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821B1 -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821B1
KR101533821B1 KR1020080108034A KR20080108034A KR101533821B1 KR 101533821 B1 KR101533821 B1 KR 101533821B1 KR 1020080108034 A KR1020080108034 A KR 1020080108034A KR 20080108034 A KR20080108034 A KR 20080108034A KR 101533821 B1 KR101533821 B1 KR 10153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tool
communication
serve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716A (ko
Inventor
강현주
이영호
김여진
장일구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21B1/ko
Priority to US12/557,639 priority patent/US20100115039A1/en
Publication of KR2010005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상대방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통신 툴을 추천해주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단말에 등록된 버디 리스트에 해당 버디의 상황과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대방의 상황을 고려한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 사용자의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은 서버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확장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컨텍스트, 통신 툴,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Description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serv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commending communication tool}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예측하고 그 상황에 알맞은 통신 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가 확장되고 Social Networking Service(SNS)가 제공되면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들끼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다.
PC에서 구동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예로 들면, 등록된 사용자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버디 리스트(Buddy List)에서 연락을 취하고자 하는 특정 버디를 선택한 후 통신을 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버디 리스트 상에 특정 사용자가 표시되어 있더라도 단순히 사용자의 이름 또는 ID만 표시될 뿐 통신 상대방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메시지를 보내더라도 상대방이 이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알 수 가 없다.
이와 같이 누군가에게 연락을 해야 할 때, 현재 연락 가능한 상태인지 미리 알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이 이루어 질 것이다. 예컨대, 상대방이 회의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 음성 통화보다는 간단한 문자 메시지가 더 적합할 것이다.
단말 간의 통신 또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있어서, 사용자가 처해있는 상황과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방법을 알려주는 통신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통신 방법 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버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며, 단말이 서버로부터 다른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을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는 적어도 1이상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 있어서, 이 서버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는 컨텍스트 분석부, 및 추정된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툴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에 있어서, 이 단말이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 을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서버로부터 다른 단말 사용자에 관한 현재 상황 또는 이 상황에 적합한 추천 통신 툴을 수신하며, 정보 공유가 허락된 버디(buddy)들의 리스트와 함께 해당 버디에 관한 현재 상태 또는 추천 통신 툴을 연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추천 통신 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제 1 단말로부터 제 1 단말에 관한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수집하는 단계, 서버가 수집된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 1 단말에 관한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을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이 서버로 자신의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수신된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여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단말이 수신된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확장 프로파일은 단말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온/오프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또는 사용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단말은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각 단말 사용자는 서로 버디(Buddy)로 등록되어 사용 중인 단말에 상대방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각 단말에는 상대방의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이 버디 리스트와 함께 연계하여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에 의하면, 사용자 프로파일에 단말 정보를 조합하여 동적으로 변하는 사용자 환경 정보를 알려 주고,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을 추천해 줌으로써 사용자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들(101, 102)과 서버(103)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네트워크(104)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들(101, 102)은 다른 기기와 통신 가능한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서버(103)는 사용자 단말들(101, 10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105, 106)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여 각각의 사용자(105, 106)에게 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USER1(105)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들(101)은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네트워크(104)를 통해 서버(103)로 전송한다. 여기서 확장 프로파일이란 USER1(105)에 관한 개인 프로파일(예컨대, 이름, ID, 사진 등)과 각 단말들(101)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단말의 종류, 전원의 ON/OFF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사용 시간 등)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 확장 프로파일은 동일한 포맷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사용자의 단말끼리 공유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103)는 수신된 확장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USER1(105)의 현재 상황을 추정한다. 예컨대, USER1(105) 소유의 단말 중에서 휴대폰과 네비게이션이 ON되어 있고 그 사용 위치가 도로라면 USER1(105)이 운전 중인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또 한, 서버(103)는 추정된 USER1(105)의 현재 상황에 가장 알맞은 통신 툴(communication tool)을 추천하여 USER2(106)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툴은 통신 수단과 통신 수행시의 통신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위와 같이 USER1(105)이 운전 중이라면, 휴대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보다는 네비게이션을 통한 음성 송출이 더 적합하므로 통신 툴로써 네비게이션과 음성 송출이 추천될 수 있다.
USER2(106)의 각 단말(102)은 서버(103)로부터 USER1(105)에 대한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을 제공받아 이를 표시한다. 예컨대, USER2(106)가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버디 리스트(buddy list)에 USER1(105)의 개인 정보가 표시되고 이와 연계하여 USER1(105)의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이 휴대폰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 예의 경우, USER2(106)는 USER1(105)이 운전 중인 상황을 고려하여, 통신 수단으로 네비게이션을 선택하고 통신 모드를 음성 대화로 선택하여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이 개시될 때 서로 연결되는 단말이 다른 기종일 경우(예컨대, 휴대폰과 네비게이션), 각 단말들(101, 102)은 음성과 텍스트를 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 예에서, USER2(106)가 휴대폰에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더라도 이것이 음성으로 변환되어 USER1(105)의 네비게이션에서 음성으로 송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3)는 데이터베이스(201), 컨텍스트 분석부(202), 통신 툴 추천부(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확장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그 상황에 알맞은 통신 툴을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추정된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로 제공되어 그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1)는 각각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확장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여기서 확장 프로파일이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관한 개인 프로파일(예컨대, 이름, ID, 사진 등)과 단말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단말의 종류, 전원의 ON/OFF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사용 시간 등)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개의 단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확장 프로파일은 사용자 별로 등록되어 관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한다. 예컨대, 도 1에서, USER1(105)에 관련된 확장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회의실에서 PDA가 ON 상태이고 PDA 상에서 스케줄 편집기 프로그램이 구동 중이라면, USER1(105)의 현재 상황은 회의 중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통신 툴 추천부(203)는 추정된 현재 상황을 토대로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한다. 여기서 추천되는 통신 툴이란 그 상황에 알맞은 통신 수단(예컨대, 통신 단말의 종류) 및 통신 모드(예컨대,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등)가 될 수 있 다. 예컨대, 위 예에서, 통신 툴 추천부(203)가 USER1(105)의 현재 상황과 그 상황에 적합한 추천 통신 툴을 USER2(106)의 단말에 제공하면, USER2(106)가 가지고 있는 단말 상에 USER1(105)이 회의 중이고 따라서 PDA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장 프로파일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장 프로파일(300)은 사용자 프로파일(301)과 단말의 상태 정보(302)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301)은 사용자의 이름, 사진, ID 등이 될 수 있으며, 단말의 상태 정보(302)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ON/OFF 여부, 사용 시각, 사용 위치,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프로파일(301)로 사용자 ID만 표시하였다.
이 확장 프로파일은 각 단말에서 수집되어 서버로 전송되는데, 수집 및 전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로 전송된 확장 프로파일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며, 한 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확장 프로파일(300)은 사용자 ID 별로 구분되어 등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컨텍스트 분석부(202)가 현재 상황을 추정하는 방식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의 위치가 회사이고 소지하고 있는 PDA에서 스케줄 편집기 프로그램이 구동 중이며 그때의 시간이 오전 10시라고 하면, 이 사람의 현재 상황 은 회의 중인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사람의 행동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가능한 상황의 예상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이러한 상황 분석 테이블(400)을 가질 수 있다.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확장 프로파일과 상황 분석 테이블(400)의 각 항목을 매칭하여 현재 상황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위치, 사용 중인 단말의 종류, 그 단말의 상태(즉,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ON되어 있는 다른 단말, 시간 등을 상황 분석 테이블(400)과 매칭하여 가장 유사하게 매칭되는 상황을 현재 상황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4 에서 설명된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각 항목에 가중치를 다르게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밖에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말에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원이 ON 되어 있는 단말이 OFF되어 있는 단말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동일하게 전원이 ON되어 있더라도 실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이거나 사용자 입력이 있는 단말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도 5는 컨텍스트 분석부(202)와 통신 툴 추천부(20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사용자 ID를 인식하여 그 사용자가 "K" 라는 사용자임을 추출한다. 이어서 "K" 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휴대폰의 경우 거의 모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휴대폰으로부터 수 신 받은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면 그 위치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써, "K" 가 "집" 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K" 가 사용 중인 단말을 파악한다. 이것은 확장 프로파일 중 전원의 ON/OFF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일 예로써, 사용 중인 단말이 휴대폰과 IPTV라면 해당 단말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파악한다. 여기서는 휴대폰이 통화 중이고 IPTV에서는 채널 6번 드라마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그때의 시각을 파악한다. 이러한 경우, 컨텍스트 분석부(202)는 현재 "K"가 "집"에서 "TV 시청 중" 이라는 상황을 추정할 수가 있다.
통신 툴 추천부(203)는 추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한다. 도 5에서, 컨텍스트 분석부(202)에 의해 추정된 상황이 "K"가 "집"에서 "TV 시청 중" 인 것으로 예측되었으므로, 추천 통신 툴은 "IPTV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툴 추천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와 마찬가지로 통신 툴에 관한 테이블(600)을 미리 마련한 후 추정된 현재 상황을 매칭하여 추천 통신 툴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700)은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단 말(700)은 프로파일 관리부(701), 표시부(702), 통신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부(701)는 확장 프로파일을 수집하여 서버(103)로 전송한다. 확장 프로파일은 사용자 프로파일과 단말(7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700)의 상태 정보는 종류, 전원의 ON/OFF 여부, 사용 시각, 사용 위치,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단말(700)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700)의 상태 정보는 별도의 센서 모듈로부터 입력 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 위치의 경우, 단말(700)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표시부(702)는 서버(103)로부터 다른 단말 사용자에 관한 현재 상황 및/또는 이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 받아 단말(700)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각 단말(700)에는 정보 공유가 허락된 다른 사용자들(예컨대, 버디(Buddy))이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의 경우 저장된 주소록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표시부(702)는 버디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때 해당 버디에 관한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이 연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서버(103)가 다른 단말 사용자에 관한 현재 상황 및/또는 추천 통신 툴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다른 기종의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통신부(703)가 음성을 텍스트로 또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702)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702)는 정보 공유가 허락된 버디(buddy)들의 리스트와 함께 해당 버디에 관한 현재 상태 정보(801)와 추천 통신 툴 정보(802)를 연계하여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 등록된 버디의 기본 정보(803)에는 사진, 이름, 나이, 현재 위치, 수동으로 입력된 현재 기분, 해당 버디의 현재 상태 정보(801)가 표시될 수 있다. 현재 상태 정보(801)는 확장 프로파일을 통해 추정된 정보이므로, 도시된 것처럼, Maybe...Relaxing, Maybe...Busy 등과 같이 표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천 통신 툴 정보(802)의 경우, 해당 버디와 통신 가능한 단말의 종류를 다른 색의 Bar 형태로 나타내고, 특정 Bar를 선택하였을 때 가능한 통신 모드를 팝업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Rosa의 경우 IPTV, 휴대폰, PC가 사용 중에 있으며 어떤 단말이든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휴대폰에 해당하는 바를 클릭하면 이것이 펼쳐지면서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702)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버디 리스트가 위젯 스타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있는 친구들 또는 지인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원의 바깥 쪽에 배치하고 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원의 중앙부에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가족들만 멤버로 묶은 버디 리스트를 예시한 것으로, 아들에게 연락을 취하고자 아들을 선택하면, 현재 아들이 어느 위치에 있고 어떤 상태인지 스케줄과 연동하여 원 중앙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아들과 연락 가능한 통신 툴이 원 중앙 하단에 표시되고 해당 통신 툴을 선택하면 현재 사용 가능한 단말로 바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다수의 단말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제 1 단말이 자신의 확장 프로파일을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01). 확장 프로파일은 사용자 프로파일 및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도 3에서 예시한 확장 프로파일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가 수신된 확장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한다(S102). 이때,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은 제 2 단말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상황 추정 및 통신 툴 추천을 위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내용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제 2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1 단말 사용자에 대한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을 표시한다(S103). 표시되는 화면은 도 8 및 도 9에서 예시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하면, 특정 그룹(예 컨대, 메신저 상의 친구 그룹) 멤버들의 현재 상황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 상황에 알맞은 통신 툴이 제공되기 때문에 각 멤버들과 쉽고 빠르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프로파일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분석 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추천되는 통신 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Claims (23)

  1.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획득된 예상 상황들을 포함하는 상태 분석 테이블을 매칭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을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온/오프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또는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또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사용자의 단말들은 상기 확장 프로파일을 동일한 포맷으로 서로 공유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6. 적어도 1이상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획득된 예상 상황들을 포함하는 상태 분석 테이블;
    상기 확장 프로파일 및 상기 상태 분석 테이블을 매칭하여 상기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는 컨텍스트 분석부; 및
    상기 추정된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툴 추천부; 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온/오프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또는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확장 프로파일이 사용자 별로 등록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추정된 현재 상황 및 추천된 통신 툴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정보 공유가 허락된 버디(buddy)들 사이에만 추정된 현재 상황 또는 추천된 통신 툴을 제공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서버.
  12.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에 있어서,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단말 사용자에 관한 현재 상황 또는 이 상황에 적합한 추천 통신 툴을 수신하며, 정보 공유가 허락된 버디(buddy)들의 리스트와 함께 해당 버디에 관한 현재 상태 또는 추천 통신 툴을 연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추천 통신 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단말 사용자에 관한 현재 상황은,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에 수신되는 확장 프로파일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획득된 예상 상황들을 포함하는 상태 분석 테이블을 매칭하여 상기 서버에서 추청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또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온/오프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또는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선택된 통신 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때 다른 기종의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음성을 텍스트로 또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는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말.
  17.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 1 단말로부터 제 1 단말에 관한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확장 프로파일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획득된 예상 상황들을 포함하는 상태 분석 테이블을 매칭하여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에 관한 상기 현재 상황 및 추천 통신 툴을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와 상기 제 2 단말 사용자는 서로 버디(buddy)로 등록되어 정보 공유가 가능한 통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또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프로파일 및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종류, 전원의 온/오프 여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 위치, 또는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22.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서버 및 적어도 1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이 상기 서버로 자신의 확장 프로파일(expanding profile)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신된 상기 확장 프로파일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획득된 예상 상황들을 포함하는 상태 분석 테이블을 매칭하여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상황에 적합한 통신 툴을 추천하여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수신된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추천 통신 툴을 버디 리스트와 함께 연계하여 표시하는 통신 방법.
KR1020080108034A 2008-10-31 2008-10-31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53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34A KR101533821B1 (ko) 2008-10-31 2008-10-31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2/557,639 US20100115039A1 (en) 2008-10-31 2009-09-11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commending communication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34A KR101533821B1 (ko) 2008-10-31 2008-10-31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16A KR20100053716A (ko) 2010-05-24
KR101533821B1 true KR101533821B1 (ko) 2015-07-10

Family

ID=4213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34A KR101533821B1 (ko) 2008-10-31 2008-10-31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15039A1 (ko)
KR (1) KR1015338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111A (ja) * 2004-11-25 2006-06-15 Fujitsu Ltd 優先順位付通信システム
KR20070088599A (ko) * 2004-09-08 2007-08-29 야후! 인크. 모바일 메시징용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KR20080046060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 단말장치, VoIP 통신시스템 및 그 프리젠스확인방법
KR20080045997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4415B2 (en) * 2001-03-16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Priorities generation and management
US7233933B2 (en) * 2001-06-28 2007-06-1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rchitecture for cross-device activity monitoring, reasoning, and visualization for providing status and forecasts of a users' presence and availability
US20030217142A1 (en) * 2002-05-15 2003-11-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of presence information regarding one or more telephony devices
US20040039630A1 (en) * 2002-08-12 2004-02-26 Begole James M.A. Method and system for inferring and applying coordination patterns from individual work and communication activity
US7317716B1 (en) * 2003-07-25 2008-01-08 Verizon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ce-based telephony communications
US7668157B2 (en) * 2003-07-25 2010-02-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esence based telephony
US7669177B2 (en) * 2003-10-24 2010-02-2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ference application installation and execution
GB0418411D0 (en) * 2004-08-18 2004-09-22 King S College London A method of discovering contact means for network access devices
US9454735B2 (en) * 2005-09-26 2016-09-27 Nokia Corporation Integrating data with a contact
US7319908B2 (en) * 2005-10-28 2008-01-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device power/mode management
US9251521B2 (en) * 2006-05-12 2016-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cation-based alerting
US8688822B2 (en) * 2006-07-05 2014-04-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Push e-mail inferred network presence
US9055413B2 (en) * 2006-11-06 2015-06-09 Plantronics, Inc. Presence over existing cellular and land-line telephone networks
JP2008227810A (ja) * 2007-03-12 2008-09-25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選択装置、通信装置選択システム、交換装置及び通信装置選択プログラム
US8756283B2 (en) * 2007-12-19 2014-06-17 Rockstar Consortium USLP Integrated web portal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with an intended party
US8140390B2 (en) * 2008-02-12 2012-03-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artial advertising data during trick 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599A (ko) * 2004-09-08 2007-08-29 야후! 인크. 모바일 메시징용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JP2006157111A (ja) * 2004-11-25 2006-06-15 Fujitsu Ltd 優先順位付通信システム
KR20080046060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 단말장치, VoIP 통신시스템 및 그 프리젠스확인방법
KR20080045997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5039A1 (en) 2010-05-06
KR20100053716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20160092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tact information inference
KR20020074304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819503B2 (en) Server device for exchanging messages
JP201204870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8856A (ko) 인스턴트 메시징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99852A1 (en) Information sharing control system
CN104158985A (zh) 通话方法、装置和系统
US112272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126754B2 (ja) メッセージ伝送方法、メッセージ伝送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286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13609B1 (ko)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533821B1 (ko) 통신 툴을 추천하는 통신 시스템, 서버,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JP2017084329A (ja) 情報提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示方法
US20190260705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uterized connections between persons and generating computerized introductions
CN102790830B (zh) 扩展移动通信终端的功能的方法和装置
KR1020533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퍼런스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32563A (ko) 모임 장소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937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모임 안내 방법 및 온라인 모임 안내 서버
KR20100066088A (ko) 인맥정보 제공방법, 인맥정보 수신방법, 인맥정보 제공장치및 전자장치
KR100803527B1 (ko) Url 기반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536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만남 요청 방법
JP4725247B2 (ja) ワークプレー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144386A (zh) 信息交互与协作的方法及设备
KR101456674B1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인구직 정보를 폰 주소록에 저장된 인맥에게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