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211B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211B1
KR101534211B1 KR1020120078585A KR20120078585A KR101534211B1 KR 101534211 B1 KR101534211 B1 KR 101534211B1 KR 1020120078585 A KR1020120078585 A KR 1020120078585A KR 20120078585 A KR20120078585 A KR 20120078585A KR 101534211 B1 KR101534211 B1 KR 10153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fastening
fixing
hollow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741A (ko
Inventor
윤용수
나병관
Original Assignee
윤용수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수, 나병관 filed Critical 윤용수
Priority to KR102012007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9/00Screwed connection with deformation of nut or auxiliary member whil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H빔이나 판 형태로 구성된 제 1,2부재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 2부재의 외측에서 일방향으로 제 1,2부재 상호간의 연결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장치{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장소에 배치되는 제 1,2부재를 외측 일방향에서 간편하게 체결시킴과 아울러, 제 1,2부재를 견고하게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빔 형태의 보 또는 패널 형태의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연결시키는 통상의 방법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식 고정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 체결식 고정구조의 결합방식은 제 1,2부재에 결합공을 형성시킨 후에, 볼트를 제 1,2부재의 결합공을 관통시키고, 관통된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제 1부재가 벽면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될 경우에는 벽면과 제1부재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므로,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1516호에 개시되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설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버팀보(30)를 사각 강관 형태로 구성하고, 띠장(20)과 버팀보(30)의 연결부에는 경사 형태로 위치하는 경사버팀보(40)가 체결볼트(50)로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경사버팀재(40)의 양단에는 체결공(41)(41')이 형성된 고정판(42)(42')이 결합되고, 고정판(42)(42')이 버팀보(30)의 표면에 밀착되며, 상기의 고정판(42)(42')에는 버팀보(30)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41)(41')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버팀보(30)가 사각 강관 형태(통형)로 형성되어 강관 내부로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없게 되므로, 버팀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의 채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버팀보(30)에는 경사버팀재(40)의 체결공(41)(41')과 대응하는 체결나사공(31)(3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50)로 나사 체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공사중 버팀보(30) 등의 충격 및 진동 등으로 나사풀림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 배치된 제 1,2부재들간의 상호 연결 및 고정을 외측 일방향에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상기 결합공들을 통하여 결합시키되,
상기 각 결합공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중공관을 상기 제 2부재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시키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공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이 상기 제 2부재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 변형되면서 상기 제 1부재에 간섭되어 상기 제 1,2부재를 체결시키는 견인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중공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중공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너트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정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정착편이 연결되는 내측면에 변형홈이 각각 형성된 앵커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너트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이 견인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정착편의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 1부재의 결합공 테두리측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첫째, 제 1,2부재(10,20)의 결합공(12,22)을 통해 중공관(100)과 너트부재(300)가 견인수단에 의해 체결 및 고정되며,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지 않는 협소한 장소에서 제 1,2부재(10,20)를 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제 2부재(20)의 외측 일방향에서 제 1,2부재(10,20)의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셋째,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정착편(610)이 형성된 앵커부재(600)를 구비함으로써, 중공관(100)의 이동시 정착편(610)이 제 1부재(10)와 간섭되면서 변형되므로, 제 1부재(10)와 제 2부재(20)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을 갖는다.
넷째, 정착편(610)이 연결되는 내측면에 변형홈(6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착편(61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다섯째, 고정볼트(500)가 중공관(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중공관(100)의 중공(105)을 채우는 경우, 제 1,2부재(10,20)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전단 압력에 대한 강도를 더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 1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제 1실시 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중공관의 이동 전,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 2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제 2실시 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중공관이 제 1,2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된 후에 너트부재를 회전시키는 전,후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 및 도 8은 종래 체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H빔이나 판 형태로 구성된 제 1,2부재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 2부재의 외측에서 일방향으로 제 1,2부재 상호간의 연결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제 1실시 예]
본 발명의 체결장치의 제 1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결합공(12,22)이 형성된 제 1,2부재(10,20)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공(105)이 형성되는 중공관(100)과, 중공관(10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중공관(100)을 상기 제 2부재(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재(300)와, 중공관(10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100)이 상기 제 2부재(20)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 상기 제 1부재(10)를 상기 제 2부재(20)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중공관(100)의 중공(105) 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너트부재(300)는 중공관(100)의 일단부와 체결되어 제 2부재(20)의 외측에서 중공관(10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견인수단은 중공관(100)의 중공(105)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500)와, 중공관(10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트(500)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605)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너트부재(300)의 체결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정착편(610)이 형성된 앵커부재(600)를 구비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앵커부재는 중공관(100)의 타단부와 접하는 일측에 복수의 정착편(6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정착편(610)은 외부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거나 외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정착편(610)은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앵커부재(600)로부터 연결되는 내측면 부위에 변형홈(6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500)는 일단부가 앵커부재(600)의 체결공(605) 내주면과 체결되고, 타단부인 헤드 부위가 중공관(100)의 일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볼트(500)는 일단부가 중공관(100)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앵커부재(600)의 체결공(605) 내주면과 체결되고, 타단부가 중공관(100)의 일단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를 위해 고정볼트(500)의 길이가 중공관(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05a"는 중공(105)의 내주면에 단턱지게 형성된 고정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중공관(100)을 제 1,2부재(10,20)의 결합공 내에 삽입시키고, 중공관(100)의 타단부를 너트부재(300)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앵커부재(600)를 중공관(100)의 타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키고, 중공관(10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500)를 이용하여 조립시켜 중공관(100)과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앵커부재(600)와 조립된 중공관(100)을 제 1,2부재(10,20)의 결합공(12,22)에 통과시키고, 중공관(100)의 일단부에 너트부재(300)를 체결시킨다.
이때, 정착편(610)은 제 1,2부재(10,20)의 결합공(12,22) 내부를 각각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오므라들게 되고, 제 1부재(10)의 결합공(12)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정착편(610)의 단부가 제 1부재(10)의 결합공(12) 테두리 부위에 접촉된다.
이후에, 너트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중공관(100)이 상기 제 2부재(20)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써, 중공관(100)이 제 2부재(2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부재(10)에 접촉된 정착편(610)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제 1부재(10)에 밀착된다.
즉, 제 1실시 예의 견인수단은 중공관(100)이 너트부재(300)의 체결력에 의해 제 2부재(2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중공관(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정착편(610)의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 1부재(10)의 결합공(12) 테두리측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2부재(10,20)의 상호 연결 및 고정이 제 2부재(20)의 외측인 일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 1부재(10)와 방해물인 벽체(30)와의 간격이 협소하거나, 제 1부재(10)가 통형의 강관 구조일지라도 제 1,2부재(10,20)를 간편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 예]
본 발명 제 2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 1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가지되, 제 1실시 예보다 고정볼트(50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중공관(100)의 중공(105) 내부로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고정볼트(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앵커부재(600)의 체결공(605) 내주면과 체결되고, 타단부인 헤드부가 중공관(100)의 중공(105) 내부에 수용되는 연결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고정볼트(500)가 중공관(100)의 중공(105) 내부로 수용되도록 체결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 1실시 예의 고정볼트(500)는 헤드부가 중공관(100)의 직경보다 더 클 경우, 너트부재(300)와의 결합순서에 제한을 받는 반면에, 제 2실시 예의 고정볼트(500)는 너트부재(300)와의 결합순서에 제한을 받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다만, 제 1실시 예의 경우에는, 고정볼트(500)가 중공관(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경우 중공관(100)의 중공(105) 내부를 채워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제 1,2부재 12,22 : (제 1,2부재의)결합공
100 : 중공관 105 : 중공
300 : 너트부재 500 : 고정볼트
600 : 앵커부재 605 : 체결공
610 : 정착편 612 : 변형홈

Claims (2)

  1. 각각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상기 결합공들을 통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공(12,22)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중공(105)이 형성된 중공관(100)과,
    상기 중공관(100)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부재(20)에 밀착되며 상기 중공관(100)을 상기 제 2부재(20)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시키는 너트부재(300)와,
    상기 중공관(10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100)이 상기 제 2부재(20)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 상기 제 1부재(10)에 간섭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제 1,2부재(10,20)를 체결시키는 견인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중공관(100)의 중공(105)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500)와,
    상기 중공관(10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트(500)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체결공(605)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너트부재(300)의 체결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정착편(610)이 형성되며 상기 정착편(610)이 연결되는 내측면에 변형홈(612)이 형성된 앵커부재(600)를 구비하여서,
    상기 너트부재(300)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100)이 견인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정착편(610)의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 1부재(10)의 결합공(12) 테두리측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2. 삭제
KR1020120078585A 2012-07-19 2012-07-19 체결장치 KR10153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85A KR101534211B1 (ko) 2012-07-19 2012-07-19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85A KR101534211B1 (ko) 2012-07-19 2012-07-19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41A KR20140011741A (ko) 2014-01-29
KR101534211B1 true KR101534211B1 (ko) 2015-07-06

Family

ID=5014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85A KR101534211B1 (ko) 2012-07-19 2012-07-19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208A (ja) * 1996-11-22 1998-06-09 Daifuku Co Ltd ブラインドボルトとそのブラインドボルトを用いたブラケット取り付け構造
JP2004332865A (ja) * 2003-05-09 2004-11-25 Akira Sugiyama 引き抜き弱強度材用インサ−ト及びアンカ−
JP2007023696A (ja) * 2005-07-20 2007-02-01 寛治 ▲魚▼谷 アンカーとそ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構造
JP2011074988A (ja) * 2009-09-30 2011-04-14 Total Electric Management Service 締結装置、締結方法および締結解除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208A (ja) * 1996-11-22 1998-06-09 Daifuku Co Ltd ブラインドボルトとそのブラインドボルトを用いたブラケット取り付け構造
JP2004332865A (ja) * 2003-05-09 2004-11-25 Akira Sugiyama 引き抜き弱強度材用インサ−ト及びアンカ−
JP2007023696A (ja) * 2005-07-20 2007-02-01 寛治 ▲魚▼谷 アンカーとそ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構造
JP2011074988A (ja) * 2009-09-30 2011-04-14 Total Electric Management Service 締結装置、締結方法および締結解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41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846B1 (ko) 원터치식 자동 철근커플러
JP5957257B2 (ja) 木部材接合構造
US9829026B2 (en) Anchor bolt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JP6208359B2 (ja) 螺旋鉄筋用鉄筋連結具
KR102453525B1 (ko) 구조용 커플러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846820B1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KR20190064240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KR20130125697A (ko)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KR101534211B1 (ko) 체결장치
KR101208677B1 (ko)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용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JP7243007B2 (ja) 木質梁接合構造
JP6192555B2 (ja) タイロッド用連結具
KR20130056134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JP6076871B2 (ja) ねじ節鉄筋の連結構造
KR101979898B1 (ko)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207160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0792556B1 (ko) 철근 이음기
KR101301158B1 (ko) 철근 결합구
KR102218772B1 (ko) 풀림을 방지하는 내진너트
KR10132868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무량판의 접합구조
KR20210120216A (ko) 철근 연결구
KR200464075Y1 (ko) 콘크리트 기둥 형틀 조임구
KR102317466B1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