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85B1 - Solde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olde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85B1
KR101535285B1 KR1020130151657A KR20130151657A KR101535285B1 KR 101535285 B1 KR101535285 B1 KR 101535285B1 KR 1020130151657 A KR1020130151657 A KR 1020130151657A KR 20130151657 A KR20130151657 A KR 20130151657A KR 101535285 B1 KR101535285 B1 KR 10153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ldering
connector
ima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6293A (en
Inventor
장남규
김제성
현상준
Original Assignee
(주)유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5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6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땜 영역의 제1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커넥터 지그의 제2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및 상기 제1 케이블 영상과 제2 케이블 영상을 비교하여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는지 확인하고,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팅기에 의하여 납땜 영역의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납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납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납땜장치는 카메라 비젼을 통하여 각각의 케이블이 제품 각각의 단자에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판단한 후 납땜을 진행함으로써 납땜위치오류를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납땜 후 계속적으로 납땜 된 케이블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납땜상태 불량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for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first cable image of a soldering region;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second cable image of the connector ji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ldering area to b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by the heater when the cable is judged to be aligned with the produc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der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cable is correctly aligned with each terminal through the camera vision, and then proceeds the soldering so as to prevent the error in the soldering position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By applying a tensile forc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nfirm the defective solder state.

Description

납땜 장치{SOLDERING APPARATUS}SOL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납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단자 각각에 납땜되어지는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확인한 후 납땜하는 납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de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dering apparatus for soldering after confirming that cables to be soldered to respective product terminals are correctly aligned.

종래에는 납재를 모재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작업은 주로 수작업으로 진행하는데, 즉 작업자가 한 손으로 인두기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납재를 잡고 상기 납재의 단부를 모재 위에 위치시킨 다음 일정온도로 달구어진 인두기의 인두팁을 납재의 단부에 접촉시키면 상기 납재가 녹으면서 모재에 납땜된다. 또한, 납땜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하고 정밀한 납땜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하고 정밀한 작업을 수행한다고 하여도 작업속도가 매우 느림에 따라 납땜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soldering work for soldering the brazing material to the base material is mainly performed by hand, that is, the worker holds the soldering iron with a certain length while holding the soldering iron with one hand, places the end of the brazing material on the base material, When the soldering tip of the iron soldering ir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brazing material, the brazing material is melted and soldered to the base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sold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hand,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a fine and precise soldering oper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fine and precise oper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on speed is very low,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t was lowered.

한편 다수의 단자를 갖는 전자제품에 다수의 케이블을 납땜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케이블이 각각 정해진 위치의 제품 단자에 정확히 정렬된 후 납땜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제품 단자에 납땜되는 케이블의 일측과 연장되어 있는 타측은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는 전원, 센서 등과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케이블을 통하여 제품 각각의 정해진 단자에 전송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der a plurality of cables to an electronic product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 plurality of cables must be precisely aligned to product terminals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then a solde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That is, one side of the cable to b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to the connecto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each of the connectors is mechanically coupled with the power source, the sensor, etc. so that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of each product through the cable.

따라서 제품의 각 단자에 각각의 커넥터를 통하여 정확한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케이블을 제품 단자에 납땜하기 위하여는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의 커넥터를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납땜 공정 후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불량없이 정상적으로 납땜이 되었는지 검사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블어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의 커넥터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커넥터를 착탈시킬 수 있는 커넥터 지그가 필요하다.
Therefore, in order to solder the cable to the product terminal, it is necessary to check that th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able are aligned in order so that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product are correctly wired through the respective connect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spect whether the cable is properly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after the soldering process. In addition, a connector jig is needed to easily detach the connector in order to prevent movement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able.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8399호의 "자동 납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땜방법"은 납땜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며, 제품 각 단자에 각각의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판단하고 있지 않아 해당 커넥터가 제품의 다른 단자에 납땜되는 것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68399 entitled " Automatic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ing method using the same "discloses a technique of judging the state of soldering by using a camera.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is solder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product because it is not judged that the cable is correctly aligned.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68399호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8399 2.특허공개번호 제2009-0007422호2. Patent Publication No. 2009-0007422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1060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6106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각 단자에 정확하게 각각의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판단하여 해당 커넥터가 제품의 다른 단자에 납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납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dering apparatus capable of judging whether each cable is correctly aligned on each terminal of a product,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제품 커넥터 단자에 납땜을 통하여 연결한 후 납땜불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납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de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defective soldering after a cable is connected to a product connector terminal through solde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케이블을 제품 단자에 납땜공정시 케이블과 연결된 커넥터들을 순서대로 정렬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납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der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plurality of cables in order while aligning connectors connected to cables in a soldering proces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납땜장치는 납땜 영역의 제1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커넥터 지그의 제2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납땜 후 제품 단자로부터 인접한 케이블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납땜상태를 검사하는 납땜상태 검사부 및 상기 제1 케이블 영상과 제2 케이블 영상을 비교하여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는지 확인하고,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팅기에 의하여 납땜 영역의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납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납땜상태 검사부는 제품 단자에 납땜되어 있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 제품 단자와 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홈 및 링크 암이 삽입되는 링크 암 수용홈이 형성된 승강블럭, 접촉블럭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일측은 상기 접촉블럭과 접촉되고 타측은 승강블럭의 링크 암 수용홈에 삽입되어 접촉블럭의 상하이동에 따라 승강블럭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링크 암을 포함하며, 접촉블럭과 접촉되는 상기 링크 암의 일측 상부에 압축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승강블럭을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ol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first cable image in a soldering region,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acquiring a second cable image of the connector jig, A solder state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state of soldering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an adjacent cable from a product terminal and comparing the first cable image with the second cable image to check whether the cable is aligned with the product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ldering area of the soldering area to b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by the heater when the soldering condition checking part determines that the soldering condition checking part has the cab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soldered cable to the product terminal, A cabl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cable is inserted and a link arm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ink arm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nk arm receiving groov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so that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contacting block A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link ar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lock,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is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지그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홈,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과 접촉하여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블록, 내부에 탄성부재와 연결된 이동핀 및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하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걸림편이 롤러면을 따라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편과 롤러의 일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jig includes a connecto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connector is inserted, a first fixing block for fixing the connector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inserted connector, a moving pin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 second fixing block for guiding the roller which is moved by the elastic member when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groove, And one surface of the roller is contacted and fix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각각의 단자에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케이블을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통하여 확인한 후 납땜함으로서 해당 케이블의 납땜 위치에 따른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ive according to the soldering position of the cable by confirming the cable to be accurate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of the product through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and then soldering.

또한 케이블을 제품 단자에 납땜 후, 납땜영역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여 케이블이 제품 커넥터 단자에서 떨어지는지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간편하게 납땜불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fter the cable is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oldering reg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ble is separated from the product connector terminal.

또한 커넥터를 커넥터 삽입홈에 삽입시 커넥터 하부에 연장된 걸림편이 롤러면을 따라 이동한 후 커넥터가 고정되는 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이 롤러면과 접촉되어 간편하게 커넥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groove, the engaging piece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moves along the roller surface, and the engaging pie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surface by the restoring force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is fix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상태 검사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지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단자에 커넥터를 납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ol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sol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lder stat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connector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oldering a connector to a produc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being most useful and readily explaining.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Accordingly, it is not intended to provide a more detailed structure than is necessary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forms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ol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sol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1000)는 제품 각각의 단자에 납땜되어져야 할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제1 영상획득부(60) 및 제2 영상획득부(70), 상기 제1 영상획득부(60) 및 제2 영상획득부(70)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정확히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팅기(80)에 의하여 납땜 영역의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납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older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first image acquiring unit 60 and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When the video images obtained by the first image acquiring unit 60 and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are compar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ables are accurately aligned, the cables of the soldering region ar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s by the hitter 8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600.

상기 제1 영상획득부(60)는 납땜영역상의 제품 각각의 단자에 위치한 각각의 케이블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카메라(61) 및 제1 조명부(62)를 포함하며, 제1 카메라(61)에 의하여 획득한 제1 케이블 영상을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2 영상획득부(70)는 케이블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지그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2 카메라(71) 및 제2 조명부(72)를 포함하며, 제2 카메라(71)에 의하여 획득한 제2 케이블 영상을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 includes a first camera 61 and a first illumination unit 62 for acquiring an image of each cable located at each terminal of the product on the soldering area, To the control unit 600.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the first cable image to the control unit 600. [ Similarly,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includes a second camera 71 and a second illumination unit 72 for acquiring an image on a connector jig into which a conn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second cable image acquired by the second cable image acquisition unit 71 to the control unit 600.

제어부(600)는 입력받은 제1 케이블 영상 및 제2 케이블 영상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각 영상에서의 케이블이 순차적인 색으로 정렬되었는지 비교 판단하고, 순차적으로 케이블의 색이 정렬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히팅기(80)를 통하여 납땜영역상의 케이블들이 제품 각각의 단자에 납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 processes images of the received first cable image and second cable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cables in the respective images are arranged in a sequential col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ble colors are sequentially align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ables on the soldering area to be solder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product through the base 80. [

도 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납땜장치(1000)는 먼저 케이블의 일단은 전선상에 납이 도포되어 납땜영역(5)상의 제품(1) 각각의 단자에 위치하고, 케이블의 타단은 커넥터가 연결되어 커넥터 지그(800)에 삽입되어, 케이블(미도시)은 커넥터 고정부(400)에 의하여 작업대(50)상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soldering apparatus 1000 is constructed such that one end of the cable is firstly coated with lead on the wire and positioned at the terminal of each of the products 1 on the soldering area 5,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jig 800 so that the cable (not shown) can be positioned on the work table 50 by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400.

즉 케이블의 일단은 납땜영역(5)에 위치하고 케이블의 타단은 커넥터 지그(800)에 의하여 고정된 후, 제1 영상획득부(60) 및 제2 영상획득부(70)에 의하여 제1 케이블 영상 및 제2 케이블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고정부(400)는 납땜영역(5)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실린더(410)와 연결되어 작업대 상에 위치한 케이블상에 힘을 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at is, one end of the cable is located in the soldering region 5,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fixed by the connector jig 800, and then the first cable acquiring unit 60 and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70 And the second cable image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cable fixing part 400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oldering area 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410 and fixed by applying a force on a cable located on the work surface.

본 발명의 납땜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케이블을 정확하게 제품 각각의 단자에 납땜하기 위하여 카메라 비젼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정렬상태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납땜위치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제품 단자에 납땜된 케이블의 납땜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납땜상태 검사부(90)에 대하여는 도 3a 및 도3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solder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oldering position error in advance by confirming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ble by using the camera vision to accurately solder the plurality of cables to the terminals of each of the products as described above , And the solder state inspection unit 90 for continuously checking the soldered state of the cabl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땜상태 검사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lder stat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는 케이블의 납땜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납땜된 케이블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납땜상태 검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납땜상태 검사부(90)는 승강블럭(100), 링크암(210) 및 구동부(300)을 포함한다. 3A, the sold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lder condition checking unit 90 that can apply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the soldered cable to check the soldering condition of the cable, A lifting block 100, a link arm 210, and a driving unit 300.

승강블럭(100)은 제품 단자에 형성된 납땜영역(도 1b의 5 참조)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승강블럭(100)의 상측 이동에 따라 납땜부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승강블럭(100)은 다수의 케이블 각각의 납땜불량을 검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케이블 삽입홈(110)이 제품 단자와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블럭(100)은 다수의 케이블 각각의 납땜불량을 검사하기 위하여 다수의 링크 암(210a, 210b,210f)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 삽입홈(100)과 대응되는 링크 암 수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암 수용부(120)는 중심축(2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크 암(210)의 타측(원형으로 형성)과 연결되어 승강블럭(10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ft block 1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oldering area (see 5 in FIG. 1B) formed on the product terminal, and can apply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the solder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ft block 100. The lifting block 100 may be formed on a straight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 insertion grooves 110 into which the respective cables are individually inserted are extended to the product terminals in order to inspect the soldering fail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lock 100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arms 210a, 210b and 210f and a plurality of link arm receiving portions 120 (corresponding to the cable insertion grooves 100) so as to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nk arms 210a, May be formed. The link arm receiving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f the link arm 210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shaft 22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move the up / .

링크 암(210)은 작업대(50)와 연결된 고정블록(2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중심축(220)을 통하여 각각의 링크 암(210)은 연결된다. 링크 암(210)의 일측(압축 스프링이 체결되는 부분)은 구동축(301)과 연결된 접촉블럭(330)과 접촉되며, 링크 암(210)의 타측(211)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링크 암 수용부(120)에 삽입되어 승강블럭(100) 연결된다.
The link arm 210 is connected to the link arm 210 through a central shaft 220 supported by a fixed block 230 connected to the work platform 50. One side of the link arm 21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3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01 and the other side 211 of the link arm 2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120) and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100).

구동부(300)는 링크 암(210)의 타측에 구동축(301)과 연결된 접촉블럭(3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며, 일 실시예로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않고 기어 연결을 통한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접촉블럭(330)을 상하로 정확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접촉블럭(330)과 연결된 가이드 블럭(322)이 양측에 고정된 수직 가이드(3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실린더 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부(300)에 의하여 접촉블럭(330)의 상하이동에 따라 링크 암(210)의 타측에 힘이 가해지고, 승강블럭(100)과 연결된 링크 암(210)의 일측이 중심축(22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승강블럭(10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00 generates a force to vertically move the contact block 330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01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arm 210. The driving unit 300 may be a cylinder, Lt; / RTI > The driving unit 300 can move along the vertical guide 312 fix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322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30 to move the contact block 330 up and down accurate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A force is exe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arm 210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contact block 330 by the driving unit 300 and one side of the link arm 210 connected to the up / So that the lifting block 100 can be moved up and down as a result.

한편 접촉블럭(300)과 링크 암(210)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압축스프링(240)이 없이 접촉블럭(300)의 이동에 의하여 승강블럭(10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납땜영역에 소정의 인장력을 균일하게 가할 수 있도록 승강블럭(100)의 상승을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one side of the contact block 300 and the link arm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ove the up / down block 100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contact block 300 without the compression spring 240, The lift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can be used to raise the lifting block 1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접촉블럭(330)과 접촉(연결되어 있지 않음)되는 링크 암(210)의 일측 상부에는 압축스프링 안착홈(212)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240)은 상기 압축스프링 안착홈(212)과 작업대(50) 저면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납땜상태 검사부(90)의 작동에 대한 일실시예로 구동부(300)에 의하여 접촉블럭(330)이 상승하게 되면 압축스프링(240)이 압축됨과 동시에 중심축(220)을 기준으로 링크 암(210)의 타측(211)이 하강하게 되어 승강블럭(100)은 하강된 상태(제품 단자 및 작업대의 상면과 수평선상에 위치)가 된다. 승강블럭(100)이 하강된 상태에서 제품 단자(여기서 제품은 납땜장치에 연결되어 고정됨)와 케이블(케이블은 케이블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됨)이 납땜된 후, 납이 굳어질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 구동부에 의하여 접촉블럭(330)이 하강하게 되면 압축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심축(220)을 기준으로 링크 암(210)의 타측(211)이 상승하게 되어 승강블럭(100)은 상승(작업대 상면보다 돌출된 위치로 이동)하여 납땜영역에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3B, a compression spring seating groove 2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nk arm 210 which is in contact with (not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3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groove (2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table (50). When the contact block 330 is lifted by the driving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solder state inspection part 90, the compression spring 240 is compressed and the link arm 210 Is lowered and the lift block 100 is in a lowered state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line with the product termin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After the product terminal (where the product is fixed to the soldering apparatus) and the cable (the cable is fixed by the cable fixing unit) are soldered in the state where the lifting block 100 is lowered, it takes time for the lead to harden When the contact block 330 is lowered by the driving part, the other side 211 of the link arm 210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22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40, (Moved to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bench) to apply a tensile force to the soldering region.

여기서 납땜영역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압축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접촉블럭의 하강에 따른 힘이 아님)이 된다. 한편 케이블의 굵기, 강성 등의 재질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미리 설정된 납땜불량기준에 따라 납땜영역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납땜상태 검사부(90)는 선재 및 감김수에 따른 간격(피치)를 조정하여 납땜부에 미리 설정된 납땜불량기준에 따른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240)을 간편하게 조절(변경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케이블의 납땜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납땜상태 검사부(90)는 각각의 케이블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음으로 해당 단자마다의 납땜불량을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oldering region becomes a force gener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40 (not a force due to the descent of the contact block).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oldering reg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determined soldering failure criterion required depending on the material such as the thickness and rigidity of the cable. Accordingly, the soldering condition checking unit 90 can easily adjust (change and change) the compression spring 240 that can apply the tensile force according to the preset soldering failure criterion to the soldering portion by adjusting the interval (pitch) Failure of the cable can be inspected. In addition, since the solder condition checking unit 90 can apply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each cable,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judge defective soldering for each terminal.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지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connector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 지그(800)는 작업대 상에 위치하며, 케이블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수용하고 케이블을 제품 단자에 납땜시 각각의 케이블이 정확하게 정렬되어 제품단자에 납땜되도록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 고정블록(810)과 롤러(820)를 가이드 하는 제2 고정블록(830) 사이에 커넥터 삽입홈(811)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able connector jig 800 is located on a work surface and accommodates the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ble, and when the cable is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A connector fixing groove 81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xing block 810 which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inserted to be soldered to the roller 820 and the second fixing block 830 which guides the roller 820.

상기 제2 고정블록(830)은 롤러 가이드(822), 상기 롤러 가이드(822)의 일측과 접촉하는 탄성부재(823, 예를 들어 스프링) 및 이동핀(824)을 가이드한다. 즉 제2 고정블록(830)은 커넥터(850)가 커넥터 삽입홈(811)에 삽입시 걸림편(851)에 의하여 힘을 받은 롤러(820)를 제2 고정블록(830) 방향으로 후퇴시킨 후 커넥터 삽입 완료후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롤러(820)를 제1 고정블록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block 830 guides a roller guide 822, an elastic member 823 (for example, a spring) that contacts one side of the roller guide 822, and a moving pin 824. That is, the second fixing block 830 retracts the roller 820, which is urged by the latching piece 85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block 830, when the connector 85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groove 811 After the insertion of the connector is completed, the roller 820 can be guid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ed block by the elastic force.

따라서 커넥터(850)는 커넥터 삽입홈(811)에 삽입시 걸림편(851)의 일측(851a)이 롤러면을 따라 이동한 후 탄성부재(823)의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편과 롤러의 일면이 접촉하여 고정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 지그(800)는 각각의 케이블 커넥터가 정해진 케이블 커넥터 지그(801,802,803)에 삽입되도록 납땜영역과의 거리 차이에 따른(즉 케이블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음) 간격을 두고 작업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85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groove 811, one side 851a of the latching piece 851 moves along the roller surface, and then one side of the latching piece and the roll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23 Respectively. Also, the cable connector jig 800 can be positioned on the work surface at intervals such that each cabl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specified cable connector jig 801, 802, 803 (that is, the length of the cable can vary)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단자에 커넥터를 납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oldering a connector to a produc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납땜상태 검사부를 갖는 납땜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케이블 각각이 제품 각각의 단자에 정확하게 납땜된 후 계속적으로 납땜불량을 검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cables is accurately soldered to each terminal of a product by a soldering apparatus having a solder state inspecting unit and then the solder failure is continuously check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납이 도포되어 있는 각각의 케이블 전선을 납땜영역상의 각 제품 단자에 위치함과 동시에 케이블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커넥터 고정지그에 삽입하고, 케이블 고정부에 의하여 케이블을 작업대 상에 고정시킨다(S51). 계속적으로 제1 영상획득부를 이용하여 납땜영역상의 제1 케이블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제2 영상획득부를 이용하여 커넥터 지그의 제2 케이블 영상을 획득한다(S53). 제어부는 상기 제1 케이블 영상과 제2 케이블 영상의 비교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케이블의 색이 순차적으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한 후(S55) 각각의 케이블이 정확하게 납땜되어져야 할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히팅기가 케이블과 제품 단자에 열을 가하여 납땜이 이루어 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7).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납땜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납땜 영역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납땜상태 검사부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승강블록이 작업대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납땜상태가 불량인지 판단할 수 있다(S59).
5, each of the cable wires coated with lead is positioned at each product terminal on the soldering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ixing jig, The cable is fixed on the workbench (S51). The first cable image on the soldering area is continuously acquired using the first image acquiring unit and the second cable image of the connector jig is acquired using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S53). The controller compares the first cable image with the second cable image to determine whether colors of the cables are sequentially aligned in the respective images (S55).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ables are aligned to the product terminals to be soldered correctly , The heater can control the soldering by applying heat to the cable and the product terminal (S57). Final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of the solder state inspection unit to apply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the soldering reg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oldering, so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ft block to move over the workbench,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solder state is defective ).

따라서 납땜장치(1000)는 카메라 비젼을 통하여 각각의 케이블이 제품 각각의 단자에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 판단한 후 납땜을 진행함으로써 납땜위치오류를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납땜 후 계속적으로 납땜 된 케이블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납땜상태 불량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oldering apparatus 1000 judges whether each cable is correctly aligned with each terminal through the camera vision, and then proceeds the soldering, thereby preventing the soldering position error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nfirm the defective soldering condition.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60:제1 영상획득부 61:제1 카메라
62:제1 조명부 70:제2 영상획득부
71:제2 카메라 72:제2 조명부
80:히팅기 90:납땜상태 검사부
100: 승강블럭 110a,110b: 케이블 삽입홈
120: 링크 암 수용홈 200: 구동부
210,210a,210b,210f: 링크 암 212: 스프링 안착홈
220: 중심축 230: 고정블럭
240: 압축 스프링 300: 동력 발생부
301: 실린더 축 311,312: 수직 가이드
321,322: 가이드 블럭 330: 접촉블럭
400: 케이블 고정부 600:제어부
800,801,802,803:커넥터 고정지그 810:제1 고정블록
811:커넥터 삽입홈 820:롤러
821:롤러 회전핀 822:롤러 가이드
823:탄성부재 824:이동핀
830:제2 고정블록 850:커넥터
851:걸림편 1000:납땜장치
60: first image obtaining unit 61: first camera
62: first illumination unit 70: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71: second camera 72: second illumination section
80: Hitting machine 90: Solder state inspection part
100: lifting block 110a, 110b: cable insertion groove
120: link arm receiving groove 200:
210, 210a, 210b, 210f: link arm 212: spring seat groove
220: center shaft 230: fixed block
240: compression spring 300: power generating portion
301: Cylinder shaft 311, 312: Vertical guide
321, 322: guide block 330: contact block
400: Cable fixing part 600: Control part
800, 801, 802, 803: Connector fixing jig 810:
811: Connector insertion groove 820: Roller
821: Roller rotating pin 822: Roller guide
823: elastic member 824: moving pin
830: second fixed block 850: connector
851: latching piece 1000: soldering device

Claims (4)

납땜 영역의 제1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커넥터 지그의 제2 케이블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납땜 후 제품 단자로부터 인접한 케이블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납땜상태를 검사하는 납땜상태 검사부 및
상기 제1 케이블 영상과 제2 케이블 영상을 비교하여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는지 확인하고,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정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팅기에 의하여 납땜 영역의 케이블이 제품 단자에 납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납땜상태 검사부는
제품 단자에 납땜되어 있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
제품 단자와 케이블 고정부 사이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홈 및 링크 암이 삽입되는 링크 암 수용홈이 형성된 승강블럭,
접촉블럭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일측은 상기 접촉블럭과 접촉되고 타측은 승강블럭의 링크 암 수용홈에 삽입되어 접촉블럭의 상하이동에 따라 승강블럭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링크 암을 포함하며,
접촉블럭과 접촉되는 상기 링크 암의 일측 상부에 압축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승강블럭을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A first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first cable image of the soldering region,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second cable image of the connector jig,
A solder state inspecting unit for inspecting the state of soldering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an adjacent cable from a product terminal after soldering;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first cable image with the second cable image to check whether the cable is aligned with the product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ble is aligned with the product terminal, soldering the cable in the soldering area to the product terminal by the heater / RTI >
The soldering condition checking unit
Cable fixing for fixing the cable soldered to the product terminal,
A cabl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cable between the product terminal and the cabl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link arm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link arm is inserted,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force for moving the contact block up and down, and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nk arm receiving groov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and includes a link arm for mov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tact block,
A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link ar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lock,
And the elevating block is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그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홈,
삽입된 커넥터의 측면과 접촉하여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블록,
내부에 탄성부재와 연결된 이동핀 및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하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걸림편이 롤러면을 따라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편과 롤러의 일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jig
A connecto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or is inserted,
A first fixing block for fixing the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ed connector,
And a second fixing block for guiding the moving pin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the roller moving by the elastic force,
Wherein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when the engag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groove, the engaging piece is moved along the roller surface, and then on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 roller are contacted and fixed by elastic force.
KR1020130151657A 2013-12-06 2013-12-06 Soldering apparatus KR101535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57A KR101535285B1 (en) 2013-12-06 2013-12-06 Solde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57A KR101535285B1 (en) 2013-12-06 2013-12-06 Solde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93A KR20150066293A (en) 2015-06-16
KR101535285B1 true KR101535285B1 (en) 2015-07-24

Family

ID=5351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657A KR101535285B1 (en) 2013-12-06 2013-12-06 Solde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2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387B1 (en) * 2019-04-18 2021-12-23 (주)에스알테크날러지 RF Attenuator And Power Divider Automated Mufac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4954A (en) * 1988-06-15 1989-12-20 Senju Metal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printed circuit board
KR20010030220A (en) * 1999-09-03 2001-04-16 와다나베 신지 Soldering method and its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4954A (en) * 1988-06-15 1989-12-20 Senju Metal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printed circuit board
KR20010030220A (en) * 1999-09-03 2001-04-16 와다나베 신지 Soldering method and its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93A (en)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79706U (en) Probe card and wafer test equipment
US5570514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rimp height
KR101535285B1 (en) Soldering apparatus
KR20070075757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devices to test sockets in semiconductor test handler
CN107045151B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ate detection device
KR101671791B1 (en) Height checking apparatus for terminal of regulator
KR101301741B1 (en) Prob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514951B1 (en) Faulty Substrate Automatic Marking System
JPWO2018216132A1 (en) Measuring the position determining device
CN108955533B (en) Height inspection device for assembling machine and assembling machine
JP2000215961A (en) Inspection of pressure contact
KR102462567B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heights of wire interconnections
KR101511757B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welding state of wire
KR101949873B1 (en) Test Block For Electronic Module
KR20220133503A (en) Display panel test apparatus
KR100773309B1 (en) A apparatus for checking a current between busbar and pin and a method thereof
KR20170082357A (en) Jig apparatus using for LED chip test
JP3635627B2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for insertion terminal in automatic terminal insertion machine
KR102070399B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temperature sensor
CN111257735A (en) Electric substrat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KR101372560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nnector pins
JP5180134B2 (en) Terminal crimping device
JPH0829499A (en) Inspec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JP7399794B2 (en) surface mount machine
KR101668037B1 (en) Contacting Device of Display Module for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