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39B1 -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39B1
KR101532339B1 KR1020130107249A KR20130107249A KR101532339B1 KR 101532339 B1 KR101532339 B1 KR 101532339B1 KR 1020130107249 A KR1020130107249 A KR 1020130107249A KR 20130107249 A KR20130107249 A KR 20130107249A KR 101532339 B1 KR101532339 B1 KR 10153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refractory
amount
water
tundish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522A (ko
Inventor
한상우
이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0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주조방법으로서,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율을 이용하여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과,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 배출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수분 배출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용강이 수용되는 턴디쉬에서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량에 따라주편 적치 여부를 결정하여 주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Continuous casting apparatus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량에 따라 주편 적치 여부를 결정하여 주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속주조장치는 용탕을 담아두는 턴디쉬(Tundish),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응고시키는 주형(Mold), 일단이 턴디쉬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형 내부로 투입되도록 설치되어, 턴디쉬 내의 용강을 주형 내로 공급하는 노즐, 주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출된 주편을 안내하면서 냉각시키는 복수의 세그먼트(2차 냉각대)를 포함한다.
한편, 주형 내에서는 용강이 완전이 응고되지 않고 미응고된 상태로 상기 주형의 외부로 인발되어 복수의 롤을 구비하는 세그먼트에 의해 이동하면서, 완전히 냉각되어 고상의 주편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렇게 생산된 주편은 응고 도중에 MnS 등의 특정 성분이 밀집되어 생기는 편석과, 2차 냉각대의 롤에 의해 부여되는 인장 압축 응력에 의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정련과정에서 합금철의 수분 등이 탈가스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거나, 턴디쉬를 구성하는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이 턴디쉬 내의 용강과 반응하여 수소가 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강 중에 수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용강 내의 수소가 응고 과정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고 주편 내부에 잔류함으로써 기공을 형성하거나 압연 중 용강(또는 주편) 내에 잔류하는 수소 가스가 폭발을 일으켜 표면 터짐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연속주조공정으로 주편이 생산되면, 주편을 76시간 내지 96시간 정도의 장시간 동안 적치하여 서서히 냉각시켜 수소의 포화용해도 변화를 이용하여 주편 내의 수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편을 장시간 적치하는 경우에는 주편의 온도가 저하되어 압연공정 등과 같은 후속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주편을 재가열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모되고, 전체 생산 시간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JP 2001-321909 A
본 발명은 용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에 함유된 수분량에 따라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여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켜 후속 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포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 주조 방법은, 연속주조방법으로서,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율과 냉각수의 살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과,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 배출량을 측정하되,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유속으로부터 상기 증기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배출되는 증기에 포함된 수분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수분 배출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하기 식1)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고, 하기 식2)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다.
식1)
Figure 112014126724719-pat00008

식2)
Figure 112014126724719-pat00009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턴디쉬에 냉각수를 살수할 때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수분량과, 상기 턴디쉬의 내벽에 형성되는 코팅층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턴디쉬 내화물로 흡수되는 수분량의 합을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으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턴디쉬에 살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수분량은 상기 냉각수의 전체 살수량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비율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보다 상기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주편을 적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이 상기 배출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주편을 적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배출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중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은,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하여 주편 적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주편을 적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생산 지연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편을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편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후속 공정을 위해 주편을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주조 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용강과 수분 간의 반응에 의해 주편 내에 발생하는 결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주조 방법을 이용하여 주편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5는 살수 시간에 따라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률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연속주조장치의 전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에서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주조 장치는 제강 공정에서 정련된 용강(molten steel)(10)이 담기는 래들(100), 래들(10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120), 턴디시(120)로부터 용강을 배출하는 침지 노즐(130)과 침지 노즐(130)에 의해 용강(10)을 공급받아 주편(20) 형상으로 용강을 응고시키는 주형(140) 및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여 주편(20)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152)가 연속 배열된 냉각라인(150)을 포함한다. 세그먼트(152)에는 주편(20)의 응고를 위한 냉각수가 살포되고, 복수 개의 롤러(154)가 설치되어 주편을 압하하며 인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속주조장치는 공지의 기술과 매우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연속주조장치를 구성하는 턴디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턴디쉬(120)는 외형을 이루는 철피(122)와, 철피(122) 내측에 구비되는 정형 내화물(124)과, 정형 내화물(124) 내측에 구비되는 부정형 내화물(12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정형 내화물(124)은 내화벽돌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이루는 내화물을 의미하고, 화학적 구성물질에 따라서 염기성 내화물인 마그네시아질(Mg-O 계) 내화물, 중성 내화물인 알루미나-탄소질(Al2O3-C 계) 혹은 크롬질(Cr2O3 계) 내화물, 산성 내화물인 규석질(SiO2 계) 내화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물은 해당 공정에 적합한 계열이 선택될 수 있다.
부정형 내화물(126)은 내화벽돌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갖지 않는 내화물로서, 블록 형상의 정형 내화물(124)을 연결하고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부정형 내화물(126)은 시멘트 반죽과 같이 정형 내화물(124) 표면에 덧발라질 수 있는 점도를 갖는 내화물일 수 있다. 부정형 내화물(126)은 내화 모르타르, 스프레이재, 코팅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의 턴디시 내화물 구축에는 Mg-C 계가 많이 쓰인다. 이러한 내화물들은 용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철피(122)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열저항체 역할을 하게 된다.
턴디쉬는 상기 정형 내화물(124)과 부정형 내화물(126)을 고온의 용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부정형 내화물(126)의 내측, 즉 용강과 직접 접촉하는 내부 벽면에 부정형 내화물(126)을 형성하는 내화재와 유사한 재질의 거닝재를 이용한 코팅층(128)을 구비한다. 코팅층(128)은 주조가 완료되면 턴디쉬 내벽으로부터 제거되고, 다음 주조를 위해 부정형 내화물(126)의 내측에 다시 형성하게 된다. 코팅층(128)은 부정형 내화물(126)의 내측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턴디쉬를 형성하는 철피(122)에는 정형 내화물(124)을 노출시키는 통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23)은 철피(1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철피(122)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턴디쉬에는 턴디쉬 내화물, 즉 정형 내화물(124) 및 부정형 내화물(126)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분기가 구비될 수 있다.
탈수분기는 턴디쉬의 외측에 구비되는 진공 챔버(210)와, 진공 챔버(210)에 연결되는 배기관(220)과, 배기관(220)에 연결되어 진공 챔버(2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펌프(230)를 포함한다.
진공 챔버(210)는 턴디쉬의 외측, 즉 철피(122)의 외측에는 철피(122)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진공 챔버(210)는 철피(122)에서 적어도 통공(123)이 형성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챔버(210)에는 진공 챔버(2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고, 배기관(220)은 배기구에 연결되어 진공 챔버(2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로 사용된다.
그리고 배기관(220)에는 배기펌프(230)가 연결되어 진공 챔버(2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챔버(210)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다.
또한, 배기관(220)에는 진공 챔버(210)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측정하는 측정기(240)가 구비될 수 있다. 측정기(240)는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241), 증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계(242) 및 증기의 배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속계(243)와, 각각의 측정기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증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산출하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속주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용강과 수분 간의 반응에 의해 주편 내에 발생하는 결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주조 방법을 이용하여 주편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살수 시간에 따라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률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주조가 완료되면 턴디쉬 내부에 냉각수를 살수하여 턴디쉬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부정형 내화물(126) 내측에 코팅층(128)을 형성한 다음, 턴디쉬를 3 내지 4시간 정도 가열하여 턴디쉬를 예열하고 턴디쉬 내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턴디쉬 내벽에 형성된 코팅층(128)에 함유된 수분은 턴디쉬의 가열을 통해 대부분 제거되지만, 코팅층(128)과 철피(122) 사이의 내화물로 흡수된 수분은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이러한 수분은 연속주조 중 용강 중으로 혼입되어 수증기를 형성하고, 수증기가 다시 고온 상태의 용강으로 인해 열해리를 일으켜 수소와 산소로 분리된 후 용강과 반응하게 된다. 여기에서 수소는 용강이 응고되면서 제조되는 주편 중에 잔류하여 후속 공정에서 주편 터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주조된 주편을 일정 시간 동안 적치시켜 주편 중에 함유된 수소를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이 용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MgO계 물질로 제조된 도가니의 내벽에 턴디쉬의 내벽에 형성되는 코팅층(128)과 동일한 재질의 내화물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가니 내에 내화물층과 동일한 재질의 내화물환을 투입하였다. 이때, 내화물층과 내화물환은 미건조 상태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후, 도가니 내에 1500℃ 정도의 용강(M)을 공급한 다음, 곧바로 용강을 냉각시켜 시료1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시료1을 절단하여 내부 상태를 살펴보았다.
도 3의 a)에서 시료1의 절단면 상태를 살펴보면 시료1 내부 전체에 걸쳐 공극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극은 고온의 용강이 도가니 내부에 공급되면서 내화물층 및 내화물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기포는 증기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증기는 용강 중에서 고온에 의해 열해리되어 산소와 수소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MgO계 물질로 제조된 도가니 내부에 1500℃ 정도의 용강(M)을 공급한 다음, 용강 중에 내화물환을 투입한 후 곧바로 용강을 냉각시켜 시료2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시료2를 절단하여 내부 상태를 살펴보았다.
도 3의 b)에서 시료2의 절단면 상태를 살펴보면 시료2의 상부측에 공극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극은 고온의 용강이 도가니 내부에 공급되면서 내화물층 및 내화물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위의 내용을 알 수 있듯이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은 고온의 용강에 의해 증기로 변해서 용강 중에 기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증기는 용강 중에서 열해리를 일으켜 수소 및 산소로 분리되고, 이중 수소는 용강이 응고하여 생성되는 주편 중에 잔류하게 되므로 주조된 주편을 적치하여 주편 중에 함유된 수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턴디쉬의 내화물, 즉 코팅층(128), 부정형 내화물(126) 및 정형 내화물(124) 중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량에 따라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주편 적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산율의 저하 및 에너지 소모 등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방법은,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률을 이용하여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S100)과, 턴디쉬를 예열하고, 탈수분기를 가동시키는 과정(S110)과, 상기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에서 배출되는 증기에서 수분 배출량을 측정하는 과정(S120)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수분 배출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먼저,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해질 수 있다.
식1)
Figure 112013081762114-pat00001
상기 식1)에 의하면 내화물의 흡습량은 턴디쉬에 살수되는 냉각수의 총량과 내화물의 흡습률 주조 후 턴디쉬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턴디쉬에는 냉각수가 살수된다. 이때, 부정형 내화물(126)과 정형 내화물(124)에는 수분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내화물 흡습률은 살수 시간, 냉각수나 내화물의 온도, 살수량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즉 살수 시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흡습률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정형 내화물(124), 부정형 내화물(126) 및 코팅재의 재질에 따라 내화물 흡습률은 달라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내화물 흡습률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주조 후 턴디쉬의 냉각을 위해서 턴디쉬에 냉각수를 살수하는 경우, 턴디쉬 내화물로 흡습되는 비율을 실험적으로 구하고 이때 전체 살수량에서 턴디쉬 내화물로 흡습되는 수분량을 구할 수 있게 된다. 턴디쉬 내화물, 예컨대 정형 내화물(124)과 부정형 내화물(126)은 그 형성되는 재질에 따라 고유의 흡습률을 갖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 시간이 증가할수록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률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쉬 내화물의 고유의 흡습률과 살수 시간을 이용하여 턴디쉬 내화물로 흡수되는 수분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코팅재에 함유된 수분이 턴디쉬 내화물로 흡수되는 흡습량을 구할 수 있다. 코팅재에는 20 내지 30% 정도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턴디쉬 내벽에 형성되면서 그 중 일부의 수분이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된다. 턴디쉬를 3 내지 4시간 정도 예열하는 과정에서 코팅재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기는 하지만,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된 수분은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팅층(128)에 함유된 전체 수분량에서 예열과정에서 제거되는 수분량을 제외하고 턴디쉬 내화물로 흡수된 수분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은 앞서 설명한 탈수분기를 이용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이후, 턴디쉬를 가열하여 턴디쉬를 예열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턴디쉬 내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 경우 턴디쉬 표면이나, 코팅층(128)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된다.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턴디쉬의 외측에 구비되는 탈수분기의 배기펌프(230)를 가동하여 진공 챔버(210)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다. 진공 챔버(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예열된 턴디쉬의 온도에 의해 턴디쉬 내화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기로 변한다. 증기는 진공 챔버(210)의 음압에 의해 진공 챔버(210)로 배출되고, 진공 챔버(210)로 배출된 증기는 배기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된 증기는 배기관(220)을 통과하면서 배기관(220)에 설치된 측정기(240)를 거치게 된다.
측정기(240)에서는 유속계(243)를 이용하여 증기의 배출속도를 측정하게 되고, 온도 측정기(241)를 이용해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습도계(242)를 이용하여 증기의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각각의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측정치들은 제어기에 입력되어 증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산출하는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
식2)
Figure 112013081762114-pat00002
유속계(243)에서 측정된 증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증기의 유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의 유속을 측정한 시점에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에서 증기의 습도를 측정하면 측정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을 이용하여 증기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수분량과 앞서 마련된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상호 비교한다. 비교 결과,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이 측정된 수분량, 즉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에 함유된 수분량보다 많은 경우 턴디쉬 내화물에 아직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 주조되는 주편을 적치하는 것으로 결정(S150)할 수 있다.
한편,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이 측정된 수분량보다 적거나 같은 경우 턴디쉬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이 대부분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주편의 적치가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S140)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에서 탈수분기를 지속적으로 가동하여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하여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지교할 수 있다. 그리고 주조 시 래들 교체하는 경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교체되는 래들에서 공급된 용강을 이용하여 주조되는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은 턴디시의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용강이 수강되고 내화물로 형성되는 각종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턴디쉬 122: 철피
123: 통공 124: 정형 내화물
126: 부정형 내화물 128: 코팅층
210: 진공 챔버 220: 배기관
230: 배기펌프 240: 측정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연속주조방법으로서,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율과 냉각수의 살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과,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 배출량을 측정하되,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유속으로부터 상기 증기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배출되는 증기에 포함된 수분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수분 배출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하기 식1)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고,
    하기 식2)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 배출량을 측정하는 연속주조방법.
    식1)
    Figure 112014126724719-pat00010

    식2)
    Figure 112014126724719-pat0001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턴디쉬에 냉각수를 살수할 때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수분량과, 상기 턴디쉬의 내벽에 형성되는 코팅층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턴디쉬 내화물로 흡수되는 수분량의 합을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으로 마련하는 연속주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 살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수분량은 상기 냉각수의 전체 살수량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 흡수되는 비율을 이용하여 구하는 연속주조방법.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보다 상기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주편을 적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연속주조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적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이 상기 배출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주편을 적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연속주조방법.
  10.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8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화물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턴디쉬 내화물의 흡습량과 상기 배출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턴디쉬에 공급되는 용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적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중 수행하는 연속주조방법.
KR1020130107249A 2013-09-06 2013-09-06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KR10153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249A KR101532339B1 (ko) 2013-09-06 2013-09-06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249A KR101532339B1 (ko) 2013-09-06 2013-09-06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22A KR20150028522A (ko) 2015-03-16
KR101532339B1 true KR101532339B1 (ko) 2015-06-29

Family

ID=5302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249A KR101532339B1 (ko) 2013-09-06 2013-09-06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735A (ja) * 1997-02-13 1998-08-25 Shinko Mecs Kk 取鍋耐火物の水分測定方法
JPH1151880A (ja) * 1997-08-07 1999-02-26 Kobe Steel Ltd 溶湯容器内張り耐火物の含水量測定ユニット
JPH11294963A (ja) * 1998-04-14 1999-10-29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容器のライニング構造および不定形耐火物の施工方法
JP2007222896A (ja) * 2006-02-22 2007-09-06 Aisin Seiki Co Ltd キャビティ湿度計測方法およびダイカ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735A (ja) * 1997-02-13 1998-08-25 Shinko Mecs Kk 取鍋耐火物の水分測定方法
JPH1151880A (ja) * 1997-08-07 1999-02-26 Kobe Steel Ltd 溶湯容器内張り耐火物の含水量測定ユニット
JPH11294963A (ja) * 1998-04-14 1999-10-29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容器のライニング構造および不定形耐火物の施工方法
JP2007222896A (ja) * 2006-02-22 2007-09-06 Aisin Seiki Co Ltd キャビティ湿度計測方法およびダイカ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22A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UD940090A1 (it) Procedimento di colata continua per acciai peritettici
US3465811A (en) Plants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Ji et al. Continuous casting of high-Al steel in Shougang Jingtang steel works
CN110640106B (zh) 一种减少宽厚板连铸坯表面纵裂纹的开浇方法
KR101631400B1 (ko) 용강 용기
Karimian et al. Effect of pattern coating thickness on characteristics of lost foam Al–Si–Cu alloy casting
CN109365770A (zh) 一种减少连铸开浇头坯表面气孔缺陷的方法
KR101532339B1 (ko)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GB1449902A (en) Teeming steel for continuous casting
KR100916145B1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의 내화물
KR20120087511A (ko) 고망간강용 몰드 파우더 조성물
CN116372122A (zh) 一种减少铸锭冒口与锭身连接处裂纹的方法
CN214349575U (zh) 一种含耐火涂料的砌筑钢包
CN102974794B (zh) 一种降低连铸钢包或中间钢包钢水过热度的装置和方法
CN110293219B (zh) 一种减少钢中大尺寸钙铝酸盐夹杂物的方法
CN107695311A (zh) 投入材料及利用其的铸造方法
KR101371959B1 (ko) 고 Al 함유 TWIP강 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TWIP강의 제조방법
Roy et al. Reduction in surface defect in continuous cast slab through intervention in process parameters
JP2017087230A (ja) タンディッシュの施工方法、加熱前のタンディッシュおよび鋼の製造方法
JP4430277B2 (ja) マイクロ波を用いた不定形耐火物の乾燥方法
KR101400040B1 (ko) 턴디쉬의 용강온도 유지방법
CN111719037A (zh) 一种提高双流板坯中间包连浇炉数的方法
LIN Analysis of Temperature Dropping of Molten Steel in Ladle for Steelmaking
TWI792485B (zh) 鋼之連續鑄造方法
CN117206483B (zh) 一种改善弹簧钢矩形坯碳偏析的连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