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154B1 -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 Google Patents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154B1
KR101537154B1 KR1020130075620A KR20130075620A KR101537154B1 KR 101537154 B1 KR101537154 B1 KR 101537154B1 KR 1020130075620 A KR1020130075620 A KR 1020130075620A KR 20130075620 A KR20130075620 A KR 20130075620A KR 101537154 B1 KR101537154 B1 KR 10153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learning
screen
contro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797A (en
Inventor
미호 후지
다까아끼 지까쯔
Original Assignee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플랫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대상 장치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기존의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그 조작 대상 장치를 확실하게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조작 학습 장치는, 전자 기기 또는 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리모콘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그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과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는 학습부와,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특정부를 갖는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remotely operate an operation target devic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peration target device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The operation learning device sends out a screen data signal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the operation of a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electronic equipment or another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electronic equipment on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a wireless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by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specifying a button operation thereof; A learning section for generating an operation learning table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be supported; and a specifying section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Description

조작 학습 장치 및 조작 학습 방법{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0001]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0002]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장치를, 그 리모트 컨트롤러로 원격 조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motely operating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with the remote controller.

텔레비전, 비디오 레코더, 앰프 등과 같은 기기는, 전용의 각 리모트 컨트롤러(이후, 리모콘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로 각각 원격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복수의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복수의 전용 리모콘을 사용하는 것에서는, 조작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리모콘의 관리도 번잡해진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적은 수의 리모콘으로 복수의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Devices such as televisions, video recorders, amplifiers, and the like can be remotely operated by respective dedicated remote controller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remote controllers). However, when a plurality of dedicated remote controllers are used to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not only the operability is bad but also the manag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becomes troublesome. From these circumstances, various methods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devices with a small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have been proposed.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휴대 단말기에 기존의 리모콘의 발광 패턴을 기억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퍼스널 컴퓨터(PC)에 학습 리모콘을 접속하고, PC를 사용하여 인터넷으로부터 리모콘 코드를 다운로드하고, 개개의 리모콘 코드를 학습 리모콘에 보내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제어 모기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피제어부군의 각각과 적외선 리모콘 신호의 통신 거리 내에 설정되는 제어 자기에 제어 커맨드를 보내고, 제어 자기로부터 각 피제어부군에 제어 커맨드를 보내는 것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4에는, 리모콘 송신기가 접속된 퍼스널 모바일의 터치 통신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완구를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 method of storing a light emission pattern of an existing remote controller in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proposed.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proposes a method of connecting a learning remote controller to a personal computer (PC), downloading a remote control code from the Internet using a PC, and sending the individual remote control codes to the learning remote controller.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control command is sent from a control mosquito to a control magnet which is set within a communication distance of an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 with each of the controlled group and a control command is sent to each controlled group from a control magnet Has been proposed.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4 proposes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toy by using a touch communication device of a personal mobile to which a remote control transmitter is connec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표준 규격으로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알려져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비디오 레코더와의 사이가 HDMI로 접속되고, 텔레비전이 HDMI 싱크로서 비디오 레코더가 HDMI 소스로서 동작하는 경우, 1개의 리모콘으로 텔레비전 및 비디오 레코더의 양쪽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이것은, HDMI 소스 및 HDMI 싱크가, 표준 언어로서의, HDMI에 규정되어 있는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메시지(커맨드)를 교환함으로써 실현된다.In addition,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s known as a standard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devices (refer to Non-Patent Document 1 below). For example, when a television and a video recorder are connected by HDMI, and a television operates as an HDMI sink and a video recorder operates as an HDMI source, both of the television and the video recorder can be remotely operated by one remote controller. This is realized by exchanging a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message (command) defined in the HDMI as a standard language by the HDMI source and the HDMI sink.

이러한 HDMI를 탑재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CEC에 비대응의 외부 기기에 대해서도, CEC 메시지를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하기 특허문헌 5에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가, 유저의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제1 조작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코드(또는 CEC 메시지)와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와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외부 기기의 종별(메이커, 종류)마다 각각 갖고, 당해 제1 조작 신호를, 그 테이블에 기초하여 변환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조작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제2 조작 신호를 CEC 메시지와는 다른 수단(비디오 마우스 등)에 의해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0006] Patent Document 5 proposes a method for enabling an operation equivalent to that when a CEC message is used for an external device which is not compatible with the CEC in a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such HDMI.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table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code (or a CEC message) included in a first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code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And converts the first operation signal into a second operation signal including the converted control code on the basis of the table, and transmits the second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operation signal by means other than the CEC message Video mouse, etc.) to the external device.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4810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348104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8788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8788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4204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342048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3173446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73446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2759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027599

Hitachi, Ltd., etc.,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3a", HDMI Licensing, LLC, November 10, 2006.Hitachi, Ltd., etc.,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3a", HDMI Licensing, LLC, November 10, 2006.

그러나 상술한 학습 기능을 리모콘에 갖게 하는 방법에서는, 학습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 기존의 리모콘을 개조하거나, 또는, 학습 기능을 가진 새로운 리모콘을 구입해야 한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조작측이 학습 기능을 가지므로, 조작되는 측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조작측의 리모콘에 학습시키는 것은 곤란하다.However,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learning func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existing remote controller must be modified to acquire the learning function, or a new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learning function must be purchased. Further, in this method, since the operation side has the learning function, it is difficult to let the remote controller on the operation side lear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ed side.

한편, 상기 특허문헌 5의 제안 방법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미리, 조작 대상 장치(외부 기기)의 종별마다의 테이블이 설정된다. 이 제안 방법에서는, 조작 대상 장치 이외의 텔레비전에 미리 설정되는 테이블을,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에 대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이 제안 방법에 대응하는 텔레비전이 조작 대상 장치보다도 전에 판매되는 경우, 텔레비전에 미리 설정되는 테이블을,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에 대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이 제안 방법에서는, 비디오 마우스와 같은 CEC 메시지와는 다른 수단이 부가적으로 필요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posed method of Patent Document 5, a table for each type of operation target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is set in advance in a television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In this proposed method, it is difficult to correspond a table set in advance to a television set other than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For example, when the television corresponding to the proposed method is sold before the operation target devic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table set in advance on the television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device.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additionally requires a means other than a CEC message such as a video mous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 대상 장치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기존의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그 조작 대상 장치를 확실하게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technique for making it possible to remotely operate an operation target devic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peration target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의 각 양태에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In eac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re adopted.

제1 양태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른 조작 학습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조작 학습 장치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는 화면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그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당해 버튼 조작과 조작 학습 장치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는 조작 학습부와,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조작 학습 장치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조작 특정부를 갖는다.The first aspect relates to an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tself to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A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by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based on a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he other electronic equipment,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eceived wireless operation signal and capable of specify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Operation learning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n operation learning section for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to specify an operation specifying section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tself .

제2 양태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대상 장치에서 실행되는 조작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른 조작 학습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이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 그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그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econd aspect relates to an operation learning method executed in an operation target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to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screen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by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based on a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he other electronic equipment,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capable of specify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d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is generated, and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target device supported by tank, it includes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는,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여도 된다. 이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Further,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ogram for realizing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the first aspect in a computer, o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such a program is recorded.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non-transitory type of medium.

상기 각 양태에 따르면, 조작 대상 장치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기존의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그 조작 대상 장치를 확실하게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aspec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liably remotely manipulating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an existing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처리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등록 결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복귀」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처리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학습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조작 학습 장치 및 조작 학습 방법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edia interfa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2 conceptually shows a processing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edia interfa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n " up "opera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media interfa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rmation screen;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gistration result scree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 return "opera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ocessing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edia interfa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nection form of the media interface apparatus;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an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learning metho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조작 학습 장치 및 조작 학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learning method will be described a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학습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여기서, 소정 통신선이라 함은, 단순히 물리적인 통신 케이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HDMI나 IEEE1394 등과 같은 기기간을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개념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그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한 전자 기기로부터 그 소정 통신선에 패스 스루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정 통신선의 구체적 실현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는, 그러한 소정 통신선을 접속 가능하며, 또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미디어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당해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비디오 레코더, 오디오 앰프, 게임기, PC 등이며, 렌더러, 렌더링 장치 등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Here,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does not simply mean a physical communication cable, but also includes a concept such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between devices such as HDMI and IEEE1394.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capable of being passed through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from the electronic apparatus receiving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the concret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is not limited .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paratus that can connect suc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d processes media data (media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and audio.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for example, a television, a video recorder, an audio amplifier, a game machine, a PC, or the like, and may be a renderer, a rendering device, or the lik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학습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는 화면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그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당해 버튼 조작과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는 조작 학습부와,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조작 특정부를 갖는다.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A scree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capable of specify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d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An operation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learning table , By reference to the learning operating table, having their from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to support, manipulate particular portions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여기서, 조작 학습 장치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이라 함은, 조작 학습 장치가 받을 수 있는 각종 유저 조작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 학습 장치를 위한 전용 리모콘을 제공한다고 가정한 경우에, 그 전용 리모콘에 실장될 것으로 추정되는 복수의 버튼을 사용한 조작이 당해 복수의 소정 조작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당해 복수의 소정 조작에는, 「상」 조작, 「하」 조작, 「좌」 조작, 「우」 조작, 「복귀」 조작, 「결정」 조작 등이 포함된다.Her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tself means various user operations that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can receive. In other words, when it is assumed that a dedicated remote controller for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s provided, an operation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estimated to be mounted on the dedicated remot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include an "up" operation, a "down" operation, a "left" operation, a "right" operation, a "return" operation, a "de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lik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학습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대상 장치에서 실행된다. 당해 조작 학습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이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 그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그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in this embodiment is executed in an operation target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on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d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a wireless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nic equipment or a remote control based on a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other electronic equipment An operation learning table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And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 From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target device supports, it includes those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학습 장치(조작 대상 장치)에 의해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되는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에 의해, 당해 전자 기기에,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이 소정 화면을 봄으로써,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에 있어서의, 조작 학습 장치의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버튼 조작을 행한다. 이 버튼 조작에 따라 그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가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고, 이 전자 기기로부터,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그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조작 학습 장치에서 수신된다. 조작 학습 장치에서는, 이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과 조작 학습 장치의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이 생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sent out on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operation target apparatus) causes the electronic apparatus to perform a butto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by, the user performs the butt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device in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by looking at the predetermined screen. According to this button operation, a wireless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by the operation learning device.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generate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학습 장치가 전자 기기에 제공하는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에 의해,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의 버튼 조작과 조작 학습 장치 자신의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학습된다. 이후, 조작 학습 장치에서는, 이 조작 학습 테이블이 참조됨으로써,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의 버튼 조작에 따라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 학습 장치의 각 소정 조작이 각각 특정되고, 특정된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tself is learned by the screen data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screen provid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 Thereafter, in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s specified on the basis of each control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되는 장치, 즉, 조작 학습 장치가,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당해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 조작 학습 테이블을,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에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 학습 장치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기존의 전자 기기를 위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조작 대상 장치로서의 조작 학습 장치를 확실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에 의해 무선 조작 신호로부터 변환된 제어 신호와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당해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되므로, 전자 기기에서 수신 가능한 무선 조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이면, 어떠한 리모콘이라도 조작 학습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ed apparatus, that is,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provides the screen data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screen, thereby generating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by itself.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remotely operate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s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by using the remote control for the existing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via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Further, sinc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signal converted from the radio operation signal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any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the radio operation signal that can be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operated remotely.

이하,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드는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는 각각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학습 장치 및 조작 학습 방법이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되는 예가 나타내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이후, MIF 장치라고 간략화하여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applied to the media interface apparatus.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edia interface device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an MIF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MIF 장치(10)는, 서버 장치(5)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하는 미디어 신호를 HDMI를 통하여 텔레비전 장치(2)에 보내고, 텔레비전 장치(2)에 당해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출력시킨다. 즉, MIF 장치(10)는, HDMI 소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영화 데이터, 사진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서버 장치(5)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하등 제한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 텔레비전 장치(2)가 예시되고, 상술한 소정 통신선으로서 HDMI가 예시된다.The MIF apparatus 10 sends a media signal based on the media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and audio provided from the server apparatus 5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via HDMI and outputs the media signal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And outputs at least one of the video and audio. That is, the MIF apparatus 10 can operate as an HDMI source. The media data is, for example, digital data such as movie data, photo data, music dat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media data provided from the server apparatus 5 to any limi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elevision apparatus 2 is exemplified as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HDMI is exemplified as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서버 장치(5)는, 일반적인 컴퓨터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MIF 장치(10)에 제공한다.The server apparatus 5 is a general computer and provides the above-described media data to the MIF apparatus 10. [

텔레비전 장치(2)는, HDMI 기능을 탑재하고, 또한, 리모콘(1)에 의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이다. 텔레비전 장치(2)는, 리모콘(1)으로부터의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이 무선 조작 신호를 대응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HDMI를 통하여 그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당해 무선 조작 신호는, 리모콘(1)에서 눌린 버튼을 식별 가능한 신호이며,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는, 무선 조작 신호로 식별될 수 있는 버튼 조작을 식별 가능한 신호이다.The television apparatus 2 is a general television receiver equipped with an HDMI function and capable of being remotely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1. [ The television apparatus 2 receives a wireless opera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 converts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into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HDMI.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is a signal that can identify the button pressed by the remote controller 1.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is a signal that can identify the button oper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이후, 이러한 텔레비전 장치(2)의 처리를 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행해지는 주지의 처리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2)에 있어서, MIF 장치(10)가 접속되는 HDMI 단자가 입력으로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of the television apparatus 2 may be referred to as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processing. This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process is a well-known process performed by a general television receiver as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process is executed when, for example, the HDMI terminal to which the MIF apparatus 10 is connected is selected as the input in the television apparatus 2. [

〔장치 구성〕[Device configuration]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HDMI 통신부(11), 서버 통신부(12), 제어부(13) 등을 갖는다. 제어부(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I/F) 등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이다. 입출력 I/F는, HDMI 통신부(11), 서버 통신부(12) 등과 제어부(13)와의 사이의 교환을 제어한다.1, the MIF apparatus 10 in the first embodiment has an HDMI communication unit 11,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2, a control unit 13,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3 is constituted by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an input / output interface (I / F) and the like. The memory i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or the like. The input / output I / F controls the exchange between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13.

HDMI 통신부(11)는, 텔레비전 장치(2)의 HDMI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HDMI 접속부(도시하지 않음), 텔레비전 장치(2)와 MIF 장치(10)와의 사이의 HDMI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처리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HDMI 접속부는, HDMI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HDMI 단자로서 실현되어도 되고, 텔레비전 장치(2)의 HDMI 단자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HDMI 커넥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HDMI는, 미디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채널과,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채널, DDC(Display Data Channel) 등]을 포함한다. 또한, HDMI 통신부(11)는, 주지의 HDMI 기술(비특허문헌 1 참조)에 의해 실현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includes an HDMI connection unit (not shown) for connecting to the HDMI terminal of the television apparatus 2,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HDMI communication between the television apparatus 2 and the MIF apparatus 10, And the like). The HDMI conne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n HDMI terminal for connecting the HDMI cable or as an HDMI connector capabl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HDMI terminal of the television apparatus 2. [ The HDMI includes a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 channel for transmitting a media signal, a control channel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channel, a DDC (Display Data Channel), etc.)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urther, since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is realized by a well-known HDMI technology (see Non-Patent Document 1),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서버 통신부(12)는, 서버 장치(5)와 MIF 장치(1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기이다. 서버 장치(5)와 MIF 장치(10)와의 사이의 통신에는, 주지의 통신 형태가 이용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서버 통신부(12)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행하고, 서버 장치(5)로부터, 원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 is an interface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pparatus 5 and the MIF apparatus 10. [ Since a well-known communication type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pparatus 5 and the MIF apparatus 1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and acquires desired media data from the server apparatus 5. [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의 처리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는, 정보 취득부(21), 화면 신호 송신부(22), 수신부(23), 조작 학습부(24), 조작 학습 테이블(25), 조작 특정부(26),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27), 미디어 신호 송신부(28), 처리 실행부(29) 등을 갖는다. 이들 각 처리부는, 상술한 제어부(13)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처리부는, CPU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ing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IF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IF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a screen signal transmission unit 22, a reception unit 23, an operation learning unit 24, an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 media data receiving unit 27, a media signal transmitting unit 28, a process executing unit 29, and the like. Each of these processing units is realized by the control unit 13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ach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units is realized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by the CPU.

정보 취득부(21)는, HDMI를 통하여 접속되는 전자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장치 특정 정보를 HDMI 통신부(11)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정보 취득부(21)는, HDMI 통신부(11)에 의해 실현되는 DDC를 통하여, 전자 기기의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읽음으로써, 그 전자 기기의 장치 특정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21)는, CEC 채널 상의 CEC 메시지(<Poling Message>, <Give Physical Address>, <Report Physical Address>)를 사용하여, 물리 어드레스, 논리 어드레스 등과 같은 장치 특정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취득부(21)는, 텔레비전 장치(2)의 장치 특정 정보를 취득한다.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21 acquires, from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apparatus specify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an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via HDMI.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21 reads the E-EDID (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DDC realized by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 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21 also acquires devic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a physical address and a logical address by using a CEC message (<Poling Message>, <Give Physical Address>, and <Report Physical Address>) on the CEC channel You can.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21 acquires the apparatus specifying information of the television apparatus 2. [

화면 신호 송신부(22)는, 텔레비전 장치(2)에,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HDMI 통신부(11)를 통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화면 신호 송신부(22)는,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transmits the screen signal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And transmits the screen data signal through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For example, 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sequentially transmits screen data signals for each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도 3은 「상」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 신호 송신부(22)에 의해 송신된 화면 데이터 신호에 의해, 텔레비전 장치(2)에는, 도 3의 예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3의 화면은, 유저에게, MIF 장치(10)에 대하여 「상」 조작을 행하기 위한,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한다. 유저는, 리모콘(1)에 탑재되는 「상」 버튼을 눌러도 되고, 그 밖의 버튼을 눌러도 된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2)에서는, MIF 장치(10)로부터의 화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그때 표시되어 있었던 텔레비전 방송 등으로부터, MIF 장치(10)로부터의 화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는 도 3의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표시가 절환되어도 되고, 입력 절환 조작 후, 도 3의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corresponding to the &quot; up &quot; operation. 3 is displayed on the television device 2 by the screen data signal transmitted by 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 The screen of Fig. 3 prompts the user to operate th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to perform an &quot; up &quot;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IF apparatus 10. [ The user may press the &quot; up &quot; button mounted on the remote controller 1, or may press another button. 3 based on the screen data signal from the MIF apparatus 10, based on the screen data signal from the MIF apparatus 10, in the television apparatus 2, The display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or after the input switching operation, the screen of Fig. 3 may be displayed.

수신부(23)는, HDMI의 제어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HDMI 통신부(11)로부터 취득한다. 이 제어 신호에는, 도 3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텔레비전 장치(2)에 있어서의 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에서, 텔레비전 장치(2)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된다.The receiving section 23 acquires from the HDMI communication section 11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channel of the HDMI. This control signal includ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levision apparatus 2 in the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processing in the television apparatus 2 displaying the screen as shown in Fig.

조작 학습부(24)는, 화면 신호 송신부(22)로부터 송신된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과, 수신된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그 소정 화면에 촉구된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대응시키고, 그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을 생성한다. 조작 학습부(24)는, 각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의 순차 송신에 따라 수신부(23)에서 순차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각 버튼 조작과,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각 소정 조작과의 각 대응 관계를 각각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한다.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performs predetermined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screen transmitted from 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and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An operation learning table 25 is created which corresponds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urged to the screen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performs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specified by each control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3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screen data signal for each predetermined screen and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operation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And store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respectively.

또한, 조작 학습부(24)는, 수신부(23)에 의해 제어 신호가 취득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또한 수신부(23)에서 취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을 포함하는 대응 관계를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조작 학습부(24)는, 어느 제어 신호가 취득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취득된 경우, 그 버튼 조작의 등록이 캔슬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버튼 조작을 포함하는 대응 관계를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하지 않는다. 상기 소정 시간은,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다.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also acquired in the reception unit 23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signal is acquired by the reception unit 23,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store,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cluding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when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acquir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a control signal is acquired, the operation learning section 24 determines that the registration of the button operation is canceled, And does not stor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cluding the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 The predetermined tim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조작 학습부(24)는, 정보 취득부(21)에 의해 취득되는 장치 특정 정보마다, 조작 학습 테이블(25)을 각각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학습부(24)는, 정보 취득부(21)에 의해 취득된 장치 특정 정보와 대응된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그 장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을 새롭게 생성한다. 이때, 조작 학습부(24)는, 화면 신호 송신부(22)에,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시킨다.The operation learning section 24 generate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25 for eac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ection 21,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corresponding to the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exists. If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does not exist,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corresponding to the device specific information is newly generat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causes 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to transmit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조작 학습 테이블(25)은, 장치 특정 정보마다 각각 생성된다. 조작 학습 테이블(25)은, 수신된 각 제어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리모콘(1)의 각 버튼 조작과,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각 소정 조작과의 각 대응 관계를 각각 저장한다. 각 소정 조작과 각 버튼 조작과의 대응 관계로서, 조작 학습 테이블(25)은, 예를 들어,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ID와,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와의 조합을 저장한다.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is generated for each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store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specified by each received control signal and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A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and each button operatio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stores, for example, an ID indica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Lt; / RTI &gt;

조작 특정부(26)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을 참조함으로써,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수신부(23)에서 취득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한다. 이 소정 조작의 특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조작 특정부(26)는,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ID를 조작 학습 테이블(25)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조작 특정부(26)는, 참조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을, 정보 취득부(21)에 의해 취득되는 장치 특정 정보에 대응된 조작 학습 테이블(25)로 절환한다.The operation identifying unit 26 refers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to perform predetermined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rol signals acquired by the receiving unit 23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Specify. Specifically, in specify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he operation specifying unit 26 extracts, from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n ID indica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operation specifying unit 26 switches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to be referenced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corresponding to the apparatus specify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21. [

본 실시 형태에서는, MIF 장치(10)의 조작 학습 기능을 실현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처리부(21 내지 26)를, 조작 학습 처리계(20)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수신부(23) 및 조작 특정부(26)는, 조작 학습 이외의 MIF 장치(10)의 처리에 있어서도 동작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rocessing sections 21 to 26 as described above for realizing the operation learning function of the MIF apparatus 1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ration learning processing system 20. The receiving section 23 and the operation specifying section 26 also operate in the processing of the MIF apparatus 10 other than the operation learning.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27)는,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통신부(12)를 통하여 서버 장치(5)로부터 수신한다.The media data receiving unit 27 receives media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and audio from the server apparatus 5 via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2. [

미디어 신호 송신부(28)는,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27)에서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 신호를 HDMI 통신부(11)를 통하여 HDMI로 송출하고, HDMI로 접속되는 텔레비전 장치(2)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출력시킨다. 당해 미디어 신호는, HDMI의 TMDS 채널에 의해 전송된다.The media signal transmitting unit 28 transmits the medi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dia data received by the media data receiving unit 27 via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1 to the HDMI, And audio. The media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TMDS channel of the HDMI.

처리 실행부(29)는, 조작 특정부(26)에 의해 특정된 소정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특정부(26)에 의해 「상」 조작이 특정된 경우에는, 그 「상」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는, 처리 실행부(29)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자체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process executing section 29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pecified by the operation specifying section 26. [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specifying section 26 specifies the &quot; up &quot; operation,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quot; up &quot; opera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processing itself executed by the processing executing section 29. [

〔동작예〕[Operation example]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조작 학습 방법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learning method executed in the MIF apparatus 10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IF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IF 장치(10)는, HDMI로 텔레비전 장치(2)와 접속되면, 텔레비전 장치(2)를 특정할 수 있는 장치 특정 정보를 취득한다(S40).When the MIF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via HDMI, the MIF apparatus 10 acquires apparatus specifying information capable of specifying the television apparatus 2 (S40).

MIF 장치(10)는, 취득된 장치 특정 정보와 대응된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1). MIF 장치(10)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S41;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MIF 장치(10)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41;아니오),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MIF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ssociated with the acquired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S41). Whe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exists (S41; Yes), the MIF apparatus 10 ends the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does not exist (S41; No), the MIF apparatus 10 operates as follows.

우선, MIF 장치(10)는, MIF 장치(10) 자신이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의 1개의 대상 조작을 특정하고, 그 대상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HDMI로 송출한다(S42). 이 화면 데이터 신호를 HDMI 입력 단자로부터 취득한 텔레비전 장치(2)는, 그 화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도 3의 예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는, 그 화면에서 촉구되어 있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리모콘(1)에 탑재되는 「상」 버튼을 누른다. 리모콘(1)은, 그 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송출한다. 텔레비전 장치(2)는, 그 무선 조작 신호에 관해, 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를 행한다.First, the MIF apparatus 10 specifies one target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self, and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the remote controller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operation (S42). The television apparatus 2 that has acquired the screen data signal from the HDMI input terminal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signal. As a result, a screen similar to the example of Fig. 3 is displayed. The user performs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urged by the screen. For example, the user presses the &quot; up &quot; button mounted on the remote controller 1. [ The remote controller 1 transmits a wireless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The television apparatus 2 performs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processing on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MIF 장치(10)는, 상기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HDMI로부터 수신한다(S43). 여기서, MIF 장치(10)는, 수신된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의 정보를 유지하고(S44),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확인 화면을 텔레비전 장치(2)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HDMI로 송출한다. 도 5는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MIF apparatus 10 receiv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and capable of specifying the button operation from the HDMI (S43). Here, the MIF apparatus 10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44), and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displaying the confirmation screen as shown in Fig. 5 on the television apparatus 2 HDMI.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rmation screen.

이때, MIF 장치(10)는, 타이머를 기동한다(S45). 이 타이머는, 기동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MIF 장치(10)는, 이 타이머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 즉, 타임아웃을 검출한다(S47).At this time, the MIF apparatus 10 starts a timer (S45). This timer measures the elapsed time since the start-up. The MIF apparatus 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elapsed time from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by monitoring the timer (S47).

MIF 장치(10)는, 타임아웃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또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6). MIF 장치(10)는, 타임아웃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중복하여 수신된 경우(S46;예), 유저가 재설정을 희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이 경우, MIF 장치(10)는, 타이머를 해제하고, 또한, 유지하고 있는 버튼 조작의 정보를 버리고, 새로운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S43).The MIF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also received until timeout (S46). When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received repeatedly (S46; Yes), the MIF apparatus 10 recognizes that the user desires to reset it. In this case, the MIF apparatus 10 releases the timer, discards the information of the held button operation, and waits for reception of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new button operation (S43).

MIF 장치(10)는,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중복하여 수신되는 일 없이(S46;아니오), 타임아웃을 검출하면(S47;예), 그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과 상기 대상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한다(S48). 이때, MIF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등록 결과 화면을 텔레비전 장치(2)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HDMI로 송출한다. 도 6은 등록 결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f the MIF apparatus 10 detects a timeout (S47; Yes) without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presen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S46; NO),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and the target operation I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S48). At this time, the MIF apparatus 10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displaying the registration result screen as shown in Fig. 6 on the television apparatus 2 by HDMI.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gistration result screen.

MIF 장치(10)는, MIF 장치(10)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조작 중에서 미등록의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9). MIF 장치(10)는, 미등록의 조작이 있으면(S49;예), 그 미등록의 조작을 대상 조작으로 설정하고(S50), 상기 공정(S42) 이후를 다시 실행한다. 이에 의해, MIF 장치(10)는, 공정(S42)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다른 대상 조작에 대응하는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을 텔레비전 장치(2)에 표시시키는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도 7은 「복귀」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대상 조작은 「상」 조작이며, 도 7의 예에서는, 대상 조작은 「복귀」 조작이다.The MIF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unregistered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S49). If there is an unregistered operation (S49; Yes), the MIF apparatus 10 sets the unregistered operation as the target operation (S50), and executes the processes after step S42 again. Thereby, in step S42, the MIF apparatus 10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other target operation as shown in Fig. 7 on the television apparatus 2 do.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corresponding to the &quot; return &quot; operatio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target operation is an &quot; up &quot; operation, and in the example of Fig. 7, the target operation is a &quot; return &quot; operation.

MIF 장치(10)는, 미등록의 조작이 없으면(S49;아니오), 생성된 조작 학습 테이블(25)과 장치 특정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유지하고(S51), 처리를 종료한다.If there is no unregistered operation (S49; NO), the MIF apparatus 10 maintain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ted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nd the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S51), and ends the processing.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Operation and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텔레비전 장치(2)를 위한 리모콘(1)의 각 버튼 조작과 MIF 장치(10)와의 각 소정 조작과의 각 대응 관계가 MIF 장치(10)에서 학습되므로, 유저는, 텔레비전 장치(2)를 위한 리모콘(1)을 사용하여, 조작 대상 장치로서의 MIF 장치(10)를 확실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유저는, MIF 장치(10)에 의해 중개되는 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 등을 텔레비전 장치(2)로 즐길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each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for the television apparatus 2 and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with the MIF apparatus 10 is learned in the MIF apparatus 10, The remote control 1 for the television apparatus 2 can be used to securely operate the MIF apparatus 10 as an operation target apparatus remotely. After that, the user can enjoy the video or the like based on the media data mediated by the MIF apparatus 10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MIF 장치(10)가 HDMI에 의해 접속되는 전자 기기[텔레비전 장치(2)]를 특정하기 위한 장치 특정 정보가 취득되고, 이 장치 특정 정보마다,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각각 생성된다. 또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특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이, 그 장치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절환된다. 이에 의해, MIF 장치(10)를 접속하는 전자 기기를 빈번히 바꾸는 경우에, 유저는, 한번 조작 학습 조작을 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다시 동일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바로, MIF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MIF 장치(10)가 HDMI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에서 수신 가능한 무선 조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이면, 유저는, 어떠한 리모콘이라도 MIF 장치(10)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television apparatus 2) to which the MIF apparatus 10 is connected by HDMI is acquired, and for each of the apparatus specify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Respectively. Further,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referred to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switched on the basis of the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Thus,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apparatus connecting the MIF apparatus 10 is frequently changed, the user can use the MIF apparatus 10 immediately without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gain in the electronic apparatus that has performed the operation learning operation once . Further, if the MIF apparatus 10 is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 wireless operation signal that can be received from an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by HDMI, the user can remotely operate the MIF apparatus 10 with any remote controller.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또한 수신된 경우에, 그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을 포함하는 대응 관계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유저는, 소정 조작에 대하여 잘못된 버튼 조작을 한 경우에, 간단하게, 올바른 버튼 조작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also receiv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a certain button operation is received,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s not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 Thereby, when the user performs an erroneous button opera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user can simply reset it with a correct button operation.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되는 측으로서의 MIF 장치(10)에 있어서 조작 학습이 행해지므로, MIF 장치(10)가 서포트하는 모든 소정 조작에 대한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확실하게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되는 측에서 조작 학습이 행해지므로, 유저는, 조작하는 측의 리모콘(1)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는, 그 리모콘(1)의 버튼 조작과 MIF 장치(10)의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MIF 장치(10)에서 어떻게 등록되어 있는지 아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MIF 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 버튼 조작과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내용을 중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operation learning is performed in the MIF apparatus 10 as the operated side,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for all the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It can be surely learned. However, since the operation learning is performed on the operated side, if the user is looking at the remote control 1 on the operating sid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1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MIF apparatus 10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he relationship is registered in the MIF apparatus 10. [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can confirm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registered in the MIF apparatus 10. [ Hereinafter, the MIF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nten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appropriately omitted.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의 처리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IF 장치(10)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외에, 학습 확인부(30)를 더 갖는다. 학습 확인부(30)도, 다른 처리부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3)에 의해 실현된다.8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ing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IF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MIF apparatus 10 of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learning confirmation unit 3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earning confirmation unit 30 is also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3 in the same manner as the other processing units.

학습 확인부(30)는,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되는, MIF 장치(10)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학습 확인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화면 신호 송신부(22)에 송신시키고, 텔레비전 장치(2)에 그 학습 확인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학습 확인 화면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가 표시된다.The learning confirmation unit 30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the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indica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to the screen signal transmission unit 22 , And causes the television apparatus 2 to display the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In this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screen elements represen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도 9는 학습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되는 학습 확인 화면에는, MIF 장치(10)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로서, 「상」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1, 「하」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3, 「우」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2, 「좌」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4, 「결정」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5, 「복귀」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6이 포함되어 있다.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9 is a screen element indica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MIF apparatus 10, and includes a screen element OP1 indicating an "up" operation, a screen element OP3 indicating a "down" operation, , A screen element OP4 showing a "left" operation, a screen element OP5 showing a "decision" operation, and a screen element OP6 showing a "return" operation are included.

또한, 학습 확인부(30)는, 텔레비전 장치(2)에 표시되는 그 학습 확인 화면에 기초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에 따라 수신부(23)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조작 특정부(26)에 특정시키고, 이 특정된 소정 조작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화면 신호 송신부(22)에 송신시킨다. 이에 의해, 텔레비전 장치(2)에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이 표시된다. 학습 확인 결과 화면에서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모콘(1)의 버튼 조작에 대응되어,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되는 소정 조작이 유저에게 인식되도록 표시된다.The learning confirmation unit 30 may also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3 in accordance with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based on the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television device 2 And transmits the screen data signal for the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to the screen signal transmitting unit 22, which specifies the specified operation to the user. Thus, the television apparatus 2 displays a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as shown in Fig. In the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a predetermined operation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is displayed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as shown in Fig.

도 10은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 따르면, 「좌」 조작을 나타내는 화면 요소 OP4가, 점등, 변색 등에 의해 유저에게 인식 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 도 10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모콘(1)의 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설명하는 표시 OP10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10, the screen element OP4 indicating the &quot; left &quot; operation is displayed in a state recognizable to the user by lighting, discoloration or the like. The display OP10 describ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may be outputt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는, 학습 확인 결과 화면에 의해,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등록되어 있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과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도 9 및 도 1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느 1개의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그 화면에 따라 행해진 버튼 조작이,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관계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그 판정 결과가 학습 확인 결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can confirm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which are registe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by the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of Figs. 9 and 10. For example,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corresponding to any one predetermined operation is displayed, and the button operation performed on the screen is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MIF 장치(10)가, 표시부를 갖는 텔레비전 장치(2)에 HDMI로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예가 나타내어졌지만, MIF 장치(10)는, 텔레비전 장치(2)에,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MIF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기기는, 텔레비전 장치(2)로 한정되지 않는다. MIF 장치(10)에 HDMI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서, 그 화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이면, 어떠한 전자 기기여도 된다.Although the MIF apparatus 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having the display section by HDMI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MIF apparatus 10 is not limited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Or indirectly via another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creen based on the screen data signal provided by the MIF apparatus 10 is not limited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An electronic devic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IF device 10 via HDMI, and any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based on the screen data signal.

도 11은 MIF 장치(10)의 다른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MIF 장치(10)는, HDMI 기능을 탑재하는 오디오 앰프(7)의 HDMI 단자(미디어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텔레비전 장치(2)는, 오디오 앰프(7)의 다른 HDMI 단자(미디어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경우, 오디오 앰프(7)는, 리모콘(1)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이 무선 조작 신호를 대응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HDMI를 통하여 MIF 장치(10)로 그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 앰프(7)는, MIF 장치(10)로부터 HDMI를 통하여 송신되는 화면 데이터 신호를 미디어 출력 단자(HDMI 단자)에 스루한다. 이에 의해, MIF 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화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는 화면이, 텔레비전 장치(2)에 표시된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nection form of the MIF apparatus 10. Fig. 11, the MIF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HDMI terminal (media input terminal) of the audio amplifier 7 equipped with the HDMI function, and the television apparatus 2 is connected to the HDMI Terminal (media output terminal). In this case, the audio amplifier 7 receives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 converts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into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sends the control signal to the MIF apparatus 10 via the HDMI . Further, the audio amplifier 7 passes the screen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F apparatus 10 via HDMI to the media output terminal (HDMI terminal). As a result, a screen based on the screen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MIF apparatus 10 is displayed on the television apparatus 2.

도 11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IF 장치(10)는, 리모콘(1)으로부터의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HDMI를 통하여 MIF 장치(10)에 전송하는 기능(리모콘 신호 스루 처리) 및 MIF 장치(10)로부터 보내지는 화면 데이터 신호를 표시부를 갖는 전자 기기에 HDMI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접속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오디오 앰프(7)로 제한되지 않는다.11, the MIF apparatus 1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opera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 to the MIF apparatus 10 via the HDMI (remote controller signal through process) And the screen data signal sent from the MIF apparatus 1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creen data signal via the HDMI to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sec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be exercised. Such an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udio amplifier 7.

또한, 당해 조작 학습 장치 및 당해 조작 학습 방법은, MIF 장치(10) 이외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해 조작 학습 장치 및 당해 조작 학습 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갖고, 그 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하는 미디어 신호를 HDMI를 통하여 텔레비전 장치(2)에 보내는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Further,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an apparatus other than the MIF apparatus 10. [ For example,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may be applied to an apparatus having a memory for storing media data and sending a media signal based on the media data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via HDMI.

도 12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학습 장치 및 조작 학습 방법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예는, 당해 조작 학습 장치 및 당해 조작 학습 방법이 비디오 레코더(9)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비디오 레코더(9)는, 적어도, 제어부(17), HDMI 통신부(16)를 갖고, 제어부(17)는, 일반적인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처리 외에, 상술한 조작 학습 처리계(20)(도 2 참조)를 실현한다. 비디오 레코더(9)는, HDMI를 통하여 텔레비전 장치(2)에 접속된다.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of Fig.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learning method are applied to the video recorder 9. Fig. In this case, the video recorder 9 has at least the control unit 17 and the HDMI communication unit 16. The control unit 17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learning processing system 20 2). The video recorder 9 is connected to the television apparatus 2 via HDMI.

[변형예][Modifications]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학습부(24)는, 1개의 버튼 조작과 1개의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하였지만, 복수의 버튼 조작과 1개의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조작 학습 테이블(25)에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학습부(24)는, 수신부(23)에 의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수신부(23)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복수의 버튼 조작을, MIF 장치(10)가 서포트하는 1개의 소정 조작에 대응시킨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store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one button operation and one predetermined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on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25. [ In this case, the operation learning unit 24 performs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specified by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3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by the receiving unit 23, And corresponds to on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apparatus 10. [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MIF 장치(10)는, 대상 조작마다,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였지만, 복수의 조작을 대상으로 하는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그 화면 데이터 신호에 의해, 텔레비전 장치(2)에는, 복수의 조작에 대응하는 버튼 조작을 순서대로 행하는 것을 촉구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화면에는, 「우」 조작, 「좌」 조작, 「상」 조작 및 「하」 조작의 순서로, 리모콘(1)의 버튼 조작을 실행하라는 것과 같은 표시가 포함되면 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MIF apparatus 10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prompting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for each target operation, A screen data signal to be a target may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screen data signal causes the television apparatus 2 to display a screen prompting the user to sequentially perform butt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perations. More specifically, the screen may include a display such as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 in the order of "right" operation, "left" operation, "up" operation and "down" operation.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사용한 흐름도에서는, 복수의 공정이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실행되는 공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재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되는 공정의 순서를 내용적으로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는, 내용이 상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할 수 있다.In the flowchart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 plurality of processes are described in order, but the order of execution of the processes execu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order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der of the illustrated processes can be chang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inder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comb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ents do not conflict.

1 :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
2 : 텔레비전 장치
5 : 서버 장치
7 : 오디오 앰프
9 : 비디오 레코더
10 : 미디어 인터페이스 장치(MIF 장치)
11, 16 : HDMI 통신부
12 : 서버 통신부
13, 17 : 제어부
20 : 조작 학습 처리계
21 : 정보 취득부
22 : 화면 신호 송신부
23 : 수신부
24 : 조작 학습부
25 : 조작 학습 테이블
26 : 조작 특정부
27 :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
28 : 미디어 신호 송신부
29 : 처리 실행부
30 : 학습 확인부
1: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2: Television device
5: Server device
7: Audio Amplifier
9: Video recorder
10: Media interface device (MIF device)
11, 16: HDMI communication section
12: Server communication section
13, 17:
20: Operation learning processing system
21:
22: Screen signal transmitter
23: Receiver
24: Operation learning unit
25: Operation learning table
26:
27: Media data receiver
28: Media signal transmitter
29:
30:

Claims (14)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학습 장치로서,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서, 그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는 화면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상기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상기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상기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상기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는 조작 학습부와,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조작 특정부
를 구비하는 조작 학습 장치.
An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to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A scree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wireless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 operation learning unit that generate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that store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unit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specifying unit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And an operation lea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장치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학습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장치 특정 정보마다,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조작 특정부는, 참조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장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로 절환하는 조작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electronic equipment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Wherein the operation learning unit generates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for each piece of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acquiring unit,
Wherein the operation specifying section switche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to be referenced to an operation learn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acquiring 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신호 송신부는,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상기 복수의 소정 조작 각각에 대응하는 각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조작 학습부는, 상기 각 소정 화면에 따라 상기 수신부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각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각 소정 조작과의 각 대응 관계를 각각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하는 조작 학습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creen signal transmission unit sequentially transmits screen data signals for each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Wherein the operation learning unit sets each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each control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screens and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In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상기 수신부에서 더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을 포함하는 상기 대응 관계를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조작 학습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on learning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by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cluding a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a control signal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복수의 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복수의 버튼 조작을,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1개의 소정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하는 조작 학습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on learn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are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by the receiving unit And stores the button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corresponding to on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되는, 상기 조작 학습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학습 확인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면 신호 송신부에 송신시키고,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그 학습 확인 화면에 기초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조작을 상기 조작 특정부에 특정시키고, 그 특정된 상기 소정 조작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면 신호 송신부에 송신시키는 학습 확인부를 더 구비하는 조작 학습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creen data signal for a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indica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which i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to the screen signal transmission unit, In response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specifie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to the operation specifying unit, and displays the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And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the screen signal transmission section to the screen signal transmission 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갖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HDMI 접속부와,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 신호를 상기 HDMI 접속부로부터 송출하고, HDMI로 접속되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영상 및 음성 중 상기 적어도 한쪽을 처리시키는 미디어 신호 송신부와,
상기 조작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소정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실행부
를 더 구비하고,
HDMI 소스 장치로서 실현되는 조작 학습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HDMI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n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 medi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media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and audio from a server apparatus;
A medi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di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dia data received by the media data reception unit from the HDMI connection unit and for processing at least one of video and audio to the electronic equipment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by HDMI, Wow,
And a processing execution unit for performing process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pecified by the operation specifying unit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learning device realized as an HDMI source device.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대상 장치에서 실행되는 조작 학습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서, 그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상기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상기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상기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상기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학습 방법.
An operation learning method executed by an operation target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on the electronic apparatus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e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wireless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Generates an operation learning table that store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And specify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장치 특정 정보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의 생성은, 상기 취득되는 장치 특정 정보마다,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소정 조작의 특정은, 참조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상기 취득되는 장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로 절환하는 조작 학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cquir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Wherein the gen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is performed by generating each of the operation learning tables for each of the acquired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Where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to switch an operation learning table to be referenced to an operation learning table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device specifying information.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데이터 신호의 송출은,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상기 복수의 소정 조작 각각에 대응하는 각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의 생성은, 상기 각 소정 화면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각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각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각각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하는 조작 학습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transmission of the screen data signal sequentially transmits a screen data signal for each predetermined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Wherein the generation of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is performed such that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accor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screens and each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i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Learning how to store.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의 생성은,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버튼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더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버튼 조작을 포함하는 상기 대응 관계를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학습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is generated by: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ame button operation is further receiv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cluding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의 생성은,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 수신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복수의 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복수의 버튼 조작을,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1개의 소정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하는 조작 학습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i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specified by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are receiv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corresponding to on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에 저장되는,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을 나타내는 학습 확인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그 학습 확인 화면에 기초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조작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상기 소정 조작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학습 확인 결과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작 학습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 screen data signal for a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which is stored in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and indicat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Specifie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learning confirm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he other electronic equipment,
And transmitting a screen data signal for a learning confirmation result screen indicating the specified operation to the user.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를 수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 소정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조작 대상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조작 대상 장치에,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소정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을 촉구하는 소정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서, 그 소정 화면을 위한 화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 송출하는 화면 신호 송신부와,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상기 소정 화면에 기초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신되는 무선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상기 버튼 조작을 특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 특정되는 상기 버튼 조작과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상기 소정 조작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조작 학습 테이블을 생성하는 조작 학습부와,
상기 조작 학습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조작 대상 장치가 서포트하는 복수의 소정 조작 중에서, 상기 소정 통신선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조작을 각각 특정하는 조작 특정부
를 실현시키는 기록 매체.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n operation target apparatus connect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radio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Wherein the program causes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to display,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prompting a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on the electronic apparatus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e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nic apparatus, A scree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wireless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n operation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learning table for stor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opera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unit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And an operation specifying unit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operation target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operation learning table,
.
KR1020130075620A 2012-06-28 2013-06-28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KR1015371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5030 2012-06-28
JP2012145030A JP5988357B2 (en) 2012-06-28 2012-06-28 Ope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97A KR20140001797A (en) 2014-01-07
KR101537154B1 true KR101537154B1 (en) 2015-07-15

Family

ID=4989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620A KR101537154B1 (en) 2012-06-28 2013-06-28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88357B2 (en)
KR (1) KR101537154B1 (en)
CN (1) CN103517121B (en)
TW (1) TWI51914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1646A (en) * 2015-04-15 2015-07-01 北京志远鸿通科技有限公司 Traffic signal remote-control method and device
JP6649438B2 (en) * 2018-06-15 2020-02-19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Content presentation system and registr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57A (en)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a homepad having remocon function and method of learning remocon function thereof
KR20040087776A (en) * 2003-04-09 2004-10-15 주식회사 서비전자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code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30165B1 (en) * 2007-07-26 2008-05-20 이종걸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177A (en) * 1996-01-23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put device and design supporting device for it
JP4313894B2 (en) * 1999-06-01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ed device
JP2004185569A (en) * 2002-12-06 2004-07-02 Victor Co Of Japan Ltd Control system
JP2005198036A (en) * 2004-01-07 2005-07-21 Toshiba Corp Remote controller
WO2008107979A1 (en) * 2007-03-07 2008-09-12 Pioneer Corporation Equipment control system, equipment control server, and equipment control client
JP2009071366A (en) * 2007-09-10 2009-04-02 Victor Co Of Japan Ltd Video image display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09057209A1 (en) * 2007-10-31 2009-05-07 Fujitsu Limited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control signal conversion program
US20100123834A1 (en) * 2008-11-14 2010-05-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Remote Control Device Command Signals
JP2011182344A (en) * 2010-03-03 2011-09-15 Trans Networks:Kk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57A (en)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a homepad having remocon function and method of learning remocon function thereof
KR20040087776A (en) * 2003-04-09 2004-10-15 주식회사 서비전자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code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30165B1 (en) * 2007-07-26 2008-05-20 이종걸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JP2010534441A (en) * 2007-07-26 2010-11-04 ジョンゴル リ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11525A (en) 2014-01-20
KR20140001797A (en) 2014-01-07
TW201415868A (en) 2014-04-16
CN103517121A (en) 2014-01-15
TWI519146B (en) 2016-01-21
CN103517121B (en) 2017-10-24
JP5988357B2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7881A (en) Control method for audio data stream output in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KR100959802B1 (en) Controlling a home electronics system
CN102117631B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JP5708562B2 (en) Audio / video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udio / video control program
US2018027052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9027599A (en) Display device and av system
CN106303678B (en) Network system, content reproduce adapting method and program
CN107948565B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wired screen transmission
CN101138202B (en)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and device
KR20090031140A (en) Image apparatuses capable of intercommunic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85703A (en) Display unit
WO2001093624A1 (en) Device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recorded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JP5375615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control signal conversion program
KR101537154B1 (en) Operation learning device and operation learning method
JP2008104505A (en) Display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isplay system provided with them
KR101362748B1 (en) Device control method
JP2007267102A (en) Input signal display device, signal output device, input signal display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WO2012116619A1 (en) Method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JP5171428B2 (en) Electronics
KR20180067108A (en)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188534A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JP4143675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mmand transfer method
CN111726681B (en) Audio output device selec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JP2004312191A (e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ame
JP201222260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