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114B1 - 광정보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114B1
KR101536114B1 KR1020080121403A KR20080121403A KR101536114B1 KR 101536114 B1 KR101536114 B1 KR 101536114B1 KR 1020080121403 A KR1020080121403 A KR 1020080121403A KR 20080121403 A KR20080121403 A KR 20080121403A KR 101536114 B1 KR101536114 B1 KR 10153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light
storage medium
information storag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673A (ko
Inventor
권윤영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1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72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on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래피를 이용하여 광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정보 저장매체 상에, 구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경화광원;을 포함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는 광정보 기록된 부분으로만 선택적으로 경화광을 조사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의 기록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는 상기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으로 균일한 양의 경화광이 입사되는 바, 홀로그램의 변형을 방지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정보 기록장치{EXPOSURE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래피를 이용하여 광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및 전산 산업의 발달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 저장 능력 및 데이터의 고속 입출력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광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저장 및 데이터의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광정보 저장매체가 각광받고 있다. 광정보 저장매체로는 컴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디브이디(DVD;Digital Versatile Disc), 고품질 디브이디(HD-DVD;High Definition DVD), 블루레이 디스크(BD; Blue-ray Disc), 홀로그래픽을 이용한 광정보 저장매체(HDDS;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 중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광정보 저장매체(이하, '광정보 저장매체')는 광 반응성 재료인 포토폴리머(Photopolymer)로 이루어진다. 포토폴리머를 구성하는 주성분은 감광화 염료(Dye sensitizer), 모노머(Monomer), 폴리머(Polymer)가 있고, 그 밖에 고분자 결합제(Polymeric Binder), 개시제(Initiator)가 있다.
감광화 염료는 빛을 모노머로 원할히 흡수 되도록 한다. 모노머는 실질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광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폴리머로 변화함에 따라 굴절률 변조를 발생시키게 된다. 고분자 결합제는 포토폴리머 층을 베이스 시트(Base sheet)에 고정시키고, 개시제는 중합반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정보 저장매체로 기준광과 데이터를 적재하고 있는 신호광을 입사시키고, 광정보 저장매체 기준광과 신호광을 교차시키면 모노머가 폴리머로 변화되면서 기록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모노머는 연성을 가지며, 폴리머는 모노머보다 경도가 높지만 연성이 남아 유연한 상태를 유지한다. 폴리머가 유연한 상태로 남게 되면 기록영역이 베이tm 시트에 고정되지 않아 기록영역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록영역을 베이스 시트에 고정시켜 안정화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별도의 경화광을 광정보 저장매체로 조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경화광이 기록영역 이외의 광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비기록영역으로 조사된다면, 비기록영역이 경화되어 모노머의 광 반응성이 저하되므로, 광정보의 기록이 곤란해진다. 이는 광정보 저장매체의 기록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반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영역에 균일한 양의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정보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정보 저장매체 상에, 구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경화광원;을 포함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는 디스크(disk)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가 기 설정된 회전각만큼 회전하는 동안,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균일한 양의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경화광이 조사되는 위치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경화광의 광량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는 디스크(disk)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반경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화광원은 높은 광량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일수록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 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에 비해, 상기 경화광원은 각각의 광원이 조사하는 상기 경화광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구역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원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에 따라,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상기 경화광의 광량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 광원일수록 높은 광량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각각의 광원은 조사되는 상기 경화광의 광량이 선형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은 부채꼴 모양 또는 도우넛 조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기판상에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원주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의 호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광원은 각각의 광원이 개별적으로 ON/OFF 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광원은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정보 저장매체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이 구비되는 경화광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구 역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으로 균일한 양의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각각의 광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는 광정보 기록된 부분으로만 선택적으로 경화광을 조사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의 기록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는 상기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으로 균일한 양의 경화광이 입사되는 바, 홀로그램의 변형을 방지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에 클램핑 된 광정보 저장매체와 경화광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정보 기록장치(100)는 기록광원(110), 기록광학계(130), 위치조절부(200) 및 경화광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광원(110)은 광정보 저장매체(10)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광정 보 기록장치(100)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기록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532.0nm ± 0.1 nm 의 파장을 갖는 녹색광 또는 청색광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록광원(110)에서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10)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광학계(130)는 광변조기(131), 대물렌즈(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변조기(131)는 기록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되어 광을 기준광(R)과 신호광(S)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광변조기(131)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페이지 이미지로 변조시켜 신호광(S)에 적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변조기(131)는 복수개의 픽셀을 구비하는 공간 광변조기(SLM; Spatial Light Modulator)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광변조기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같은 반사형 공간 광변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TN-LC(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픽셀, 복수개의 STN-LC(Super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픽셀, 복수의 TFT-LC(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픽셀을 포함하는 투과형 공간 광변조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물렌즈(133)는 광변조기로부터 분리된 기준광(R)과 신호광(S)의 경로에 구비될 수 있다. 대물렌즈(133)는 기준광(R)과 신호광(S)을 집광시켜 광정보 저장매체(10)에서 교차되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준광(R)과 신호광(S)은 광정보 저장매체(10) 상에 교차하도록 조사되면서,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영역(11)을 형성한다.
한편, 광정보 저장매체(10)는 광 반응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기록 광학계(130)에 의하여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100)는 중앙에 클램핑홀(10a)이 형성된 디스크(disk)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절부(200)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가 안착되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경우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기록영역(1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클램핑홀(10a)에 삽입되어 광정보 저장매체(10)를 클램핑 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화광원(300)은 광정보 저장매체(10)에 정보가 기록되면 광정보 저장매체(10)에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광반응성 재료의 반응에 의해 광정보 저장매체(10)에 정보가 기록된 상태에서, 연성이 남아있는 광반응성 재료를 상기 경화광으로 후노광 처리하여 경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화광원(300)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가 상기 기록 광학계(130)에 의하여 광정보가 기록된 이후에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정보 저장매체(10)의 회전방향으로 기록 광학계(130)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을 따라 중 소정길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가 회전하면서 상기 경화광원(300)을 통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화광원(300)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 중 광정보가 기록된 영역으로만 경화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비기록 영역에 경화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비기록 영역의 광 반응성이 저하되어 추가적인 광정보의 기록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경화광원(300)은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균일한 양의 경화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광은 내측의 광반응성 재료의 분산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각각 조사되는 경화광의 양이 다를 경우 홀로그램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경화광원(300)으로부터 출사되는 경화광은 출사되는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한 광량을 갖는다. 다만, 이 경우, 경화광원(300)과 광정보 저장매체의 형상의 차이, 각각의 위치별 상대적 거동 특성의 차이 등에 의해 기록 영역 상에서는 위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양의 경화광에 의해 후노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형상의 광정보 저장매체가 회전하는 경우, 광정보 저장매체의 외측 부분은 광정보 저장매체의 내측 부분에 비하여 경화광에 적게 노출되기 쉽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는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 중심에서 외측으로 위치할수록 회전이 이루어지는 속도가 해당위치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이하, 해당 반경(r)이라고 함, )에 비례(
Figure 112008083215966-pat00001
)하기 때문에, 경화광원에 노출되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정보 저장매체용 기록장치(100)의 경화광원(300)은 상기 경화광이 발산되는 각각의 구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경화광원(300)은 광정보 저장매체(10)가 통과하는 속도가 빠른 부분에서는 큰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부분에서는 보다 작은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경화광원(300)과 광정보 저장매체(10)의 형상의 차이 및 각각의 위치별 상대 거동 특성의 차이 등을 반영하여, 경화광원(300)의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바, 광정보 저장매체(10)의 모든 기록영역(11)은 균일한 양의 경화광을 조사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의 경화광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경화광원(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광원(300)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기판(310) 및 상기 기판(310)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광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기판(310)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채꼴 모양 또는 상기 도우넛 조각(도 3 참조)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330)은 상기 기판(310)상에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원주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의 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광원(330)은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는 발산되는 빛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주로 전방으로 향하는 성질을 갖는 바, 비기록 영역까지 빛이 조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정보 저장매체(10)의 각각의 위치는 해당 반경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속도로 회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경화광원(300)은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 상기 기록영역(11)의 각각의 위치가 통과하는 경로 또한 해당 반경에 비례하는 길이의 호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위치가 경화광원(300)을 통과하는 시간은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록영역(11)의 각각의 위치는 상기 경화광원(300)을 통과하면서 동일한 양의 경화광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호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광원(330)을 배치하면서 해당 반경에 비례하는 개수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호는 외측 방향으로 3개, 4개, 4개, 5개, 6개, 7개, 8개, 8개, 9개의 광원(3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광원(330)이 소정 크기의 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측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일수록 광원(330)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비중이 클 수 있다. 이러한 원인들에 의해, 부채꼴 형상의 기판(310)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외측이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화광에 적게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화광원(300)은 구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화광원(300)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광원(330)일수록 상기 경화광의 광량이 증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동일한 광량을 조사하는 광원에 비하여, 광정보 저장 매체(10)의 기록영역(11) 모든 위치로 균일한 경화광을 조사하여, 광정보 저장매체(10)에 기록된 정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같은 경화광원(300)은 기설정된 광량으로 조사할 수 있는 광원들을 이용하고, 이중에서 높은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하고, 낮은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내측에 배치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광원(300)은 상기 경화광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구역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광원(330)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같은 반경을 갖는 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광원을 각각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구역별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경화광원(300)은, 각각의 광원(330)의 위치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광원(330)이 조사하는 경화광의 광량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 광원(330)일수록 높은 광량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화광원(300)은 광원(330)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40)는 각각 광원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광원을 구역을 설정하여 구역별로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340)는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종류 및 기록 영역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반영하여 광원(3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원(330)은 상기 제어부(340)에 의해 각각의 광량이 선형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정보 저장매체(10)에 사용되는 광반응 물질의 성분 및 조사 시간 등에 따라 최적의 광량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각각의 광원(330)이 개별적으로 ON/OFF 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화광원(300)보다 작은 크기의 기록영역(11)을 조사하는 경우, 기록영역(11)에 해당하는 광원들만이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비기록 영역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340)는 경화광원(300)의 한 구성요소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정보 기록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되거나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구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화광원(300)은 광원(330)의 배치 및 광정보 저장매체(10)의 기록영역(11)의 회전속도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반경위치에서 최적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제공할 수 있는 바, 기록영역(11)의 광반응물질이 균일한 경도로 경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부채꼴 형상 또는 도우넛 조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소정 반경의 호를 구성하도록 복수개의 광원(330)이 배치되는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각각의 광원의 광량이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는 바, 어느 형상을 갖는 경화광원(300)이라 하더라도 개별적인 광원의 광량을 다르게 설정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단일 선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경화광원(3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광원의 폭은 일정하므로, 기록 영역의 각각의 위치가 경화광원(300)을 통과하는 시간은 각 위치의 해당 반경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화광원(300)은 각각의 광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반경에 비례하는 광량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록 영역의 위치에 따라 경화광이 조사되는 시간이 상이하더라도 균일하게 경화광을 조사받을 수 있는 바, 균일한 경도로 경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광원의 광량을 구역별로 상이하게 조절하여, 경화광원 및 광정보 저장매체의 형상 및 거동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광정보 기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광정보 기록장치(100)의 기록 광학계(130)에 의해 광정보 저장매체(10)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를 위해, 기록광원(110)은 광을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광은 광변조기(131)로 입사되어 광변조기(131)에 의해 기준 광(R)과 신호광(S)으로 분리된다.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는 광변조기(131)에 의해 데이터페이지 이미지로 변환되어 신호광(S)에 적재된다.
데이터페이지 이미지가 적재된 신호광(S)과 기준광(R)은 대물렌즈(133)에 의해 광정보 저장매체(10)에서 교차하여 조사되면서, 기록영역(11)을 형성한다. 이때, 기록영역(11)은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광정보 저장매체(10) 상에서 소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록영역(11)은 신호광(S)과 기준광(R)에 의해 경도가 높아지지만, 연성이 남아 있어 유연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기록영역(11)을 경화시키기 위해 경화광원(300)을 이용하여 경화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위치조절부(200)는 광정보 저장매체(10)를 회전시켜, 광정보 저장매체(10)의 기록영역(11)을 경화광원(3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록영역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노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의할 경우, 기록영역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상에 소정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소정영역은 경화광원(300)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화광원(300)의 제어부(340)는 기록 광학계(130) 및 위치조절부(200) 등으로부터 기록영역(11)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40)는 경화광원(300)상의 광원(330)을 제어함에 있어, 기록 영역에 해당하는 광원(330)들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경화광을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0)가 회전하면서 경화광이 조사 되는 경우에는 광정보 저장매체(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따라, 최적의 광량을 적용하여 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에 클램핑 된 광정보 저장매체와 경화광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경화광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광정보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록영역으로 경화광을 조사하는 노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광정보 저장매체 100 : 광정보 기록장치
200 : 위치조절부 300 : 경화광원
310 : 기판 330 : 광원
340 : 제어부
삭제

Claims (15)

  1. 구역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광량으로 경화광을 광정보 저장매체로 조사하는 경화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가 기 설정된 회전각만큼 회전하는 동안,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균일한 양의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는 디스크(disk)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반경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화광원의 경화광의 광량이 높을수록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는 디스크(disk)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경화광이 조사되는 위치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경화광의 광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광원은 각각의 광원이 조사하는 상기 경화광의 광량을, 개별적으로 또는 구역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광원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에 따라,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상기 경화광의 광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부채꼴 모양 또는 도우넛 조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기판상에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원주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의 호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광원은 상기 각각의 광원이 개별적으로 ON/OFF 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경화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원은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121403A 2008-12-02 2008-12-02 광정보 기록장치 KR10153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03A KR101536114B1 (ko) 2008-12-02 2008-12-02 광정보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03A KR101536114B1 (ko) 2008-12-02 2008-12-02 광정보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73A KR20100062673A (ko) 2010-06-10
KR101536114B1 true KR101536114B1 (ko) 2015-07-13

Family

ID=4236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403A KR101536114B1 (ko) 2008-12-02 2008-12-02 광정보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857A (ja) * 2002-07-18 2004-04-02 Origin Electric Co Ltd 基板間の接着剤の硬化方法、硬化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貼り合わせ装置
JP2008513913A (ja) * 2004-09-14 2008-05-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857A (ja) * 2002-07-18 2004-04-02 Origin Electric Co Ltd 基板間の接着剤の硬化方法、硬化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貼り合わせ装置
JP2008513913A (ja) * 2004-09-14 2008-05-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73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1981B2 (ja)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並びに、光記録媒体、光再生方法及び光再生装置
JP5541023B2 (ja) 対物レンズ、光学ピックアップ、光学ドライブ装置
US20060280096A1 (en) Erasing holographic media
US20060281021A1 (en) Illuminative treatment of holographic media
JP5020090B2 (ja) ホログラム多重記録装置とその方法
US20080239921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position control method
WO2007049383A1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
JP5274959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4203091B2 (ja) ホログラフィを利用した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2007141285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
KR101536114B1 (ko) 광정보 기록장치
JP2011216171A (ja) 光学ピックアップ、光学ドライブ装置、光照射方法
JP5314159B2 (ja) 可変トラック幅記録補償
JP2007328149A (ja)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4812103B2 (ja) 光ディスク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0090316239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20100037496A (ko) 광정보 저장매체용 노광장치, 광정보 기록장치
JP2006244551A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
JP4141977B2 (ja) ホログラム型光記録ディスク
JP3981625B2 (ja) 光記録ディ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光記録ディスクの製造システム
JP2003223747A (ja) 情報記録媒体表面をコーティングする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US20080204838A1 (en) Fixing apparatus, fix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1933311B1 (en) Pre-exposure and curing of photo-sensitive material for optical data storage
JP4288818B2 (ja) 光記録媒体
WO2015162724A1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