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984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984B1
KR101538984B1 KR1020130163920A KR20130163920A KR101538984B1 KR 101538984 B1 KR101538984 B1 KR 101538984B1 KR 1020130163920 A KR1020130163920 A KR 1020130163920A KR 20130163920 A KR20130163920 A KR 20130163920A KR 101538984 B1 KR101538984 B1 KR 10153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block
header box
block group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703A (ko
Inventor
조근제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3016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9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influencing fluid bound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즈 가변이 용이한 열교환기가 개시된다.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블록군, 제1열교환블록군과 상호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제2열교환블록군, 및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즈 가변이 용이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라 함은 고온 유체가 가진 열에너지를 저온 유체로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가열기, 냉각기, 증발기, 응축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교환기는 열교환 방식 및 구조에 따라 다관식 열교환기, 브록식 열교환기, 쟈케트식 열교환기, 공냉식 열교환기, 스파이럴 열교환기, 판형식 열교환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공냉식 열교환기는 공기를 냉각유체로 하고 팬을 사용하여 전열관의 외면에 공기를 강제 통풍시켜 전열관 내부의 내부유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냉식 열교환기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박스, 및 상기 각 헤더박스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핀튜브를 포함하며, 팬을 이용하여 핀튜브의 외면에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킴으로써, 핀튜브를 통과하는 내부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자동차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차량 종류 및 냉방성능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열교환기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설계자유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열교환기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특정 사이즈를 갖도록 일일이 주문제작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열교환기가 일정 이상의 긴 길이를 갖도록 요구될 경우 제조 설비의 제작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설계자유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버스에 적용되는 열교환기의 경우 핀-튜브 방식으로 튜브의 배열에 따라 성능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설계자유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즈 가변이 용이한 열교환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22469
본 발명은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즈 가변이 용이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규격화된 두가지의 열교환블록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규격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운송 및 적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블록군, 제1열교환블록군과 상호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제2열교환블록군, 및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장착대상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장착 위치 및 사용 용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용 냉동공조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 종류 및 냉방성능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규격화(standardization)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열교환블록은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열교환블록은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블록으로서, 규격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열교환블록 및 규격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열교환블록이 사용될 경우,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은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을 구성하는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이 여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을 구성하는 규격화된 제1열교환블록 및 규격화된 제2열교환블록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에 규격화된 제1열교환블록이 사용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또는 제2열교환블록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제1열교환블록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며, 복수개의 제1열교환블록이 모두 동일한 열교환 효율 및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에 규격화된 제2열교환블록이 사용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또는 제2열교환블록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제2열교환블록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며, 복수개의 제2열교환블록이 모두 동일한 열교환 효율 및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열교환블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열교환블록은, 제1상부헤더박스, 제1상부헤더박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하부헤더박스, 일단은 제1상부헤더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하부헤더박스에 연결되는 제1핀튜브, 제1상부헤더박스 또는 제1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1연결플랜지부, 제1상부헤더박스 또는 제1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제1-2연결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열교환블록은 제1열교환블록과 조립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열교환블록은, 제2상부헤더박스, 제2상부헤더박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하부헤더박스, 일단은 제2상부헤더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하부헤더박스에 연결되는 제2핀튜브, 제2상부헤더박스 또는 제2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2연결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1-1연결플랜지부 및 제1-2연결플랜지부의 상하 위치는 냉매 패스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열교환블록의 제1-1연결플랜지부는 인접한 제2열교환블록의 제2상부헤더박스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열교환블록의 제2연결플랜지부는 인접한 제1열교환블록의 제1하부헤더박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열교환블록의 제1하부플랜지부는 후술할 조인트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1연결플랜지부에는 제1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제1-2연결플랜지부에는 제1연결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결플랜지부에는 제2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블록에는 제1열교환블록군에 연결되는 제1유체입출구, 제2열교환블록군에 연결되는 제2유체입출구, 및 제1유체입출구 및 제2유체입출구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공통유체입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에서 열교환에 사용되는 유체는 조인트블록을 공통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은 서로 동일한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이 서로 다른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열교환블록군이 서로 다른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을 구성하는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개수 및 배치구조와, 제2열교환블록군을 구성하는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개수 및 배치구조가 서로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사이즈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일일이 열교환기를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규격화된 단 두가지의 기성(precast) 열교환블록을 조립하여 열교환기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가 규격화된 두가지의 기성 열교환블록의 조립에 의해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의 규격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또는 용량을 갖는 열교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가 조립된 이후에도 사이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형성하기 위한 열교환블록이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및 적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송 및 적재에 필요한 시간, 인력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제1열교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제2열교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조인트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제1열교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제2열교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조인트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는 제1열교환블록군(100), 제2교환블록군(200) 및 조인트블록(400)을 포함하되,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은 규격화(standardization)된 단 두가지의 기성(precast) 제1 및 제2열교환블록(310,320)을 조립하여 제공된다.
참고로,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교환블록군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규격화(standardization)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열교환블록은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열교환블록은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교환블록군이 규격화된 제1열교환블록 및 규격화된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은 규격화(standardization)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열교환블록(310) 및 규격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열교환블록(320)을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은 제1열교환블록(310) 및 제2열교환블록(32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이 각각 단 하나의 제1열교환블록(310) 및 단 하나의 제2열교환블록(3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열교환블록군(또는 및 제2교환블록군)이 2개 이상의 제1열교환블록 또는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1열교환블록 또는 제2열교환블록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열교환블록군(100)(또는 제2교환블록군)에 규격화된 제1열교환블록(310)이 사용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100)(또는 제2교환블록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제1열교환블록(310)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며, 복수개의 제1열교환블록(310)이 모두 동일한 열교환 효율 및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제1열교환블록군(100)(또는 제2교환블록군)에 규격화된 제2열교환블록(320)이 사용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100)(또는 제2교환블록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제2열교환블록(320)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며, 복수개의 제2열교환블록(320)이 모두 동일한 열교환 효율 및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블록(3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열교환블록(310)은, 제1상부헤더박스(311),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31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하부헤더박스(312), 일단은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3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하부헤더박스(312)에 연결되는 제1핀튜브(313),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311)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1연결플랜지부(315), 및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311)의 타단에 대응하는 제1하부헤더박스(312)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1-2연결플랜지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1연결플랜지부가 제1하부헤더박스의 일단에 제공되고, 제1-2연결플랜지부가 제1상부헤더박스에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1연결플랜지부 및 제1-2연결플랜지부의 상하 위치는 냉매 패스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311), 제1하부헤더박스(312) 및 제1핀튜브(313)로서는 일반적으로 열교환기(10)에 사용되는 헤더박스 및 핀튜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상부헤더박스(311), 제1하부헤더박스(312) 및 제1핀튜브(313)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상부헤더박스(311) 및 제1하부헤더박스(312)의 내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미도시)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헤더박스의 내부에 별도의 격벽을 형성하지 않거나, 격벽 상에 별도의 연통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핀튜브(313) 및 제2핀튜브(323)가 각각 2열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핀튜브 및 제2핀튜브가 각각 1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열교환블록(320)은 제1열교환블록(310)과 조립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열교환블록(320)은, 제2상부헤더박스(321), 상기 제2상부헤더박스(32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하부헤더박스(322), 일단은 상기 제2상부헤더박스(3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하부헤더박스(322)에 연결되는 제2핀튜브(323), 상기 제2하부헤더박스(322)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2연결플랜지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연결플랜지부가 제2상부헤더박스의 일단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연결플랜지부의 상하 위치는 냉매 패스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블록(310) 및 제2열교환블록(32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열교환블록(310)의 제1-1연결플랜지부(315)는 인접한 제2열교환블록(320)의 제2상부헤더박스(32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열교환블록(320)의 제2연결플랜지부(324)는 인접한 제1열교환블록(310)의 제1하부헤더박스(3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블록(310)의 제1하부플랜지부는 후술할 조인트블록(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1연결플랜지부(315)에는 제1연결돌기(314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2연결플랜지부(315)에는 제1연결수용홈(31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플랜지부(324)에는 제2연결돌기(324a)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1연결플랜지부, 제1-2연결플랜지부, 및 제2연결플랜지부에 연결수용홈 대신 연결돌기를 형성하거나, 연결돌기 대신 연결수용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블록(400)은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의 사이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에서 열교환에 사용되는 유체는 조인트블록(400)을 공통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인트블록(400)에는 제1열교환블록군(100)에 연결되는 제1유체입출구(410), 상기 제2교환블록군(200)에 연결되는 제2유체입출구(420), 및 상기 제1유체입출구(410) 및 제2유체입출구(420)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공통유체입출구(430)가 상호 협조적으로 대략 "T"자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공통유체입출구(430)에는 유체입구관(431) 및 유체출구관(43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유체입출구(430)를 통해 조인트블록(400)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1유체입출구(410) 및 제2유체입출구(420)를 통해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으로 각각 유입될 수 있으며,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에서부터 제1유체입출구(410) 및 제2유체입출구(420)로 배출되는 유체는 공통유체입출구(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이 서로 동일한 제1열교환블록(310)과 제2열교환블록(320)의 조합으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열교환블록군 및 제2교환블록군이 서로 다른 제1열교환블록과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이 서로 다른 제1열교환블록(310)과 제2열교환블록(320)의 조합으로 제공된다 함은, 제1열교환블록군(100)을 구성하는 제1열교환블록(310)과 제2열교환블록(320)의 개수 및 배치구조와, 제2교환블록군(200)을 구성하는 제1열교환블록(310)과 제2열교환블록(320)의 개수 및 배치구조가 서로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참조하면, 제1열교환블록군(100') 및 제2교환블록군(200')은 서로 다른 제1열교환블록(310)과 제2열교환블록(320)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100')은 단 하나의 제1열교환블록(310) 및 단 하나의 제2열교환블록(3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교환블록군(200')은 두개의 제1열교환블록(310) 및 단 하나의 제2열교환블록(3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열교환블록(310)의 연결 부위 중 전술한 연결플랜지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열교환기 100 : 제1열교환블록군
200 : 제2교환블록군 310 : 제1열교환블록
311 : 제1상부헤더박스 312 : 제1하부헤더박스
313 : 제1핀튜브 314 : 제1-1연결플랜지부
315 : 제1-2연결플랜지부 320 : 제2열교환블록
321 : 제2상부헤더박스 322 : 제2하부헤더박스
323 : 제2핀튜브 324 : 제2연결플랜지부
400 : 조인트블록 410 : 제1유체입출구
420 : 제2유체입출구 430 : 공통유체입출구

Claims (12)

  1. 제1열교환블록군;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과 상호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제2열교환블록군; 및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 및 상기 제2열교환블록군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인트블록에는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에 연결되는 제1유체입출구와, 상기 제2열교환블록군에 연결되는 제2유체입출구와, 상기 제1유체입출구 및 상기 제2유체입출구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공통유체입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 및 상기 제2열교환블록군은 규격화(standardization)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블록은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블록은 제1열교환블록 및 제2열교환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 및 상기 제2열교환블록군은 상기 제1열교환블록 및 상기 제2열교환블록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블록은,
    제1상부헤더박스;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하부헤더박스;
    일단은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하부헤더박스에 연결되는 제1핀튜브;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 또는 상기 제1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1연결플랜지부; 및
    상기 제1상부헤더박스 또는 상기 제1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제1-2연결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연결플랜지부에는 제1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플랜지부에는 제1연결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블록은,
    제2상부헤더박스;
    상기 제2상부헤더박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하부헤더박스;
    일단은 상기 제2상부헤더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하부헤더박스에 연결되는 제2핀튜브;
    상기 제2상부헤더박스 또는 상기 제2하부헤더박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2연결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플랜지부에는 제2연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블록군 및 상기 제2열교환블록군은 서로 동일한 상기 제1열교환블록과 상기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되거나, 서로 다른 상기 제1열교환블록과 상기 제2열교환블록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블록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규격화되고, 상기 제2열교환블록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30163920A 2013-12-26 2013-12-26 열교환기 KR10153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20A KR101538984B1 (ko) 2013-12-26 2013-12-26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20A KR101538984B1 (ko) 2013-12-26 2013-12-26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03A KR20150075703A (ko) 2015-07-06
KR101538984B1 true KR101538984B1 (ko) 2015-07-23

Family

ID=5378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20A KR101538984B1 (ko) 2013-12-26 2013-12-26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9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654A (ko) * 2004-11-30 2007-08-2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30844A (ko) * 2008-09-11 2010-03-1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복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654A (ko) * 2004-11-30 2007-08-2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30844A (ko) * 2008-09-11 2010-03-1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복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03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068B2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US20170167795A1 (en) Radiator and condenser assembly
CN106918166B (zh) 换热器和空调系统
US10989479B2 (en) Integrated liquid air cooled condenser and low temperature radiator
US10337808B2 (en) Condenser
EP3473963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20130130322A (ko) 증발기
WO2014041771A1 (ja) 熱交換器
JP6569814B2 (ja) 空調ユニット
CN105737453B (zh) 冷却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7078292A (ja) 熱交換器および複式熱交換器
KR101538984B1 (ko) 열교환기
KR20130024733A (ko) 증발기
JP2013122367A (ja) 車両用熱交換器
KR20130143343A (ko) 응축기
JP2007040605A (ja) 多段圧縮式冷凍サイクル装置用熱交換器
KR101490906B1 (ko) 차량용 쿨링모듈
WO2013187435A1 (ja) 熱交換器
JP5851846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6552B1 (ko) 열교환기
KR20100030079A (ko) 오일쿨러 일체형 응축기
KR10142269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1855850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20180031172A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1422712B1 (ko) 일체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