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145B1 - 다층 유리패널 - Google Patents

다층 유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145B1
KR101537145B1 KR1020120119824A KR20120119824A KR101537145B1 KR 101537145 B1 KR101537145 B1 KR 101537145B1 KR 1020120119824 A KR1020120119824 A KR 1020120119824A KR 20120119824 A KR20120119824 A KR 20120119824A KR 101537145 B1 KR101537145 B1 KR 10153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ass
coated
low emissivity
gla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642A (ko
Inventor
송수빈
손범구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1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1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03C17/0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by deposition from the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03C17/245Oxides by deposition from the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1Oxides
    • C03C2217/23Mixtures
    • C03C2217/231In2O3/SnO2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5Metals
    • C03C2217/251Al, Cu, Mg or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5Metals
    • C03C2217/257Refractory metals
    • C03C2217/258Ti, Zr, H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5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 C03C2218/154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sput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진공층,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 단열 가스층 및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의 변화가 0.1% 이내이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 변화가 약 1% 이내인 다층 유리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층 유리패널{MULTI LAYERED GLASS PANEL}
다층 유리패널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이 고도화됨에 따라 안락한 주거생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실내의 냉난방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창호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 왔다.
상기한 냉난방에너지 손실을 낮추기 위한 대표적인 유리로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두 장의 유리로 구성된 복층유리 또는 이중유리가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두 장의 유리 사이에 공기 또는 열전도도가 낮은 가스를 주입하기도 하지만, 열전달율을 낮추는 것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복층유리의 단점을 보완하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유리로 삼중유리 이상의 다층유리와 진공유리가 개발되었으나, 삼중유리 이상의 다층유리는 복층유리보다 낮은 열관류율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전체 유리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져 창호 운반, 설치시 작업이 번거롭고, 미닫이 혹은 여닫이 창에 설치시 처짐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보다 낮은 열관류율의 단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전체 두께를 낮춘 다층 유리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진공층,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 단열 가스층 및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의 변화가 없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 변화가 약 1%(절대값) 이내인 다층 유리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약 14 내지 약 20%이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약 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열선 투과율이 약 60 내지 약 80%이고, 열선 반사율이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승온된 판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열선 투과율이 약 50 내지 약 70%이고, 열선 반사율이 약 15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의 각 코팅층이 상기 진공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의 코팅층이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의 코팅층은 불소 도핑된 주석 산화물(FTO), 크롬, 철, 코발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Ag, Au, Cu, Al, Pt, 인듐주석산화물(ITO), 불소 도핑된 주석산화물(FTO), Al 도핑된 아연산화물(AZO), 갈륨아연산화물(GZO), Ni, Cr, Ni과 Cr의 합금, Ti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유리일 수 있다.
상기 가스층은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은 총 두께가 약 24인 내지 약 30mm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은 약 열관류율이 1.0W/m2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은 차폐 계수가 약 0.5 내지 약 0.7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은 전체 두께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서도 낮은 열관류율을 구현하여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유리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유리패널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유리패널(100)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진공층(30),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 단열 가스층(50) 및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코팅층(11, 21)이 유리의 일면에 형성되어 로이유리로서 제조된 것으로서, 하드코팅 로이유리라 함은 그 코팅의 제조 공정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제조된 로이유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는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의 변화가 약 0.1% 이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변화가 없는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를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코팅층(41)이 유리의 일면에 형성되어 로이유리로서 제조된 것으로서, 소프트코팅 로이유리라 함은 그 코팅의 제조 공정에 따라 상기 하드코팅 유리보다 방사율이 보다 우수하게 구현되도록 제조된 로이유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 변화가 약 1%(절대값) 이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8%의 방사율을 지닌 소프트코팅 로이유리는 내구성 시험 후 약 7 내지 약 9%의 방사율을 지닐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그 사이에 진공층(30)을 포함하는 진공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필러(31)를 매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실링재(32)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의 이격된 공간을 밀봉시킨 후 배기하여 상기 진공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러(31)는 투명도가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접착제, 예를 들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재(32)는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의 가장자리에 예를 들어 에폭시 계열의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실링할 수 있다.
상기 진공층(30)은 약 10-3 torr 이하의 진공 상태가 되도록 배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또는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에 배기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배기하여 진공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진공층(30)의 두께는 약 0.15mm 내지 약 0.25mm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저방사 유리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전기전도성 재료,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유리의 일면에 코팅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저방사율을 갖도록 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소정의 투과 특성을 유지하면서 방사율을 낮추어 우수한 단열 효과를 갖는다. 일명, '로이 (Low-e: low emissivity) 유리'라고도 칭해진다.
이와 같은 방사율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KS L2514 규격에 의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 등의 설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사율은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사의 백분율을 가리키며, 방사율이 낮다는 것은 유리를 통해 열이 덜 전달될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강한 열 작용을 나타내는 원적외선에 대한 흡수율, 즉 방사율이 단열 성능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저방사 유리는 제조방법에 따라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또는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로 나뉜다.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는 유리 제공 공정 중 고온으로 승온된 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용액 또는 분말 상태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코팅 경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는 코팅면의 내마모성, 내습성, 내화학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강화 및 곡 가공이 가능하다.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는 예를 들어 파이롤리틱 공법(pyrolytic process)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의 코팅층(11, 21)은 불소 도핑된 주석 산화물(FTO), 크롬, 철, 코발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약 300 nm 내지 약 400 nm 두께의 코팅층 포함하여 약 4mm 내지 약 6mm 정도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의 각 코팅층(11, 21)이 상기 진공층(3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 및 진공층(30)을 포함하는 진공 유리를 형성한 뒤 이어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진공 유리와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 사이를 가스를 주입하여 가스층(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층 유리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의 코팅층(41)이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는 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코팅하여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의 코팅층(41)은 공지된 다층의 박막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41)은 Ag, Au, Cu, Al, Pt, 인듐주석산화물(ITO), 불소 도핑된 주석산화물(FTO), Al 도핑된 아연산화물(AZO), 갈륨아연산화물(GZO), Ni, Cr, Ni과 Cr의 합금, Ti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방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41)은 상기 저방사층의 상부, 하부에 산화방지막으로 유전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층은 다양한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가시광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역할 등 저방사 유리의 광학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는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에 비하여 내구성 측면에서 저하될 수 있지만 다층 박막 구조의 코팅층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가시광 투과율, 방사율, 투과 및 반사색 등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고, 단열 성능 또한 매우 우수하다.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약 70 nm 내지 약 100 nm의 코팅층을 포함하여 약 4mm 내지 약 7mm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와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를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배치하여 포함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고단열 기능성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약 14 내지 약 20%이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약 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열관류율이 약 1.0W/m2K 이하, 구체적으로, 약 0.55 W/m2K 내지 약 0.85 W/m2K, 보다 구체적으로 약 0.57 W/m2K 내지 약 0.6 W/m2K의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총 두께가 약 30mm 이하, 구체적으로 약 24mm 내지 약 30mm의 두께를 가지면서 동시에 열관류율이 약 1.0W/m2K 이하의 단열 성능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은 전술한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및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를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차폐 계수가 약 0.5 내지 약 0.7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차폐 계수를 가지면 여름철의 냉방 에너지 절감 효과와 겨울철의 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측면에서 밸런스를 가지면서 쾌적한 실내를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10)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20)은 열선 투과율이 약 60 내지 약 80%이고, 열선 반사율이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은 열선 투과율이 약 50 내지 약 70%이고, 열선 반사율이 약 15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상기 가스층(50)은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가스를 충진 가스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층(50)의 두께는 약 6mm 내지 약 16mm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유리패널(100)의 열관류율은 상기 가스층(50)에 포함되는 충진 가스의 종류와 그 두께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스층(50)은 약 13mm 내지 약 14mm 두께로서 아르곤 가스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가스층(50)은 약 9mm 내지 약 10mm 두께로서 크립톤 가스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층(50)은 이격된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20) 및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40) 사이를 열가소성 수지 스페이서, 슈퍼 스페이서, 스테인리스 스틸 스페이서 등가 같은 단열 간봉(51)을 매개로 밀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불소 도핑된 주석 산화물(FTO)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증착하여 코팅한 300 ~400 nm 두께의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를 2장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한 장의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에 레이저 드릴에 의해 배기홀과 게터홈을 형성하고, 코팅층의 형성된 면의 가장자리에 프릿을 도포한 뒤 건조하고, 프릿 링, 즉, 진공배기후 배기홀을 봉착하는 소재로, 400~410℃의 저융점 프릿 글라스를 배기홀 디자인에 맞게 성형한 소결체와 게터를 삽입하였다.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상에 필러를 일정 간격으로 접착하여 배열한 뒤 상판에 나머지 한장의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를 코팅층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하여 조립하고 460℃에서 봉착한 뒤 365℃에서 배기 및 팁 오프하여 10mm 두께의 진공 유리를 먼저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진공 유리와 별도로, 판유리 상에 스퍼터링법을 통해 Ag 한 층(layer)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블록커(blocker) 층을 포함하는 5mm 두께의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를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진공 유리 상부와 14mm 이격되게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를 코팅층이 진공 유리를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아르곤 가스를 주입한 후 단열간봉으로 밀봉(sealing), 간격을 유지토록 하고, 2차 실런트로 추가 밀봉하여 다층 유리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스층을 10mm 두께로 크립톤 가스를 주입하여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유리패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다층 유리패널의 제작에 사용된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및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 각각에 대하여 내구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내습성>
내습성은 규격 KS L2017 에 기준하고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T: 50±3℃, RH: 90±3%에서 2hr: 코팅 안된 면의 반사 색상을 측정, 시험 전의 색상 값과 비교, 방사율 측정
2) 3매 시편을 T: 50±3℃, RH: 90±3%, 24hr: 핀홀의 평균개수와 크기 측정
3) 3매 시편을 T: 50±3℃, RH: 90±3%, 168hr: 핀 홀의 평균개수와 크기 측정
<내마모성>
내마모성은 규격 KS L2014에 기준하고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5kgf 하중을 가하고 CS-10F 마모휠을 100회 회전시킨 후 가시광선투과율 변화, 방사율 변화 측정
<내산성>
내산성은 규격 KS L2014에 기준하고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38℃유지되는 0.01M HCl 용액에 8분간 침지 후 외관, 색상, 방사율 변화를 측정
실험예 2
실시예 1-2의 다층 유리패널의 제작에 사용된 상기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및 상기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 각각에 대하여 방사율, 열선 투과율 및 열선 반사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방사율은 방사율측정장비(MK-3) 로 측정하였고, 열선 투과율과 반사율은 Spectrophotometer (Solidspec -3600)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내구성(내습성, 내마모성, 내산성) 평가 결과 방사율 열선 투과율 열선 반사율
(코팅면 기준)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 모두 변화 없음 15~16% 71 % 10 %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 모두 방사율 변화
1% 이내임
8~9% 62 % 21 %
실험예 3
실시예 1-2의 다층 유리패널의 열관류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열관류율의 측정 기기는 규격 KS F 2277과 KS F 2278에 따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유리 중앙부의 열관류율 측정이 가능하다.
구분 전체 두께 (mm) 열관류율(W/m2K)
실시예 1 29mm (아르곤 층 14mm) 0.6
실시예 2 25mm (크립톤 층 10mm) 0.57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의 다층 유리패널이 총 두께 30mm 이하이면서 0.6 W/m2K 이하의 열관류율을 갖는 고단열 성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10: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11, 21, 41: 코팅층
20: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
30: 진공층
31: 필러
32: 실링재
40: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
50: 가스층
51: 단열 간봉
100: 다층 유리패널

Claims (14)

  1.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진공층,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 단열 가스층 및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의 변화가 0.1% 이내이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KS L2017에 따른 내습성 시험, KS L2014에 따른 내마모성 시험 및 KS L2014에 따른 내산성 시험 후 방사율 변화가 1% 이내이고,
    상기 가스층은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 가스를 포함하는
    다층 유리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14 내지 20%이고,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방사율이 3 내지 15%인
    다층 유리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열선 투과율이 60 내지 80%이고, 열선 반사율이 5 내지 20%인
    다층 유리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은 승온된 판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저방사 유리로 형성된
    다층 유리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열선 투과율이 50 내지 70%이고, 열선 반사율이 15 내지 25%인
    다층 유리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유리의 일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소프트코팅 저방사 유리로 형성된
    다층 유리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의 각 코팅층이 상기 진공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다층 유리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의 코팅층이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층 유리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제1 저방사 유리층 및 상기 하드코팅 제2 저방사 유리층의 코팅층은 불소 도핑된 주석 산화물(FTO), 크롬, 철, 코발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유리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코팅 제3 저방사 유리층은 Ag, Au, Cu, Al, Pt, 인듐주석산화물(ITO), 불소 도핑된 주석산화물(FTO), Al 도핑된 아연산화물(AZO), 갈륨아연산화물(GZO), Ni, Cr, Ni과 Cr의 합금, Ti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유리인
    다층 유리패널.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총 두께가 24인 내지 30mm인
    다층 유리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열관류율이 1.0W/m2K 이하인
    다층 유리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차폐 계수가 0.5 내지 0.7인
    다층 유리패널.
KR1020120119824A 2012-10-26 2012-10-26 다층 유리패널 KR10153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24A KR101537145B1 (ko) 2012-10-26 2012-10-26 다층 유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24A KR101537145B1 (ko) 2012-10-26 2012-10-26 다층 유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2A KR20140053642A (ko) 2014-05-08
KR101537145B1 true KR101537145B1 (ko) 2015-07-15

Family

ID=5088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824A KR101537145B1 (ko) 2012-10-26 2012-10-26 다층 유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05B1 (ko) 2016-01-11 2017-01-2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6264A (zh) * 2019-12-23 2020-02-11 南京青桑蓝榆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现场展览用防护玻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64B2 (ko) * 1982-10-20 1992-03-09 Ricoh Kk
JP4013264B2 (ja) * 1994-11-24 2007-11-2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US20090324858A1 (en) * 2006-12-22 2009-12-31 Futech Gmbh Insulating glazing element, its manufacture and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64B2 (ko) * 1982-10-20 1992-03-09 Ricoh Kk
JP4013264B2 (ja) * 1994-11-24 2007-11-2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
US20090324858A1 (en) * 2006-12-22 2009-12-31 Futech Gmbh Insulating glazing element, its manufacture and use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05B1 (ko) 2016-01-11 2017-01-2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2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4718B2 (en) Coated glass surfaces and method for coating a glass substrate
KR101950527B1 (ko) 두 개의 로이 스택을 포함하는 단열 다층 창유리
JP6090322B2 (ja) 積層体
KR101768257B1 (ko) 저방사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건축 자재
US10526244B2 (en) Insulated glazing unit
KR102565397B1 (ko) 저방사율 코팅, 그를 포함하는 유리 표면,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73103B1 (ko) 창호용 기능성 건축 자재
BRPI0618323A2 (pt) substrato, notadamente substrato vìtreo transparente, vidraça incorporando pelo menos um substrato, e, processo de fabricação do substrato
WO2014109368A1 (ja) 光学多層膜、積層体、および複層ガラス
EP2918765A1 (en) Super-insulating multi-layer glass
KR101537145B1 (ko) 다층 유리패널
KR20230083746A (ko) 단열성능이 우수한 진공 복층 유리패널
KR102064881B1 (ko) 저방사 코팅, 및 저방사 코팅을 포함하는 창호용 기능성 건축 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