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137B1 - 지역 정보 서비스 - Google Patents

지역 정보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137B1
KR101533137B1 KR1020117001736A KR20117001736A KR101533137B1 KR 101533137 B1 KR101533137 B1 KR 101533137B1 KR 1020117001736 A KR1020117001736 A KR 1020117001736A KR 20117001736 A KR20117001736 A KR 20117001736A KR 101533137 B1 KR101533137 B1 KR 10153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essage
reflection
service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589A (ko
Inventor
구이도 게렌
자비네 졸리스
고르디안 조드라우크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1003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3Data selection, e.g. prioritizing information, managing message queues, se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송신하는 단계,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반사 엔티티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의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 정보 서비스{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localized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와 같은 지역 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 및 그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화 네트워크들과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소위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LBS)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서비스들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셀-ID 정보 및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들 및/또는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을 이용할 수 있는 전지구적 위치 설정 시스템(Global Positining System: GPS) 또는 모바일 위치 설정 시스템(Mobile Positioning System: MPS)의 도움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단말기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위치 기반 서비스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주변들에 있는 레스토랑들 또는 관광지들에 대한 추천이 상기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셀들 내에 있는 단말기들에 정보를 분배하기 위해서, 소위 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Cell Broadcast Services: CBS)들의 도움으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단말기들은 각각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청취가 가능해야만 한다. 소위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는 모바일 단말기들에 광대역 브로드캐스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예를 들어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사용하는 파일 송신 또는 RTP(Real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하는 스트리밍 송신(streaming transmission)은 콘텐츠를 단말기들에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응급 메시지를 수신할 때, 예를 들어 앰뷸런스의 형태로 단말기의 위치에 구조하겠음을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상기 위치의 결정이 행해지는 응급 서비스들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여 개선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upload message)는 페이로드(payload) 부분을 포함한다. 반사 엔티티(reflection entity)가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제공되고(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에 또는 접속 가능하게), 상기 반사 엔티티는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의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으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반사로서 칭해지는 신규 개념이 본 출원에서 제안된다. 즉, 소스 단말기(source terminal)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에 있는 특정 콘텐츠를 송신한다.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SMS 또는 MMS에서의 경우일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단말기들의 목적지 어드레스들을 포함하지 않는 메시지이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정보의 피스(piece)를 반송하거나 또는 상기 피스를 결여시킴으로써 자신이 그러한 메시지로, 즉 반사되기 위한 메시지로 인식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기 반사 엔티티는 단지 페이로드 부분 내의 콘텐츠를 목적지 단말기들로 향하는 메시지들 내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반사"하는데, 이때 상기 목적지 단말기들은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는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했던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고나서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목적지 단말기들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반사 엔티티에 의해 명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공간 관계는 예를 들어 상기 반사 엔티티 자체의 위치에 의해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반사 엔티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지국과 연관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coverage area) 내의 모든 단말기에 상기 반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데이터 반사의 개념에 있어서 매우 작은 프로세싱이 필요할 때 정보를 고속 방식으로, 즉 크게 지연되지 않으면서도 공간적으로 제한된 수의 단말기들로 분배하는 것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페이로드 부분 내의 콘텐츠가 "반사되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더 프로세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방식으로 지역 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특정한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또한 바람직하게도 동시에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 역할을 할 수 있는)이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정보 플로우(information flow)를 트리거(trigger)할 수 있고, 상기 업로드 매시지는 그 후에 상기 반사 엔티티에 의해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공간적으로 제한된 그룹으로 신속하게 반사된다. 그와 같은 서비스는 특히, 상기 반사 엔티티가 기지국 또는 eNodeB와 연관되어, 즉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배열되는 경우 지연 측면에서 고속 또는 저속일 수 있다. 상기 반사 엔티티가 상기 단말기에 더 근접할수록, 지연은 더 작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반사 엔티티는 또한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내에 또는 심지어 상기 네트워크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적절한 형태의 표시자를 지녀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그것을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유형, 즉 반사 엔티티에 의해 반사되도록 예정된 메시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목된다. 그와 같은 표시자는 서버 어드레스(반사 엔티티가 어드레스 서버가 아닌 경우, 서버가 상기 어드레스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즉, 서버 어드레스는 가상 서버일 수 있음이 주목된다)일 수 있거나, 메시지 헤더(message header)에서 미리 결정된 플래그(flag)와 같이 임의의 다른 형태의 표시자가 적절하다.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배열되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구조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고,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의 미리 결정된 특수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으로 송신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반사 엔티티를 더 포함한다.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반사 엔티티로서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공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기, 및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특수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에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기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절차,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 및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특수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에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는, 그러한 반사 엔티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셀룰러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는 개선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념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들 및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개략적인 도;
도 4는 반사 엔티티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도 5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포함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요소들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변형예들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 도;
도 11은 반사 엔티티가 기지국에 제공된 예에서의 프로토콜 계층화(protocol layering)를 도시한 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 도.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 1 단계 S10에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기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여기서 업로드 메시지는 페이로드 부분에 특정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용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로 업로드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을 의미하지만, 이는 또한 상기 메시지가 적절한 형태의 표시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메시지를 지역 정보 서비스 내의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로 역으로 반사되어야 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메시지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지역 정보 서비스를 위해 설계되는 특정한 메시지임을 의미한다. 표시자는 임의의 적절한 도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표시자는 서버 어드레스와 같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의 스트링(string)일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의 헤더 내에 있는 플래그와 같은, 어떤 다른 표시자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자는 또한 정보의 특정 피스의 부족일 수 있다.
네트워크 업로드 매시지 송신의 트리거링은 또한 임의의 적절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기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적절하게 상호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같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또한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유해한 상황의 환경들을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한 비상 상황에서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유용하게도, 차량 내의 적절한 검출기가 위험한 상황을 인식할 때, 예를 들어 사고 검출기가 사고가 발생했었음을 검출하는 경우 경고 또는 경보 콘텐츠를 갖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도록 배열되는 차량-장착용 시스템의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11에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엔티티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한다. 용어 "엔티티"는 지시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그룹들과 관련된다. 그러한 것으로서, 노드, 노드 부분 또는 노드들의 그룹이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엔티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적절한 표시자를 지닐 수 있다. 반사 엔티티는 이 표시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표시자는 단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반사 엔티티로 전송되도록 반사 엔티티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어드레스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서버는 업로드 메시지들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메시지들을 표시자(예를 들어, 소정의 서버 어드레스)에 대하여 파싱(parsing)하기 위해 셀룰러 토인 네트워크 내에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배열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을 인식하고 인터셉트(intercept)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반사 엔티티는 기지국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공된 서버 어드레스들을 검출할 수 있어서 반사 동작을 직접적으로 실행, 즉, 상기 메시지들을 표시된 어드레스로 실제로 전송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상기 제공된 어드레스 하의 서버는 반드시 실제로 존재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시지 헤더 내의 플래그와 같이 표시자를 인식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반사 엔티티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에 포함되는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 부분은 송신하는 단말기가 자신의 주위의 특정 에어리어에 퍼트리고자 하는 경보 또는 경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은 예를 들어 반사되는 메시지들(제어 정보를 갖는 헤더 및 콘텐츠를 갖는 페이로드 부분)의 페이로드 부분이 본래 그대로 남아 있고, 메시지의 헤더만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의, 즉, 어떤 가능한 단말기들이 실제로 반사 메시지(들)를 수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들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엔티티는, 예를 들어 송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고나서(예를 들어 GPS 또는 셀룰러 시스템 모바일 위치 설정 시스템(MPS)의 도움으로) 정보 서비스에 대한 가능한 목적지들인 단말기들의 추정된 위치들에 기반하여 특정 규칙(예를 들어 "반경 xy 내의 모든 단말기들을 찾으세요")을 적용함으로써 공간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전용 결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거나 수행했었을 수 있다.
그러나, 공간 관계는 또한 예를 들어 반사 엔티티 자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반사 엔티티가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기지국과 같은)와 연관되면, 공간 관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 내의 모든 단말기들에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으로 설정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 내에는 송신하는 단말기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공간 관계는 또한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예를 들어 셀)뿐만 아니라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에어리어 방식 내의 이웃하는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들(예를 들어 이웃하는 셀들) 내의 단말기들에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지역 정보 서비스는 서비스에 등록한 단지 단말기들만이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및/또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 역할을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단계 S13에서, 반사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 송신하고,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의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를 종료한다. 이 송신은 상이한 방식들로 행해질 수 있는데, 이는 부가하여 계속 제공되는 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반사 엔티티(25)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다수의 단말기들(21 내지 2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단말기(21)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 작동하여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로 송신한다. 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가 반사 엔티티(25)를 포함하는 서버에 어드레싱되기 때문에 또는 반사 엔티티(25)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 내의 전용 표시자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를 인터셉트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 엔티티(25)에 의해서 수신된다. 그리고나서 반사 엔티티(25)는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생성하고 이것을 각각 네트워크 단말기(22, 23)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단말기들(22 및 23)은 이 예에서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 동작하는 단말기(21)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203)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의 예에서 공간 관계는 단말기(21) 주위의 에어리어(203)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24)는 상기 에어리어 내에 있지 않은, 즉, 단말기(21)와의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지 않아서 어떠한 반사 메시지도 단말기(24)로 송신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단말기(21)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 동작하였고 단말기들(22, 23)은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도, 지역 정보 서비스는 단말기들(21 내지 24)과 같은 단말기들의 그룹이 각각 서비스에 등록하여 각각 서비스 소스 단말기 및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 모두로서 동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도 2의 예에서, 반사 메시지들(201, 202)은 단지 단말기들(22 및 23)에만 송신되었지만 소스 단말기(21)로 송신되지 않았다. 선택적으로, 반사 엔티티(25)는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 소스 단말기(21)가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의 적절한 수신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반사 메시지를 서비스 소스 단말기(21)로 역으로 송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역 정보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들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및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일부 단말기들이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로서만 작동하고 다른 단말기들은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서만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단지 개략적인 예를 도시하고, 전형적으로 더 많은 단말기들이 지역 정보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반사 엔티티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및 반사 엔티티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신들이 반사 업로드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즉, 도 2에서의 단말기(21)와 같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25)는 반사 업로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서 초기에 세션 셋-업(set-up)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 더욱이,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22, 23) 및 반사 엔티티(25)는 각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들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 작동하고자 하는 단말기들은 초기에 세션 셋-업 파라미터들을 반사 엔티티(25)와 교환하여 반사 다운로드 세션을 설정한다. 반사 업로드 세션들 및 반사 다운로드 세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단말기들이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및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 모두로 작동할 수 있는 경우, 이들은 반사 업로드 세션 및 반사 다운로드 세션을 동시에 유지하고, 그 후에 반사 다운로드 세션은 반사 엔티티에 관하여 상기 제공된 단말기에 대한 단일 지역 정보 서비스가 된다. 세션들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양태는, 어떤 네트워크 단말기들이(그 네트워크 단말기가 잠재적인 서비스 노드 단말기들로서 또는 잠재적인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서 있을지라도) 지역 정보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반사 엔티티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와 같으므로, 세션의 유지 관리(maintenance)는 단말기로부터 반사 엔티티로의 킵-어라이브(keep-alive) 메시지들의 송신을 포함하여 반사 엔티티에 단말기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업로드 세션은 상기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셀룰러 통시 네트워크의 유니캐스트(unicast)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 사이에 일정한 접속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유니캐스트 채널은 예를 들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 사이의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접속과 같은 패킷-교환 접속 또는 회선-교환 접속일 수 있다. 그리고나서,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설정되고 유지되는 유니캐스트 채널에 걸쳐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반사 다운로드 세션은 반사 엔티티 및 각각의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 사이에서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유니캐스트 채널은 다시 예를 들어 서비스 목적지 채널 및 반사 엔티티 사이의 패킷-교환 채널 또는 회선-교환 채널일 수 있다.
그와 같이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의 이점은 업로드 또는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할 때 통신 채널을 우선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및/또는 반사 메시지의 송신이 매우 빠르다는(즉, 지연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지연의 감소는 상기 서비스를 국지화된 경고 또는 경보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응급시 또는 사고의 경우 자신의 환경에 대한 경보를 발하는 차량-장착용 단말기들 용으로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해진다.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고려하면,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 내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세션을 설정하고 통신은 전송 계층 접속(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송신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등)을 통해 유지되고, 다시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같은 하위 계층들을 통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예가 도시된다.
세션 유지 관리의 일부로서 킵-어라이브 메시지들을 단말기로부터 반사 엔티티로 송신할 때, 상기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전송 계층, 링크 계층, MAC 계층 등에서 하위 통신 프로토콜들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타임-아웃(time-out) 타이머 기간들보다 더 짧도록 설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송신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방식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단말기 및 반사 엔티티 내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예를 들어 제어 방식으로 통신 세션을 종료하기 전에, 더 낮은 계층 타임-아웃에 의해 접속이 상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킵-어라이브 시간 간격은 단말기들 내에 미리-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들은 킵-어라이브 시간 기간을 결정할 수 있는 이전의 접속들의 분석을 실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들은 킵-어라이브 시간 기간을 적응시키기 위한 적응 절차를 가질 수 있다. 즉, 현재 설정된 킵-어라이브 시간 간격은, 테스팅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증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간 간격을 연장하여 접속이 유지되는지를 테스트하고나서, 더 긴 시간 간격이 잘 동작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문제가 검출되면, 단말기는 미리-구성된 값으로 뒤로 돌아갈 수 있다. 그와 같은 테스트 절차는 단계적인 방식으로 시간 기간 연장을 실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반사 엔티티는 시간 간격을 단말기로 시그널링할 수 있고, 그리고나서 상기 시간 간격은 디폴트 값(default value)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단말기 내에서 임의의 다른 미리-구성된 시간 간격들을 오버라이드(override)한다.
상기 설명에서 단말기들 및 반사 엔티티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채널들을 유지하는 것이 주목되었다. 게다가 또는 대안적으로,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 오버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랜덤 액세스 채널들과 같이 공유된 업로드 채널들을 통해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들을 통해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유된 업로드 채널들 및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들을 사용함으로써 유니캐스트 채널들을 유지하는 것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 즉, 이 채널들은 이미 셋-업되어서 지역 정보 서비스에서 채널 셋-업 지연들이 방지된다.
즉, 지연 정보 서비스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 및/또는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미리-설정되고 계속해서 유지되는 통신 채널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 엔티티는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를 갖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자신이 공간 관계 결정 절차를 실행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결정 절차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했던 서비스 소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위치들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GPS 또는 셀 ID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와 같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내의 위치 표시자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위치들을 추정하는 것은 잠재적인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이 GPS 위치 데이터 또는 셀 ID와 같은 위치 표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반사 엔티티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위치 표시자들은 예를 들어, 반사 다운로드 세션의 일부로, 가능하면 킵-어라이브 메시지들와 함께 정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MPS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가 수신될 때 공간 관계 결정 절차가 포함되는 잠재적인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공간 관계 결정 절차는 바람직하게도, 반사 엔티티가 각각의 잠재적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을 각각의 잠재적 서비스 소스 단말기에 대해 연속해서 설정하는 방식으로 반사 업로드 세션들 및 반사 다운로드 세션들 동안 일정하게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가 잠재적인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될 때,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이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에 대해 이미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반사 메시지들이 즉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반사 엔티티는 바람직하게도, 각각의 잠재적 서비스 소스 단말기에 대한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예를 들어 소정의 반경 내에 있는)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연속 기록을 유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할 때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이 즉시 이용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그룹을 결정하는데 지연이 발생되지 않는다.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는 또한 암시적인 방식으로, 즉,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네트워크의 노드를 반사 엔티티와 연관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공된 에어리어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은 단지 상기 에어리어로 역으로 반사될 수 있으면서도, 특정한 공간 관계 결정 절차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반사는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로부터의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을 반사 메시지들로 상기 커버리지 에어리어로 역으로 반사하기 위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위치될 수 있다.
반사 엔티티에서의 명시적인 공간 관계 결정 절차를 실행하는 개념 및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를 갖는 그룹의 암시적인 결정의 개념은 결합될 수 있는, 즉, 반사 엔티티에 의해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노드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한 지역 정보 서비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에 대한 결정 절차와의 공간 관계를 실행할 수 있음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엔티티는 바람직하게도 자신이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로부터 서비스 소스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략하기 위한 메시지 익명화 절차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즉, 서비스 소스 단말기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에서의 서비스 소스 단말기에 의한 분배를 위해 바람직한 정보만이 반사 메시지들에 카피되고,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는 카피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및 상기 실시예들의 기본 개념은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및/또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이 차량 장착되는 서비스의 상황 내에서 유용하게 응용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해 트래픽 경보 정보 서비스의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고 또는 비상 메시지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로 송신되고나서 서비스 소스 단말기(미리 결정된 반경 내의)의 부근에 있는 트래픽 참여자들에 반사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송신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도 차량 내의 검출기가 부근에 있는 트래픽 참여자들에게 경고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미리 결정된 조건을 검출할 때 트리거될 수 있다.
더욱이, 반사 업로드 세션들 및/또는 반사 다운로드 세션들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장착 단말기들은 예를 들어 차량 점화가 활성화될 때마다, 각각의 세션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당연히, 이 설정은 또한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션은 점화가 활성화 해제될 때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는, 즉 이때 적절한 세션 종료 메시지를 반사 엔티티를 송신한다.
더욱이, 용어 차량-장착은 단말기가 차량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주목되고, 여기서 단말기는 영구적인 형태로 또는 제거 가능한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소스 단말기들 또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기들은 공지되어 있는 차량용 모바일 전화 인터페이스와 같은 차량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는 모바일 전화 단말기들일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들은 또한 차량 내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반사 엔티티로 동작하도록 배열된 네트워크 엔티티(30)의 개략적인 도이다. 이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301), 페이로드 파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기(302), 및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에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기(303)를 포함한다.
엔티티(30)는 예를 들어 서버 및 수신기(301)일 수 있고, 메시지 생성기(302) 및 메시지 송신기(303)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결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서의 수행을 위해 컴퓨터 코드 부분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절차(S41),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S42), 및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에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S43)를 포함하는, 엔티티(30)와 같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기본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수정될 수 있는 이 기본 제어 방법은 자체가 프로그램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수행될 때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엔티티(30)에는 바람직하게도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의 반사 업로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반사 업로드 세션 관리자가 제공된다. 더욱이, 네트워크 엔티티(30)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과의 각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들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반사 다운로드 세션 관리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업로드 세션 관리자는 바람직하게도 반사 업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수신기(301)는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기(301)는 셀룰러 결합 네트워크의 공통 액세스 채널을 통해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섹션 다운로드 세션 관리자는 바람직하게도 하나 이상의 다운로드 세션들이 반사 다운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배열되고, 메시지 송신기(303)는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반사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메시지 송신기(303)는 또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션 관리자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반사 엔티티(30)는 바람직하게도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공간 관계 결정 절차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내의 위치 표시자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음이 주목된다. 더욱이 프로세서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정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전에 이미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반사 엔티티(30)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또는 eNodeB와 같은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와 연관될 수 있다.
더욱이, 반사 엔티티(30)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들로부터 서비스 소스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략하기 위한 메시지 익명화장치(anony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익명화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임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제 상술한 실시예들의 서너 가지가 변화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더 상세한 설명들이 기술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3G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개략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차량에 장착되는 단말기(50)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501)를 NoedB를 통해 Radio Network Controller), SGSN(Serving GPRS Service Node), GGSN(Gateway GPRS Service Node) 및 반사 엔티티의 예로서 GGSN에 접속되는 데이터 반사 엔티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더욱이,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CBC(Cell Broadcast Center) 및 MPS(Mobile Positioning Center)가 도시된다.
도 6은 데이터 반사 유닛으로 도시되는 반사 엔티티를 배치하고 이의 동작을 배열하기 위한 세 바람직한 개념들의 개요도를 제공한다. 세 메커니즘들이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메시지의 헤더 내의 반사 표시자(예를 들어 플래그와 같은 헤더 요소, 및/또는 특정 어드레스 또는 포트 등)를 특징으로 한다.
번호 1은 데이터 반사기가 데이터 반사기에 접속되는 단말기들의 목록(예를 들어 챠량들)을 관리하는(즉, 접속 세션을 유지하는) 유니캐스트의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목록은 각각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추정을 포함한다. 지리-태그가 있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반사기는 메시지에 의해 영향을 바든 이 단말기들을 선택하고 메시지를 이 단말기들(차량들)로 역으로 송신한다. 각각의 단말기는 시간 집약적 접속 설정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반사기로의 전송 계층 접속을 유지하고 무선 자원들을 계속해서 할당하려고 시도한다.
번호 2는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트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데이터 반사기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패킷이 어느 에어리어, 즉 특정 셀들의 세트들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MEMS는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메커니즘이다.
번호 3은 네트워크들이 또한 기지국에 통합된 추가된 새로운 반사 엔티티에 의해 강화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와 같은 방사 엔티티로 인해 위치 정보가 패킷 내에 임베딩(embedding)되지 않은 경우에서도 메시지들을 신속한 반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암시적으로 업로드 메시지가 나오는 셀(및 선택적으로 이웃하는 셀들)로의 위치-기반 반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 세 예들이 이제 더욱 상세하게 고려될 것이다.
유니캐스트 경유(번호 1)에서, 각각의 차량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반사기로의 연속 전송 계층 접속(TCP, UDP,...)을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반사) 프로토콜은 이 접속을 유지하는 일을 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에서, 무선 자원들은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어야 할 때 할당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반사) 프로토콜은 자원 할당 절차들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자원들이 전체 세션 동안 할당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다음의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 단말기(차량)는 전송 계층 접속을 설정하고 무선 자원들을 할당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계층(반사) 세션을 시작한다. 애플리케이션 유형, 갱신 주파수 등과 같은 세션 파라미터들은, 데이터 반사기들과 교환된다. 이것의 예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엔티티(app.ent), 전송 계층 프로토콜 엔티티(tran.ent.), MAC 계층 프로토콜 엔티티(MAC entity)를 도시한다. 좌측에 있는 이 세 엔티티들(80, 81, 82)은 소스 단말기에 위치되고, 가운데에 잇는 MAC 엔티티(83)가 네트워크에 속하며, 우측에 있는 엔티티들(84, 85)이 반사기 엔티티에 속한다. 도 8에서의 절차는 다음 도면 9, 10 및 12에서의 "반사 세션의 시작"의 하나의 화살표를 나타낸다. 더욱이 이 도면들은 경고 메시지를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예로서 도시하고 반사된 경고 메시지들을 반사 메시지들의 예로서 도시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도 애플리케이션 계층 상에서 교환되고, 또한 도시되어 있는 킵-어라이브 메시지들은 바람직하게도 전송 계층 상에서 교환된다.
- 단말기는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하고 반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들(차량)로부터 그리고 데이터 반사기로부터 수신한다. 메시지들은 전송 계층(TCP, UDP) 패킷들 내에 임베딩된다. 데이터 반사기에 도달하는 업로드 메시지들은 자신들의 위치에 따라 관련된 업로드 메시지의 관련 에어리어의 내부에 추정된 위치를 갖는 단말기들의 목록으로 역으로 송신(반사)된다. 관련 에어리어는 반사 메시지 유형 및 반사 세션 파라미터들에 좌우될 수 있는 임의로 규정 가능한 지리적 에어리어이다.
- 데이터 반사기는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다음의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 세션 ID를 식별(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 ID/어드레스를 세션 ID와 상관시킴으로써)
-- 관련 세션 파라미터들을 추출
-- 메시지 파라미터들을 판독(메시지 유형, 위치 기준). 위치 기준은 예를 들어 GPS 또는 CellID로부터의 위치 지정 데이터일 수 있다.
-- 세션 파라미터들 및 메시지 파라미터들에 따라 업로드 메시지의 관련 에어리어(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를 도출. 예를 들어: "사고 경고" 플래그 및 CellID 4711를 구비한 업로드 메시지가 수신되고, 대응하는 관련 에어리어는 6각형의 셀들(ID들 : 4708, 4709, 4710, 4712, 4713, 4714)의 경우에 모두 6개의 경계 셀들일 수 있다.
-- 자신들의 추정된 위치들(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GPS 기반 트랙킹(tracking)을 갖는)을 갖는 접속된 단말기들의 목록을 관련 영역으로 매칭 및 관련 영역 내의 모든 단말기들(-> 영향을 받는 단말기들)을 추출. 메시지 소스 단말기가 배제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 반사 메시지(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그로 인해 업로드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에 의해 분배되도록 의도된 컨텐츠를 포함하는)를 영향을 받는 단말기들(차량들)로 역으로 송신하기 전에 메시지 소스 ID들 및 어드레스들이 생략된다(프라이버시 규정들에 따라). 그러나,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송신기 ID들 및 가능한 서명들은 이후에 고의적인 침입들을 식별하기 위해 전용 모니터링 서버에 기록될 수 있다.
특정 시간 기간 동안 데이터 패킷들이 설정된 접속을 통해 송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는 단지 소스 단말기로 반사되고 부가 단말기로 반사되지 않는 킵-어라이브 메시지(아마도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를 송신하고, 9를 참조하라. 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는 특정 프로토콜 상태 기계 동작을 인지하지 않고도 전송 계층 및 MAC 계층 타이머들의 리셋(reset)을 일으킨다. 타이머들은 프로토콜 구성을 인지하거나 또는 미리 측정치들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 단말기는 종료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데이터 반사기에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반사 세션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거나 반사기에서의 타임아웃은 세션을 종료한다. 타임아웃된 세션에 대한 킵-어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새로운 세션 설정 절차가 발생할 것이다.
이제 브로드캐스트 실시예(번호 1)는 도 10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단말기는 전송 계층 접속을 설정하고 무선 자원들을 할당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계층 세션(예를 들어 계수 또는 등록 이력에 대한)을 시작한다. 애플리케이션 유형, 갱신 주파수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데이터 반사기와 교환된 이후에 애플리케이션 계층 세션을 능동으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 송신할 데이터가 없다면, 단말기는 어떠한 단말기로도 반사되지 않을 짧은 킵-어라이브 메시지들(아마도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을 송신한다. 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는 기본적인 액세스 네트워크의 특정 프로토콜 상태 기계 동작을 인지하지 않고 전송 계층 및 MAC 계층 타이머들의 리셋을 발생시킨다. UE(User Equipment) 트랙킹이 적용될 수 있으나, 데이터 반사기의 이 종류의 구현예에 대해서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 단말기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을 데이터 반사기로 송신한다. 업로드 메시지들은 전송 계층(TCP, UDP) 패킷들 내에 임베딩될 수 있다. 데이터 반사기에 도달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들은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의 관련 에어리어의 내부에 메시지를 분배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로 송신될 것이다. 대안으로, 콘텐츠 부분만이 관련 에어리어의 표시와 함께 전송되거나, 완전한 반사 메시지가 생성되어 관련 에어리어의 표시와 함께 전송될 것이다. 관련 에어리어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유형 및 업로드 세션 파라미터들에 좌우될 수 있는 임의로 규정 가능한 지리적 에어리어이다.
- 단말기는 반사 메시지들에 전용되는 특정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청취함으로써 반사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 데이터 반사기는 업로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다음의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 메시지 파라미터들을 판독(예를 들어 메시지 유형, 위치 기준). 위치 기준은 예를 들어 GPS로부터 CellID로부터의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 메시지 파라미터들에 좌우되는 갱신 메시지의 관련 영역을 도출.
-- 관련 영역은 이용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특정한 브로드캐스트 에어리어, 즉 MBMS의 경우의 서비스 에어리어로 매핑(mapping)된다.
-- 반사 메시지는 메시지 소스 ID들 및 어드레스들을 삭제함으로써 (프라이버시 규정들에 따라) 익명화된다.
-- 반사 메시지, 즉 업로드 메시지, 또는 관련 에어리어 정보와 함께 있는 업로드 메시지의 콘텐츠 부분이 네트워크 내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노드로 송신되고, 이는 영향을 받는 셀들 내에서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를 개시, 즉 반사 메시지가 BM-SC로 송신되고, BM-SC는 연관된 서비스 에어리어들 내의 분배를 트리거한다.
-- 고속 데이터 송신을 확보하기 위해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고속 반사 메시지에 전용되는 일정한 공통 채널을 유지한다. MBMS를 사용하여, MBMS 전송 채널은 반사 메시지들에 대해 일정하게 할당될 수 있다.
-- 하나의 전송 채널에서 상이한 서비스들 또는 우선순위 클래스들을 멀티플렉싱하는 경우, 반사된 로드 트래픽 경고들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에어리어 내의 모든 단말기들로 송신될 수 있다.
이제 지역의 반사 실시예(번호 3)가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기지국 내의 반사 엔티티는 다양한 고속 방식으로 메시지들을 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지국이 반사 엔티티에 의해 강화될 때 가능하다(도 11을 참조하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과 같은 여러 인프라 구조 기반 통신 시스템들에서, 무선 링크의 데이터 링크 계층은 기지국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새로운 반사 엔티티는 네트워크 계층 패킷들에 액세스한다.
반사기는 다음의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 인입하는 메시지들이 업로드 메시지들인 경우, 조사. 이는 예를 들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특정 IP 어드레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선택사항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검토하고 반사 태그가 설정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 메시지가 업로드 메시지인 경우, 반사 엔티티는 다음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행할 수 있다:
-- 메시지 자체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원래의 셀로 공급된다. 이는 네트워크 계층 어드레스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 게다가, 메시지 유형에 따라, 메시지는 주변 기지국들로 송신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교환일 수 있다. 기지국은 이 기능에 대한 이웃 목록을 유지할 수 있다.
-- 더욱이,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또는 상기 메시지에 있는 정보는 모든 반사 메시지들을 로그(log)하기 위해(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도 12에서 "모니터링 서버"로 나타내는)로 전송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실시예들 모두에 이용될 수 있음이 주목된다.
데이터 반사의 이 구현예의 경우, 위치 기준이 필요하지 않다. 위치-인지는 암시적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셀룰러 네트워크들 내의 지역 정보 서비스들의 지연 성능을 개선(송신 레이턴시(latency)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로드 트래픽 위험 경고들과 같은 신규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가능하게 하는, 즉 차량들이 차량들에게 부근에서 사고들, 중요한 운전 상황들, 미끄러운 도로 상태들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
세부적인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을지라도, 이것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발명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며, 제한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아야 한다.
25 : 반사 엔티티 20 :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21 : 네트워크 단말기 200 :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201, 202 : 반사 메시지 22, 23 : 네트워크 단말기

Claims (31)

  1.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소스 단말기(21)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upload message)(200)를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는 페이로드(payload)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반사 엔티티(reflection entity)(25)는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생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203)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2, 23)의 그룹으로 송신하며,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기지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 및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상기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사 업로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업로드 세션은 상기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상기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공유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2, 23) 및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각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은 상기 반사 다운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메시지는 상기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상기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공간 관계 결정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관계 결정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 내의 위치 표시자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관계 결정 절차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로부터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략하기 위한 메시지 익명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 및 상기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들(22, 23)의 그룹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고, 근처에 있는 트래픽 참여자에게 경고할만하다고 판단되는 미리 결정된 조건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인프라 구조를 사용하여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로 송신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가 페이로드(payload) 부분을 포함하는 서비스 소스 단말기(21)와,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생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203)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2, 23)의 그룹으로 송신하기 위해 배치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반사 엔티티(25)를 포함하는데,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반사 엔티티(25)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기지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5.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네트워크 엔티티(30)로서,
    서비스 소스 단말기(21)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301),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기(302), 및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203)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2, 23)의 그룹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기(303)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기지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와 반사 업로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반사 업로드 세션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업로드 세션 관리자는 상기 반사 업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수신기(301)는 상기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수신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120)의 공통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업로드 메시지(201)를 수신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상기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1)와 각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반사 다운로드 세션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다운로드 세션 관리자는 하나 이상의 반사 다운로드 세션이 상기 반사 다운로드 세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유니캐스트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시지 송신기(303)는 상기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반사 메시지(201, 202)를 송신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1.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신기(303)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송신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2.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2, 23)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공간 관계(203) 결정 절차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의 위치 표시자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21)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5.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로부터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략하기 위한 메시지 익명화 장치(anonymi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26. 네트워크 엔티티(30)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소스 단말기(21)로부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업로드 메시지(200)를 수신하기 위한 절차,
    상기 페이로드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 및
    상기 서비스 소스 단말기(21)와 미리 결정된 공간 관계(203)에 있는 서비스 목적지 단말기의 그룹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 메시지(201, 202)를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미리 결정된 에어리어를 서비스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30)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20)의 기지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제어하는 방법.
  27.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엔티티(10) 상에서 수행될 때 제 26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기록매체.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17001736A 2008-06-24 2008-06-24 지역 정보 서비스 KR101533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58022 WO2009155969A1 (en) 2008-06-24 2008-06-24 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589A KR20110036589A (ko) 2011-04-07
KR101533137B1 true KR101533137B1 (ko) 2015-07-01

Family

ID=4045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736A KR101533137B1 (ko) 2008-06-24 2008-06-24 지역 정보 서비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32348B1 (ko)
JP (1) JP5379226B2 (ko)
KR (1) KR101533137B1 (ko)
CN (2) CN102077612A (ko)
CA (1) CA2729417C (ko)
ES (1) ES2401400T3 (ko)
WO (1) WO2009155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1609B2 (ja) * 2010-11-24 2013-06-05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省電力通信方法
TWI591979B (zh) * 2011-06-30 2017-07-11 F5網路公司 使用嵌入式客戶端位置資訊進行網路管理的方法及其裝置
JP5817584B2 (ja) * 2012-02-22 2015-11-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EP2844023A4 (en) * 2012-04-27 2015-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1838851B1 (en) 2014-07-15 2023-12-05 F5, Inc. Methods for managing L7 traffic classification and devices thereof
JP6513717B2 (ja) * 2014-10-29 2019-05-15 バイエリシエ・モトーレンウエ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セルラー網での車両通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テレマティックサーバー及び基地局
US10182013B1 (en) 2014-12-01 2019-01-15 F5 Networks, Inc. Methods for managing progressive image delivery and devices thereof
US11895138B1 (en) 2015-02-02 2024-02-06 F5, Inc. Methods for improving web scanner accuracy and devices thereof
JP6696727B2 (ja) * 2015-03-06 2020-05-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WO2017206019A1 (zh) * 2016-05-30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交通消息传递的方法、装置、车载终端及及服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9220A1 (en) * 2001-09-03 2003-03-05 Alcatel Locally restricted open communication
US20050240378A1 (en) * 2003-03-01 2005-10-27 User-Centric Enterprises, Inc. User-centric event reporting with follow-up information
WO2007061177A1 (en) * 2005-10-13 200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cast/broadca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0138B1 (pl) * 1995-03-23 2000-12-29 Detemobil Deutsche Telekom Mobilnet Gmbh Sposób okreslania dynamicznych informacji o ruchu drogowymprzez ruchoma siec radiowa PL PL PL PL PL
US6853849B1 (en) * 1996-05-30 2005-02-08 Sun Microsystems, Inc. Location/status-addressed radio/radiotelephone
JP3278645B2 (ja) * 1999-11-19 2002-04-30 日本電気テレコム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緊急救助システム
US7103040B2 (en) * 2001-11-19 2006-09-05 Telefonaktiebo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node for data communications using its geographical location
US7142876B2 (en) * 2003-03-03 2006-11-28 Nokia Corporation Location dependent services
JP4602877B2 (ja) * 2005-09-07 2010-12-2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9220A1 (en) * 2001-09-03 2003-03-05 Alcatel Locally restricted open communication
US20050240378A1 (en) * 2003-03-01 2005-10-27 User-Centric Enterprises, Inc. User-centric event reporting with follow-up information
WO2007061177A1 (en) * 2005-10-13 200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cast/broadca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9417C (en) 2017-07-11
EP2332348A1 (en) 2011-06-15
JP2011525739A (ja) 2011-09-22
CN106850239B (zh) 2020-10-13
JP5379226B2 (ja) 2013-12-25
CN102077612A (zh) 2011-05-25
CN106850239A (zh) 2017-06-13
ES2401400T3 (es) 2013-04-19
WO2009155969A1 (en) 2009-12-30
KR20110036589A (ko) 2011-04-07
CA2729417A1 (en) 2009-12-30
EP2332348B1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0997B2 (en) 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KR101533137B1 (ko) 지역 정보 서비스
US1068717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2X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same
EP3373611B1 (en) Vehicle network v2x service forwarding method and apparatus
US10313831B2 (en) Extensible solution for device to device discovery message size
EP2471282B1 (en) 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for cellular networks using multicast channels
US20120102522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preemption of active media sessions
WO2016087955A1 (en) Prioritizing location request of a certain type in a congestion situation
WO2016206458A1 (zh) 车联网中告警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ES2963961T3 (es) Descubrimiento de dispositivo a dispositivo a través de un dispositivo de retransmisión
EP2471287B1 (e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filtered 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WO2021163260A1 (en) Methods of delivery mode switch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5g network
JP7039717B2 (ja) ページングポリシー決定方法、装置、ranエレメント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
US20170331678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5675909B2 (ja) 局所情報サービス
KR20190055157A (ko) 서비스 인터럽션 보고
WO2023065099A1 (en)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s
EP3081019B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ontent via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2013164363A1 (en) Method to initiate priority alarm in a cellula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