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501B1 -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501B1
KR101538501B1 KR1020140043435A KR20140043435A KR101538501B1 KR 101538501 B1 KR101538501 B1 KR 101538501B1 KR 1020140043435 A KR1020140043435 A KR 1020140043435A KR 20140043435 A KR20140043435 A KR 20140043435A KR 101538501 B1 KR101538501 B1 KR 10153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awater
pump
ballast water
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박용석
이광호
임헌진
황세선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4004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체스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메인 배관을 흐르는 해수의 일부를 분취하거나 상기 시-체스트의 해수를 유입하여 전기분해 처리한 후 처리된 해수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사이드-스트림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저장하는 제1 탱크, 상기 제1 탱크의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1 전해 챔버를 연결하는 배관에 구비된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탱크에서 생성된 산화제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제1 주입 펌프를 구비한 제1 처리부; 및 상기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주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밸러스팅 작업 전에 미리 고농도의 산화제를 생성하여 밸러스팅 작업 시에 산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menting ballast water}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팅 작업 전에 미리 고농도의 산화제를 생성하여 밸러스팅 작업 시에 산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운송하는 화물 선박은 유사한 화물의 상호 교환을 위하여 왕복 항해하는 선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도 운항을 한다. 그리고, 편도 운항을 만재 상태로 항해한 후 귀환 항해 시에는 선박의 균형, 안전성 및 조종 성능 향상 등을 위하여 밸러스트 수(평형수; ballast water)를 선내로 유입하여 밸러스트 상태로 항해를 하게 된다.
이때, 밸러스트 수는 밸러스팅 작업(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한 항구에서 채워져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고, 디밸러스팅 작업(de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새로운 항구 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먼 위치로부터 실려져 온 밸러스트 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의 방출은 새로운 환경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항구에서도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비-천연적인 해양 생물을 신규 생태계로 도입시키면, 신규 종에 대해 자연적인 방어체계를 지니고 있지 않을 수 있는 천연 식물군 및 동물군에게 파괴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또한, 콜레라와 같은 해로운 세균성 병원균이 원래의 항구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 증식되어, 이들이 방출되는 영역에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세계선박의 65%가 기항하는 미국에서는 국제해사기구(IMO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합의된 기준보다 1,000배 강화된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을 요구하고 자국만의 규제기준(USCG Phase)을 제정하여 자국의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에 의해 제기되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밸러스트 수를 전기분해하거나, 밸러스트 탱크 내에 화학약품을 주입하여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하는 방식의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를 사용한다.
여기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는 밸러스트 수 전체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전수 처리 방식 및 밸러스트 수의 일부를 분취하여 전기분해 처리한 후, 처리된 밸러스트 수를 다시 배관으로 주입하는 사이드 스트림(side stream) 방식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3865호에는 전수 처리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개시되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9642호에는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수 처리 방식의 처리 장치는 유입되는 밸러스트 수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처리 장치의 소비 전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처리 장치는 유입되는 밸러스트 수의 용량이 작지만 유입되지 않은 나머지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고농도의 살균제를 생성해야 하므로 역시 처리 장치의 소비 전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분해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0.5PSU 이하의 담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 지역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도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시-체스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메인 배관을 흐르는 해수의 일부를 분취하거나 상기 시-체스트의 해수를 유입하여 전기분해 처리한 후 처리된 해수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사이드-스트림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저장하는 제1 탱크, 상기 제1 탱크의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1 전해 챔버를 연결하는 배관에 구비된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탱크에서 생성된 산화제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제1 주입 펌프를 구비한 제1 처리부; 및 상기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주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 탱크로 해수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에는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1 TRO 센서 및 수위를 측정하는 제1 레벨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하기 전에,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상기 제1 탱크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흡입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탱크의 해수의 산화제 농도가 설정 농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순환 펌프와 상기 제1 전해 챔버를 작동시킨 후,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 상기 제1 주입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메인 배관에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탱크와 연결된 제2 탱크, 상기 제1 탱크의 해수를 상기 제2 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 펌프, 상기 제2 탱크의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제2 전해 챔버 및 상기 제2 전해 챔버의 해수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제2 주입 펌프를 구비한 제2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제2 전해 챔버를 연결하는 배관에 제2 순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탱크에는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2 TRO 센서 및 수위를 측정하는 제2 레벨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탱크의 제1 TRO 센서 및 상기 제2 탱크의 제2 TRO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순환 펌프 및 제2 순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산화제가 포함된 밸러스트 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3 TRO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TRO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메인 배관 사이에 연결된 제1 주입 배관 및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메인 배관 사이에 연결된 제2 주입 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산화제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배관을 흐르는 밸러스트 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전도도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밸러스트 수가 해수인지 담수인지를 판단하고, 밸러스트 수가 담수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흡입 펌프를 가동하지 않고 상기 제1 주입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탱크에 해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부 및 상기 제2 처리부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배관에는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유입된 해수의 동물성 플랑크톤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는 해수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팅 작업 전에 미리 고농도의 산화제를 생성하여 밸러스팅 작업 시에 산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담수 지역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도 미리 저장된 산화제를 주입하여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시-체스트(sea-chest)(10)와 밸러스트 탱크(20) 사이에 연결된 메인 배관(30)을 흐르는 해수의 일부를 분취하거나 시-체스트(10)로부터 해수를 유입하여 전기분해 처리한 후 처리된, 즉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메인 배관(30)으로 다시 주입함으로써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하는 사이드-스트림(side-stream)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은 흡입 펌프(110), 제1 탱크(120), 제1 전해 챔버(130) 및 제1 주입 펌프(140)를 구비한 제1 처리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처리부(100)의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흡입 펌프(110)는 시-체스트(10)로부터 밸러스트 탱크(20) 사이의 메인 배관(30)을 흐르는 해수의 일부가 흡입 배관(101)을 통해 제1 탱크(120)로 흡입되도록 작동한다. 흡입 배관(101)에는 개폐 밸브(150)가 설치된다. 제1 탱크(120)는 흡입 펌프(110)에 의해 메인 배관(30)으로부터 흡입되는 해수를 저장한다. 제1 전해 챔버(130)는 제1 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탱크(120)에 저장된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TRO)를 생성한다. 제1 주입 펌프(140)는 제1 탱크(120)와 메인 배관(30) 사이에 연결된 제1 주입 배관(102)을 통해 전기분해 처리된 해수가 메인 배관(30)으로 유입되도록 작동한다. 제1 주입 배관(102)에는 개폐 밸브(1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주입 배관(102)을 통해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가 정량 주입되도록, 개폐 밸브(160)는 콘트롤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탱크(120)와 제1 전해 챔버(130)를 연결하는 배관(103)에는 제1 순환 펌프(170)가 설치되고, 제1 탱크(120)에는 산화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TRO 센서(180) 및 제1 탱크(120)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레벨 센서(190)가 구비된다. 또한, 제1 탱크(120)에는 해수의 저장 및 공기 배출을 위한 통기공(121)이 구비된다.
제어부(300)는 제1 처리부의 흡입 펌프(110), 제1 전해 챔버(130) 및 제1 주입 펌프(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제1 레벨 센서(190)를 통해 제1 탱크(120)에 해수가 항상 설정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도록 흡입 펌프(110) 및 개폐 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시-체스트에서 밸러스트 탱크로 밸러스트 수를 유입시키는 작업)을 하기 전에, 시-체스트(10)로부터 제1 탱크(120)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흡입 펌프(110)를 작동시킨다. 이때, 밸러스트 펌프(50)는 작동되지 않고 개폐 밸브(90)는 폐쇄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 제1 주입 펌프(140)를 작동시켜 메인 배관(30)에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유입시킨다. 이때, 밸러스트 펌프(50)가 작동되고, 개폐 밸브(90)는 개방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제1 탱크(120)의 제1 TRO 센서(180)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이 되도록 제1 순환 펌프(170)와 제1 전해 챔버(1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 제1 주입 펌프(140)를 작동시켜 제1 탱크(120)의 산화제가 메인 배관(30)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선박이 정박하여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 미리 저장된 고농도의 산화제를 밸러스트 수에 주입하여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유입되는 해수를 전수 처리하지 않고 제1 탱크(120)에 미리 저장된 해수만 전기분해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선박이 전기분해가 불가능한 담수 지역에 정박하여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도 미리 저장된 고농도의 산화제를 주입하여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제2 탱크(210), 이송 펌프(220), 제2 전해 챔버(230) 및 제2 주입 펌프(240)를 구비한 제2 처리부(200)를 더 포함한다.
제2 탱크(210)는 연결 배관(201)을 통해 제1 탱크(120)와 연결된다. 연결 배관(201)에는 이송 펌프(220) 및 개폐 밸브(250)가 설치되고 이송 펌프(220)의 작동에 의해 제1 탱크(120)의 해수가 제2 탱크(210)로 이송된다. 제2 전해 챔버(230)는 제2 탱크(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탱크(210)에 저장된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한다. 제2 주입 펌프(240)는 제2 탱크(210)와 메인 배관(30) 사이에 연결된 제2 주입 배관(202)을 통해 전기분해 처리된 해수가 메인 배관(30)으로 유입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제2 주입 배관(202)을 통해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가 정량 주입되도록, 개폐 밸브(260)는 콘트롤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탱크(210)와 제2 전해 챔버(230)를 연결하는 배관(203)에는 제2 순환 펌프(270)가 설치되고, 제2 탱크(210)에는 산화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TRO 센서(280) 및 제2 탱크(210)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 레벨 센서(290)가 구비된다. 또한, 제2 탱크(210)에는 해수의 저장 및 공기 배출을 위한 통기공(211)이 구비된다.
제어부(300)는 제1 탱크(120)의 제1 TRO 센서(180)와 제2 탱크(210)의 제2 TRO 센서(28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제1 순환 펌프(170) 및 제2 순환 펌프(2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탱크(120) 및 제2 탱크(210)에 저장된 해수는 일정시간 동안 순환하면서 전기분해 처리되어 일정 수준의 산화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처리부(200)에 의해, 제1 처리부(100)의 제1 탱크(120)에 저장된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는 제2 탱크(210)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제2 탱크(210)에서 추가적으로 전기분해 처리되어 고농도의 산화제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00)와 제2 처리부(200)에서 동시에 해수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메인 배관(30)으로 산화제를 주입할 수 있어, 해수의 전기분해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장치의 소형화 및 소비 전력의 감소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시-체스트(10)로부터 흡입되고 제1 처리부(100) 및 제2 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산화제가 주입되어 밸러스트 탱크(20)로 유입되는 밸러스트 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3 TRO 센서(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제3 TRO 측정 센서(40)의 측정값에 따라 제1 주입 배관(102)의 콘트롤 밸브(160) 및 제2 주입 배관(202)의 콘트롤 밸브(260)의 개도를 제어하여 산화제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러스트 펌프(50)를 통해 메인 배관(30)으로 유입된 밸러스트 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 센서(6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전기 전도도 센서(60)의 측정값을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 수가 해수인지 담수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유입된 밸러스트 수가 담수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0)는 흡입 펌프(110)를 가동하지 않고 제1 주입 펌프(140)를 가동시켜 제1 탱크(120)에 미리 저장된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메인 배관(30)으로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배관(30)에는 밸러스트 펌프(5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70)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3 TRO 센서(4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필요한 경우 제2 주입 펌프(240)를 가동시켜 제2 탱크(210)에 미리 저장된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메인 배관(30)으로 주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탱크(120) 및 제2 탱크(210)에 해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하는 경우에 제어부(300)는 제1 처리부(100)와 제2 처리부(200)의 구성 요소들을 동시에 가동시켜 산화제를 생성하여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밸러스트 펌프(50)를 통해 메인 배관(30)으로 유입된 해수의 동물성 플라크톤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메인 배관(30)에는 필터(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체스트 20: 밸러스트 탱크
30: 메인 배관 40: 제3 TRO 센서
50: 밸러스트 펌프 60: 전기 전도도 센서
70: 유량계 80: 필터
90: 개폐 밸브
100: 제1 처리부 110: 흡입 펌프
120: 제1 탱크 130: 제1 전해 챔버
140: 제1 주입 펌프 150, 160: 개폐 밸브
170: 제1 순환 펌프 180: 제1 TRO 센서
190: 제1 레벨 센서 200: 제2 처리부
210: 제2 탱크 220: 이송 펌프
230: 제2 전해 챔버 240: 제2 주입 펌프
250, 260: 개폐 밸브 270: 제2 순환 펌프
280: 제2 TRO 센서 290: 제2 레벨 센서
300: 제어부

Claims (11)

  1. 시-체스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의 메인 배관을 흐르는 해수의 일부를 분취하거나 상기 시-체스트의 해수를 유입하여 전기분해 처리한 후 처리된 해수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사이드-스트림 방식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저장하는 제1 탱크, 상기 제1 탱크의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1 전해 챔버를 연결하는 배관에 구비된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탱크에서 생성된 산화제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제1 주입 펌프를 구비한 제1 처리부; 및
    상기 제1 전해 챔버, 상기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1 주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 탱크로 해수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에는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1 TRO 센서 및 수위를 측정하는 제1 레벨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하기 전에,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상기 제1 탱크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흡입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탱크의 해수의 산화제 농도가 설정 농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순환 펌프와 상기 제1 전해 챔버를 작동시킨 후, 선박이 밸러스팅 작업을 할 때, 상기 제1 주입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메인 배관에 산화제가 포함된 해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와 연결된 제2 탱크, 상기 제1 탱크의 해수를 상기 제2 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 펌프, 상기 제2 탱크의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제2 전해 챔버 및 상기 제2 전해 챔버의 해수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하는 제2 주입 펌프를 구비한 제2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제2 전해 챔버를 연결하는 배관에 제2 순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탱크에는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2 TRO 센서 및 수위를 측정하는 제2 레벨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탱크의 제1 TRO 센서 및 상기 제2 탱크의 제2 TRO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순환 펌프 및 제2 순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산화제가 포함된 밸러스트 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3 TRO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TRO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메인 배관 사이에 연결된 제1 주입 배관 및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메인 배관 사이에 연결된 제2 주입 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산화제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관을 흐르는 밸러스트 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전도도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밸러스트 수가 해수인지 담수인지를 판단하고, 밸러스트 수가 담수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흡입 펌프를 가동하지 않고 상기 제1 주입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를 상기 메인 배관으로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에 해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부 및 상기 제2 처리부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관에는 상기 시-체스트로부터 유입된 해수의 동물성 플랑크톤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는 해수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통기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20140043435A 2014-04-11 2014-04-11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153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35A KR101538501B1 (ko) 2014-04-11 2014-04-11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35A KR101538501B1 (ko) 2014-04-11 2014-04-11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501B1 true KR101538501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35A KR101538501B1 (ko) 2014-04-11 2014-04-11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896B1 (ko) * 2017-07-20 2018-06-11 주식회사 워터핀 고효율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101927045B1 (ko) * 2017-07-10 2018-1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57626A (ko) * 2017-11-20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47B1 (ko) * 2012-02-27 2013-06-17 최민화 역세수 절감을 위한 산화제 희석식 여과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47B1 (ko) * 2012-02-27 2013-06-17 최민화 역세수 절감을 위한 산화제 희석식 여과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045B1 (ko) * 2017-07-10 2018-1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65896B1 (ko) * 2017-07-20 2018-06-11 주식회사 워터핀 고효율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20190057626A (ko) * 2017-11-20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처리 방법
KR102376270B1 (ko) * 2017-11-20 2022-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674B1 (ko)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313625B1 (ko) 평형수 순환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WO2005077833A1 (ja) 液体の無害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58830B1 (ko)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방법
JP6221437B2 (ja) 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258940B1 (ko) 발라스트 수 처리시스템
CN109231369A (zh) 压载水处理装置
KR20130056590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3850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1296207B1 (ko) 생물막 생성 억제를 위한 순환형 배관이 설치된 선박평형수의 인라인 처리장치
KR101206025B1 (ko) 선박의 담수처리 시스템
US10351450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y using NaDCC
KR101564356B1 (ko) 살균제 저장탱크를 가지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JP4262720B2 (ja) 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20150125375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용 약품 주입 장치
CN110902774A (zh) 一种船用冷却水防海生物处理方法
KR101462221B1 (ko) 전기분해식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902771A (zh) 一种船用冷却水防海生物处理系统
CN107473328B (zh) 一种海水处理系统及海水处理控制方法
KR20130090519A (ko) 소형 최적화 전해소독 시스템
KR101791441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581208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21690A1 (ko) 소형 및 노후 선박 전용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1163344B1 (ko)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방법
KR101996279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장치 및 선박용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