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240B1 -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 Google Patents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240B1
KR101537240B1 KR1020130156369A KR20130156369A KR101537240B1 KR 101537240 B1 KR101537240 B1 KR 101537240B1 KR 1020130156369 A KR1020130156369 A KR 1020130156369A KR 20130156369 A KR20130156369 A KR 20130156369A KR 101537240 B1 KR101537240 B1 KR 10153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ead wire
suction
tempera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803A (ko
Inventor
장범진
정진용
Original Assignee
장범진
정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범진, 정진용 filed Critical 장범진
Priority to KR102013015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2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2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by s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식도 체온 측정기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에 위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를 전달하고 타측 끝이 튜브의 타측에서 튜브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과; 상기 튜브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관통된 흡입공과, 파이프 형상의 밸브몸체와, 일측과 흡입공 사이에 밸브몸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밸브몸체와 연통되는 인출부, 타단은 밸브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흡입밸브와; 상기 흡입밸브의 타측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로 구성되어; 마취 환자의 식도 내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면서 흡인 기능 시에 흡입공을 밀폐함으로써 튜브의 일측에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흡인되어 카테터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로서 마취 중인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고, 공기 흡인용 카테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를 교대로 체내에 삽입 인출을 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마취 환자의 비강 또는 식도 내부를 보호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esophageal with temperature sensor and suction possibility}
본원 발명은 공기의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강을 통하여 식도 내에 삽입되어 심부 체온의 측정이 가능하고 비강 및 식도를 통하여 위 내에 삽입되어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환자는 수술을 위하여 마취를 하게 되며 마취 중에 환자의 체온 유지는 중요하며 마취 환자가 저체온증에 빠지면 대사율이 감소하여 마취로부터의 회복이 지연되고 심한 경우에는 출혈 경향도 나타내므로 마취 중 적정체온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체온은 신체의 측정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마취 환자의 경우 심부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심부 체온 측정부위는 고막, 식도, 방광, 직장 등이 있으나 식도 하부 1/3 지점에 식도 체온 측정기를 거치시키는 시술에 의하여 심부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식도 체온 측정기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본원 발명의 출원인이 생산하고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100)는 도 1과 같이 소경으로 되고 관통된 내경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튜브(110)와, 튜브(110)의 내경에 삽입되되 튜브(1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를 전달하고 타측 끝이 튜브(110)의 타측에서 튜브(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120)과 리드선(120)의 인출된 끝단에 결합되어 다른 전원의 잭과 결합되는 플러그(130)으로 구성되는 온도감지센서와, 튜브(110)의 타측 끝단이 내경 내에 결합되되 튜브(110)의 타측 외경과 내경 사이에서 리드선(120)을 인출하고 튜브(110)와 결합되지 아니한 내경 부분은 밀폐된 캡(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도 체온 측정기(100)는 마취 중인 환자의 체온 즉 심부 온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별도로 구성되고 측정된 온도가 모니터에 시연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체온측정기에 연결된 플러그에 결합하고 의사들이 식도 체온 측정기를 식도 내의 하부 1/3 지점에 삽입하여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하면서 모니터링하여 마취 환자의 상태를 살펴보게 된 다.
상기 종래기술의 식도 체온 측정기는 길이가 짧고 튜브와 온도감지센서로 구성되어 마취 중인 환자의 심부 온도만 측정되고 공기 흡인 기능이 없어서 위 내의 공기를 흡인(suction)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의사가 마취 중인 환자에 대하여 심부 온도를 측정하다가 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체외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위에 삽입되는 별도의 공기 흡인용 카테터(catheter)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의사가 마취 중인 환자의 심부온도의 측정 중간에 위 내의 공기를 체외로 배출하기 위하여 마취 환자의 체내로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를 교대로 체내에 삽입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되풀이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의 되풀이 되는 체내의 삽입 및 인출로 인하여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가 마취 환자의 비강 또는 식도 내부에 접촉되어 이들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튜브 내에 온도센서와 리드선으로 구성된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하되 리드선의 타측 끝단이 튜브의 외부로 인출되고 하고, 튜브의 타측 끝단에 공기흡입구멍이 구성된 흡입밸브를 구성하고 흡입밸브에 파이프 형상의 공기 흡인용 카테터(catheter)를 연장 구성하여 비강을 통하여 식도 내에 삽입되어 심부 체온의 측정이 가능하고 위 내까지 삽입되어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흡인 기능이 있는 2개의 기능을 있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식도 체온 측정기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온도센서(21, 21-1, 21-2, 21-3)와; 상기 온도센서(21, 21-1, 21-2, 21-3)에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를 전달하고 타측 끝이 튜브(10)의 타측에서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 20-1, 20-2, 20-3)과; 상기 튜브(1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관통된 흡입공(42)이 구성된 흡입밸브(40)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흡입밸브(40)는 파이프 형상의 밸브몸체(41)와, 일측과 흡입공(42) 사이에 밸브몸체(41)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밸브몸체(41)와 연통되는 인출부(4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밸브몸체(41)의 타단은 밸브몸체(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5)와; 상기 연결부(45)에 연결되고,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50)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온도센서(21)는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도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온도센서(21-1)가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1)이 튜브(10)의 내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센서(21-1) 및 리드선(20-1)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1)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내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내보강부(31)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상기 온도센서(21-2)가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2)이 튜브(10)의 외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센서(21-2) 및 리드선(20-2)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2)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외보강부(32)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튜브(10)의 내경과 이격되게 구성되고, 튜브(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의 내튜브(33)가 구성되고; 상기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온도센서(21-3) 및 리드선(20-3)이 구성되거나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리드선(20-3) 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밸브몸체(41)는 인출부(43)와 연결부(45) 사이의 외경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높이가 양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게 곡선으로 구성되는 안치부(44)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에 흡입공(42)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흡입밸브(4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50)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종래기술의 식도 체온 측정기보다 길이가 길어 위 내까지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온도감지센서와 공기 흡인용 카테터가 구성되어 마취 중인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공기 흡인용 카테터가 구성되어 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공기 흡인용 카테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기구 내에 체온 측정과 공기흡인 기능이 있어서 마취 중인 환자의 심부온도 및 위 내의 공기를 체외로 배출하기 위하여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를 교대로 체내에 삽입 인출을 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를 교대로 체내에 삽입 인출을 하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가 마취 환자의 비강 또는 식도 내부에 접촉된 기회를 감소시켜 이들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온도센서의 리드선이 내보강부, 외보강부 또는 내튜브에 의하여 튜브의 내경에 노출되지 아니하여 흡인 공기 및 분비물의 흡인 시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흡인되는 공기 및 분비물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표면에 분비물이 부착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식도 체온 측정기 사시도.
도 2: 본원 발명의 식도 체온 측정기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 본원 발명의 흡입밸브 단면도.
도 4: 본원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5: 본원 발명의 온도측정 상태도.
도 6: 본원 발명의 공기흡인 상태도.
도 7: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리드선 및 튜브 상태도.
본원 발명을 도 2의 본원 발명의 식도 체온 측정기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의 본원 발명의 흡입밸브 단면도, 도 4의 본원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5의 본원 발명의 온도측정 상태도, 도 6의 본원 발명의 공기흡인 상태도 및 도 7: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리드선 및 튜브 상태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신마취 유도 시 환자의 탈질소화를 위하여 마취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100% 마스크 환기를 시행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양압환기로 인하여 위 내에도 공기가 들어갈 가능성이 많으며 마취 환자의 위 내에 공기가 들어가면 폐의 기능성 잔기용량(FRC: functional residual capacity)이 감소하여 노인이나 소아 등 기능성 잔기용량(residual volume, 殘氣溶量: 최대 흡식한 다음 최대 호식 후에 허파에 남아 있는 공기의 용량)이 감소된 마취 환자들은 마취 회복 시 호흡능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복강경 수술 시에는 위 내의 공기가 수술 시야를 방해하여 비강을 통하여 위에 비강 영양공급 튜브(nasogastric tube)를 삽입하여 위 내의 공기를 흡인(suction)하여 수술 시야를 좋게 해주는 시술이 필요하기도 한다.
더불어 마취 환자의 마취 회복 시에는 체내에 삽관된 튜브를 발관하기 전 흡입성 폐렴을 예방하고 호흡 능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기관지 및 구강 내의 분비물의 흡인이 필요하다.
상기 분비물은 근육 이완으로부터 마취 환자를 역전시키기 위하여 사용한 근육이완제 역전제의 작용으로 무스카린 효과(muscarinic effect: 마취 시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에 의한 신경근 차단을 역전하기 위해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이나 피리도스티그민(pyridostigmine) 등의 콜린성 약물(cholinergic drugs) 사용시 나타나는 서맥 및 과다분비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진되어 분비가 촉진된다.
여기서, 네오스티그민은 천연의 피조스티그민의 화학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합성한 약품으로 아세틸콜린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 및 콜린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콜린작동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고, 피리도스티그민은 카바메이트 계열의 4급 암모늄 화합물로서 수술전후의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의 역전제 또는 길항제이며 콜린성 약물(자율신경계 약물)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choline)의 증진시켜 부교감 신경이 흥분하였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자율신경계 약물을 말한다.
마취 환자는 대사율 감소 및 출혈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서 체온유지가 중요하며 식도 체온 측정기를 식도 하부 1/3 지점에 삽입하여 마취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며 카테터를 별도를 위 내에 삽입하여 위 내의 공기를 체외로 배출한다.
본원 발명은 의사가 마취 환자에게 측정 또는 조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식도 체온 측정기 및 카테터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과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마취 환자에 부가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기 흡인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식도 체온 측정기이다.
본원 발명은 식도 체온 측정기에 있어서 튜브(10)와 온도센서(21)와 리드선(20)과 흡입밸브(40)와 카테터(50)의 큰 구성으로 구성되고, 흡입밸브(40)는 밸브몸체(41)와 밸브몸체(41)와 인출부(43)와 연결부(45)와 안치부(44)의 작은 구성으로 구성되고, 튜브(10)는 흡인공(12)의 작은 구성 구성되고, 다른 실시예의 튜브(10)는 내보강부(31)와 외보강부(32)와 내튜브(33)가 별도로 더 구성된다.
본원 발명은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되고 일측의 개방된 입구(11)와 타측의 개방된 출구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라텍스(latex) 또는 실리콘(silicon) 재질 등의 재질로 된 튜브(10)가 구성되고 종래기술의 식도 체온 측정기보다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위 내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길게 구성된다.
상기 튜브(10)는 체내 즉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위 내까지 삽입되어야 하고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도록 중간에 튜브(10) 내에 구멍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아니하고 의료기구에서 사용되고 유연하면서 탄력이 있고 투명한 비강 영양공급 튜브(nasogastric tube) 또는 레빈튜브(levin tube)를 사용한다.
본원 발명은 구강을 통하여 식도 내 및 위에 삽입되므로 사람의 구강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튜브(10)의 직경은 8, 10, 12, 14, 16 또는 18mm로 다양하게 하며 튜브(10)의 길이는 약 950mm로 하며, 튜브(10)의 외경에 눈금을 표시하되 튜브(10)의 입구에서 부터 다음에 설명하는 흡입밸브(40)로 향하는 방향으로 적은 숫자에서 큰 숫자로 표시하여 튜브(10)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튜브(10)의 일측의 개방된 입구(11) 내에 위치되는 온도센서(21)가 구성되며, 온도센서(21)는 검출한 온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검출 온도 영역과 검출 정밀도, 온도 특성, 양산성, 신뢰성 등의 면에서 사용 목적에 알맞은 서미스터, 백금, 니켈, 열전쌍 등의 검출 소자를 사용한다.
상기 온도센서(21)에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를 전달하고 타측 끝이 튜브(10)의 타측에서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이 구성되며, 온도센서(21)는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리드선(20)도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어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이 다음에 설명하는 흡입밸브(40)의 인출부(43)의 내부로 인출된다.
상기 리드선(20)은 튜브(10)와 같이 체내 즉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위 내까지 삽입되므로 유연한 재질로 되고 검출한 온도를 전기 신호로 전송할 때 외부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선(被覆線)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의 끝에는 플러그(22)가 구성되어 본원 발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플러그(22)는 별도로 구성되는 온도측정기(80)에서 연장된 측정리드선(81)의 플러그에 삽입되어 온도센서(21)가 온도측정기(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온도측정기(80)는 모니터 또는 컴퓨터 등이 구성되어 마취 환자에서 측정된 심부온도를 영상 또는 수치로 시연(display)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본원 발명에서 특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튜브(10)의 타측에 일측 즉 개방된 출구에 결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관통된 흡입공(42)이 구성되는 합성수지의 흡입밸브(40)가 구성된다.
상기 흡입공(42)은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밸브몸체(41)의 내부와 연통되게 하여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튜브(10)로 흡입되지 아니하게 하고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특히 엄지손가락으로 흡입공(42)을 밀폐하여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튜브(10)로 흡입되게 한다.
상기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흡입공(42)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흡입공(42)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밸브몸체(41) 내부로 흡인되어 카테터(50)의 내부로 이송되어 흡입장치(90)를 통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포집통으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공(42)은 밸브몸체(41)의 중간부에서 밸브몸체(41)를 관통 형성하여 밸브몸체(4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구성되며 소경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밸브(40)는 파이프 형상의 밸브몸체(41)와, 일측과 흡입공(42) 사이에 밸브몸체(41)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밸브몸체(41)와 연통되는 인출부(43)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밸브(40)는 직경이 큰 밸브몸체(41)에 직경이 작은 인출부(4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외형 'y'형상으로 구성되고, 인출부(43)는 밸브몸체(41)의 입구 즉 튜브(10)가 결합되는 일측 부근에 결합되고 카테터(50)가 결합되는 출구 즉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밸브몸체(41)와 이격 구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밸브몸체(41)에 곁가지 형상으로 결합 구성된다.
상기 인출부(43)의 내부로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이 인출 즉 튜브(10)이 입구(11)에서 출구까지 리드선(20)이 내재되고, 튜브(10)에 내재된 리드선(20)이 인출부(43)까지 흡입밸브(40)의 밸브몸체(41) 내에 내재되어 있다가 인출부(43)에서 인출부(43) 내경에 삽입되어 인출부(43)로 인출되어 흡입밸브(4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이 인출부(43)에서 외부로 인출되되 리드선(20)의 외경과 인출부(43)의 내경은 합치되어 공간이 형성되지 아니하게 구성되어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할 경우에 리드선(20)의 외경과 인출부(43)의 내경 사이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밸브(40) 내부로 흡인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밸브(40)의 타측에 카테터(50)가 결합되는데 카테터(50)는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되고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라텍스(latex) 또는 실리콘(silicon)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카테터(50)는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도록 중간에 카테터(50) 내에 구멍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아니하고 의료기구에서 사용되고 유연하면서 탄력이 있고 투명한 비강 영양공급 튜브(nasogastric tube) 또는 레빈튜브(levin tube)를 사용한다.
상기 카테터(50)는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되고 일측의 개방된 입구와 타측의 개방된 출구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라텍스(latex) 또는 실리콘(silicon) 재질 등의 재질로 된 튜브가 구성된다.
본원 발명을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등을 흡인하는 경우에는 카테터(50)의 타측 즉 흡입밸브(40)에 연결되지 아니하는 출구에 별도로 구성되는 흡인장치(90)를 연결하여 카테터(50)가 흡인장치(90)에 흡인기에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특히 엄지손가락으로 흡입밸브(40)의 흡입공(42)을 밀폐하게 되면 흡입공(42)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공(42)을 통하여 흡입밸브(40)의 내부로 흡입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등을 흡인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등으로 흡입공(42)을 밀폐하게 되고 흡입공(42)이 밀폐되어 밸브몸체(41)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지 않게 된 상태가 되며 이때 흡인장치(90)를 가동하면 흡인기가 공기를 흡인하게 되므로 흡입밸브(40) 및 카테터(50)에서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 구멍 등이 없어서 튜브(10)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튜브(10)의 입구에서 공기가 흡입하게 되므로 본원 발명이 마취 환자의 위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튜브(10)의 입구를 통하여 흡인되어 튜브(10)를 통하여 밸브몸체(41)의 내부로 흡인되어 카테터(50) 내부로 이송되어 흡입장치(90)를 통하여 흡입장치(50)의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포집통으로 배출하게 되어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튜브(10)로 흡인되어 마취 환자의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흡인장치(90)는 모니터 또는 컴퓨터 등이 구성되어 마취 환자에서 흡인된 공기의 량을 영상 또는 수치로 시연(display)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본원 발명에서 특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흡인되는 공기 또는 분비물에 의하여 온도센서(21)가 마취 환자의 심부온도를 정확하게 감지되지 아니하므로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몸체(41)의 타단 즉 튜브(10)가 연결되지 아니하는 출구는 밸브몸체(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5)가 구성되고, 연결부(45)에는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50)가 연결 구성되어 흡인장치(90)의 작동에 의하여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카테터(50)로 흡인하여 마취 환자의 체외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45)는 밸브몸체(41)보다 직경이 작은 관으로 구성되어 연결부(45)와 밸브몸체(41)의 외경은 단으로 연결되며, 연결부(45)의 직경이 밸브몸체(4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45)의 직경은 연결부(45)에 연결되는 카테터(50)의 직경을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만약, 사용되는 카테터(50)와 흡입장치(50)의 연결장치의 직경이 맞지 아니하여 그 연결이 곤란할 경우에는 직경 감소기(reducer)로 연결 사용하면 된다.
상기 밸브몸체(41)는 인출부(43)와 연결부(45) 사이의 외경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높이가 양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게 곡선으로 구성되는 안치부(44)가 더 구성된다.
상기 안치부(44)의 상부 표면은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할 경우에 의사 즉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접촉하게 되므로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저면과 같은 곡선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치부(44)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흡입공(42)이 관통 형성되며 밸브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밸브몸체(41) 외부에 길게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폭이 성인의 엄지손가락의 폭 정도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공(42)은 밸브몸체(41)의 중간부에서 밸브몸체(41)를 관통 형성하여 밸브몸체(4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구성되며 소경으로 구성되어 마취 환자의 흡인 기능 시에 흡입공(42)이 밀폐됨으로써 튜브(10)의 일구에서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흡인되어 카테터(50)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튜브(10)의 입구에는 튜브(10)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흡인공(12)이 더 구성되며 흡인공(12)은 상하좌우로 이격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흡인공(12)은 튜브(10)의 측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마취 환자의 식도 내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때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가 온도센서(21)에 잘 전달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마취 환자의 위 내의 분비물을 흡인할 때 위 벽 등의 측면에 있는 분비물을 흡인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21) 및 리드선(20)의 구성 위치를 튜브(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온도센서(21)와 리드선(20)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온도센서(21-1) 및 리드선(20-1)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1)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내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내보강부(31)가 구성된다.
상기 내보강부(31)는 리드선(20-1)을 내부에 포용하고 온도센서(21-1)를 내부에 포용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고, 튜브(10)의 내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21-1)와 리드선(20-1)이 튜브(10)의 내경 내에 자유롭게 구성되면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마취 환자의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을 흡인하는 경우에는 리드선(20)이 흡인되는 공기에 흔들리거나 흡인 공기 또는 분비물과 접촉되어 이들에게 저항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선(20)은 피복된 가는 전선을 꼬임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전선 표면이 굴곡되어 마취 환자의 위 내의 분비물을 흡인하는 경우에 분비물이 리드선(20)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선(20)이 흡인 공기 및 분비물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게 하면서 흡인되는 공기 및 분비물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표면이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리드선(20-1)을 튜브(10)의 내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내보강부(31)로 리드선(20-1)을 감싸게 하여 리드선(20)이 흡인 작용 시에 공기 또는 위 내의 분비물에 저항을 가하지 않게 한다.
상기 리드선(20-1)은 튜브(10)에서 흡입밸브(40)가 결합되는 부분의 부근에서 내보강부(31)의 외부로 인출되어 인출부(43)로 인출된다.
본원 발명에서 온도센서(21)와 리드선(2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온도센서(21-2)가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리드선(20-2)이 튜브(10)의 외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온도센서(21-2) 및 리드선(20-2)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2)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외보강부(32)가 구성된다.
상기 외보강부(32)는 리드선(20-2)을 내부에 포용하고 온도센서(21-2)를 내부에 포용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고, 튜브(10)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된다.
상기 외보강부(32)는 내보강부(31)를 튜브(10)의 외면에 구성한 것에 차이만 있을 뿐 외보강부(32)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내보강부(3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내보강부(31)의 설명으로 갈음하여 생략한다.
상기 내보강부(31)가 구성된 튜브(10)의 경우에는 튜브(10)의 전체 외경이 확대되지 아니하여 튜브(10)를 마취 환자의 구강 및 식도에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삽입이 용이할 수 있으나 튜브(10)의 내부 공간이 즉 직경이 감소하게 되고, 외보강부(32)가 구성된 튜브(10)의 경우에는 튜브(10)의 전체 외경이 약간 확대되어 튜브(10)를 마취 환자의 구강 및 식도에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삽입이 약간 어려우나 튜브(10)의 공간 즉 직경의 변화가 없게 된다.
상기 외보강부(32)가 구성된 튜브(10)는 마취 환자의 구강 및 식도에 삽입시에 돌출된 외보강부(32)가 구강 및 식도 내부와 돌돌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외보강부(32)를 튜브(10)의 외주면에서 완만하게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서 온도센서(21)와 리드선(2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튜브(10)의 내경과 이격되게 구성되고, 튜브(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되고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내튜브(33)가 구성되고,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온도센서(21-3) 및 리드선(20-3)이 구성되거나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리드선(20-3) 만 구성되어 리드선(20-3)이 흡인 작용 시에 공기 또는 위 내의 분비물에 저항을 가하지 않게 된다.
상기 내튜브(33)는 리드선(20-3)을 내부에 포용하고 온도센서(21-3)를 내부에 포용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게 구성된다.
상기 리드선(20-3)이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구성되는 것은 튜브(10)가 외보강부(32)에 의하여 돌출되는 구성을 방지하면서 외보강부(32) 또는 내보강부(31)가 튜브(1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외보강부(32) 또는 내보강부(31)의 튜브(10) 부분이 두껍게 되면서 외보강부(32) 또는 내보강부(31)가 구성되지 아니한 튜브(10) 부분보다 유연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 외보강부(32) 또는 내보강부(31)가 튜브(10)를 마취 환자의 구강 및 식도 등으로 삽입하게 되면 유연성이 저하된 외보강부(32) 또는 내보강부(31)가 있는 튜브(10) 부분이 휨이 잘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완한 것이다.
즉, 상기 내튜브(33)가 구성된 튜브(10)는 내튜브(33)로 인하여 전체 내경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유연성이 외보강부(32) 및 내보강부(31)가 구성된 튜브(10)보다 좋게 된다.
상기 내보강부(31), 외보강부(32) 및 내튜브(33)는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되고 라텍스(latex) 또는 실리콘(silicon)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중간에 구멍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아니하고 의료기구에서 사용되고 유연하면서 탄력이 있고 투명한 비강 영양공급 튜브(nasogastric tube) 또는 레빈튜브(levin tube)를 사용한다.
상기 온도센서(21)를 리드선(20-1)과 같이 내보강부(31)로 포용되게 할 수 있고, 온도센서(21)를 리드선(20-2)과 같이 외보강부(32)로 포용되게 할 수 있고, 온도센서(21)를 리드선(20-3)과 같이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나 이렇게 구성하면 내보강부(31), 외보강부(32) 및 내튜브(33)가 온도센서(21)를 감싸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온도센서(21)가 위치되는 내보강부(31), 외보강부(32) 및 내튜브(33)에 흡인공(12)과 같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환자의 심부 온도가 온도센서(21)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원 발명은 위 내까지 삽입되고, 마취 중인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고, 공기 흡인용 카테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식도 체온 측정기와 카테터를 교대로 체내에 삽입 인출을 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마취 환자의 비강 또는 식도 내부를 보호하고, 흡인 공기 및 분비물의 흡인 시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흡인되는 공기 및 분비물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표면에 분비물이 부착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식도 체온 측정기 10: 튜브
11: 입구 12: 흡인공
20, 20-1, 20-2, 20-3: 리드선
21, 21-1, 21-2, 21-3: 온도센서
22: 플러그 31: 내보강부
32: 외보강부 33: 내튜브
40: 흡입밸브 41: 밸브몸체
42: 흡입공 43: 인출부
44: 안치부 45: 연결부
50: 카테터 80: 온도측정기
81: 측정리드선 90: 흡인장치

Claims (9)

  1. 식도 체온 측정기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온도센서(21, 21-1 ,21-2, 21-3)와;
    상기 온도센서(21, 21-1 ,21-2, 21-3)에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를 전달하고 타측 끝이 튜브(10)의 타측에서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 20-1, 20-2, 20-3)과;
    상기 튜브(1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관통된 흡입공(42)이 구성된 흡입밸브(40)로 구성되어;
    마취 환자의 심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40)는 파이프 형상의 밸브몸체(41)와, 일측과 흡입공(42) 사이에 밸브몸체(41)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밸브몸체(41)와 연통되는 인출부(43)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 20-1, 20-2, 20-3)이 인출부(43)의 내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41)의 타단은 밸브몸체(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5)와;
    상기 연결부(45)에 연결되고,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50)가 구성되어;
    상기 카테터(50)에 의하여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1)는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도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어;
    상기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0)이 인출부(43)의 내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1-1)가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1)이 튜브(10)의 내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센서(21-1) 및 리드선(20-1)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1)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내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내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내보강부(31)가 구성되어;
    상기 리드선(20-1)이 흡인 작용 시에 공기 또는 위 내의 분비물에 저항을 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1-2)가 튜브(10)의 일측 내경 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선(20-2)이 튜브(10)의 외주면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센서(21-2) 및 리드선(20-2)을 내부에 포용하거나 리드선(20-2) 만 내부에 포용하고, 튜브(10)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튜브(1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외보강부(32)가 구성되어;
    상기 리드선(20-2)이 흡인 작용 시에 공기 또는 위 내의 분비물에 저항을 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튜브(10)의 내경과 이격되게 구성되고, 튜브(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의 내튜브(33)가 구성되고;
    상기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온도센서(21-3) 및 리드선(20-3)이 구성되거나 튜브(10)와 내튜브(33) 사이에 리드선(20-3) 만 구성되어;
    상기 리드선(20-3)이 흡인 작용 시에 공기 또는 위 내의 분비물에 저항을 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41)는 인출부(43)와 연결부(45) 사이의 외경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높이가 양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게 곡선으로 구성되는 안치부(44)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에 흡입공(4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흡인 기능 시에 흡입공(42)이 밀폐됨으로써 튜브(10)의 입구에서 위 내의 공기 또는 분비물이 흡인되어 카테터(50)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4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의 투명한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카테터(50)가 구성되어;
    상기 카테터(50)에 의하여 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KR1020130156369A 2013-12-16 2013-12-16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KR10153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69A KR101537240B1 (ko) 2013-12-16 2013-12-16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69A KR101537240B1 (ko) 2013-12-16 2013-12-16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03A KR20150069803A (ko) 2015-06-24
KR101537240B1 true KR101537240B1 (ko) 2015-07-17

Family

ID=5351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369A KR101537240B1 (ko) 2013-12-16 2013-12-16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21B1 (ko) 2015-10-01 2017-03-07 주식회사 코렘 레빈 튜브
CN106237481A (zh) * 2016-05-20 2016-12-21 张海伟 显温导尿管
CN106512167B (zh) * 2016-10-17 2019-02-26 南京宁创医疗设备有限公司 测温型气管导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591A (ja) * 2005-09-15 2009-03-05 カンヌフロウ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関節内視鏡手術温度調節システム及び関節内視鏡手術温度調節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591A (ja) * 2005-09-15 2009-03-05 カンヌフロウ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関節内視鏡手術温度調節システム及び関節内視鏡手術温度調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03A (ko)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109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medical care based on sensor data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Bredenoord et al. Technical aspects of clinical high‐resolution manometry studies
US5477860A (en) Catheter for measuring respiration and respiratory effort
AU2010340316B2 (en) Oral-esophageal-gastric device with esophageal cuff to reduce gastric reflux and/or emesis
US20120190938A1 (en)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acid reflux using involuntary reflex cough test
US9232917B2 (en) Urinary catheter system for diagnosing a physiological abnormality such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P2515754A1 (en) Oral-esophageal-gastric device to diagnose reflux and/or emesis
AU2010333963A1 (en) Improved esophageal airway protection device and use of the airway protection device in an involuntary cough test as a medical diagnostic tool
US20200306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Humidity and Temperature Sensing to Verify Proper Nasogastric Tube Placement
KR101537240B1 (ko)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WO2012149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gastric valve
JP2022524498A (ja) 喉頭咽頭圧及び/又は下部食道括約筋圧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20210030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Sensing to Verify Proper Nasogastric Tube Placement
US20140288612A1 (en) System to treat at least one of the urethral and anal sphincters
JP6456389B2 (ja) 食道温度プローブ及び栄養チューブにおける誤アラームを抑制又は阻止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5187615A1 (en) Urinary catheter system for diagnosing a physiological abnormality such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KR20180039992A (ko) 흡인 기능이 있는 식도 체온 측정기
CN112546403A (zh) 一种具有核心温度检测和防食管反流作用的胃管
CN210057050U (zh) 一种加药抽吸以及监测神经和体温的气管导管
CN204766934U (zh) 一种顶端带温度探测的双腔气管插管
WO2023186303A1 (en) A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feeding tube
CN2681764Y (zh) 无线胃管插入位置指示器
JP5508221B2 (ja) 呼吸情報検出用チューブ
WO2019157568A1 (en) Gastric tube assembly
AU2012207188A1 (en)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acid reflux using involuntary reflex cough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