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960B1 -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960B1
KR101538960B1 KR1020140086948A KR20140086948A KR101538960B1 KR 101538960 B1 KR101538960 B1 KR 101538960B1 KR 1020140086948 A KR1020140086948 A KR 1020140086948A KR 20140086948 A KR20140086948 A KR 20140086948A KR 101538960 B1 KR101538960 B1 KR 10153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pper
water
wastewater
d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걸
Original Assignee
최병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걸 filed Critical 최병걸
Priority to KR102014008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4Evaporating with heated gases or vapours or liquids in contact with the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means of vapour com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로서, 유수분리물이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대기압 작용이 가능하게 상부개방된 호퍼형 처리탱크(8)를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고 각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는 스팀열교환관(10)이 나선형으로 내설되게 구성하되, 호퍼형 처리탱크(8)의 하단 호퍼출구부(13)에는 개폐밸브(34)(36)를 각기 갖는 기름용 분기출구(14a)와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분기 형성하고 기름용 분기출구(14a)에는 기름배출관(14)이 연장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에는 폐수 배출관(16)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호퍼형 처리탱크(8)에 투입된 오리폐기름 원유가 스팀열교환관(10)에 흐르는 스팀열에 의한 열교환으로 끓은 후 자연냉각 시킴에 따른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하층의 분리폐수(W)와 상층의 분리 오리폐기름(O)으로 분리형성되고 호퍼출구부(13)의 개폐밸브(34)(36) 상반 개폐제어로 폐수 배출관(16)을 통해서 하층의 폐수(W)가 먼저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고 기름배출관(14)을 통해서 분리되어진 상층의 오리폐기름(O)이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PERATING OIL AND WATER FROM WASTE OIL OF DUCK AS RAW MATERIAL}
본 발명은 유수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리훈제공장 등에서 오리고기를 대량으로 훈제하면서 발생되는 오리 폐기름을 유수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리고기는 대부분 산성식품인 일반 육류와는 달리 사람 몸에 알맞는 약 알카리성을 띄고 있다. 또 오리기름은 인체에 소화가 잘되는 수용성이고 불포화 지방으로서 우리 인체에 필요한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레인산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때문에 동맥경화나 고혈압에 좋으며 불포화 지방산(45%)이 쇠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보다 월등히 높고 필수아미노산과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오리고기의 유리한 특징으로 인해 오리 훈제 등과 같은 오리요리가 사람들에게 폭넓게 사랑받고 있다.
오리조리 시에는 상당량의 오리 폐기름이 발생되는데 오리 폐기름은 그냥 버리면 환경오염이 발생되므로 이를 제약하고 있는바, 오리 조리시에 발생되는 오리 폐기름은 재활용을 위한 처리업체에서는 이를 수거하여서 처리한다.
수거된 오리 폐기름에는 물이 섞여 있기에 이를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업체에서는 순수한 오리 폐기름을 얻기 위해서 유수분리를 행한다.
오리 폐기름을 유수분리하는 종래 방법중 하나로는 전기히터가 내장된 유리섬유재질이나 수지재질의 분리용 저장탱크에 수거된 오리 폐기름을 넣고 전기히터를 이용해 은근히 열을 가해주는 방식을 취한다.
이렇게 은근히 열을 가하면 오리폐기름은 응고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고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오리 폐기름은 물과 분리되면서 물 위로 부상을 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분리용 저장탱크내 저장물의 상층부를 형성한 오리 폐기름성분을 펌프 등으로 떠냄으로써 물성분과 분리된 오리 폐기름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전기히터를 이용해 뎁혀진 분리용 저장탱크의 온도는 수십 ℃에 머무르는 관계로 오리폐기름이 응고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할 수는 있어도 물과 기름의 비중에 의한 분리성능은 좋지 않다. 또 저장탱크 내에는 물과 근접해 떠있는 오리 폐기름성분이 탱크내에 언제나 남아 있어 온전한 유수 분리가 쉽지 않고, 유수분리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장탱크에 남아있는 분리된 물도 별도로 떠내주어야만 새로운 오리 폐기름을 넣을 수 있으므로 상당히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공개특허공보 특1998-041652호 "유화 오일-함유 폐수에서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 방지와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오리훈제 등과 같은 오리고기를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리 폐기름의 유수 분리를 쉽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오리 폐기름용 유수분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유수분리물이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대기압 작용이 가능하게 상부개방된 호퍼형 처리탱크(8)를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고 각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는 스팀열교환관(10)이 나선형으로 내설되게 구성하되, 호퍼형 처리탱크(8)의 호퍼출구부(13)에는 개폐밸브(34)(36)를 각기 갖는 기름용 분기출구(14a)와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분기 형성하고 기름용 분기출구(14a)에는 기름배출관(14)이 연장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에는 폐수 배출관(16)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호퍼형 처리탱크(8)에 투입된 오리폐기름 원유가 스팀열교환관(10)에 흐르는 스팀열에 의한 열교환으로 끓은 후 자연냉각됨에 따른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와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으로 분리형성되고 호퍼출구부(13)의 개폐밸브(34)(36) 상반 개폐제어로 폐수 배출관(16)을 통해서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W)가 먼저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고 기름배출관(14)을 통해서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이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호퍼출구부(13)의 기름용 분기출구(14a)는 직하방으로 형성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는 측방으로 형성하되 기름용 분기출구(14a)의 근접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에 있어서, 유수분리물이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대기압 작용이 가능한 상부개방형이고 스팀열교환관(10)이 나선형으로 내설된 호퍼형 처리탱크(8)에 펌프를 갖는 원유공급관(4)을 이용해서 오리폐기름 원유를 투입하는 과정과, 스팀열교환관(10)에서 발생되는 스팀열을 이용한 열교환에 의한 간접 가열로 오리폐기름 원유를 끓인 후에 자연 냉각되게 하여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W)와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으로 분리형성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과, 호퍼형 처리탱크(8)내 기름용 및 폐수용 분기출구(14a)(16a)를 각각 갖는 호퍼출구부(13)에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밸브 개방하여서 저류하층부의 분리 폐수(W)가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게 하는 과정과, 폐수용 분기출구(16a)측에 형성된 가시창을 통해 분리 폐수의 배출완료가 확인됨에 따라 폐수용 분기출구(16a)의 밸브를 잠그고 기름용 분기출구(14a)를 밸브 개방하여서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이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리고기를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리 폐기름을 쉽고 편리하게 유수 분리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방지와 아울러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다. 오리 폐기름은 가축사료의 보조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호퍼형 처리탱크를 포함한 주요부의 구체 사시 구성도,
도 3은 스팀 회수관에 관련된 상세 구성도,
도 4는 폐수 배출관에 관련된 상세 구성도,
도 5는 호퍼출구부에 분기 연장된 기름 배출관과 폐수 배출관의 요부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2)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호퍼형 처리탱크(8)를 포함한 주요부의 구체 사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2)는 오리훈제공장내에 바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오리폐기름을 자원재활용하는 처리업체의 공장 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2)는, 도 2에서와 같이 유수분리물이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설치되며, 대기압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부개방형으로 된 다수의 호퍼형 처리탱크(8)들을 구비한다. 호퍼형 처리탱크(8)들은 설치대(12)에 배열 장착되며, 설치대(12)에는 바닥의 작업자가 올라가서 각 호퍼형 처리탱크(8)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계단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형 처리탱크(8)는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측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방 호퍼가 연장 형성되고, 호퍼부의 하단 호퍼출구부(13)에는 두개의 분기출구 즉 기름용 및 폐수용 두개의 분기출구(14a)(16a)가 형성된다.
호퍼형 처리탱크(8)의 지상높이(H)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바닥 지면에서부터 처리탱크(8)의 하단 호퍼출구부(13)까지의 높이로서 1~2미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1~2미터의 지상높이(H)는 호퍼출구부(13)에서 배출되는 유수분리물이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할 수 있게 허락할 뿐만 아니라 공장바닥 지면에 서있는 작업자가 호퍼출구부(13)에 있는 개폐밸브(34)(36)의 조작이 용이하고, 호퍼출구부(13)에 분기연결된 폐수용 배출관(16)에 형성된 가시창 물받이(50)를 통한 유수분리상태를 작업자가 바닥에서 육안확인도 가능케 해주기 때문이다. 또 분리된 오리폐기름을 한 곳에 저장하는 집유탱크(22)나 대응 드럼통이 바닥에 놓여 있어도 충분히 자유낙하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현한 높이이다.
각 호퍼형 처리탱크(8)의 상방에는 펌프를 갖는 원유공급관(4)이 분기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수집된 오리폐기름 원유를 펌프와 원유공급관(4)을 이용해서 각 호퍼형 처리탱크(8)에 쉽게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원유공급관(4)의 각 분기관에는 개폐밸브(30)가 장치되어 있기에 다수의 호퍼형 처리탱크(8)들 중에 작업자가 원하는 처리탱크(8)에 오리폐기름 원유를 투입할 수 있다.
오리폐기름은 다른 육류에 비해서 융점이 낮아서 원유공급관(4)을 통한 처리탱크(8)로의 펌핑 투입이 문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는 스팀압력 2.0 ~ 5.0kgf/㎤으로 130~180℃ 고열발생이 가능한 스팀열교환관(10)이 나선형으로 내설되게 구성하며, 상기 스팀 열교환관(10)의 일단은 스팀발생부와 연결된 스팀 공급관(4)이 연통되고 상기 스팀 열교환관(10)의 타단에는 스팀 회수관(18)이 연통된 구성이다.
스팀 열교환관(10)이 호퍼형 처리탱크(8)의 내벽면에서 다소 이격된 내실공간부에 나선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2~3개의 지지브라켓이 하방 연장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스팀 열교환관(10)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팀 열교환관(10)에서 처리탱크(8)내 오리폐기름 원유로의 고열 전달작동이 균일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 설치된 스팀 열교환관(10)은 호퍼형 처리탱크(8)에 투입된 오리폐기름 원유과의 열교환을 통해서 오리폐기름 원유를 간접적으로 가열한다. 호퍼형 처리탱크(8)에 투입된 오리폐기름 원유는 스팀 열교환관(10)에 흐르는 130~180℃ 고열에 의한 열교환으로 30분 내지 80분에 펄펄 끓게 된다.
스팀 열교환관(10)에서의 스팀 열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팀 회수관(18)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메인관과 우회관(18a)이 형성되며, 상기 회수 메인관 상에는 Y형 스트레이너(strainer)와 같은 청소필터(40)와 볼플로트트랩과 같은 스팀트랩(42)이 설치되고, 회수 메인관 상의 청소필터(40)와 스팀트랩(42)의 전후단에는 개폐밸브(38)(44)가 장치되고 우회관(18a)에도 개폐밸브(46)가 장치된다.
청소필터(40)는 스팀에 혼재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주는 기능을 하고, 스팀트랩(42)은 스팀 회수관(18)내의 스팀이 응축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증기의 누출은 없도록 해주는 자동밸브로서, 비응축성 가스도 제거가능 하다. 청소필터(40)를 청소할 경우에는 우회관(18a)을 개방하고 회수 메인관의 좌우 개폐밸브(38)(44)를 닫아주는바 스팀 흐름경로에는 지장을 끼치지 않는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호퍼형 처리탱크(8)의 하단 호퍼출구부(13)에는 본 발명에 따라 두개의 분기출구 즉 기름용 분기출구(14a)와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구비한다.
기름용 분기출구(14a)는 호퍼출구부(13)에 직하방으로 형성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는 측방으로 형성하되 기름용 분기출구(14a)의 근접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한다. 직하방으로 형성된 기름용 분기출구(14a)는 오리폐기름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측방으로 형성된 폐수용 분기출구(16a)보다 넓게 형성한다.
각 기름용 분기출구(14a)에는 개폐밸브(34)가 구비되며 기름 배출관(14)이 연장 설치되고, 각 폐수용 분기출구(16a)에는 개폐밸브(36)가 구비되며 폐수용 배출관(16)이 연장 설치된다.
호퍼형 처리탱크(8)들의 각 기름배출관(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공동배출관(20)을 경유해서 집유탱크(22)에 연결되고, 호퍼형 처리탱크(8)들의 각 폐수용 배출관(16)은 폐수처리장까지 연장된 도 1의 폐수 공동배출관(22)에 연결된다.
도 5에서는 호퍼출구부(13)에 분기 연장된 기름 배출관(14)과 폐수 배출관(16)의 요부 상세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호퍼출구부(13)의 직하방에 위치된 기름용 분기출구(14a)에 연장된 기름 배출관(14)은 레듀사(reducer)(26)를 이용해서 호퍼출구부(13)에서 직경이 줄어들게 구성한다.
그리고 호퍼출구부(13)의 기름용 분기출구(14a)의 바로 위쪽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폐수용 분기출구(16a)에 연결된 폐수용 배출관(16)은 호퍼출구부(13)의 관직경보다 훨씬 작은 관 직경을 갖는다.
측방으로 분기연장된 폐수용 배출관(16) 상에 개폐밸브(36)를 설치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측방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가시창 물받이(50)가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가시창 물받이(50)를 통해서 분리 폐수(W)의 배출완료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가시창 물받이(50)는 분리 폐수(W)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시창 역할을 한 뿐더러 물받이를 통해서 대기압이 직접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수용 배출관(16)내로의 물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 분리된 분리 오리폐기름(O)과 분리 폐수(W)의 분리 배출이 펌프 등에 의한 강제 배출로 되는 것이 아니라 호퍼형 처리탱크(8)가 설치된 지상높이(H)를 이용한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리배출을 구현함에 있어 배출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제작경비를 절감하고 폐기름에 특성상 존재하는 펌프수명이 짧은 것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다. 또한 분리폐수(W)가 측방으로 수평이동 후 하방으로 자연낙하가 이루어지는 서행 배출(펌프를 사용하지 않음)은 가시창 물받이(50)를 통한 육안 분리 관찰에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한다.
작업자는 유수분리물이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설치된 호퍼형 처리탱크(8)에 펌프를 갖는 원유공급관(4)을 이용해서 오리폐기름 원유를 투입하되, 수거된 오리폐기름 원유의 수거량에 의거하여서 다수의 호퍼형 처리탱크(8)에 차례대로 채운다.
그후 스팀발생기를 작동시켜서 고열 스팀이 스팀공급관(6)을 통해 스팀열교환관(10)으로 인가되고 스팀 회수관(18)을 통해서는 회수되게 한다. 그에 따라 스팀열교환관(10)내에서 발생되는 130~180℃의 스팀열을 이용한 열교환에 의한 간접 가열로 호퍼형 처리탱크(8)에 저장된 오리폐기름 원유를 펄펄 끓게 한다. 호퍼형 처리탱크(8)의 수용용량이 500~1000리터이고 850리터정도의 오리폐기름 원유가 채워진 경우에는 30분 내지 80분간을 스팀열로 간접 가열을 하게 되면 펄펄 끓음을 본원 발명자가 확인하였다.
그후 방치상태로 8시간 내지 14시간을 두어 자연 냉각되게 하면 호퍼형 처리탱크(8)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저류하층부의 고형 이물질이 포함된 분리폐수(W)와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으로 분리형성이 아주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호퍼형 처리탱크(8)에는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W)내 순수 폐수와 고형 이물질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차례로 적층되고, 고형 이물질 위에는 저류상층부의 오리폐기름(O)이 적층된 형태가 된다.
유수 분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호퍼형 처리탱크(8)내 호퍼출구부(13)에 있는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개폐밸브(36)를 이용해 개방하여서 저류하층부의 분리 폐수(W)가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폐수 배출관(16)을 통해서 배출된다. 분리 폐수(W)에는 물뿐만 아니라 물 상부의 기타 고형 이물질(슬러지)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물이 이은 고형 이물질이 폐수 배출관(16)을 통해서 배출된다.
작업자는 폐수용 분기출구(16a)측에 형성된 가시창 물받이(50)를 확인해서 분리 폐수(W)의 서행 배출이 완료되면(고형 이물질의 배출 확인을 통해 편리한 확인이 가능함), 폐수용 분기출구(16a)의 개폐밸브(36)를 잠그고 기름용 분기출구(14a)를 개폐밸브(34)를 이용해 개방한다. 그에 따라 호퍼형 처리탱크(8)에 남아 있는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을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직하방의 기름 배출관(14)을 통해서 배출하되 처리탱크(8)에 남은 마지막 잔량분까지도 온전히 배출되며 기름 공통배출관(20)을 경유해서 집유탱크(22)에 모이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오리훈제공장에서와 같은 오리고기 훈제를 대량으로 수행하는 업체에 설치되어서 오리폐기름을 유수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2)--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
(4)-- 원유 공급관 (6)-- 스팀공급관
(8)-- 호퍼형 처리탱크 (10)-- 스팀열교환관
(12)-- 설치대 (13)-- 호퍼출구부
(14)-- 기름 배출관 (O) -- 분리 오리폐기름
(14a)-- 기름용 분기출구 (16)-- 폐수 배출관
(W)-- 분리폐수 (16a)-- 폐수용 분기출구
(18)-- 스팀 회수관 (20)-- 오리폐기름 공동배출관
(22)-- 집유탱크 (24)-- 폐수 공동배출관
(26)-- 레듀사 (30)(32)(34)(38)(44)(46)-- 밸브
(50)-- 가시창 물받이

Claims (3)

  1. 삭제
  2. 물이 섞여 있고 열을 가함에 따라 응고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오리폐기름용의 유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오리폐기름 원유의 유수분리물이 자유낙하 배출이 가능한 지상높이(H)에 대기압 작용이 가능하게 상부 개방된 호퍼형 처리탱크(8)를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고 스팀압력 2.0 ~ 5.0kgf/㎤으로 각 호퍼형 처리탱크(8)내 130~180℃의 고열발생이 가능한 스팀열교환관(10)이 호퍼형 처리탱크(8)의 내벽면에서 이격된 내실공간부에 나선형으로 위치되게 지지브라켓으로 고정 구성하여서 처리탱크(8)내 오리폐기름 원유로의 고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호퍼형 처리탱크(8)의 하단 호퍼출구부(13)는 배출되는 유수분리물이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허락케 함과 동시에 지면에 서있는 작업자가 호퍼출구부(13)의 개폐밸브(34)(36)의 조작 용이 및 가시창 물받이(5)를 통한 유수분리상태 육안 확인도 가능하도록 바닥 지면으로부터 1~2미터의 지상높이(H)에 위치되게 구성하고,
    호퍼출구부(13)에는 개폐밸브(34)(36)를 각기 갖는 기름용 분기출구(14a)와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분기 형성하되 기름용 분기출구(14a)에는 분리된 오리폐기름(O)이 마지막 잔량분까지 온전히 배출되도록 기름배출관(14)이 직하방으로 연장되게 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는 기름용 분기출구(14a)의 근접 상부에 위치되고 폐수용 분기출구(16a)에는 측방연장후 하방 절곡되며 기름배출관(14)보다 작은 관직경을 갖는 폐수 배출관(16)을 연결하되 폐수배출관(16)에는 육안 관찰이 가능하고 대기압이 직접 작용하여 물흐름을 용이케 하는 가시창 물받이(50)를 갖게 구성하며,
    호퍼형 처리탱크(8)에 원유공급관(4)을 통해 투입된 오리폐기름 원유가 스팀열교환관(10)에 흐르는 스팀열에 의한 열교환 간접가열로 끓인 후 자연냉각됨에 따른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저류하층부의 물 상부에 고형 이물질(슬러지)이 포함된 분리폐수(W)와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으로 분리형성되고, 호퍼출구부(13)에서 측방연장된 폐수 배출관(16)측 개폐밸브(36)의 개방제어로 기름배출관(14)보다 작은 관직경을 갖는 폐수 배출관(16)을 통해서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W)의 물에 이은 고형이물질이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작용으로 측방연장후 하방절곡 흐름으로 외부로의 서행 배출이 되게 하고, 개폐밸브(36) 잠근 후 호퍼출구부(13) 직하방의 기름배출관(14)측 개폐밸브(34)의 개방으로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이 직하방의 기름배출관(14)을 통한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마지막 잔량분까지 온전히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장치.
  3. 물이 섞여 있고 열을 가함에 따라 응고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오리폐기름용의 유수 분리방법에 있어서,
    대기압 작용이 가능한 상부개방형인 호퍼형 처리탱크(8)의 하부에 호퍼출구부(13)를 형성하되, 배출되는 유수분리물이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허락케 함과 동시에 지면에 서있는 작업자가 호퍼출구부(13)의 개폐밸브(34)(36)의 조작 용이 및 가시창 물받이(5)를 통한 유수분리상태 육안 확인도 가능하도록 바닥 지면으로부터 1~2미터의 지상높이(H)에 호퍼출구부(13)를 위치시키고, 호퍼출구부(13)에는 분리된 오리폐기름(O)이 마지막 잔량분까지 온전히 배출되도록 직하방으로 연장된 기름배출관(14)과 연결되는 기름용 분기출구(14a)와 측방연장후 하방 절곡되며 기름배출관(14)보다 작은 관직경을 갖는 폐수 배출관(16)이 연결되는 폐수용 분기출구(16a)를 분기 형성하며, 처리탱크(8)내 오리폐기름 원유로의 고열전달을 균일하게 하도록 호퍼형 처리탱크(8)의 내벽면에서 지지브라켓에 의해 이격되어 내실공간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팀열교환관(10)을 구비하되, 원유공급관(4)을 이용해서 오리폐기름 원유를 호퍼형 처리탱크(8)에 투입하는 과정과,
    호퍼형 처리탱크(8)의 내실공간부에 이격 위치된 스팀열교환관(10)에 스팀압력 2.0 ~ 5.0kgf/㎤으로 호퍼형 처리탱크(8)내에 130~180℃의 스팀열을 발생시켜 열교환에 의한 간접 가열로 오리폐기름 원유를 30분 내지 80분을 끓인 후에 자연 냉각되게 방치하여서 물과 기름의 비중차로 인해 저류하층부의 물 상부에 고형이물질(슬러지)이 포함된 분리폐수(W)와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으로 분리형성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과,
    호퍼출구부(13)에서 측방연장된 폐수 배출관(16)측 개폐밸브(36)의 개방제어로 기름배출관(14)보다 작은 관직경을 갖는 폐수 배출관(16)을 통하되 대기압 작용 가시창 물받이(50)를 경유하여서 저류하층부의 분리폐수(W)의 물에 이은 고형이물질이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작용으로 측방연장후 하방절곡 흐름으로 외부로의 서행 배출이 되게 하는 과정과,
    폐수용 분기출구(16a)측의 가시창 물받이(50)를 통해 분리 폐수의 배출완료가 육안 확인됨에 따라 폐수용 분기출구(16a)의 밸브를 잠그고 호퍼출구부(13) 직하방의 기름배출관(14)측 개폐밸브(34)의 개방으로 저류상층부의 분리 오리폐기름(O)이 직하방의 기름배출관(14)을 통한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로 마지막 잔량분까지 온전히 하강 배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KR1020140086948A 2014-07-10 2014-07-10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KR10153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48A KR101538960B1 (ko) 2014-07-10 2014-07-10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48A KR101538960B1 (ko) 2014-07-10 2014-07-10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960B1 true KR101538960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948A KR101538960B1 (ko) 2014-07-10 2014-07-10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527A (zh) * 2019-09-12 2019-11-12 广东工业大学 一种混合液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76B1 (ko) * 1993-12-09 1996-07-18 최승림 유성 오폐수 및 액상화학 폐기물의 분리 처리장치
KR19980014505A (ko) * 1996-08-07 1998-05-25 이경수 약용 기름 분리기
KR101175777B1 (ko) * 2012-04-10 2012-08-21 이관희 오일회수용 열교환판이 구비된 냉매증발기 및 이를 이용한 압축식냉동기
KR20130099615A (ko) * 2012-02-29 2013-09-0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된 증발기를 통한 폐유 중 침출수 분리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76B1 (ko) * 1993-12-09 1996-07-18 최승림 유성 오폐수 및 액상화학 폐기물의 분리 처리장치
KR19980014505A (ko) * 1996-08-07 1998-05-25 이경수 약용 기름 분리기
KR20130099615A (ko) * 2012-02-29 2013-09-0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된 증발기를 통한 폐유 중 침출수 분리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5777B1 (ko) * 2012-04-10 2012-08-21 이관희 오일회수용 열교환판이 구비된 냉매증발기 및 이를 이용한 압축식냉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527A (zh) * 2019-09-12 2019-11-12 广东工业大学 一种混合液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360A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distribution, recovery and handling of bulk edible oil and other fluids
KR101522812B1 (ko)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NZ584944A (en) Passive grease trap with pre-stage for separating solids from waste water
CN106424102B (zh) 一种餐厨垃圾处理器及方法
WO2012087351A1 (en) Self-disposal of solids in an immiscible liquid separator
CA2794160C (en) Method for storing used cooking oil
US2398338A (en) Combination heater and water knockout apparatus for treating oil well streams
CN106673095A (zh) 一种餐厨废弃物油水分离装置及其油水分离方法
KR101538960B1 (ko) 오리폐기름용 유수 분리방법 및 장치
CN202289696U (zh) 厨余泔水油水分离装置
CN104128040B (zh) 一种火锅食物垃圾综合处理器
CN206063944U (zh) 一种餐厨垃圾脱水除油装置
CN108998244A (zh) 玫瑰花精油提取装置
CN106006837A (zh) 一种可移动式隔油池
DE50200400960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rittieren von lebensmitteln
KR20110061536A (ko) 유지 분리방법
US10449470B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recycling waste grease
CN205759867U (zh) 一种二氯嘧啶的洗涤萃取装置
KR100592453B1 (ko) 과자 및 스넥류 튀김장치용 기름 순환 시스템
CN207755814U (zh) 一种小型压差放油油水分离器
CN213327157U (zh) 餐厨垃圾处理用小型油水分离器
RU65342U1 (ru) Водяная воскотопка-воскопресс
CN207313561U (zh) 一种地沟油处理系统
KR101136030B1 (ko) 식용유 정제장치
CN207913345U (zh) 餐厨垃圾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