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612B1 - 이중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612B1
KR101535612B1 KR1020150050720A KR20150050720A KR101535612B1 KR 101535612 B1 KR101535612 B1 KR 101535612B1 KR 1020150050720 A KR1020150050720 A KR 1020150050720A KR 20150050720 A KR20150050720 A KR 20150050720A KR 101535612 B1 KR101535612 B1 KR 10153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locking
rotation
primary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흥기
Original Assignee
유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흥기 filed Critical 유흥기
Priority to KR102015005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C220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에 대한 회전을 통해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오가는 회전체를 상기 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이중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잠금 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내측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상향 걸림턱; 상기 몸체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한 채 회전하면서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를 오가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펴진 상태에 있는 회전체의 상향 걸림턱을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비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상향 걸림턱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허용하는 1차 잠금 수단; 및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1차 잠금 수단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1차 잠금 수단에 결합된 2차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잠금 장치{DOU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의 펴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이중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관절을 통해 서로 결합한 몸체 및 회전체를 갖는 기기(이하, "관절 기기"라 함)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절 기기들이 관절을 갖는 이유는 다양한데, 그 중 하나가 보관의 용이성이다. 즉, 관절 기기가 사용될 때 회전체가 몸체에 대하여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상태로 관절 기기가 보관되면 불편이 따르므로 관절 기기의 보관시에는 회전체를 접어 보관의 용이성을 꾀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관절을 갖는 대표적인 관절 기기로 소형 무인 항공기(드론(drone)이라고도 불림)가 알려져 있다. 이 무인 항공기에서는 일단에 프로펠러를 구비한 암(arm, 회전체)이 몸체와 관절로 결합하고 있다. 상기 무인 항공기의 비행시에는 암이 본체에 대하여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보관시에는 암이 본체에 대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데, 그러면 무인 항공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 기기들에서는 회전체의 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만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회전체의 펴진 상태가 관절 기기의 사용시 우발적으로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몸체에 대한 회전체의 펴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몸체에 대한 회전체의 펴진 상태를 이중으로 단속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펴진 상태를 견고히 고정하는 이중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몸체에 대한 회전을 통해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오가는 회전체를 상기 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이중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잠금 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내측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상향 걸림턱; 상기 몸체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한 채 회전하면서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를 오가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펴진 상태에 있는 회전체의 상향 걸림턱을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비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상향 걸림턱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허용하는 1차 잠금 수단; 및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1차 잠금 수단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1차 잠금 수단에 결합된 2차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잠금 수단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단; 및 상기 내측단의 반대단인 외측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상향 걸림턱의 외측면을 걸게 되는 하향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상향 걸림턱의 외측면의 반대면인 내측면에는 상하로 연장하는 걸림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잠금 수단은, 상기 1차 잠금 수단을 통과하면서 상기 1차 잠금 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는 형태를 갖는 회전봉; 및 상기 1차 잠금 수단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상단에 고정된 회전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잠금 수단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볼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손잡이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봉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회전 변위를 가질 때 상기 볼이 삽입되는 볼 삽입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에 대한 회전체의 펴진 상태 이탈이 걸림 위치에 놓인 1차 잠금 수단에 의해 단속되고, 1차 잠금 수단의 걸림 위치 이탈이 2차 잠금 수단에 의해 단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체의 펴진 상태 유지가 이중으로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의 펴진 상태 이탈에 대한 단속 및 해제가 1차 잠금 수단의 회전을 통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고, 1차 잠금 수단의 걸림 위치 치탈에 대한 단속 및 해제가 2차 잠금 수단의 회전을 통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차 잠금 수단의 걸림 위치 이탈을 단속할 수 있는 2차 잠금 수단의 회전 변위가 볼 및 볼 삽입홈에 의해 쉽고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잠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1차 잠금 장치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1차 잠금 장치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100)는 몸체에 대한 회전체의 펴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회전체는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부재로서, 자신의 회전 변위에 따라 몸체에 대하여 펴진 상태로 되거나 접힌 상태로 된다.
이하에서는, 본체(10)를 상기 몸체로 하고, 암(20)을 상기 회전체로 하는 소형 무인 항공기("드론"이라고도 불림)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상술한 몸체와 회전체를 갖는 기기라면 그 종류를 불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걸림턱(122)과, 1차 잠금 수단(110)과, 2차 잠금 수단(130, 132)을 포함한다.
상기 상향 걸림턱(122)은 암(20)의 내측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단은 암(20)의 양단 중 본체(10)와 회전핀(2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단부를 의미한다. 참고로, 암(20)의 양단 중 나머지 단부인 외측단에는 프로펠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향 걸림턱(122)의 형성을 위해 "ㄴ"자 형태의 걸림편(12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편(120)의 가로 부재는 볼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암(20)의 내측단 상면에 고정되고, 걸림편(120)의 세로 부재는 상기 상향 걸림턱(122)으로 사용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상향 걸림턱(122)은 암(20)과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상향 걸림턱(122)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향 걸림턱(122)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상하로 연장하는 걸림홈(122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홈(122a)은 2차 잠금 수단(130, 132)과 연계하여 1차 잠금 수단(1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1차 잠금 수단(110)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내측단 및 외측단을 갖는다. 1차 잠금 수단(110)의 내측단은 회전축(112)을 통해 본체(10)와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1차 잠금 수단(110)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때 1차 잠금 수단(110)은 본체(10)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한다.
1차 잠금 수단(110)은 하향 걸림턱(114)을 갖는다. 이 하향 걸림턱(114)은 2차 잠금 수단(110)의 외측단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1차 잠금 수단(110)은 관통홀(116)도 갖는다. 이 관통홀(116)은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에 마련되어 1차 잠금 수단(110)의 상하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이러한 1차 잠금 수단(110)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를 오간다. 1차 잠금 수단(110)이 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하향 걸림턱(114)의 내면은 상향 걸림턱(122)의 외면과 면접하게 되는데,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걸림턱(122)이 하향 걸림턱(114)에 걸려서 펴진 상태에 있는 암(20)이 접힌 상태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반면, 1차 잠금 수단(110)이 비걸림 위치에 있으면 하향 걸림턱(1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걸림턱(122)을 걸지 않게 되고, 그러면 펴진 상태에 있는 암(20)이 접힌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 잠금 수단(130, 132)은 걸림 위치에 있는 1차 잠금 수단(11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132) 및 회전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봉(132)은 1차 잠금 수단(110)에 마련된 관통홀(116)을 통과하고, 이 관통홀(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전봉(132)은 일부분이 평평하게 깎인 원기둥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봉(132)의 외면 일부는 평면(132a)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봉(132)은 회전 변위에 따라 상향 걸림턱(122)의 걸림홈(122a)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게 된다. 즉, 1차 잠금 수단(110)이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132)의 평면(132a)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향하면, 회전봉(132)의 곡면이 상기 걸림홈(122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1차 잠금 수단(110)이 회전할 수 없다. 반면, 1차 잠금 수단(110)이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132)의 평면(132a)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향하면, 회전봉(132)은 상기 걸림홈(122a)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1차 잠금 수단(11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130)는 회전봉(132)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1차 잠금 수단(110)의 위쪽에 위치한다. 회전봉(132)이 걸림홈(122a)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회전 손잡이(130)의 선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한다. 그리고 회전봉(132)이 걸림홈(122a)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회전 손잡이(130)의 선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한다.
회전 손잡이(130)의 선단 하면에는 볼 삽입홈(134)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130)의 선단이 내측을 향하게 될 때, 즉 회전봉(132)이 걸림홈(122a)에 삽입되게 될 때, 상기 볼 삽입홈(134)으로는 1차 잠금 수단(110)의 상면에 마련된 볼(118)이 삽입된다.
이하, 상기 이중 잠금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보관되어 있던 소형 무인 항공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우선 접힌 상태의 암(20)을 회전시켜 펴진 상태로 바꾼다. 이후, 사용자는 비걸림 위치에 있는 1차 잠금 수단(110)를 걸림 위치로 회전시켜, 펴진 상태에 있는 암(20)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런 다음에 사용자는 볼(118)이 볼 삽입홈(134)에 삽입되는 위치로 회전 손잡이(130)를 회전시키는데, 그러면 회전봉(132)이 걸림홈(122a)에 삽입되어 1차 잠금 수단(110)의 회전이 제한된다.
소형 무인 항공기의 사용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위의 역순으로 작업을 수행하여 암(20)을 접힌 상태로 바꾼 후 소형 무인 항공기를 보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이중 잠금 장치 110 : 1차 잠금 수단
112 : 회전축 114 : 하향 걸림턱
116 : 관통홀 118 : 볼
120 : 걸림편 122 : 상향 걸림턱
122a : 걸림홈 130 : 회전 손잡이
132 : 회전봉 132a : 평면
134 : 볼 삽입홈 10 : 몸체(소형 무인 항공기의 본체)
20 : 회전체(소형 무인 항공기의 암)

Claims (4)

  1. 몸체에 대한 회전을 통해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오가는 회전체를 상기 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이중 잠금 장치로서,
    상기 회전체의 내측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상향 걸림턱;
    상기 상향 걸림턱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연장하는 걸림홈;
    상기 몸체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한 채 회전하면서 상기 펴진 상태에 있는 회전체의 상향 걸림턱을 거는 걸림 위치와 상기 상향 걸림턱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는 비걸림 위치를 오가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1차 잠금 수단; 및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1차 잠금 수단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1차 잠금 수단에 결합된 2차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잠금 수단은,
    상기 1차 잠금 수단을 통과하면서 상기 1차 잠금 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는 형태를 갖는 회전봉; 및
    상기 1차 잠금 수단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상단에 고정된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이중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잠금 수단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단 및 이의 반대단인 외측단을 갖고, 상기 1차 잠금 수단의 외측단에는 아래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상향 걸림턱의 외측면을 걸게 되는 하향 걸림턱이 마련된 이중 잠금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잠금 수단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손잡이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봉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회전 변위를 가질 때 상기 볼이 삽입되는 볼 삽입홈이 마련되는 이중 잠금 장치.
KR1020150050720A 2015-04-10 2015-04-10 이중 잠금 장치 KR10153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20A KR101535612B1 (ko) 2015-04-10 2015-04-10 이중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20A KR101535612B1 (ko) 2015-04-10 2015-04-10 이중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612B1 true KR101535612B1 (ko) 2015-07-09

Family

ID=5379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20A KR101535612B1 (ko) 2015-04-10 2015-04-10 이중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8574A (zh) * 2016-06-02 2017-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人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907U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필리 안전 제침기
KR101248661B1 (ko) * 2012-11-16 2013-04-0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37939B1 (ko) * 2012-08-16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속 충전 커플러의 임의 탈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907U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필리 안전 제침기
KR101337939B1 (ko) * 2012-08-16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속 충전 커플러의 임의 탈거 방지 장치
KR101248661B1 (ko) * 2012-11-16 2013-04-0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검색 자료(https://www.youtube.com/watch?v=PoJqxiWVjFs) *
인터넷 검색 자료(https://www.youtube.com/watch?v=PoJqxiWVjF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8574A (zh) * 2016-06-02 2017-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人机
CN107458574B (zh) * 2016-06-02 2019-11-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70B2 (en) Magnetic carabiner system
US8832986B2 (en) Quick detach sling swivel
US8544155B2 (en) Safety hook
US10143866B2 (en) Lockable anti-fall catch connector
WO2015141557A1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KR101545944B1 (ko) 무인 항공기용 잠금 장치
KR101535612B1 (ko) 이중 잠금 장치
US8967072B2 (en) Retractable flagpole assembly
CN109990175B (zh) 转轴组件、转动连接机构、夹持装置及手持设备
US20190069644A1 (en) Harness Connector
US20200299893A1 (en) Garment Holder with Lock Mechanism
TWM464273U (zh) 多尺寸套筒結構
JP6590677B2 (ja)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フック
US20140173910A1 (en) Folding tool assembly
US20050073161A1 (en) Collapsible grappling hook
US20160290022A1 (en) Latch having tool recess in trigger
GB2506701A (en) Crane hook with hand grip and lock
EP3338587B1 (en) Anti-turning umbrella frame
KR100692237B1 (ko) 폴딩식 테일붐대
US885267A (en) Clasp.
JP3189229U (ja) 工具落下防止索具の止め具
KR20030028509A (ko) 볼밸브용 손잡이
CN110965872B (zh) 一种铰链及应用该铰链的设备
US9867488B2 (en) Arthrogryposis multiplex congenita lifestyle and grooming tool
KR200476830Y1 (ko) 접이식 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