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931B1 -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931B1
KR101539931B1 KR1020130142007A KR20130142007A KR101539931B1 KR 101539931 B1 KR101539931 B1 KR 101539931B1 KR 1020130142007 A KR1020130142007 A KR 1020130142007A KR 20130142007 A KR20130142007 A KR 20130142007A KR 101539931 B1 KR101539931 B1 KR 10153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ibular
stimulation
animal model
semicircular canal
symp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799A (ko
Inventor
김민선
박병림
구호
최명애
김나리
정호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06Animal model for genetic diseases
    • A01K2267/0318Animal model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e.g. non- Alzhei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유양돌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양돌기에 구멍을 내고 열 자극기의 전극을 특정 세반고리관에 고정하는 단계; 및 특정 세반고리관에 열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세반고리관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온도자극이 가능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AN ANIMAL MODEL INDUCED VESTIBULAR SYMPTOM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열 자극으로 특정 세반고리관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고, 유모세포가 손상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온도자극이 가능한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정기관이란 머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중추신경계에 그 정보를 전달하고, 전정척수반사(vestibulo spinal reflex) 및 전정안구반사(vestibulo ocular reflex) 등을 초래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기관이다.
전정기관은 내이에 위치한 말초 전정기관과 뇌간에 위치한 전정신경핵들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 전정기관은 수평, 수직 선형 가속도를 감지하는 이석기관(otolith organ)과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세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세반고리관은 3개의 고리모양 관이 각각 수직 형태로 놓여있어 3차원 공간의 모든 방향으로의 회전 및 가속을 감지할 수 있다.
말초 전정기관의 내부는 림프액으로 가득 차있으며, 이석기관의 평형반과 세반고리관의 팽대부에 유모세포가 분포하는데, 위치변화에 따른 이석 혹은 림프액의 움직임으로 유모세포가 자극되면서 신호가 전달된다.
이러한 전정기관에 손상 또는 일시적 장애가 발생하면 어지럼증, 오심, 구토, 자발안진(눈떨림) 및 자세부조화와 같은 전정증상(vestibular symptoms)이 일어날 수 있다.
전정기관의 장애는 이독성 약물, 바이러스 감염, 노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여 발생하며, 전정기관의 장애로 인한 전정증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운동수행능력을 저하시키는 등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삶을 황폐화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사람에서 전정기관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회전자극 검사(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SHA test)와 온도자극 검사(caloric test) 등이 있다.
회전자극 검사는 환자가 앉아있는 의자가 회전할 때 또는 회전 후 환자의 전정기관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사장비가 고가이며 한 측만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온도자극 검사는 양측 귀에 냉수(30℃)와 온수(44℃)를 주입하여 외이도에서 온도자극을 하면 내이에 있는 전정기관으로 열이 복사, 전달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전정기관의 흥분으로 나타나는 자발안진(spontaneous nystagmus)의 정도를 측정하여 전정기능을 평가하는 진단방법이다.
여기서 자발안진이란 전정기관의 흥분에 따른 전정안구반사에 의해 안구가 불수의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온도자극은 온도변화에 따른 림프액의 대류발생에 의한 유모세포의 흥분변화, 전정신경의 직접적 온도자극 및 삼투압 변이 효과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도자극 검사는 회전자극 검사에 비해 검사장비가 간단하고 한쪽 전정기관을 선택적으로 흥분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 온도자극 검사법에 이용되는 전정기관의 냉온 자극이 뇌졸중 환자에게서 편측무시증, 중추성 통증을 일시적으로 억제함이 밝혀져, 온도자극 검사법이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전정기관 자극을 통해 뇌질환의 임상증상을 완화할 신경변조(neuromodulation)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신경변조란 신경 자극을 통해 신경계 기능을 조절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의료 기술로, 신경변조가 적용되는 분야에는 통증, 간질, 비뇨기계 장애, 청각장애, 심장질환 등이 있다.
한편, 실험동물 수준에서 전정기관의 온도자극은 외이도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고정하므로, 전정기관의 자극 외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생리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외이도의 물 주입으로 인한 중이염 및 청각기능 변화를 초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실험동물 수준에서 전정기관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회전자극을 가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자극을 위해 실험동물을 회전자극기에 고정해야 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마취를 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실험동물의 자율신경계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자극시 실험동물의 몸 전체가 회전운동을 받기 때문에 신체 혈류량의 변화로 심혈관계의 기능변화 및 뇌 혈류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실험동물에서는 전정기관의 온도자극을 위하여 외이도를 자극하는 방법보다 중이에 관을 삽관하여 직접 물을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온도자극을 위하여 중이에 삽관을 해야하기 때문에 중이 구조물들 중 청각전달에 중요한 고막, 이소골의 손상 및 파괴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청각기능의 감소를 초래한다.
둘째,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머리가 움직이지 못하게 실험동물을 고정하거나 마취를 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들에 의한 비선택적 다른 감각계의 흥분에 따른 뇌 활성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중이에 온도자극을 가하기 때문에 중이 내피상포 자극, 청각기관인 와우 자극 등 전정기관 이외에 다른 구조물들의 자극을 초래할 수 있다.
넷째, 전정기관이 3개의 세반고리관과 이석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이들이 중이 쪽에 노출되어 있어 중이를 통한 온도자극은 비특이적으로 전정기관을 자극할 수 있다.
다섯째, 온도자극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중이에 물을 주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설령 반복적 주입을 한다고 해도 이들 행위에 의한 염증 및 부종으로 중이염과 청각기관의 손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고주파란 보통 30 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일컫는 말로, 고주파 전류를 생체조직에 일정 시간 가하면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고주파 열치료술(Radiofrequency ablation, RFA)을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열치료술은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종양을 태워 제거할 수 있으며,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말초신경의 기능을 변화시켜 통증을 조절하기 때문에, 근·골격계의 염증, 측간판증, 타박상증 등에 따른 동통의 경감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고주파 전류에 의한 열 발생을 전정기관의 세반고리관에 선택적으로 유도시킨다면, 특정 세반고리관을 온도자극하여 전정기관의 기능을 평가하는 실험모델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착안하였다.
한편, 전정기관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6176호에 전정기관 이상 검사 및 자극 기기에 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평형장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안진반응 화상처리 기술과 평형감각기에 온도자극을 주는 기술 및 평형감각 신경에 직접 전기적 자극을 주는 기술을 통하여 검사하고, 치료까지 할 수 있는 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정기관 연구를 위한 동물모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462687호에는 전정기관 자극을 위한 3축 회전자극장치가 기재되어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전정기관의 각 구성부위를 선별적으로 자극하여 현기증을 포함한 평형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전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3축을 각각 자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앞서 서술했던 것과 같이, 회전자극시 실험동물의 몸 전체가 회전운동을 받기 때문에 신체 혈류량의 변화로 심혈관계의 기능변화 및 뇌 혈류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리하여 보면, 실험동물을 이용한 종래의 선행 기술은 주로 회전자극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존의 온도자극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특정 전정기관을 선별적으로 반복 자극할 수 있는 동물모델에 대한 연구 시도는 없었던바,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6176호 (2002. 04. 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2687호 (2004. 12. 10.)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열자극에 의해 특정 세반고리관이 선택적으로 자극되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정기관 내 유모세포가 손상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온도자극이 가능한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정기관의 기능 이해뿐만 아니라 어지럼증 치료제 개발 및 전정신경변조(vestibular neuromodulation) 치료술 개발을 위한 연구모델로 활용될 수 있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실험동물의 유양돌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양돌기에 구멍을 내고 열 자극기의 전극을 특정 세반고리관에 고정하는 단계; 및 특정 세반고리관에 열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은 고주파 열자극에 의해 특정 세반고리관이 선택적으로 자극되므로, 비특이적인 전정기관의 자극이 없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은, 전정기관 내의 유모세포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전정기능이 감소하지 않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은, 반복적인 온도자극이 가능하여 연구자가 원하는 시간에 전정기관을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에 의한 전정기관 흥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 전극을 측두골 유양돌기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두개골에 고주파 열자극 전극을 커넥터와 고정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주파 열자극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에 의한 안구의 위치변화 및 자발안진의 발생을 나타낸 그래프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 후 팔로이딘(phalloidin) 염색한 유모세포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 후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 발현을 나타낸 사진(A)과 그래프(B)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이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계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험동물의 유양돌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양돌기에 구멍을 내고 열 자극기의 전극을 특정 세반고리관에 고정하는 단계; 및 특정 세반고리관에 열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에 의해 전정기관의 흥분이 야기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고주파 열자극기에서 출력된 고주파 전류는 커넥터를 경유하여 세반고리관에 고정된 전극에 도달하고, 인가된 고주파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세반고리관 내 림프액에 열이 전달된다.
림프액의 온도변화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세반고리관 내 유모세포의 부동모(감각모)가 움직이게 되고, 유모세포가 탈분극하여 전정신경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구축
실험동물의 유양돌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양돌기에 구멍을 내고 열 자극기의 전극을 특정 세반고리관에 고정하는 단계; 및 특정 세반고리관에 열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을 구축하였다.
1-1. 실험동물 준비 및 유양돌기 노출 단계
체중 270-290 g의 건강한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 SD)계 흰쥐 수컷 10예를 사용하였다. 실험 일주일 전부터 실온의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실험동물을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흡입 마취하고 복와위로 수술대에 고정하였다. 무균상태에서 외이 뒷부분의 피부 및 근육을 절개하여 측두골의 유양돌기를 노출시켰다.
1-2. 열자극기의 전극 삽입 및 고정 단계
치과용 미세드릴을 이용하여 세반고리관이 위치하고 있는 유양돌기 부위에 하나의 미세 구멍을 만들었다.
열자극용 전극은 직경 0.05 mm 테프론(teflon) 피복 스테인리스 강성을 사용하였으며 끝이 2 mm 정도 노출된 상태로 유양돌기에 만들어진 작은 구멍을 통하여 세반고리관에 접근하여 전극을 세반고리관 상부 표면에 고정하였다(도 2 참조).
이때 세반고리관은 수평반규관, 전반규관 및 후반규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평반규관에 고주파 열자극용 전극이 고정될 수 있다.
전극을 고주파 열자극기에 연결하여 고주파 자극하였을 때 안구운동이 관찰된 것을 확인한 다음 전극을 치과용 시멘트로 유양돌기에 고정하였다.
반복자극을 위해 전극이 연결된 커넥터를 두개골을 노출하여 미세 나사와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두개골에 커넥터를 고정하였다(도 3 참조).
수술 후 실험동물을 가스 마취를 중단시키고 회복을 유도한 다음 항생제를 3일간 투여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3. 고주파 열자극 단계
전극 고정 수술 후 5일이 경과된 동물들을 대상으로 열자극을 실시하였다.
고주파 열자극기는 싸이버메딕사(한국) RFWS 100(도 4 참조)을 사용하였고, 상기 고주파 열자극기를 두개골에 고정된 커넥터에 연결하였다.
고주파인 300 KHz 구형파를 1~2 mA의 자극강도로 10-20초간 열자극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3예에서 매일 하루에 1회 이상 연속적으로 3일간 반복 자극하였다.
실험예 1. 자발안진의 기록
무마취 상태의 실험동물에 고주파 열 자극기를 사용하여 세반고리관에 열 자극을 가한 후 안구 회전을 확인하고, 자발안진의 발생을 비디오 안구운동장치를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이미지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구운동의 발생 빈도 및 속도를 분석하였다.
도 5는 열자극에 의한 안구의 위치변화 및 자발안진의 발생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와 사진으로, 열 자극 후 자발 안구 운동이 활발하게 증가하였으며 60분 이후 감소하여 120분이 지나면 안구회전 운동의 활성이 사라짐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3일간 매일 반복자극하였을 때 열자극에 의한 안구운동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안구운동의 발생 정도 및 소멸 시기 등은 매일 거의 일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무마취 상태로 전정기관을 반복적으로 흥분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결과를 근거로 연구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하는 시간에 전정기관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세반고리관 유모세포의 손상 확인
3일간의 반복 열자극이 세반고리관의 유모세포에 손상을 가하는 지를 확인하여 위하여 열자극이 끝나고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내이에 위치한 세반고리관의 팽대부를 적출하여 4% parformaldehyde 용액에 고정하고, 조직절단기를 이용하여 40 ㎛의 간격으로 절단하고 Alexa 594-labelled 팔로이딘(phalloidin) 면역조직 염색을 실시하여 형광현미경에서 관찰하였다.
팔로이딘(Phalloidin)은 액틴과 결합하는 성질을 가진 분자로, 로미딘 등의 형광색소를 결합시킨 팔로이딘을 액틴에 작용해 액틴 섬유를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에서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액틴으로 구성된 미세섬유가 많은 유모세포의 표식자로 팔로이딘(phalloidin) 염색법을 사용하여 유모세포의 손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고주파 열자극 후 세반고리관 내 유모세포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팔로이딘(phalloidin)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에서 관찰한 모습이다.
3일간 연속적으로 열자극을 실시하였는데 고주파 열자극에 의한 유모세포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은 고주파 열자극에 의해 전정증상이 유발되지만 전정기관 내 유모세포에는 손상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세반고리관 흥분에 의한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 발현 관찰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세반고리관의 흥분에 의한 전정신경핵의 흥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 3예에서 1회 고주파 열자극 후 90분이 지난 시점에서 urethane을 사용하여 마취를 시킨 후 1% 와 4% paraformaldehyde로 심장을 관류시켜 조직을 고정한 다음 두개골을 제거하여 뇌 조직을 박리하였다.
박리된 뇌 조직은 4% paraformaldehyde에 고정하여 4℃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30% sucrose에서 3일 이상 방치하였다.
미세절단기를 이용하여 35 ㎛의 두께로 조직 절편을 만들어서 TBS로 세척하고, 0.3% 과산화수소수로 처리하여 endogenous peroxide의 활성을 차단시켰다.
조직을 충분히 세척한 후 0.5%의 Triton X-100 (Sigma Co. USA)을 함유한 TBS에서 30분간 방치 후 TBS로 조직을 세척하였다.
5% milk를 함유한 TBS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cFos에 대한 항체 (InnoGenex, USA)를 TBS 용액에 희석하여 24시간 동안 4℃ 에 보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진탕시키고 TBS로 세척하였다.
그 후 이차항체인 Streptavidin 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를 20분 동안 진탕 후 TBS로 세척 한 후, ABC 용액 (Vectastatim from Vector Laboratory Ins. USA)을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TBS로 세척한 후 peroxide substrate solution (DAB) (Vector Laboratory Inc, USA)을 첨가하여 3~5분간 반응시켰다.
증류수로 세척 후 Xylene에 담그고 마운트 용액을 이용하여 표본을 완전 고정시켰다.
광학현미경하에서 진갈색의 cFos 양성세포를 관찰하였고 화상자동분석시스템 (Image-Pro Plus, USA)을 이용하여 내측 전정신경핵에서 cFos 양성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도 7은 고주파 열자극에 의한 내측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 검사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A)과 그래프(B)이다.
전정기관의 구심성 전정정보는 전정신경을 경유하여 뇌간에 위치한 전정신경핵에 전달되므로 전정신경핵의 뉴런들이 흥분하게 된다.
전정신경핵은 평형중추이며,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한 말초 전정기관의 구심성 신호와 소뇌 및 대뇌피질로부터의 신호를 통합하여 다양한 전정반사를 유발한다.
한편, 중추신경계 신경세포에서 cFos 단백은 다양한 흥분적 자극에 의한 스냅스의 탈분극에 의하여 20분 이내에 발현되기 시작하고 24시간 이상 지속되므로, 일명 immediate-ealry gene 단백이라 하며 신경세포의 흥분 표지자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7(A)의 사진을 살펴보면, 고주파 열자극을 가해준 쪽과 동측의 내측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 발현이 반대측보다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세반고리관의 열자극이 전정신경핵 뉴런의 흥분을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난 그래프를 보면, 고주파 열자극을 가해준 쪽과 동측(ipsi)의 내측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 발현이 반대측(contra)보다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세반고리관의 열자극이 전정신경핵 뉴런의 흥분을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ipsi, ipsilateral side to UL; contra, contralateral side to UL, p<0.0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고주파 열자극으로 세반고리관의 신경이 흥분되고, 발생된 전정정보가 전정신경을 경유하여 뇌간의 전정신경핵까지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7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5)

  1. 실험동물의 유양돌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유양돌기에 구멍을 내고 열 자극기의 전극을 특정 세반고리관에 고정하는 단계; 및 특정 세반고리관에 열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자극은 고주파 열 자극기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정증상은 자발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물모델의 유모세포는 손상되지 않으며, 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의 발현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KR1020130142007A 2013-11-21 2013-11-21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07A KR101539931B1 (ko) 2013-11-21 2013-11-21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07A KR101539931B1 (ko) 2013-11-21 2013-11-21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99A KR20150058799A (ko) 2015-05-29
KR101539931B1 true KR101539931B1 (ko) 2015-07-29

Family

ID=5339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007A KR101539931B1 (ko) 2013-11-21 2013-11-21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29A1 (ko) * 2018-07-13 2020-01-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안구편위 진단 및 치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2055A (ja) * 1993-06-29 1996-12-17 シャピロ,ハワード・ケイ 神経学的疾患および精神病関連症状の治療のための薬剤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
KR100336176B1 (ko) * 1999-08-21 2002-05-10 김윤종 전정기관이상 검사 및 자극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2055A (ja) * 1993-06-29 1996-12-17 シャピロ,ハワード・ケイ 神経学的疾患および精神病関連症状の治療のための薬剤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
KR100336176B1 (ko) * 1999-08-21 2002-05-10 김윤종 전정기관이상 검사 및 자극 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rgin M et al. World J Otorhinolaryngol 2013 August 28; 3(3): 71-88. *
Bernard Cohen et al. Exp Brain Res. 2011 April ; 210(1): 45-5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29A1 (ko) * 2018-07-13 2020-01-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안구편위 진단 및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99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04345A (ja) 医学的障害の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Gilletti et al. Brain micromotion around implants in the rodent somatosensory cortex
ES2394206T3 (es) Facilitación de tratamiento mediante la estimulación magnética.
Kral et al. Absence of cross-modal reorganization in the primary auditory cortex of congenitally deaf cats
EP26613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JP2014501138A5 (ko)
Niparko et al. Surgical implantation and biocompatibility of central nervous system auditory prostheses
KR101539931B1 (ko) 전정증상이 유발된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Kim et al. VPL-DBS on neuropathic pain rat model is effective in mechanical allodynia than cold allodynia
Kozák et al. Chronic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intracortical recording in rats
Nam et al. Effects of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on vestibular compensation in unilaterally labyrinthectomized mice
Arsenault et al. A novel combinational approach of microstimulation and bioluminescence imaging to study the mechanisms of action of cerebral electrical stimulation in mice
Yamaoka et al. Comparison among ultrasonic, electrical apparatus, and toxic chemicals for vestibular lesion in mice
KR101428680B1 (ko) 대뇌피질의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전정증상 치료 시스템
Hitier et al. Vestibular-related eye movements in the rat following selectiv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ensors
Wang et al. Functional MRI reveals brain-wide actions of thalamically-initiated oscillatory activities on associative memory consolidation
Argyropoulos Experimental us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n relation to the cerebellum and language
Aschan Clinical vestibular examinations and their results
Berliner et al. Cochlear implants: an overview and bibliography
Thabet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cute vestibular syndrome
RU262670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тугоухости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генеза
RU232301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й сенсоневральной тугоухостью в остром периоде, возникшей в результате минно-взрывной травмы
Gening et al. Physiology of excitable tissues
Bouisset Impact of Extremely Low-Frequency Magnetic and Electric Stimuli on Vestibular-Driven Outcomes
Folmer Breaking news: Implants can improve tinnitus, but most offer no quick fi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