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70B1 - 복합 청소기 - Google Patents

복합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70B1
KR101539070B1 KR1020140042142A KR20140042142A KR101539070B1 KR 101539070 B1 KR101539070 B1 KR 101539070B1 KR 1020140042142 A KR1020140042142 A KR 1020140042142A KR 20140042142 A KR20140042142 A KR 20140042142A KR 101539070 B1 KR101539070 B1 KR 10153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mber
cleaning
water supply
wat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형
Original Assignee
이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형 filed Critical 이상형
Priority to KR102014004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이용하여, 바닥 닦기와 동시에 먼지 및 쓰레기 등을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므로 바닥 쓸기와 닦기를 한번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내부에 청소부재의 세정탈수부와 탈수부가 형성되므로 청소부재에 흡착된 먼지의 제거와 청소부재에 흡입된 물기의 탈수가 연속해서 진행되므로, 별도로 청소부재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항상 세척 및 탈수가 진행된 깨끗한 청소부재를 이용해 바닥을 닦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청소기{MULTI CLEANER}
본 발명은 복합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하는 청소부재를 이용해 바닥의 먼지를 장치의 내부로 유입함과 동시에 닦기가 진행되며,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세정탈수부를 이용해 청소부재에 묻은 먼지가 제거되고, 청소부재에 흡수된 물기를 탈수시키는 작업이 연속하여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 진공청소기 또는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사용하여 1차로 바닥면의 먼지 및 쓰레기와 같은 청소물을 제거한 후에, 청소부재를 이용하여 2차로 바닥에 잔류하는 먼지 및 머리카락 등을 닦아낸다. 즉, 바닥면의 청소가 2번에 걸쳐 진행되고, 청소가 마무리된 후에도 바닥을 닦아낸 청소부재를 세정해야하기 때문에 청소를 위한 가사노동력이 가중된다.
또한 청소를 편하게 하기 위해 밀대에 청소부재를 끼워 사용하는 청소부재기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청소부재기구를 사용하여도 바닥을 닦을 때의 자세만 편리해질 뿐 여전히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힘의 소요를 줄이기 위해 회전하는 청소부재가 장착된 청소부재회전기구가 출시되었지만, 여전히 바닥을 닦기 전에 1차로 바닥면의 먼지 및 쓰레기를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바닥 닦기를 완료한 후에는 사용한 청소부재를 세정해야하는 등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가사 노동력이 크게 줄지 않는다.
또한, 물기가 많은 바닥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에는 청소부재에 물을 흡수시키고 탈수시키는 과정을 물기가 제거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시간과 가사 노동력이 소모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의 청소를 위해 1차와 2차로 나뉘어 진행되던 작업을 한번에 진행하고, 또한 청소 후에 오염된 청소부재를 세정하고 탈수시키는 작업까지 동시에 진행되어 청소를 위한 시간 및 가사 노동력을 절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물을 유입시키는 평판형상의 제 1청소부재 및 제 2청소부재; 및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사이로 유입된 청소물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물을 유입하는 평판형의 제 1청소부재 및 제 2청소부재;및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분에 대해 세정 및 탈수를 진행하는 세정탈수부; 및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사이로 유입된 청소물을 채취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는 바닥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장착되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분은 바닥면과 맞닿도록 굴절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을 이용해 바닥면의 세정력을 높이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외부로 돌출된 청소부재 돌출부;와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외주면에서부터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청소부재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의 마찰이 발생시키는 제1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솔을 이용하여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하며,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통; 상기 물공급통에 형성된 물공급홀; 상기 물공급통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공급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 공급통의 물이 이동하는 물공급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회전할 때에 상기 물공급솔과 간섭이 발생하며, 상기 물공급솔에 위치한 물을 사방으로 분사되며 물안개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상방을 압착하는 상부압착롤;과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하방을 압착하는 하부압착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압착롤과 상기 하부압착롤의 사이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에 흡입된 물기를 제거한다.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부착되는 청소부재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가 바닥면에 맞닿아 꺾일 때에 상기 걸레고정부의 탄성을 이용해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바닥면의 세정력을 높이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상면에는 섬유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회전할 때에, 상기 제 1청소부재와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상면과 맞닿는 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누르는 누름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청소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청소기가 안착되는 공간인 거치공간과;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거치대돌출부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공간에 세정제를 넣고, 상기 청소기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에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세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이용하여, 바닥 닦기와 동시에 먼지 및 쓰레기 등을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므로 바닥 쓸기와 닦기를 한번에 진행할 수 있으며, 장치의 내부에 청소부재의 세정탈수부와 탈수부가 형성되므로 청소부재에 흡착된 먼지의 제거와 청소부재에 흡입된 물기의 탈수가 연속해서 진행되므로, 별도로 청소부재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항상 세척 및 탈수가 진행된 깨끗한 청소부재를 이용해 바닥을 닦을 수 있다.
도 1과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회전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회전부와 세정탈수부, 수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청소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섬유층 및 경사면이 형성된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세정탈수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세정탈수부 및 수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물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물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수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수거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회전부와 세정탈수부, 수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를 바닥에 밀착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청소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로 나뉘며, 손잡이부(200)에는 전원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전원버튼(201)이 형성되고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통(210)이 체결된다. 물통(210)은 손잡이부(200)에서 분리가 가능하며, 물통(210)에 채워넣은 물은 호스(132)로 유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여 청소부재(123)로 분사된다. 호스(132)는 물통(210)부터 본체부(100)까지 손잡이부(200)의 내부에서 이어져서 연결되며, 손잡이부(200)의 내부의 호스(132)의 일부분에는 물통(210)의 물이 전원공급선(211-1)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때에만 공급될 수 있도록 차단장치(211)가 설치되어 청소기의 구동시에만 청소부재(123)로 물이 공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케이스(110)와 회전부(120)와 세정탈수부(130), 수거부(140)로 나뉜다. 케이스(110)는 회전부(120)와 세정탈수부(130)의 일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손잡이부(200)와의 체결을 위해 손잡이체결부(111)가 형성된다. 손잡이체결부(111)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110)가 아닌 다른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120)는 회전부프레임(121)과, 회전부프레임(121)을 관통한 회전축(127)과, 회전축(127)에 체결되고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청소부재고정부(122)와, 청소부재고정부(122)에 벨크로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테이프를 이용해 부착되는 평판형상의 청소부재(123)와, 청소부재(123)를 압착하기 위한 상부압착롤(124), 청소부재(123)를 바닥면(300)에 밀착시키기 위해 회전부프레임(121)에 체결되는 누름지그(125)와, 누름롤(126), 그리고 청소부재(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128)과, 회전력전달수단(129)으로 이루어진다.
청소부재(123)는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로 이루어지며,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의 사이로 바닥면(300)의 먼지 및 쓰레기와 같은 청소물이 유입된다. 청소부재고정부(122)는 원형의 형상에서 일부분이 돌출되는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122-1)를 가지며,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122-1)는 청소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전 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된다. 청소부재(123)는 청소부재고정부(122)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청소부재돌출부(123-1)가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122-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에 각각 형성된 청소부재돌출부(123-1)가 톱니바퀴와 같이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며 바닥면(300)의 청소물을 유입한다. 또한 청소부재돌출부(123-1)를 이용하여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의 사이의 공간에 빈 틈이 없이 걸레질이 진행될 수 있다. 청소부재(123) 및 청소부재고정부(122)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청소부재절개부(123-2) 및 청소부재고정부절개부(122-2)가 형성된다. 청소부재(123)는 소모품으로 사용횟수가 초과되어 세정력이 떨어질 때에는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청소부재고정부(122)의 상측면에는 합성섬유와 같이 마찰력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재료가 코팅되거나 부착된 섬유층(122-4)을 형성하여 청소부재고정부(122)가 회전할 때에 회전부프레임(121)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123-1)에 경사면(122-3)을 형성하여, 청소부재(123)가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바람의 방향을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수단(128)은 전기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회전력전달수단(129)은 회전수단(128)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모양의 톱니가 형성된 웜(129-2)과, 청소부재고정부(122)가 체결된 회전축(127)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평평한 톱니가 형성된 웜기어(129-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수단(128)이 회전할 때에, 회전수단(128)에 연결된 웜(129-2)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웜(129-2)의 회전은 웜(129-2)의 톱니와 체결되어 있는 웜기어(129-1)의 톱니를 이용해 웜기어(129-1)를 회전시키므로, 웜기어(129-1)와 회전축(127)으로 연결되어 있는 청소부재고정부(122)와 청소부재 (123)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청소부재(123) 즉,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가 장착되므로 청소부재(123)와 연결되는 모든 부품들은 청소부재(123)와 동일하게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수단(128)과 누름지그(125)와 같이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들은 필요에 따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각각의 청소부재 (123)에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부(120)와 체결되는 세정탈수부(130)는,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고 상방과 후방에 관통된 부분이 형성된 세정탈수부프레임(131)과, 청소부재(123)로 분사할 물을 이동시키는 호스(132)와, 청소부재(123)의 바닥면(300)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하는 제1솔부(133)과, 회전부(120)의 상부압착롤(124)과 함께 청소부재(123)를 압착하는 하부압착롤(134)과, 청소부재(123)의 측면 및 상면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하고 청소부재(123)에 흡입된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솔(135)과, 청소부재(123)를 향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36)와, 바닥면(300)에 장착되고 청소기의 이동을 유용하기 하기 위한 바퀴(137)로 이루어진다. 제1솔부(133)는 제1솔(133-1)과 제1솔(133-1)이 장착되는 제1솔 장착부(133-2)로 이루어지며, 제1솔 장착부(133-2)에는 돌기부(132-3)가 형성되어 청소부재(123)가 회전할 때에 빨래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물공급부(136)는 호스(132)가 연결되어 호스(132)에서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통(136-3)과, 물공급통(136-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물공급홀(136-2), 물공급통(136-3)의 내측에 장착되어 물공급홀(136-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물공급솔(136-1)로 이루어진다. 물공급통(136-3)에 유입된 물이 물공급홀(136-2) 및 물공급솔(136-1)의 사이사이로 이동하게 되고, 청소부재(123)가 회전하며 물공급솔(136-1)과 간섭을 발생시킬 때에 물공급솔(136-1)로 이동한 물이 물공급솔(136-1)의 탄성에 의해 사방으로 튀며 물안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부재(123)가 회전을 통해 물공급솔(136-1)의 부분을 지나갈 때에 발생한 물안개를 이용해 청소부재(123)에 물이 흡수된다. 물공급솔(136-1)은 청소부재(123)와의 마찰을 통해 물안개를 발생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청소부재(123)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하는 역할까지 한다. 물공급홀(136-2)의 크기는 청소부재(123)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크게 형성하여, 청소부재(123)의 중심부에 물의 흡수량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청소부재(123)의 중심부에 흡수된 물이 원심력의 영향으로 청소부재(123)의 외곽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세정탈수부(130)의 내부의 공간에는 수거부(140)가 체결되며, 세정탈수부프레임(131)에는 빗면(131-1)이 형성되고, 이 빗면(131-1)은 청소부재(123)의 회전 시에 청소부재(123)와 맞닿는 면으로,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의 사이로 유입된 바닥면(300)의 청소물이 빗면(131-1)을 지난 후에 세정탈수부(130)의 내부에 체결된 수거부(140)로 이동하게 된다. 수거부(140)에 모아진 청소물은 수거부(140)를 분리하여 쉽게 버릴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수거부(140)는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고 상방이 관통된 수거부프레임(141)과, 수거부프레임(141)의 내부에서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143)과, 분리판(143)의 상측에 위치하고 스펀지와 같이 물기를 흡수하는 자재로 형성된 흡수부재(142)로 이루어진다. 수거부(140)로 유입된 청소물은 흡수부재(142)의 상측에 위치하고, 수거부(140)로 유입된 오염된 물은 흡수부재(142)로 흡수된 후에, 흡수부재(142)의 하측의 분리판(143)으로 이동하게 되며, 분리판(143)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4)를 통해 오수가 분리판(143)의 하측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오수가 오수유입구(144)로 용이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 분리판(143)은 오수유입구(144)를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오수유입구(144)로 유입된 물이 다시 분리판(143)의 상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수유입구(144)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한다. 분리판(143)의 하측에 유입된 오수를 버리기 위하여 수거부프레임(141)의 일측면에는 뚜껑이 장착된 오수배출구(145)가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닥면(300)을 청소한 청소부재(123)의 일부분은 회전을 통해 물공급부(136)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고, 물공급부(136)의 물공급솔(136-1)과 간섭을 발생시키며 청소부재(123)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물공급솔(136-1)이 머금고 있는 물기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므로 발생된 물안개를 통해 물기를 흡수하여 청소부재(123)를 헹구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 후에 회전을 통해 제1솔부(133)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고, 제1솔(133-1)를 이용해 청소부재(123)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한다. 그 후에 회전을 통해 상부압착롤(124)과 하부압착롤(134)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청소부재(123)가 압착되고, 이로 인해 청소부재(123)에 흡수된 물기를 제거한다. 그 후에 제2솔(135)을 이용해 청소부재(123)의 측면 및 상면에 잔류하는 청소물 및 물기를 제거한 후에 다시 바닥면(300)을 향해 회전하여 바닥면(300)을 청소하는 작업이 반복된다. 즉, 바닥면(300)을 청소하며 오염된 청소부재(123)가 회전하여 물공급솔(136-1)과 제1솔(133)을 이용해 세정되고, 상부압착롤(124)과 하부압착롤(134)을 이용해 탈수된 후에 다시 바닥면(300)을 청소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깨끗한 청소부재(123)로 바닥면(300)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부압착롤(124) 및 하부압착롤(134)은 다수개의 원통형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며, 이는 회전축(127)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청소부재(123)의 회전반경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 반경에 맞는 회전속도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상부압착롤(124) 및 하부압착롤(134)의 다수로 분리된 원통의 반경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축(127)에서 멀어질수록 반경이 커지는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청소부재(123)는 세정탈수부프레임(131)의 빗면(131-1)과 평형하게 장착되며, 청소부재(123)가 바닥면(300)에 닿을 때에는 빗면(131-1)과 바닥면(300)이 이룬 각도만큼 청소부재(123)가 꺾이게 된다. 이때에 청소부재 (123)가 장착된 청소부재고정부(122)의 탄성으로 인해 바닥면(300)과 청소부재(123)와의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닥면(300)의 세정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청소부재(123)와 청소부재고정부(122)가 바닥면(300)에서 쉽게 꺾이도록 하기 위해 청소부재(123)와 청소부재고정부(122)의 외주면에서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일부분이 일정각도로 절개된 청소부재절개부(123-2)와 청소부재고정부절개부(122-2)가 형성되며 그 개수는 청소부재돌출부(123-1) 및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122-1)의 개수와 같다. 청소부재(123) 및 청소부재고정부(123)는 청소부재절개부(123-2)와 청소부재고정부절개부(122-2)로 절개된 부분들이 각각 분리된 채로 바닥면(300)에서 꺾이기 때문에 보다 쉽게 꺾이게 된다. 청소부재(123)를 바닥면(300)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누름지그(125) 및 누름롤(126)은 청소물이 유입되는 부분인 제 1의청소부재(123a)와 제 2의청소부재(123b)의 사이의 부근에만 설치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청소부재(123)가 꺾이는 다른 부분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거치대(400)는 청소기가 안착되는 거치대바디(401)와, 거치대바디(401)의 내부에 청소기가 안착되는 공간인 거치공간(403)과, 청소부재 (123)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거치대돌기부(402)와, 손잡이거치부(404)로 이루어지며, 거치대(400)를 이용해 상기 청소기를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부재(123)가 심하게 오염되었을 때에 거치대(400)를 이용해 청소부재(123)를 별도로 세정할 수 있다.
거치대(400)를 이용한 청소부재(123)의 세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거치대(400)의 거치공간(403)에 세정제를 채워 넣은 후에 청소기를 거치대(400)에 안착시키고, 청소기를 작동시켜서 청소부재(123)를 회전시키면, 청소부재(123)의 일부분이 세정제에 담겨진 채로 회전하게 되며, 거치대돌기부(402)가 청소부재(123)와 마찰을 일으키며 빨래판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청소부재(123)의 오염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복합 청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부, 110 : 케이스, 111 : 손잡이체결부,
120 : 회전부, 121 : 회전부프레임, 122 : 청소부재고정부,
122-1 : 청소부재고정부돌출부, 122-2 : 청소부재고정부절개부,
122-3 : 경사면, 123 : 청소부재, 123a : 제 1청소부재,
123b : 제 2청소부재, 123-1 : 청소부재돌출부,
123-2 : 청소부재절개부, 123-2 : 청소부재고정부절개부,
124 : 상부압착롤, 125 : 누름지그, 126 : 누름롤,
127 : 회전축, 128 : 회전수단, 129 : 회전력전달수단,
129-1 : 웜기어, 129-2 : 웜, 130 : 세정탈수부,
131 : 세정탈수부프레임, 131-1 : 빗면, 132 : 호스,
133 : 제1솔부, 133-1 : 제1솔, 133-2 : 제1솔장착부,
133-3 : 돌기부, 134 : 하부압착롤, 135 : 제2솔,
136 : 물공급부, 136-1 : 물공급솔, 136-2 : 물공급홀,
136-3 : 물공급통, 137 : 바퀴, 140 : 수거부,
141 : 수거부프레임, 142 : 흡수부재, 143 : 분리판,
144 : 오수유입구, 145 : 오수배출구, 300 : 바닥면,
400 : 거치대, 401 : 거치대바디, 402 : 거치대돌기부,
403 : 거치공간, 404 : 손잡이거치부.

Claims (12)

  1. 삭제
  2.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물을 유입하는 평판형의 제 1청소부재 및 제 2청소부재;및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분에 대해 세정 및 탈수를 진행하는 세정탈수부; 및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사이로 유입된 청소물을 채취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청소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는 바닥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장착되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분은 바닥면과 맞닿도록 굴절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을 이용해 바닥면의 세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외부로 돌출된 청소부재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청소부재의 청소부재 돌출부와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청소부재 돌출부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청소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외주면에서부터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청소부재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청소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의 마찰이 발생시키는 제1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솔을 이용하여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에 부착된 청소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통;
    상기 물공급통에 형성된 물공급홀;
    상기 물공급통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공급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 공급통의 물이 이동하는 물공급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회전할 때에 상기 물공급솔과 간섭이 발생하며, 상기 물공급솔에 위치한 물을 사방으로 분사되며 물안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탈수부는,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상방을 압착하는 상부압착롤;과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하방을 압착하는 하부압착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압착롤과 상기 하부압착롤의 사이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에 흡입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부착되는 청소부재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일부가 바닥면에 맞닿아 꺾일 때에 상기 청소부재고정부의 탄성을 이용해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바닥면의 세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고정부의 상면에는 섬유층이 형성되어, 상기 제 청소부재고정부가 회전할 때에, 상기 청소부재고정부의 상면과 맞닿는 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누르는 누름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청소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청소기가 안착되는 공간인 거치공간과;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거치대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공간에 세정제를 넣고, 상기 청소기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에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청소부재 및 상기 제 2청소부재의 세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청소기.
KR1020140042142A 2014-04-09 2014-04-09 복합 청소기 KR10153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42A KR101539070B1 (ko) 2014-04-09 2014-04-09 복합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42A KR101539070B1 (ko) 2014-04-09 2014-04-09 복합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070B1 true KR101539070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142A KR101539070B1 (ko) 2014-04-09 2014-04-09 복합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0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249Y1 (ko) * 2002-12-30 2003-04-26 황복희 청소기의 세척포 및 회전판 구조
KR200361344Y1 (ko) * 2004-06-16 2004-09-08 김종삼 물걸레 청소구
KR200376001Y1 (ko) * 2004-11-12 2005-03-11 최장원 이동 거치대를 갖는 스팀청소기
JP2005211363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60110885A (ko) * 2005-04-20 2006-10-26 안원기 모터 물저장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249Y1 (ko) * 2002-12-30 2003-04-26 황복희 청소기의 세척포 및 회전판 구조
JP2005211363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361344Y1 (ko) * 2004-06-16 2004-09-08 김종삼 물걸레 청소구
KR200376001Y1 (ko) * 2004-11-12 2005-03-11 최장원 이동 거치대를 갖는 스팀청소기
KR20060110885A (ko) * 2005-04-20 2006-10-26 안원기 모터 물저장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733B2 (en) Floor cleaning machine using microfiber pad
US4654916A (en) Apparatus for cleaning hard surfaces
CN111407191B (zh) 清洗装置和清洗系统
AU601563B2 (en) An apparatus for wet cleaning a floor or wall surface
JP5705221B2 (ja) 床洗浄機における洗浄液を長時間使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30058126A1 (en) Vacuum head, collection bin, cleaning tray, filter assembly, and cleaning apparatus
CN109152506B (zh) 新型清洁装置和清洁方法
CN111150339A (zh) 清洁工具及用其清理黏性垃圾的方法
CN211834223U (zh) 一种清洁工具
GB2251180A (en) Vacuum cleaner with wiping action
CN211534261U (zh) 清洁组件及洗地机
CN113040637A (zh) 地刷机构和清洁装置
CN112043210B (zh) 清洁筒刮板及具有其的表面清洁装置
CN111820827A (zh) 地刷组件和地面清洗机
KR20140145714A (ko) 걸레 회전형 청소장치
CN212326288U (zh) 一种清洁工具
CN111150337A (zh) 清洁工具
CN212037399U (zh) 清洁工具
KR200476875Y1 (ko) 전기 청소 및 세척 장치
KR101539070B1 (ko) 복합 청소기
CN212334824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箱
JP2008023245A (ja) 靴底洗浄装置
CN212326298U (zh) 一种清洁工具
CN212574805U (zh) 一种水槽组件
CN211834239U (zh) 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