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 단말(500)은,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태깅된 GPS 태그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GPS 태그와 일치하는 경우, 지도상에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원의 위치와,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호간 공유하고,
    상기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로부터 공개형으로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영상을 GPS 태그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사진 또는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참여 단말에서 기록한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하는 출력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소 아이콘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오버레이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아이콘부(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팔로우한 대상의 피드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지도상에 실시간 피드를 출력하는 피드관리부(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320)는, 사용자가 찾아간 장소에서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가맹점과 자신이 방문하지 않은 가맹점을 구분하여 지도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가 2층 이상의 건물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사진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사진 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사진을 해당 가맹점의 사진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GPS 신호를 시간에 동기화시켜 이동 패턴을 수집하고, 상기 이동 패턴 상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동안 머무른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상기 지역의 호스트로 지정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3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86664A 2020-07-14 2020-07-14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64A KR102229691B1 (ko) 2020-07-14 2020-07-14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64A KR102229691B1 (ko) 2020-07-14 2020-07-14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691B1 true KR102229691B1 (ko) 2021-03-19

Family

ID=7526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664A KR102229691B1 (ko) 2020-07-14 2020-07-14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705B1 (ko) * 2022-01-24 2022-11-28 주식회사 지아인스 Qr코드 방문인증 기반 리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550B1 (ko) * 2022-09-21 2023-09-07 주식회사 제트엘 생활밀착형 원스톱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187B1 (ko) * 2016-11-01 2017-12-19 유용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가맹점 사진 촬영 보상 시스템
KR20200079673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큐브인터랙티브 사용자 촬영 이미지상 위치정보 및 사용자 정보 입력 기반의 가맹점 정보 db 구축 방법 및 가맹점 정보 관리 및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187B1 (ko) * 2016-11-01 2017-12-19 유용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가맹점 사진 촬영 보상 시스템
KR20200079673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큐브인터랙티브 사용자 촬영 이미지상 위치정보 및 사용자 정보 입력 기반의 가맹점 정보 db 구축 방법 및 가맹점 정보 관리 및 검색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경제 기사, "위치기반 SNS 씨온, 3년 노하우 담은 맛집종결앱 '식신' 출시"*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705B1 (ko) * 2022-01-24 2022-11-28 주식회사 지아인스 Qr코드 방문인증 기반 리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550B1 (ko) * 2022-09-21 2023-09-07 주식회사 제트엘 생활밀착형 원스톱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308B2 (ja) 施設特性を更新するプログラム、施設をプロファイリングする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施設特性を更新する方法
Huang et al. Location based services: ongoing evolution and research agenda
KR101213868B1 (ko) 가상 세계
KR101213857B1 (ko) 가상 세계
JP5486680B2 (ja) 指向性デバイス情報を介して検出された興味のある地点との対話に基づくポータルサービス
US7777648B2 (en) Mode information displayed in a mapping application
US9710873B1 (en) Point of interest mapping
JP5334911B2 (ja) 3次元地図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地図画像生成システム
US8675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by pointing at object of interest
US9282161B1 (en) Points of interest recommendations
KR102236546B1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9691B1 (ko) Lbs 기반 대중참여형 가맹점 콘텐츠와 연동된 소셜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hn et al. Webizing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RU260472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множестве точек интереса
US10515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oundary mapping
KR101572664B1 (ko)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460219B2 (en) Selection and rating of locations and related content based on user categorization
US20160198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for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and user terminal
US9275127B1 (en) Location categorization
Sasaki et al. Sightseeing navigation system from normal times to disaster outbreak times within urban tourist areas in Japan
KR20180026998A (ko) 장소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게시물 작성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서버 및 시스템
Yamamoto Navigation system for foreign tourists in Japan
KR20140019052A (ko) 게시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TWM588830U (zh) 基於活動行為的推薦裝置
US10156638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loc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