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77B1 -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7777B1 KR101537777B1 KR1020130051577A KR20130051577A KR101537777B1 KR 101537777 B1 KR101537777 B1 KR 101537777B1 KR 1020130051577 A KR1020130051577 A KR 1020130051577A KR 20130051577 A KR20130051577 A KR 20130051577A KR 101537777 B1 KR101537777 B1 KR 101537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tring
- magnetic sensor
- communication ho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상판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금속재의 현이 상측에서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의 진동에 따른 소리를 흡수하고 증폭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안정적인 현의 지지가 가능하며, 외부의 잡음을 제거하고 가야금 본래의 소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현의 지지가 가능하며, 외부의 잡음을 제거하고 가야금 본래의 소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야금은 오동나무 공명판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12줄을 세로로 매어 각 줄마다 안족을 받쳐 놓고 오른쪽 손가락으로 뜯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고, 왼손으로는 눌러서 여러 가지 음을 내는 대표적인 국악기이다.
안족은 도 5와 같이 본체(1)의 상단부에 현이 지지되는 지지홈(2)이 형성되고, 본체(1)의 하단부에 발(3)이 형성되어 가야금의 상면에 거치되는 것이다.
최근, 국악기의 대중화 및 현대화를 위하여 음색은 국악기 원래의 것을 구현하되, 전기로 음을 내는 방식의 전기 가야금, 전기 거문고, 전기 해금 등의 전기 국악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기 가야금의 안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통 가야금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전기 가야금의 안족은 전기 가야금 본체의 상부에서 이동시켜 현재 조율된 음이 아닌 다른 높이의 음을 내고자 할 때, 연주자가 본체(1)의 중간부를 잡고 이동시켜 그 위치를 변경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연주자가 본체(1)의 중간부를 잡고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본체(1)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발(3)이 전기 가야금 본체의 상부에서 넘어지거나, 본체(1)로부터 연주자의 손이 미끄러져 현을 건드리면서 현의 조율 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기 가야금의 안족 중에서 마이크를 내장한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가 내장된 안족의 경우 현의 소리 외에 외부로부터의 잡음도 함께 혼입될 수 있으며, 연주자가 연주시 가야금을 만지는 소리, 예를 들면 가야금을 만지면서 스치는 소리까지 함께 혼입될 수 있으므로, 순수한 현의 진동에 따른 가야금 본래의 소리를 취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적인 현의 지지가 가능하며, 외부의 잡음을 제거하고 가야금 본래의 소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상판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금속재의 현이 상측에서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의 진동에 따른 소리를 흡수하고 증폭하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는, 상기 본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통홀; 및 상기 연통홀의 상측에 상기 연통홀보다 더 큰 직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상판에 내장된 음향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현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현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편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현 지지부; 상기 현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상판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 상판에 접촉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복수로 이격되게 장착되고 마찰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본체 상판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미끌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에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여 금속재의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만 흡수하여 가야금의 소리로 증폭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잡음을 제거하고 가야금 본래의 소리 구현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순차적으로 현 지지부와 그립부 및 받침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그립부를 연주자가 쥐고 본체 상판을 따라 이동시키더라도 연주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져 현을 건드리거나 하여 잡음이 발생되는 일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립부의 하단부로부터 형성된 받침부를 이루는 제1, 2 족이 삼발이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연주자가 조율된 음과 다른 높이의 음이 필요한 경우 본체 상판상을 이동하더라도 본체가 넘어져 현이 조율된 상태를 훼손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 저면, 즉 제1, 2 족의 저면에 미끌림 방지 패드가 구비되도록 하여 마찰 저항이 매우 낮으며 미끄러지기 쉬운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 상에 높은 밀착력으로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가 구비된 전기 가야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C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D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E-E'선 단면 개념도
도 5는 종래 가야금의 안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C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D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E-E'선 단면 개념도
도 5는 종래 가야금의 안족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가 구비된 전기 가야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C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D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E-E'선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은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200)의 길이 방향을, 화살표 B 방향은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200)의 폭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마그네틱 센서(5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체(100)는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200)에 배치되며, 본체 상판(200)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금속재의 현(300)이 상측에서 지지되는 것이다.
마그네틱 센서(500)는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단부가 노출되고, 현(30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현(300)의 진동에 따른 소리를 흡수하고 증폭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300)이 금속재이므로, 마그네틱 센서(500)는 외부의 잡음 및 연주자가 연주시 본체 상판(200)을 터치(예를 들어, 본체 상판(200)을 만지면서 스치는 소리)함으로써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잡음은 흡수하지 않고, 금속재인 현(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소리만 흡수하고, 흡수된 소리를 증폭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네틱 센서(500)는 순수한 현(300)의 진동에 따른 소리만 샘플링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야금 본래의 소리 구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는 마그네틱 센서(500)의 설치를 위하여 연통홀(101) 및 안착턱(10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통홀(101)은 본체(100)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마그네틱 센서(5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턱(102)은 연통홀(101)의 상측에 연통홀(101)보다 더 큰 직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마그네틱 센서(500)가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마그네틱 센서(500)는 플러스 단자 케이블(501) 및 마이너스 단자 케이블(502)이 연장되고, 플러스 단자 케이블(501) 및 마이너스 단자 케이블(502)은 연통홀(101)을 통하여 본체 상판(200)에 내장된 음향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00)는 전통 가야금의 안족과 같이 현(300)을 지지하면서도 현(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소리를 흡수하고, 흡수된 소리의 증폭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그네틱 센서(500)가 장착되는 공간도 제공하기 위하여 현 지지부(110)와 그립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현 지지부(110)는 현(300)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현(300)이 안착되는 지지홈(111)이 형성된 지지편(112)이 상면에 구비되고, 마그네틱 센서(500)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것이다.
그립부(120)는 현 지지부(110)의 저면으로부터 본체 상판(200)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받침부(130)는 그립부(12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본체 상판(200)에 접촉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이다.
다시 말해, 그립부(120)는 조율된 음과 다른 높이의 음이 필요한 경우 연주자가 파지하고 본체(100)를 본체 상판(20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며, 현 지지부(110)는 연주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져 지지되는 현(300)을 건드려 현(300)의 조율 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받침부(130)는 연주자가 본체(100)를 본체 상판(200) 상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본체(100)가 넘어짐으로써 현(300)의 지지 상태가 무너지거나 현(300)의 조율 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현 지지부(110)는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부가 뾰족한 유선형이며, 상면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머리(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머리(110)의 상면 일측에는 연통홀(101)이 관통되어 받침부(130)까지 상하로 관통되어 마그네틱 센서(500)의 상단부가 노출된다.
이때, 현(300)은 머리(11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ℓ)과 평행을 이루고, 지지편(112)은 머리(110)의 상면 타측에 배치된다.
참고로, 머리와 현 지지부는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인 '110'을 사용한다.
현(300)은 지지홈(111)과 마그네틱 센서(500)의 중심부를 일직선 상으로 지나가게 배치된다.
그리고, 그립부(120)는 연주자가 본체(100)를 파지하고 본체 상판(200) 상에서 이동시킬 때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만곡홈(121)과 제2 만곡홈(122)이 형성된 구조로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제1 만곡홈(121)은 구체적으로는, 현 지지부(11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도 1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만곡홈(122)은 구체적으로는, 현 지지부(11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도 1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받침부(130)는 본체(100)가 현(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본체(100)를 본체 상판(200) 상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넘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제1, 2 족(131, 132, 132)이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족(131)은 그립부(120)의 하단부 중간으로부터 연장되고, 현 지지부(110)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것이다.
제2 족(132, 132)은 그립부(120)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현 지지부(110)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것이다.
따라서, 제2 족(132, 132)이 화살표 B 방향(도 1 참조)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전술한 화살표 B 방향에 직교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족(131)과 함께 본체 상판(200)에 삼발이 형상으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 2 족(131, 132, 132)의 저면에는 마찰 저항을 가지며, 본체 상판(200)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미끌림 방지 패드(135)가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찰 저항이 거의 없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판(200)의 경우, 가야금 본래의 형상에 맞게 상면이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2 족(131, 132, 132)만으로는 본체 상판(200) 상에서 미끄러져 현(300)을 지지하는 상태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미끌림 방지 패드(135)는 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나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2 족(131, 132, 132)이 생략된 넓은 면적을 지닌 받침부의 저면에 복수로 이격되게 장착하여도 동일한 미끌림 방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01: 연통홀
102: 안착턱
110: 현 지지부, 머리부
111: 지지홈
112: 지지편
120: 그립부
121: 제1 만곡홈
122: 제2 만곡홈
130: 받침부
131: 제1 족
132, 132: 제2 족
135: 미끌림 방지 패드
200: 본체 상판
300: 현
400: 음향 컨트롤러
500: 마그네틱 센서
501: 플러스 단자 케이블
502: 마이너스 단자 케이블
101: 연통홀
102: 안착턱
110: 현 지지부, 머리부
111: 지지홈
112: 지지편
120: 그립부
121: 제1 만곡홈
122: 제2 만곡홈
130: 받침부
131: 제1 족
132, 132: 제2 족
135: 미끌림 방지 패드
200: 본체 상판
300: 현
400: 음향 컨트롤러
500: 마그네틱 센서
501: 플러스 단자 케이블
502: 마이너스 단자 케이블
Claims (8)
- 전기 가야금의 본체 상판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상판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금속재의 현이 상측에서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의 진동에 따른 소리를 흡수하고 증폭하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현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현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편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현 지지부;
상기 현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상판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 상판에 접촉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부;로 구성되고,
상기 현 지지부는,
양단부가 뾰족한 유선형이며, 상면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의 상면 일측에는 연통홀이 관통되어 상기 받침부까지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상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현은 상기 머리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머리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홈과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중심부는 상기 현의 형성 방향을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는,
상기 본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통홀; 및
상기 연통홀의 상측에 상기 연통홀보다 더 큰 직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상판에 내장된 음향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현 지지부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만곡홈; 및
상기 현 지지부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만곡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 중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현 지지부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1 족; 및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현 지지부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제2 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2 족은 상기 본체 상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2 족의 저면에는 마찰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본체 상판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미끌림 방지 패드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복수로 이격되게 장착되고 마찰 저항을 가지며, 상기 본체 상판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미끌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577A KR101537777B1 (ko) | 2013-05-07 | 2013-05-07 |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577A KR101537777B1 (ko) | 2013-05-07 | 2013-05-07 |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250A KR20140132250A (ko) | 2014-11-17 |
KR101537777B1 true KR101537777B1 (ko) | 2015-07-17 |
Family
ID=5245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1577A KR101537777B1 (ko) | 2013-05-07 | 2013-05-07 |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777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1208B1 (ko) * | 1997-11-13 | 2000-02-01 | 김태훈 | 가야금 및 거문고의 음향증폭장치 |
KR20050074244A (ko) * | 2004-03-10 | 2005-07-18 | 영동군 | 개량 가야금 |
JP4010001B2 (ja) * | 2003-02-17 | 2007-11-21 | アルトレコード株式会社 | 琴柱用補助部材、琴柱、琴柱構造および箏 |
-
2013
- 2013-05-07 KR KR1020130051577A patent/KR1015377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1208B1 (ko) * | 1997-11-13 | 2000-02-01 | 김태훈 | 가야금 및 거문고의 음향증폭장치 |
JP4010001B2 (ja) * | 2003-02-17 | 2007-11-21 | アルトレコード株式会社 | 琴柱用補助部材、琴柱、琴柱構造および箏 |
KR20050074244A (ko) * | 2004-03-10 | 2005-07-18 | 영동군 | 개량 가야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250A (ko) | 2014-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200643893A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for the same and its mounting structure on the same | |
KR101537777B1 (ko) | 전기 가야금의 안족 장치 | |
CN203760067U (zh) | 一种吉他琴弦控制装置 | |
CN104575160A (zh) | 一种钢琴初学者手姿矫正工具 | |
CN207137338U (zh) | 一种游戏摇杆 | |
CN204102552U (zh) | 用于拨弦乐器的拾音托架和拾音装置 | |
CN211063752U (zh) | 无线式音乐播放器 | |
JP3197284U (ja) | エンドピンホルダー | |
CN203773932U (zh) | 一种木质电钢琴键盘结构 | |
CN210521727U (zh) | 一种节奏乐器游戏套件 | |
JP2015075564A (ja) | 弦楽器のピックアップ装置 | |
CN210403182U (zh) | 一种用于双簧管的新型拇指托套 | |
CN218006473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音箱播放设备 | |
CN204073377U (zh) | 一种游戏手柄 | |
KR20130002248U (ko) | 장구용 받침대 | |
CN203150100U (zh) | 一种架子鼓支架 | |
CN103258527A (zh) | 提琴软质可调音柱 | |
CN213211670U (zh) | 一种克服吉他大横按的食指指环 | |
CN202487146U (zh) | 弦乐器拾音夹座 | |
JP3190159U (ja) | 電気弦楽器及び電気弦楽器用のピックアップ装置 | |
CN208210211U (zh) | 一种话筒拾音器保护装置 | |
CN209435388U (zh) | 一种带控制电脑装置的无线麦克风 | |
KR101537776B1 (ko) | 전자 국악기의 견착식 거치대 | |
CN204130163U (zh) | 一种无声蒙古族四胡 | |
KR20130137971A (ko) | 기타 피크용 그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