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603B1 -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603B1
KR101534603B1 KR1020130127310A KR20130127310A KR101534603B1 KR 101534603 B1 KR101534603 B1 KR 101534603B1 KR 1020130127310 A KR1020130127310 A KR 1020130127310A KR 20130127310 A KR20130127310 A KR 20130127310A KR 101534603 B1 KR101534603 B1 KR 10153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ainer
sponge
hole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341A (ko
Inventor
오세웅
김경섭
박상욱
김현정
안명진
김혜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2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6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을 구비하는 스폰지 바디;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출되도록 상기 노즐에 대향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용기부; 및 연통공이 형성된 공급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에 상기 연통공이 위치하는 유출 위치와,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를 차폐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노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장품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A stamp type of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파스와 같이 바르는 방식으로 피부에 액상의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킨과 같은 액상의 화장품을 담는 용기나 분무식으로 분사되는 액상의 화장품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어렵다.
특히, 분무식으로 분사되는 액상 화장품의 경우, 다량 분사시, 분사기 노즐로 액상 화장품이 흐르게 되어 유실되는 화장품의 양이 많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를 타고 흘러 화장품 용기 등을 더럽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무식 화장품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분사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0-0012688호인 '휴대용 스탬프형 바르는 향수병'이 있다.
상기 휴대용 스탬프형 바르는 향수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수가 담기는 용기 본체(10), 피부와 접촉하는 스펀지 편(20) 및 용기 본체(10)와 스펀지 편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관(30)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피부와 접촉한 스펀지 편(20)이 외력을 받아 가압되면, 스펀지 편(20)의 하단에 접촉하는 지지관(30)의 돌출부(31)가 눌리어 향수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피부에 바르기 위해서는 돌출부(31)를 소정의 외력으로 가압하여야 하는바, 외력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유출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때에 피부에 액상의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노즐을 구비하는 스폰지 바디;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출되도록 상기 노즐에 대향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용기부; 및 연통공이 형성된 공급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에 상기 연통공이 위치하는 유출 위치와,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를 차폐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노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폰지 바디의 상부측을 덮는 스폰지 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상기 용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유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버튼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폰지 패드와 상기 스폰지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의 외형이 유지되게 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개구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용기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 위치시, 상기 하부 용기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의 토출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폰지 패드는, 오염 또는 노후화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화장품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폰지 패드는 오염 또는 노후화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오염도가 낮은 오염시에는 스폰지 패드만을 분리한 후 세척하고, 세척된 스폰지 패드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스탬프형 바르는 향수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의 유출 위치와 차단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1)는 용기부(100), 노즐(210)을 구비하는 스폰지 바디(200), 공급조절부(300), 스폰지 고정링(400), 텐션부(500), 스폰지 패드(600) 및 뚜껑(7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에는 내부에 액상 화장품(2)이 수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는 하부 용기(110)와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용기(110)는 액상의 화장품(2)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용기(110)는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2)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120)는 상기 개구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덮개(120)는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2)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형성된 유출공(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출공(1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0)을 마주보는 덮개(120)의 일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태프형 화장품 용기(1)는 스킨과 같은 액상의 화장품(2)이 수용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용기(110)가 튜브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에멀젼 타입과 같은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하부 용기(110)가 탄성 재질과 같이 복원력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하부 용기(110)의 가압에 따라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화장품(2)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스폰지 바디(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특히, 스폰지 바디(200)에 마련되는 노즐(210)은 유출공(121)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공급조절부(300)는 연통공(311)이 형성된 베이스(310), 베이스(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320) 및 탄성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310)와 버튼(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와 버튼(320)은 덮개(1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베이스(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311)과 노즐(2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한편, 공급조절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121)과 노즐(210) 사이에 연통공(311)이 위치하는 유출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121) 또는 노즐(210)과 엇갈리게 위치되어 화장품(2)이 스폰지 패드(6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연통공(311)이 상기 유출 위치에 위치시, 유출공(121), 연통공(311) 및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는 일치하게 되어,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화장품(2)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하나의 통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화장품(2)은 유출공(121), 연통공(311) 및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를 지나 스폰지 패드(600)로 전달된다.
즉, 버튼(320)이 가압되면 연통공(311)이 형성된 베이스(310)는 이동하며, 그에 따라, 베이스(310)에 형성된 연통공(311)은 유출공(121)과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를 연결하는 통로가 되어, 화장품(2)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연통공(311)이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시, 베이스(310)의 일 영역은 유출공(121)과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를 차단한다. 그에 따라, 베이스(310)는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화장품(2)이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버튼(320)을 가압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버튼(320)과 용기부(10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베이스(310)는 상기 유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위치로 이동하여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화장품(2)이 노즐(210)에 형성된 유로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용기부(100)는 버튼(320)이 탄성 부재(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돌기(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기(122)는 버튼(320)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덮개(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조절부(300)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시, 고정 돌기(122)는 버튼(320)을 지지하여 공급조절부(3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한편, 스폰지 바디(2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폰지 고정링(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을 한다. 그에 따라, 스폰지 고정링(300)의 일 영역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 바디(200)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텐션부(500)와 스폰지 패드(600)의 일 영역을 가압하여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스폰지 고정링(40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에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텐션부(500)와 스폰지 패드(600) 각각의 일 영역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텐션부(500)는 스폰지 바디(200)의 상부 및 스폰지 패드(60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텐션부(500)는 스폰지 패드(600)의 외형을 유지토록 지지하며, 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1)를 이용한 피부 도포시,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그리고, 텐션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공(51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공(510)의 분포 위치 및 갯수는 화장품(2)의 유출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폰지 패드(600)는 상기 유출 위치시, 화장품(2)이 스며들어 피부에 도포 가능하게 된다.
뚜껑(700)은 스폰지 패드(600)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1)의 미사용시 스폰지 패드(600)를 덮음으로써, 스폰지 패드(600)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스폰지 패드(600)는 오염 또는 노후화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오염도가 낮은 오염시에는 스폰지 패드(600)만을 분리한 후 세척하고, 세척된 스폰지 패드(600)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100 : 용기부
200 : 스폰지 바디 210 : 노즐부
300 : 공급조절부 400 : 스폰지 고정링
500 : 텐션부 600 : 스폰지 패드
700 : 뚜껑

Claims (8)

  1. 노즐을 구비하는 스폰지 바디;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출되도록 상기 노즐에 대향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용기부;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에 상기 연통공이 위치하는 유출 위치와, 상기 유출공과 상기 노즐 사이를 차폐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노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공급조절부;
    상기 스폰지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을 구비하고, 탄성을 갖는 텐션부; 및
    상기 텐션부에 의해 외형이 유지되며 상기 텐션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폰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와 상기 스폰지 패드를 상기 스폰지 바디에 고정하도록 상기 스폰지 바디에 결합하는 스폰지 고정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상기 용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유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버튼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개구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용기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위치시, 상기 하부 용기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의 토출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 패드는, 오염 또는 노후화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KR1020130127310A 2013-10-24 2013-10-24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KR10153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10A KR101534603B1 (ko) 2013-10-24 2013-10-24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10A KR101534603B1 (ko) 2013-10-24 2013-10-24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41A KR20150047341A (ko) 2015-05-04
KR101534603B1 true KR101534603B1 (ko) 2015-07-07

Family

ID=5338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310A KR101534603B1 (ko) 2013-10-24 2013-10-24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1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21020659A1 (ko) * 2019-07-31 2021-02-04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344A (ko) * 2008-03-26 2009-09-30 화성화학 주식회사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00016865A (ko) * 2008-08-05 2010-02-16 정만택 액상 용기
KR20130115670A (ko) * 2012-04-13 2013-10-22 김길수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344A (ko) * 2008-03-26 2009-09-30 화성화학 주식회사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00016865A (ko) * 2008-08-05 2010-02-16 정만택 액상 용기
KR20130115670A (ko) * 2012-04-13 2013-10-22 김길수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1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21020659A1 (ko) * 2019-07-31 2021-02-04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41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442B1 (ko) 조합 분배기 및 도포기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US712518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20100262051A1 (en) Massage and cosmetic product dispensing assembly
WO2007005883A3 (en) Dosing dispenser for cream-based medicines
KR20080086862A (ko) 일방향 밸브 어셈블리
JP2008110228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JP2003159551A (ja) 製品を収容し加圧下で分配するための装置
JP6873631B2 (ja) 塗布栓
JP2020015557A (ja) 流動性材料を分注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
US20120097713A1 (en) Spray through cap for a pressurised fluid container
TW201446333A (zh) 用於封裝及分配流體產品的可再填充裝置
KR101534603B1 (ko)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RU2225818C2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5483414B2 (ja) 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WO2014177554A1 (en) Dispensing head for dispensing a product in the form of a spray or in a dropwise manner
JP2005517601A (ja) スクイーズスプレー装置
KR20210124526A (ko) 화장품 용기
US20170361344A1 (en) Living Hinge Actuator
JP2004538071A (ja) マニキュア
US20190321841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comprising a moveable piston
WO2015140754A1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US7690854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in particular a cosmetic product
KR20230014353A (ko) 스탬프형 스킨 용기
KR102203954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