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93B1 - 회전형 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93B1
KR101533693B1 KR1020140029597A KR20140029597A KR101533693B1 KR 101533693 B1 KR101533693 B1 KR 101533693B1 KR 1020140029597 A KR1020140029597 A KR 1020140029597A KR 20140029597 A KR20140029597 A KR 20140029597A KR 101533693 B1 KR101533693 B1 KR 10153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main body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스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스톰
Priority to KR102014002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에 의해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형성하여 본체와 지지대가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 보강함으로써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방 케이스와 후방케이스의 하측에는 요철로 맞물리는 하측 결합부를 형성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걸레 청소기{CLEANER WITH ROTATION-TYPE CLOTH}
본 발명은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에 의해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형성하여 본체와 지지대가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 보강함으로써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방 케이스와 후방케이스의 하측에는 요철로 맞물리는 하측 결합부를 형성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청소기로, 특허문헌에 공지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형 청소기는, 일측에 지지대(40)가 결합되고 그 반대측에 힌지(11a)가 구비되며, 내부에 충방전용 배터리(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일측에 청소기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52)가 구비된 손잡이(50)와, 본체(10)와 손잡이(50)를 연결하는 지지대(40), 상측에 회전형 힌지(34)를 구비하여 회전형 힌지(34)를 통해 본체(10)와 결합되고, 원판형 걸레(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3)를 구비한 헤드(30) 및 상기 헤드(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33)에 결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용 천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걸레(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12), 물통(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버(13) 및 물통(20)의 물을 토출하기 위한 물공급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1)는 일단에 힌지(11a)가 형성됨과 더불어 타단에 지지대(40)를 삽입 결합하기 위한 지지대 결합홈(1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청소기는, 배터리(12)가 본체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배터리(12)를 교체할 할 때, 본체 케이스(11)를 분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지지대(40)를 지지대 결합홈(11b)에 삽입 결합하는 구조인데, 지지대(40)를 지지대 결합홈(11b)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억지 끼워져야 하므로,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지지대(40)를 지지대 결합홈(11b)에 억지 끼움하는 과정에서, 지지대(4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힌지(11a, 34)에 의해 본체(10)와 헤드(30)가 결합되는 구조로,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결합구조가 복잡해진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15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에 의해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형성하여 본체와 지지대가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 보강함으로써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방 케이스와 후방케이스의 하측에는 요철로 맞물리는 하측 결합부를 형성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는 밀대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구동본체를 포함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밀대 어셈블리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와 결합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하측에는 전후방 하측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측 결합부와 상기 후방 하측 결합부는 요철로 맞물리며, 상기 장착홈에는 배터리 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받침부의 상측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 받침부의 하측에는 상기 배터리, PCB기판 및 충전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ㄷ'자 형상의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후방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를 마련하여, 덮개의 개폐에 의해 사용자가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밀대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부분에 파이프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기를 사용할 때 밀대 어셈블리가 심하게 눌려 본체에 무리한 힘을 가하더라도 파이프가 보강 기능을 하여 본체의 파손을 최대한 억제시키기 때문에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어, 설령 파이프가 파손되더라도 이 부품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쉽다.
또한, 전방 케이스 하측에 연장 형성된 전방 하측 결합부와 후방 케이스 하측에 연장 형성된 후방 하측 결합부가 요철로 맞물리는 구조이므로,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가 결합되면 미끄럼이 방지되어 전단하중에 의한 파손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밀대 어셈블리에 형성된 돌기가 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밀대 어셈블리와 파이프를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선이 없는 무선타입의 회전형 걸레 청소기이므로, 사용자가 청소기를 구동할 때 전선이 꼬이거나, 전선에 의해 청소하려는 진로를 방해받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가 충전부를 통해 충전용 어댑터와 연결되어 충전되므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와 힌지부재에 충격흡수부재를 더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쳐 밀대 어셈블리가 바닥에 부딪히더라도,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청소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를 관통하는 볼트를 마련하여 하측 결합부와 힌지부재를 볼트결합하므로 청소기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충격흡수부재가 볼트머리를 감싸고 있는 구조를 사용하여 볼트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방케이스와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가 밀대 어셈블리 하측과 연결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청소기를 밀 때 힘이 적게 들도록하면서도, 청소기에 무게감이 실려 걸레가 바닥 등을 닦을 때, 작은 힘으로도 깨끗하게 바닥을 닦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가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전방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후방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후방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서 회전판이 회전축에서 분리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회전판과 회전축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결합 단면도.
도 14은 종래의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전방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의 후방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후방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서 회전판이 회전축에서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회전판과 회전축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연결되는 밀대 어셈블리(11, 12)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되는 구동본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전방케이스(2)와, 상기 전방케이스(2)와 결합되는 후방케이스(5)와, 상기 후방케이스(5)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가 장착되는 장착홈(33)과, 상기 장착홈(33)을 개폐하는 덮개(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2)와 상기 후방케이스(5)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밀대 어셈블리(11, 12)를 지지하는 파이프(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케이스(2)의 하측에는 전방 하측 결합부(50a)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방케이스(5)의 하측에는 후방 하측 결합부(50b)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하측 결합부(50a)와 상기 후방 하측 결합부(50b)는 요철(50c, 50d, 50c', 50d')로 맞물리는 하측 결합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대 어셈블리는 손잡이(11)와, 상기 손잡이(11)의 하단에 연결되어 본체(10)와 연결 지지해주는 지지대(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배터리(4)와, 배터리(4)와 연결되어 회전형 걸레 청소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장착된 PCB 기판(39) 등이 수용되며,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10)는 전방 케이스(2)와, 전방 케이스(2)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3)와, 전방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3)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 마감판(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 케이스(2)는 평편한 전방 플레이트(22)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각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된 전방 연장부(23a, 23b)가 더 형성되는데, 전방 연장부(23a, 23b)는 전방 플레이트(22)의 상측에 형성된 제1 전방 연장부(23a)와 전방 플레이트(22)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전방 연장부(23b)이다.
마찬가지로, 후방 케이스(5)는 평편한 후방 플레이트(24)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각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된 후방 연장부(25a, 25b)가 더 형성되며, 상기 후방 연장부(25a, 25b)는 후방 플레이트(24)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후방 연장부(25a)와 후방 플레이트(24)의 하측에 형성된 제2 후방 연장부(25b)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는 제1 전방 연장부(23a)와 제1 후방 연장부(25a), 제2 전방 연장부(23b)와 제2 후방 연장부(23b)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때, 전방 연장부(23a, 23b)와 후방 연장부(25a, 25b)의 끝단에는 각각 반원 형상의 절개부가 더 형성되는데,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가 결합하면, 본체(10) 상하측에 각각 원형 절개부(26, 27)가 형성된다.
본체(10) 상측에 형성된 절개부(26)에는 파이프(13)가 설치된다.
즉, 파이프(13)를 사이에 두고,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가 마주보고 있는 구조이다.
전방 케이스(2)와 파이프(13)와 후방 케이스(5)는 스크류(미도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전방 연장부(23a)의 후면에 형성된 제1 상측 결합부(29)와, 파이프(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상측 결합부(30)와, 제1 후방 연장부(25a)의 후면에 형성된 제3 상측 결합부(31)로 이루어진 상측 결합부(28)가 형성된다.
제1 상측 결합부(29)는 제1 전방 연장부(23a)의 후면, 즉,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9a)와 제1 돌출부(29a)의 일부 혹은 전체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을 포함한다.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은 제1 전방 연장부(23a)의 후방에 설치되는데, 좌우측에 각각 4개씩 총 4쌍이 형성된다.
즉, 제1 상측 결합부는 총 8개의 제1 돌출부(29a)와 각각의 제1 돌출부(29a)에 형성되는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13)의 외주면 좌우측에는, 파이프(13)의 외측방향으로 브라켓(30a)이 형성되고, 브라켓(30a)에는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이 형성된다.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은 브라켓(30a)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좌우측의 브라켓(30a)에 각각 4개의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은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과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파이프(13)와 전방 케이스(2)를 스크류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브라켓(30a)에서 전방 케이스(2)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0c)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은 제2 돌출부(30c)를 모두 관통하도록 연장관통된다.
파이프(13)와 전방 케이스(2)를 결합할 때, 제2 돌출부(30c)의 일측과 제1 돌출부(29a)의 타측은 서로 맞닿아 있게되므로, 손쉽게 스크류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 상측 결합부(31)는 제1 후방 연장부(25a)의 후면, 즉,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31a)와, 제3 돌출부(31a)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을 포함한다.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은 제3 돌출부(31a)와 제1 후방 연장부(25a)를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은 한 쌍, 총 두 개가 형성되는데, 제1 후방 연장부(25a)의 좌우측에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은 제2 스크류 결합공(30b')과 제1 스크류 결합공(29b')과 동일한 중심축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3 돌출부(31a)는 일측이 브라켓(30a)에 닿도록 형성되어,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의 중심과 과 제2 스크류 결합공(30b')의 중심이 동일선상에 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측 결합부(28)에 의하면, 전방 케이스(2)와 파이프(13)와 후방 케이스(5)의 상측은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전방 케이스(2)의 제1 상측 결합부(28)와 파이프(13)의 제2 결합부(3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제2 돌출부(30c)의 일측과 제1 돌출부(29a)의 타측이 맞닿도록 한다.
제1 스크류 결합공(29b, 29b')의 중심과 제2 스크류 결합공(30b, 30b')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제1 스크류 결합공(29b)과 제2 스크류 결합공(30b)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파이프(13)는 전방 케이스(2)에 결합되는 것이다.
후방 케이스(5)의 제3 상측 결합부(31)와 파이프(13)의 제2 결합부(3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제3 돌출부(31a)의 끝단이 브라켓(30a)과 맞닿도록 한다.
이때, 제3 스크류 결합공(31b')의 중심은 제1 스크류 결합공(29b')의 중심 및 제2 스크류 결합공(30b')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오게 된다.
제1 스크류 결합공(29b')과 제2 스크류 결합공(30b')과 제3 스크류 결합공(31b')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에 의해 후방 케이스(5)와 파이프(13)와 전방 케이스(2)가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즉, 다수의 스크류 결합공(29b, 29b', 30b, 30b',31b')에 의해 전방 케이스(2)와 파이프(13)와 후방 케이스(5)가 결합되는 구조인데, 전방 케이스(2)와 파이프(13)는 총 3쌍(6개)의 제1, 2 스크류 결합공(29b, 30b)에 의해 스크류결합되고, 후방 케이스(5)와 파이프(13)는 총 1쌍(2개)의 제2, 3 스크류 결합공(30b', 31b')에 의해 스크류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방 케이스(5)와 파이프(13)가 결합되는 제2, 3 스크류 결합공(30b', 31b')은 제1 스크류 결합공(29b')과도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후방 케이스(5)와 파이프(13) 및 전방 케이스(2)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후방 케이스(5)의 후방 플레이트(24)에는 배터리(4)를 수용하는 장착홈(33)이 형성된다.
장착홈(33)은 사각 형상의 포켓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홈(33)에는 수용된 배터리(4)를 지지하는 배터리 받침부(38)가 더 형성된다.
받침부(38)는 장착홈(33)의 바닥면(33a)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33)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한다.
받침부(38)를 기준으로 받침부(38)의 상측에는 배터리(4)가 수용되고, 받침부(38)의 하측에는 배터리(4)와 PCB기판(39) 및 충전부(45)를 연결하는 전선(40)이 수용된다.
전선(40)의 일단은 배터리(4)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배터리(4)에 전선(40)이 연결된 부분이 받침부(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배터리(4)를 장착한다.
이때, 배터리(4)에 연결된 전선(40)이 PCB기판(39) 및 충전부(45)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받침부(38)에는 'ㄷ'자 형상의 홈(38a)이 더 형성된다.
'ㄷ'자 형상의 홈(38a)에 의해 전선(40)은 받침부(38)의 하측으로 안내된다.
배터리(4)와 연결되는 전선(40)은 두 가닥이 한 쌍을 이루는데, 한 쌍의 전선(40)은 바닥면(33a)에 형성된 홀(42)을 통해, 후방 케이스(5)의 후면, 즉,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후방 케이스(5) 후면으로 안내된 전선(40) 중 한 가닥은 PCB기판(39)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충전부(45)에 연결된다.
PCB기판(39)은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 사이에 형성된다.
PCB기판(39)은 배터리(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동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다.
PCB기판(39)은 사각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며, PCB기판(39) 네 개의 꼭짓점에는 PCB기판(39)을 전방 케이스(2) 후면에 결합하기 위한 기판 결합공(43)이 형성된다.
PCB기판(39)은 전방 케이스(2) 후면에 형성된 기판 지지대(44)에 스크류결합된다.
기판 지지대(44)는 전방 케이스(2)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심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이 더 형성된다.
PCB기판(39)의 결합공(43)을 기판 지지대(44)에 맞춰 설치한 후, 스크류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전선(40)에 의해 배터리(4)에 연결된 충전부(45)는 후방 플레이트(5) 하측에 형성된다.
충전부(45)에는 충전용 어댑터(미도시)를 연결하여 배터리(4)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부(45)에는 어댑터(미도시)의 단자를 수용하는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홀은 전선(40)에 의해 배터리(4)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4)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바로 배터리(4)를 충전하여 회전형 걸레 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배터리(4)와 전선(40)이 수용되는 장착홈(33)은 덮개(6)에 의해 밀폐되어, 배터리(4)와 전선(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덮개(6)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는데, 끼움결합되는 하나의 변과, 스크류결합되는 세 개의 변에 의해 덮개(6)가 후방 플레이트(24)에 결합됨으로써, 장착홈(33)이 밀폐되는 구조이다.
덮개(6)의 상변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고, 장착홈(33)의 상측에는 끼움돌기(34)를 끼우기 위한 끼움홈(35)이 형성된다.
끼움돌기(34)를 끼움홈(35)에 삽입시켰을 때, 덮개(6)와 후방 플레이트(24)를 평편하게 하기 위해, 장착홈(33)의 테두리에는 단턱(36)이 더 형성된다.
단턱(36)에는 덮개(6)의 테두리가 안착된다.
덮개(6)의 좌측변 및 우측변에는 상기 덮개(6)를 후방 플레이트(24)에 스크류결합하기 위한 결합공(37)이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7)은 덮개(6)와 후방 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결합공(37)은 덮개(6)의 좌우측변 중심부에 원형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후방 플레이트(24)의 단턱(36)에 걸쳐져서 형성된다.
또한, 덮개(6)의 하변에도 후방 플레이트(24)와 스크류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33)의 바닥면(33a)은 전방 플레이프(24)와 스크류결합된다.
이를 위해 바닥면(33a)의 후면에는 본체(10)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중앙 결합부(46a)와, 전방 플레이트(22)의 후면에서 본체(10)의 내측방향을 향하되, 상기 전방 플레이트(22)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중앙 결합부(46b)가 스크류결합된다.
제1 중앙 결합부(46a)의 중심과 제2 중앙 결합부(46a)의 중심이 동일선상에 오도록하고, 중앙 결합부(46a, 46b)를 관통하는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도록하여, 바닥면(33a) 측으로부터 스크류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앙 결합부(46a, 46b)는 총 4쌍이 형성된다.
제2 전방 연장부(23b)와 제2 후방 연장부(23b) 또한 스크류결합되되, 결합구조는 중앙 결합부(46a, 46b)에 의해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며, 제2 전후방 연장부(23b, 25b)의 결합부는 두 쌍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돌출부(29a), 제2 돌출부(30c), 제3 돌출부(31a), 기판 지지대(44), 중앙 결합부(46a, 46b)의 외주면에는 보강대가 더 형성되어, 상기 결합을 위한 부재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스크류가 결합될 때,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보강대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어 제품이 파손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전방 연장부(23b)와 제2 후방 연장부(25b)의 일단에는 반원 형상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절개부에는 상기 절개부의 형상인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하측 결합부(50, 50a, 50b)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결합부(50)에 의해 결합되는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2)의 하부 요철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므로 미끄럼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단 하중에 의해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 케이스(2)의 하측에는 전방 하측 결합부(50a)가 형성된다.
전방 하측 결합부(50a)는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써, 양측변에 오목한 요(50c)부분과 볼록한 철(50d)부분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요철(50c, 50d)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후방 하측 결합부(50b)는 후방 케이스(5) 하측에 형성되며, 전방 하측 결합부(50a)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써 형성되어, 양측변에 오목한 요(50c')부분과 볼록한 철(50d')부분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요철(50c', 50d')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방 하측 결합부(50a)에 형성된 요철(50c, 50d)에 각각 대응되도록 홈과 돌기가 형성된다.
즉, 전방 하측 결합부(50a)에 형성된 요(50c)에는 후방 하측 결합부(50b)에 형성된 철(50d')이 끼워지고, 전방 하측 결합부(50a)의 철(50d)은 후방 하측 결합부(50b)의 요(50c')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 하측 결합부(50a)의 요철(50c, 50d)은 후방 하측 결합부(50b)의 요철(50c', 50d')에 각각 맞물려 설치되므로 미끄럼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단 하중에 의한 제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립된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의 양측면은 측면 마감판(3)에 의해 마감된다.
측면 마감판(3)은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측면을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의 측면에는 단턱(51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마감판(3)의 후면에는 상기 단턱(51a)과 대응되는 단턱(51b)이 더 형성되어 측면 마감판(3)이 전방 케이스(2)와 후방 케이스(5)의 측면에 확실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 전후방 연장부(23a, 25a)의 절개부 중심에는 위치결정돌기(60a)가 더 형성된다.
파이프(13)에는 위치결정돌기(60a)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홈(60b)이 더 형성되어 파이프(13)와 전방 케이스(2) 및 후방 케이스(5)의 위치관계를 손쉽에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에 스크류결합되어 고정된 파이프(13)에는 지지대(12)가 끼움결합된다.
지지대(12)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중공의 봉으로써, 지지대(12)의 일측에는 손잡이(11)가 형성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면이 원형형상인 봉을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을 때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지지대(12)는, 지지대(12)의 하측이 파이프(13)의 상측에 끼워짐으로써 본체(10)와 결합된다.
지지대(12)가 파이프(13) 내부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지지대(12)의 외경과 파이프(13)의 내경이 같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대(12)와 파이프(13)가 형성되면, 지지대(12)와 파이프(13)가 결합된 후에는 지지대(12)와 파이프(13) 상호간에 흔들림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지지대(12)를 파이프(13)에 끼울 때 억지끼움 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을 많이 들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2) 하측에 형성되되, 지지대(12)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4)와, 파이프(13)에 형성되되, 돌기(14)가 관통되는 관통공(15)이 더 형성된다.
즉, 지지대(12)를 파이프(13)에 삽입시키면, 돌기(14)가 관통공(15)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지지대(12)의 외경을 파이프(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더라도, 지지대(12)를 파이프(13)에 끼워 넣으면, 파이프(13) 안으로 지지대(12)가 삽입되고, 이때, 돌기(14)는 파이프(13)의 내주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돌기(14)는 파이프(13)에 의해 지지대(12) 내측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지지대(12)는 파이프(13)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파이프(13)에 형성된 관통공(15)에 돌기(14)가 수용됨으로써, 지지대(12)와 파이프(13) 사이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돌기(14)가 관통공(15)에 수용되면, 상기 돌기(14)의 일부는 파이프(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진다.
돌기(14)의 일부를 파이프(13)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지지대(12)와 파이프(13)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돌기(14)를 눌러주어 지지대(12)를 파이프(13)로부터 빼내면, 지지대(12)와 파이프(13)를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즉, 돌기(14)와 관통공(15)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사용자가 지지대(12)와 파이프(13)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 손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관통공(15)이 후방 케이스(5)와 파이프(13)의 결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었는데, 후방 케이스(5)의 제1 후방 연장부(25a)에 관통공(15)의 중심축과 동일한 관통공(15a)을 더 형성하여, 상기 돌기(14)를 이용하여 지지대(12)와 파이프(13)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지지대(12) 하측에는 파이프(13)에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고 손쉽게 알 수 있도록 가이드 홈(55a)이 더 형성된다.
파이프(13)에는 상기 가이드 홈(55a)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55b)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지대(12)를 파이프(13)에 삽입할 때, 지지대(12)의 위치 및 각도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지대(1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1)는,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다면, 지지대(12)와 손잡이(11)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대(12)와 손잡이(11)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부재(16)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또한, 손잡이(11)에는 청소기(1)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11a)가 형성되며, 스위치(11a)는 일반적인 청소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재(16)에는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32)가 더 형성된다.
충격흡수부재(32)는 사용자가 손잡이(11)를 놓쳐 바닥으로 지지대(12)와 손잡이(11)가 떨어질 때, 바닥에 제일 먼저 닿아 충격을 흡수하여 회전형 걸레 청소기(1)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측 결합부(50)에 연장 형성된 절개부(27)에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1)의 구동부(100)가 힌지부재(51)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 결합부(50)가 힌지부재(51)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사용자가 회전형 걸레 청소기(1)를 사용하다가 손잡이(11)를 놓치게 되면, 힌지부재(51)에 의해 손잡이(11)와 지지대(12) 및 이와 연결된 본체(10)도 바닥으로 떨어져 충격을 받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힌지부재(51)의 후방에 충격흡수부재(32)를 마련하였으며, 상기 충격흡수부재(32)는 힌지부재(51)와 후방 하측 결합부(50b)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하측 결합부(50b)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삽입부(55)가 더 형성된다.
볼트삽입부(55)는 후방 하측 결합부(50b) 내측면에서 돌출형성되되, 중심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볼트에 의해 충격흡수부재(32)와 본체(10)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11)를 놓쳐 청소기(1)가 바닥에 부딪히는 충격을 받더라도, 손잡이(11) 하측에 형성된 충격흡수부재(32)와 힌지부재(51) 후방에 형성된 충격흡수부재(32)에 의해 청소기(1)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32)를 관통하여 힌지부재(51)와 하측 결합부(50)를 결합할 수 있어,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아름답고, 볼트를 조립분해하는 것이 손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걸레 청소기(1)는 구동본체(100)와, 구동본체(100)에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구동본체(100)에 장착된 채 회전축(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50)와, 회전축(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17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본체(100)는 베이스 어셈블리로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13)의 하면에는 이물질이 회전판(130)과 회전판(13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원케이블이 그 사이로 빨려들어가 회전판(13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턱(115)이 전후방에 마주한 채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동본체(100)의 후면에는 힌지부재(51)에 의해 본체(1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0)는 지지대(12)와 손잡이(11)로 이루어진 밀대 어셈블리(11, 12)와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30)은 수직한 핀 형태로서, 외주면에 키홈(131), 다각면(133), 홈(135)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재(150)는 모터(151), 모터(15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웜(153), 웜(153)과 맞물린 웜 휠(155)로 이루어진다.
윔 휠(155)에는 회전축(130)이 키 홈(135)을 통해 결합된다.
회전판(170)은, 외형을 이루는 판체(180)와, 이 판체(180)에 설치되는 착탈부재(190)로 이루어진다.
판체(180)는 상판(181)과, 상판(181)의 밑면에 스크류 체결되는 하판(18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181)의 중심에는 관통공(1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181)에는 관통공(184)을 중심으로 위와 아래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 파이프(185)와 파이프(187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파이프(185)는 회전축(130)이 삽입되는 삽입부(185)로서 다각면으로 형성된 다각관체(185)로 구성되어, 회전축(130)의 다각면(133) 또는 다각 외주면(133)이 다각관체(185)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다각면(133)과 다각관체(185)는 단면이 6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6각형은 회전축(130)의 다각면(133)이 다각관체(185)에 쉽게 안내 삽입되는 원형에 가까우면서도 서로 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 전달이 별도의 부품 없이도 잘 전달시킬 수 있다.
다각관체(185)는 그 외주면에 지지관체(186)가 형성되고, 살빼기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리브(186a)로 연결되어, 중량을 줄이면서도 회전축(130)에 대해 착탈될 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착탈부재(190)는 돌기(195)가 C링(193)의 내주면에 형성된 C링부(191)와, 돌기(195)의 탄성 변형을 하면서 C링부(191)가 외주면에 감싸지는 파이프(187)로 이루어진다.
파이프(187)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8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187)는 절개홈(188)에 의해 두 개의 단면원호를 갖는 분할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이 절개홈(188)에는 돌기(195)가 관통공(184) 쪽에 나와 배치되게 걸치게 한다.
또한, 돌기(195)는 C링(193)의 둘레 중심에 대해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회전축(130)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볼 때 본체(110)의 높이를 줄여 틈새로 청소기 넣을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C링(193)에는 두께가 얇아진 수축부(19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부(194)는 다른 원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은 곳으로, 특히 C링(193)의 개구(193a)와 마주하는 곳에 두는 것이, C링(193)의 탄성 벌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좋다.
파이프(187)의 외주면에는 외통(189)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외통(189)은 C링(193)이 과도하게 벌어질 때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상판(181)과 하판(183)의 가장자리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81)의 밑면에는 체결리브(181a, 181b)가 형성되고, 하판(183)에는 피스가 통과되는 체결공(183a, 18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공(183a, 183b)들은 서로 리브(184, 184b, 184c)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판(181)과 하판(183)이 원형의 형상이기 때문에, 서로 끼워 체결하기 위해서는 체결리브(181a, 181b)와 체결공(183a, 183b)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수월하다.
체결위치를 좀더 수월하게 맞추기 위한 기준으로, 상판(181)의 반경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있는 체결리브(181a)와, 이 체결리브(181a)에 맞추도록 반경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있는 체결공(183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체결공(183b)과 체결공(183b)은 연결리브(184b)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체결공(183b)과 체결공(183b) 부분은 체결리브(181a)와 체결리브(181a)에 맞추어 끼우면, 원형 형상인 상하판(181, 183)을 좀 더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판(181)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원둘레 홈(182)이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13)의 하면에는 원둘레 홈(182)에 삽입되는 원둘레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원둘레 돌기(112)는 3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원둘레 돌기(112)에 원둘레 홈(18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면, 회전판(130)이 회전할 때 옆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회전판(130)의 회전을 제공한다.
하부 케이스(113)의 하면에는 지지관체(186)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116)이 형성되어, 이 또한 회전한(130)의 안정적인 회전을 제공한다.
하판(183)의 밑면에는 벨크로(미도시)가 설치되어, 패드(P)를 탈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형 걸레 청소기 2 : 전방 케이스
3 : 측면 마감판 4 : 배터리
5 : 후방 케이스 6 : 덮개
10 : 본체 11 : 손잡이
11a : 스위치 12 : 지지대
13 : 파이프 14 : 돌기
15 : 관통공 32 : 충격흡수부재
33 : 장착홈 33a : 바닥면
34 : 끼움돌기 35 : 끼움홈
38 : 받침부 38a : 홈
39 : PCB기판 40 : 전선
50 : 하측 결합부 50a : 전방 하측 결합부
50b : 후방 하측 결합부 50c, 50c' : 요
50d, 50d' : 철 100 : 구동본체

Claims (1)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는 밀대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구동본체를 포함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밀대 어셈블리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와 결합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을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하측에는 전후방 하측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측 결합부와 상기 후방 하측 결합부는 요철로 맞물리며,
    상기 장착홈에는 배터리 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받침부의 상측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 받침부의 하측에는 상기 배터리, PCB기판 및 충전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 받침부에는 'ㄷ'자 형상의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후방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는 회전형 걸레 청소기.
KR1020140029597A 2014-03-13 2014-03-13 회전형 걸레 청소기 KR10153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97A KR101533693B1 (ko) 2014-03-13 2014-03-13 회전형 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97A KR101533693B1 (ko) 2014-03-13 2014-03-13 회전형 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693B1 true KR101533693B1 (ko) 2015-07-24

Family

ID=5387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597A KR101533693B1 (ko) 2014-03-13 2014-03-13 회전형 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07U (ko) * 2017-03-08 2018-09-18 김흥길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WO2020171435A1 (ko) * 2019-02-21 2020-08-27 박현숙 전동식 롤러형 물걸레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509A (ko) * 2007-12-27 2009-07-01 이인태 회전형 청소기와 이를 위한 물통
KR20120103964A (ko) * 2011-03-11 2012-09-20 (주)월드생활가전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509A (ko) * 2007-12-27 2009-07-01 이인태 회전형 청소기와 이를 위한 물통
KR20120103964A (ko) * 2011-03-11 2012-09-20 (주)월드생활가전 진공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07U (ko) * 2017-03-08 2018-09-18 김흥길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200489070Y1 (ko) * 2017-03-08 2019-08-23 김흥길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WO2020171435A1 (ko) * 2019-02-21 2020-08-27 박현숙 전동식 롤러형 물걸레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137B1 (ko) 배터리의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충전장치
US20130020106A1 (en) Power tool
KR101533693B1 (ko) 회전형 걸레 청소기
EP2639015A2 (en) Power Tool
US20070136963A1 (en) Butterfly mops with automated scrubber
US20110023560A1 (en) Door hook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CN201312721Y (zh) 一种方便拆卸盖板的电饭煲
CN102783917A (zh) 电饭煲及其煲盖和盖板固定机构
JP7286817B2 (ja) 重心を調節可能な組立式ツールハンドル
US20220120417A1 (en) Fixing base, lamp fixing device and lamp
CN202223052U (zh) 电饭煲盖和具有其的电饭煲
CN116865375A (zh) 矿用电源箱
WO2021238412A1 (zh) 搅拌式烹饪器具
CN211408747U (zh) 底盘组件和食物处理装置
WO2015106404A1 (zh) 一种微型按摩器
CN211297211U (zh) 壳体组件及智能控制器
CN108330644B (zh) 一种脚踏式洗衣机
CN217524979U (zh) 地刷装置及清洁设备
US9445701B2 (en) Cleaner and vertical cleaner
CN201360958Y (zh) 组合式多功能搅拌机
CN213189380U (zh) 一种清洁工具的辊刷安装结构
CN216197211U (zh) 把手结构及烹饪设备
CN220675773U (zh) 一种把手可拆卸的电炒锅
CN217280511U (zh) 按键结构及割草机
CN220384541U (zh) 一种电动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