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286B1 -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286B1
KR101532286B1 KR1020137011841A KR20137011841A KR101532286B1 KR 101532286 B1 KR101532286 B1 KR 101532286B1 KR 1020137011841 A KR1020137011841 A KR 1020137011841A KR 20137011841 A KR20137011841 A KR 20137011841A KR 101532286 B1 KR101532286 B1 KR 10153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raffic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136A (ko
Inventor
게라르도 기아레타
줄리엔 에이치. 라가니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4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network layer

Abstract

3GPP 및 넌-3GPP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암호화 터널(cipher tunnel)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QoS 마커는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다. QoS 마커는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다.

Description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TRAFFIC DIFFERENTIATION SUPPORT FOR CIPHERED TUNNELS}
본 출원은 2010년 10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391,05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본 출원은 3GPP 및 넌-3GPP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 광범위하게 전개되는데,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유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법들, 이를테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커버리지 영역을 복수의 UE들에 제공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지국들을 사용한다. 전형적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들에 대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은 UE에 독립적 관심일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는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다른 UE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 스트림들은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음성, 비디오 또는 다른 통신 데이터, 또는 UE 및/또는 네트워크의 행동을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와 관련된다. 송신되는 데이터의 타입 및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타입과 같은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은 이와 연관된 상이한 정책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된 통신들을 위한 정책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정책들의 정확한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각각 몇몇 양상들을 가지며, 이들 중 어떠한 단일한 하나도 오로지 그 바람직한 속성들만을 담당하는지는 않는다.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일부 특징들이 이제 간단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이후, 특히 "설명"이라 명명되는 섹션을 판독한 이후,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징들이 3GPP 및 넌-3GPP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암호화 터널(cipher tunnel)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출원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보다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양상들에 따른 3GPP-LTE 시스템의 참조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대응하는 UE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IP 페이로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터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터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제공하는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터널링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호 플로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단말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또 다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3은 암호화 터널에서 송신을 위한 패킷들을 마킹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트래픽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법들 및 장치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단일 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 LTE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이라는 용어들은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법들 및 장치는 유선 네트워크들 간의 그리고 유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호 접속 뿐만 아니라 둘 또는 셋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상호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라디오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특히,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고 명명되는 기구로부터 제공되는 문서들에서 설명되고,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고 명명되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거나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는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3세대(3G) 모바일 폰 규격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기통신들의 그룹들 간의 협동(collaboration)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은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 모바일 폰 표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3GPP 프로젝트이다. 3GPP는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들, 모바일 시스템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규격들을 정의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서, 장치 및 기법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 구현들을 위해서 아래에서 설명되고, 아래의 설명의 많은 부분에서 LTE 용어가 사용되지만, 본 설명이 LTE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들이 다양한 다른 통신들 시스템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무선 통신들 시스템들에서의 논리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될 수 있다. 논리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다운링크(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페이징 정보를 전달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CCH), 및 하나 또는 몇몇의 MTCH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스케줄링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점-대-다점 DL 채널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자원 제어(RRC) 접속을 설정한 이후, 이 채널은 MBMS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DCCH)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점-대-점 양방향 채널이며, RRC 접속을 가지는 UE들에 의해 사용된다.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위한, 하나의 UE에 전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 및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점-대-다점 DL 채널에 대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채널들은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전송 채널들로 분류될 수 있다. DL 전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DL-SD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할 수 있다. PCH는 (DRX 사이클이 네트워크에 의해 UE로 표시될 때) UE 전력 절약의 지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전체 셀 상에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으며,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물리 계층(PHY) 자원들에 매핑될 수 있다.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REQCH),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UL-SDCH) 및 복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HY 채널들은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적인"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보다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독립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로 지칭된다. 선형 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 최대 공간 멀티플렉싱 NS는 min(NT, NR)이고, 여기서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 각각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이것은 공간 효율성에서 NS 증가를 제공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 차원들이 이용되는 경우, MIMO 시스템은 향상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랭크에 관하여 특별한 차원이 설명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구현들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들을 사용하여서, 상호성(reciprocity)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한다.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이 이용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 빔형성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 설계들은 빔형성 및 다른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위한 다양한 시간-주파수 참조 신호들을 지원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공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이며, 또한 파일럿, 프리앰블, 트레이닝 신호, 사운딩 신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채널 추정, 코히런트 복조, 채널 품질 측정, 신호 강도 측정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로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들 사이의 참조 신호들의 전송의 조정을 제공하지만, LTE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eNB들로부터의 참조 신호들의 전송의 조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할 수 있다. TDD의 경우,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 또는 채널을 공유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채널 응답은 업링크 채널 응답과 상관될 수 있다. 상호성의 원리는 업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들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채널이 추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업링크 송신들은 참조 신호들 또는 업링크 제어 채널들(복조 이후 기준 심볼들로서 사용될 수 있음)일 수 있다. 업링크 송신들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공간-선택적 채널의 추정을 허용할 수 있다.
LTE 구현들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은 다운링크를 위해서 ― 즉,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eNodeB(eNB)로부터 단말 또는 UE로 ― 사용된다. OFDM의 사용은 스펙트럼 유연성을 위한 LTE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높은 피크 레이트들을 가지는 매우 넓은 캐리어들에 대한 비용-효율적 솔루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OFDM은 IEEE 802.1la/g, 802.16, HIPERLAN-2, 디지털 비디오 브로드캐스팅(DVB) 및 디지털 오디오 브로드캐스팅(DAB)과 같은 표준들에서 사용된다.
시간-주파수 물리 자원 블록들(간결성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또한 자원 블록들 또는 "RB들"로 표시됨)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할당되는 전송 캐리어들(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 또는 인터벌들의 그룹들로서 OFDM 시스템들에서 정의될 수 있다. RB들은 시간 및 주파수 기간에 걸쳐 정의된다. 자원 블록들은 시간-주파수 자원 엘리먼트들(간결성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또한 자원 엘리먼트들 또는 "RE들"로 표시됨)로 구성되고, 이는 슬롯에서 시간 및 주파수의 인덱스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LTE RB들 및 RE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3GPP TS 36.211에서 설명된다.
UMTS LTE는 20 MHz로부터 1.4 MHZ에 이르는 스케일가능한(scalable) 캐리어 대역폭들을 지원할 수 있다. LTE에서, RB는 서브캐리어 대역폭이 15 kHz일 때 12개의 서브-캐리어들로서 정의되거나 또는 서브-캐리어 대역폭이 7.5 kHz일때 24개의 서브-캐리어들로서 정의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10 ms 길이이고, 각각 1 ms의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되는 라디오 프레임이 정의된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로 구성되며, 여기서 각각의 슬롯은 0.5 ms이다. 이러한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kHz이다. 이 서브캐리어들 중 12개가 함께(슬롯 당) RB를 구성하여서, 이 구현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은 180 kHz이다. 6개의 자원 블록들은 1.4 MHz의 캐리어에 적합하고(fit), 100개의 자원 블록들은 20 MHz의 캐리어에 적합하다.
다운링크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물리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PDCCH는 제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PHICH는 ACK/NACK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PCFICH는 제어 심볼들의 수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고,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것이며,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MCH)은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위한 것이고,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셀 내의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LTE에서 PDSCH 상에서 지원되는 변조 포맷들은 직각 위상-시프트 키잉(QPSK), 16-QAM(즉, 직각 진폭 변조) 및 64-QAM이다.
업링크에서는, 3개의 물리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은 초기 액세스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UE가 업링크 동기화되지 않을 때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UE에 대한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 정보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송신될 것이다.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에서 지원되는 변조 포맷들은 QPSK, 16QAM 및 64QAM이다.
가상 MIMO/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가 도입되는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방향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는 기지국에서의 안테나들의 수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 기술의 경우, 하나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일한 자원들을 재사용할 수 있다. MIMO 동작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의 데이터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일 사용자 MIMO와 셀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중 사용자 MIMO 사이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3GPP LTE에서, 이동국 또는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볼브드 Node B 또는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반-자동 기지국은 홈 eNB 또는 HeNB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HeNB는 eNB의 일례일 수 있다. HeNB 및/또는 HeNB의 커버리지 영역은 펨토셀, HeNB 셀 또는 폐쇄 가입자 그룹(CSG) 셀(여기서 액세스가 제한됨)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다른 양상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은 폭 넓고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둘 모두는 단지 대표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양상들 중 둘 또는 셋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양상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과 더불어 또는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양상은 청구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된 터널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핫스팟들과 같은 액세스 메커니즘들과 3GPP 네트워크들의 상호네트워킹은 최근 관심을 끌었다. 실시예에서, 상호네트워킹은 보안 터널에 기초할 수 있으며, 보안 터널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이를테면, 예를 들어, 이볼브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PDG) 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GW)와 UE에 의해 WLAN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GW는 UE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 간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PDN GW는 또한 사용자 장비로의 트래픽을 위한 입구 및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트래픽을 위한 출구의 포인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IP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PDN 게이트웨이는 라우팅, IP 주소의 할당,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제공 및 정책 시행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된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라우터일 수 있는 WiFi 광대역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NG)는 R/Gxx를 통해 수신된 정책에 기초하여 트래픽 차등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래픽 차등(traffic differentiation)은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NG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UE 트래픽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책들은 트래픽 필터들, QoS 클래스 식별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트래픽은 UE에 의해 암호화 또는 암호처리될 수 있고, 다운링크 트래픽은 PDN GW 또는 ePDG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오직 외부 IP 헤더만이 트래픽 분류를 수행하는 중간 디바이스들에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디바이스들은 패킷의 암호화된 컨텐츠들을 분석할 수 없을 수 있으며, 트래픽 차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외부 IP 헤더 내에 임베딩되는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PDN GW 또는 ePDG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외부 IP 헤더를 마킹할 수 있으며, 이는 BNG와 같은 중간 디바이스들에 의해 다운링크 트래픽의 차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BNG는 R/Gxx를 통해 수신된 정책 정보 및 수신된 패킷들의 마킹에 기초하여 DL 패킷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GW는 암호화된 패킷들의 컨텐츠들을 분석하고, 정책 정보를 적용하며, 트래픽 필터들을 QoS 마커들에 매핑하고, 이 마커들을 BNG에 의한 차등을 위한 외부 IP 헤더들에 적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트래픽에 있어서, BNG는 오직 UE로부터 오는 외부 IP 헤더만을 알 수 있다. UE가 UL 트래픽에 대한 패킷들을 마킹할 수 있지만, UE는 R/Gxx를 통해 BNG에 의해 수신된 정책들로의 액세스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UE는 트래픽 필터들을 IP 헤더 마킹들에 매핑할 수 없을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트래픽 필터들 및 마킹의 매핑을 UE에 제공하는 방법들 및 장치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밴드 내 정책 통신
일 실시예에서, 정책 정보는 인터넷 키 교환(IKEv2)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될 수 있다. IKEv2는 IPsec 프로토콜 슈트에서 보안 연관(SA: security association)을 셋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KEv2는 UE와 PDN GW 간의 또는 UE와 ePDG 간의 IPsec 터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DN GW 또는 ePDG는 UE에 패킷들을 어떻게 마킹할 것인지를 명령하기에 충분한 UL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IKEv2를 통해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책 정보는 암호화된 터널을 설정할 때 제공될 수 있으며, 암호화된 터널이 설정되게 하는 동일한 메커니즘들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GW는 UE와 PDN GW 간의 암호화 터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IKEv2 시그널링을 통해 정책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책 정보는 Gx 인터페이스, S9 인터페이스, Rx 인터페이스 및/또는 Gxx 인터페이스를 통해 BNG에 제공될 수 있다. PDN GW 또는 ePDG에 의해 UE에 그리고 Gx/S9*/R/Gxx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QoS 마커는, 예를 들어, DSCP 값, IPsec SPI 값, 및/또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IKEv2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새로운 메시지, 새로운 통보 페이로드 및/또는 기존 메시지로의 확장, 예를 들어, DL 트래픽에 대하여 PDN GW 또는 ePDG 게이트웨이에 의해 사용되는 자식 SA 생성 메시지의 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 터널의 네트워크 측 단은 암호화 터널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메커니즘을 통해 그리고/또는 이와 동시에 정책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밴드 내에서 정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UE는 트래픽 타입들과 공개적(public) 마킹들 간의, 예를 들어,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된 채널의 컨텐츠들에 대하여 허용(privy)되지 않을 수 있는) 중간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UE에 의해 제공된 외부 IP 헤더에서의 암호화되지 않은 마킹들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차등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차례로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복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액세스 단말(104)과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은 액세스 단말(또는 UE)(104)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UE들의 예들은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탑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UE(104)는 기지국(102)과 통신하며, 기지국(102)은 순방향 링크(112) 상에서 정보를 UE(104)에 송신하며, 역방향 링크(114) 상에서 UE(1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요청된 서비스들(108)을 UE(104)에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자원들(106)에 액세스한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자원들(106)은 UE가 방문하는 영역 내의 네트워크, 이를테면, VPLMN(Visitor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속할 수 있거나 또는 UE(104)의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에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이한 사용자-사용자 또는 사용자-네트워크 서비스들에 적절한 자원들(106)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자원들(106) 내의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는 FT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서버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운영자는 다른 서버를 통해 D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원들(106)은 이러한 서비스 요청들로부터 발생한 상이한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들(SDF)에 대한 과금 규칙들 및 정책들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간의 데이터 플로우를 암호화하기 위한 다양한 코딩/암호화 방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의 다양한 노드들은 데이터로의 상이한 레벨들의 액세스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단계에서 상이한 데이터 플로우들 각각에 대한 특정 QoS 규칙들을 구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터널 중 하나의 단에 있는 UE(104) 및 암호화 터널의 다른 단에 있는 자원들(106)은 암호화 터널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암호화될 때, 패킷들은 기지국(102)과 연관된 액세스 기능부들 간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기지국(102)과 연관된 액세스 기능부들에 유사하게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포인트들에서의 정확한 과금 정책들 또는 품질 고려사항들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는 시스템(100) 내의 트랜싯(transit) 엔티티들이 암호화 터널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조사할 필요없이 페이로드를 포워딩할 수 있는 경우 시스템(100)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시스템(100)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로의 다양한 플로우들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투명성(transparency)과 관계없이 패킷 헤더들의 검사 시에 상이한 데이터 플로우들에 대한 과금 규칙들 또는 QoS 규칙들과 같은 플로우-특정 규칙들이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균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액세스를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양상들에 따른 3GPP-LTE 시스템(200)의 참조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명료성을 위해서, 시스템(200) 내의 다양한 기능적/논리 노드들이 개별 엔티티들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하나의 물리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복수의 이러한 기능적/논리 노드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시스템(200)은 상이한 게이트웨이들을 통해 UE(202)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들(204)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UE(202)는 도면에 206으로 공통으로 라벨링되는 신뢰되는 넌-3GPP IP 액세스 인터페이스(이를테면, Wi-Fi, WiMAX) 또는 신뢰되지 않는 넌-3GPP IP 액세스 중 하나를 통해 인터넷 또는 다른 운영자 IP 서비스들(204)에 액세스 할 수 있다.
UE(202)는 S2c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두 타입들의 사용자 플레인에 대한 IP(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논리 기능부들(서빙 게이트웨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GW))을 통해 , 액세스 시스템과 통신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능들은, UE(202)를 서빙하는 VPLMN의 서빙 게이트웨이들이 UE(202)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들(204)로의 트래픽을 지시하는 다른 네트워크들의 PDN-GW들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동일하거나 또는 별개의 물리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빙 GW는 S6a 인터페이스를 통해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통신하는 한편, HSS는 차례로 Wx* 인터페이스를 통해 3GPP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에 접속된다. 3GPP AAA 서버는 또한 각각 Wm*, Wa*, Ta*, 및 S6c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ePDG, 넌-3GPP 액세스 메커니즘들(206) 및 PDN-GW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한다. PDN-GW는 각각 S5 및 SGi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빙 게이트웨이 및 IP 서비스들과 통신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202)는 다양한 데이터 플로우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플로우들은 UE(202)에서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일 수 있는 반면, 다른 플로우들은 UE(20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추가로 포워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플로우는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 다른 플로우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동일한 소스 IP 주소 및 동일한 목적지 IP 주소, 및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가지는 IP 패킷들의 단방향 플로우는 IP 플로우로 지칭될 수 있다.
IP 플로우들은 IP 터널들로 지칭될 수 있는 통신 채널들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들에 걸쳐 캡슐화 및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플로우들 각각은 구현될 특정 규칙들, 이를테면, 예를 들어, 이들과 연관된 렌더링된 서비스들에 대하여 가입자에게 과금하기 위한 QoS 고려사항들 또는 규칙들과 연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들에 따르면, 이러한 규칙들은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oS 고려사항들은 생성되는 데이터의 타입 또는 UE(202)와 연관된 서비스 계획의 타입에 의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규칙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에 의해 결정되며, PCRF를 신뢰되는/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들, PDN-GW 및 서빙 게이트웨이 등에 접속하는 상이한 S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통신된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PCRF는 규칙들을 S7 인터페이스들(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된 이러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각각 내에 존재하는 BBERF(Bearer Binding and Event Reporting Function)에 통신한다. 규칙들은 필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IP 플로우의 설명, 플로우의 소스(예를 들어, 플로우가 발신되는 IP 주소), 플로우의 목적지, 플로우에 사용될 프로토콜, 플로우 내에서의 데이터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의 처리 방법 등은 모두 UE(202)의 HPLMN과 연관된 PCRF에서 결정될 수 있다.
MIP(Mobile IPv4) 또는 DSMIPv6(Dual Stack Mobile IPv6) 프로토콜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202)와 PDN-GW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패킷들의 통신을 위해서 이들 간에 터널이 설정된다. 이러한 터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3GPP 액세스 메커니즘을 통해 진행한다. 특히, 신뢰되는 넌-3GPP 액세스 메커니즘이 사용되는지 또는 신뢰되지 않는 넌-3GPP 액세스 메커니즘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이볼브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PDG)를 통한 S7a 인터페이스 또는 S7b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데이터 패킷들의 통신에 사용된다. 따라서, 액세스 메커니즘은 터널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타입을 검출하며, 데이터 패킷들에 적용될 적절한 처리를 수신하기 위해서 PCRF와 협의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메커니즘이 패킷 헤더들의 검사 시에 패킷들에 대한 적절한 QoS 처리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 시스템(200)은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터널 내에서의 데이터 플로우가 암호화 또는 암호처리되는 경우, 액세스 메커니즘 내에서의 BBERF에 대하여 플로우는 투명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 메커니즘은 플로우-특정 규칙들, 예를 들어, 터널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원하는 QoS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PCRF와 협동할 수 없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페이로드가 UE(202)로부터 홈 에이전트(도시되지 않음)로 터널링될 때마다, 식별자는 PDN-GW에 의해 IP 플로우에 할당된다. 이것은 데이터 패킷들과 연관된 헤더 내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적어도 서브세트로 통신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예를 들어, PCRF가 암호화된 패킷들에 대하여 사용될 적절한 플로우-특정 규칙들을 결정하고 이러한 규칙들을 넌-3GPP 액세스 메커니즘으로 통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액세스 메커니즘은 플로우 식별자들을 통해 규칙들을 특정 IP 플로우들과 매칭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통신 시스템(200)의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암호화된 세션의 종료 시에, 시스템(200)은 S7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정책 규칙들의 통신으로 리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액세스 메커니즘은 플로우들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샘플링에 기초하여 PCRF와 협의한다. 따라서, IP 플로우들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 액세스 메커니즘을 요구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대신에, 다양한 양상들은 소스 주소 및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를 포함하는 IPv6 필드들의 투플(tuple) 뿐만 아니라, 페이로드 헤더 내의 전송 계층 포트 번호들(UDP(User Datagram Protocol) 터널링이 사용될 때)을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IP 플로우들에 대한 라벨, 포인터 및/또는 식별자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것은 플로우들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특성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정확한 플로우 특정 규칙들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특정 데이터 플로우들을 식별하기 위해서 플로우 ID와 더불어 소스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에 있어서, 플로우 ID와 소스 주소의 조합은 고유하다. 이것은 UE(202)가 상이한 소스들 또는 별개의 PDN-GW들로부터 동일한 플로우 ID를 가지는 플로우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소스 주소와 플로우 ID의 조합이 고유할 것이므로, UE(202)는 VoIP 서비스로의 액세스 또는 자기 자신의 인터넷 서비스 액세스로부터 발신하는 동일한 플로우 ID들을 가지는 플로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UE(202)가 업링크 통신들 상에서 적절한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정확한 정책들/규칙들을 사용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플로우 식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플로우 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은 액세스 메커니즘들(206)에 대하여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DN-GW는 그것이 적절한 액세스 메커니즘(206)으로부터 수신한 플로우들에 정확한 정책이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가능할 수 있는 반면, PDN-GW는 UE(202)와 액세스 메커니즘(206) 간의 플로우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액세스 메커니즘(206)과 통신하는 동안 잘못된 QoS 카테고리들을 데이터 패킷들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정확한 QoS 애플리케이션의 영향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로우 식별의 사용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202)는 PDN-GW로부터 플로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202)는 특정 모바일 발신(mobile originated) 데이터 플로우들에 대한 플로우 ID들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202)는 플로우 ID에 기초하여 적절한 QoS 파이프들에 데이터 패킷들을 배치할 수 있다. PDN-GW가 UE(202)로부터 액세스 메커니즘(206)을 통해 라벨링된 플로우들을 수신할 때, PDN-GW는 UE(202)가 데이터 플로우들에 대한 정확한 QoS 규칙들을 적용하였음을 검증하기 위해서 플로우 ID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플로우 ID는 특정 데이터 플로우들을 라벨링하기 위한 외부 IP-헤더 내의 8-비트 또는 16-비트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메커니즘(206)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는 업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가지는 플로우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UE(202)는 적용가능한 규칙들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QoS 파이프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액세스 메커니즘(206)에 송신한다. 액세스 메커니즘(206)(예를 들어, 서빙 GW)은 (그것이 정책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책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하여 UE(202)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QoS 파이프들과 연관된 특정 플로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가진다. 이후, 액세스 메커니즘(206)은 플로우 라벨들 등과 같은 플로우 식별 정보를 데이터 패킷의 외부 헤더에 부가할 수 있으며, 패킷들을 PDN-GW 또는 홈 에이전트에 송신할 수 있다. 플로우 식별 정보와 더불어 데이터 플로우들을 수신할 시에, PDN-GW는 액세스 메커니즘(206)(예를 들어, 서빙 GW)으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식별 정보를 PCRF에 의해 결정되어 자신에 통신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 플로우들의 정책들과 연관된 플로우 식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PDN-GW는 데이터 플로우들이 PCRF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플로우-특정 정책들에 따라 UE(202)에 의해 액세스 메커니즘(206)(예를 들어, 서빙 GW)에 송신되었음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플로우들을 라벨링하는 것 또는 식별하는 것은 오직 과금/QoS 규칙들의 균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없고, 이것은 또한 UE가 정확한 규칙들을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에 적용하였음을 결정하기 위한 검증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302) 및 대응하는 UE(304)를 도시한다. 도시된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302) 및 UE(3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양상들에 따라 터널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내에서 암호화 지원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기능적/논리 엔티티들, 이를테면, PCRF, PDN-GW, 서빙 GW(서빙 게이트웨이) 또는 BBERF는 네트워크의 동일하거나 또는 별개의 물리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PDN-GW 및/또는 서빙 GW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내에서의 물리 엘리먼트(302)는 송신 컴포넌트(308) 및 수신 컴포넌트(310)와 더불어 플로우 식별 정보 생성 컴포넌트(30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신 컴포넌트(3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데이터 플로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컴포넌트(3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데이터 플로우들이 수신될 것인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 이를테면, 정책 서버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수신할 시에, 물리 엘리먼트(302)와 연관된 플로우 ID 생성 컴포넌트(306)는 IP 플로우들 각각에 대한 라벨/포인터/플로우 ID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플로우 식별 정보 생성 컴포넌트(306)는 E(304) 및 물리 엘리먼트(302)가 특정 플로우들에 대한 암호화/암호처리를 턴온할 때 데이터 플로우들의 라벨링을 시작할 수 있다. 간략성을 위해서, UE(304)는 단일 물리 엘리먼트(302)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304)는 상이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복수의 PDN-GW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UE(304)를 복수의 PDN-GW들과 연관시키는 복수의 플로우들 각각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플로우 식별 정보와 함께 플로우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HA(Home Agent) 주소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308)는 생성된 플로우 식별 정보를 생성된 플로우 식별 정보와 연관된 플로우에 대하여 구현될 QoS 규칙들을 결정하는 PCRF를 실행시키는 정책 서버(도시되지 않음)로 통신할 수 있다. 이후, 구현에 대하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정책 서버는 QoS 규칙들과 함께 플로우 식별 정보를 신뢰되는/신뢰되지 않는 3GPP 메커니즘과 같은 액세스 메커니즘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IP 페이로드(450)의 개략도이다. IP 페이로드(450)는 플로우 식별 정보와 함께 통신 터널에서 송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페이로드가 UE로부터 홈 에이전트로 또는 그 역으로 송신될 때, IP 터널을 통한 원래의 라우팅 경로는 중간 네트워크에 걸쳐 설정된다. IP 터널링들은, 예를 들어, IPv6 구현들을 IPv4 구현들과 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IP 터널링에서, 각각의 IP 페이로드(452)는 원래의 소스 및 내부 IP 헤더(454)에서의 수신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다. 외부 IP 헤더(458)는 터널의 "엔드포인트들"을 식별하는 소스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중간 터널 헤더들(456)은, 예를 들어,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들 등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간 터널 헤더들(456)은 페이로드의 포워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터널 엔드 포인트들에서, 트랜싯 네트워크로부터의 엔드 포인트들을 트래버싱(traverse)하는 패킷들은 터널링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그들의 트랜싯 헤더들 및 트레일러들로부터 제거되고, 원래의 프로토콜 포맷으로 변환되며, 네트워크 스택으로 삽입된다. 보다 상세한 양상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라벨들, 포인터들 또는 플로우 ID들의 형태인 플로우 식별 정보는 외부 IP 헤더(458)에 포함될 수 있다. 플로우 식별 정보는 PCRF 및 최종적으로는 BBERF가 외부 헤더(458)를 검사함으로써 터널 플로우를 식별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터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50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50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들 또는 UE들(510)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GW)(540)를 통해 3GPP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접속은 WiFi BNG(Border Node Gateway)(520)와 같은 넌-3GPP 엔티티를 통하는 경로를 포함한다. 통신 세션의 각각의 IP 패킷을 승인 및 암호화함으로써 IP 통신들을 보안하기 위한 프로토콜 메커니즘인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IPsec) 터널(515)은 UE(510)와 PDN GW(540) 간에 설정될 수 있다. BNG(520)는, UE(510)가 PDN GS(540)를 통해 3GPP 코어에 접속할 때 트래픽이 적절하게 분류되도록 시행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BNG(520)는 트래픽을 적절한 클래스들로 분류하며, BPCF(Bearer Path Control Function) 노드(56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QoS 차등을 제공한다. BPCF 노드(560)는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 노드(5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CRF 노드(550)는 PDN GW(540)에 커플링될 수 있다. BPCF(560)는 3GPP 코어 네트워크에서 결정되는 QoS를 제공하거나 또는 시행하기 위해서 BNG(520)에 통보한다.
도 6은 터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6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예는 도 5의 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향상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PDG)(630)는 UE(610)에 커플링되고, IPsec 터널(615)은 BNG(620)를 통해 UE(610)와 ePDG(630) 간에 설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ePDG(630)는 PCRF(650)에 커플링되는 PDG GW(640)에 커플링된다. PCRF(650)는 라디오 서비스들, 트래픽 분류들 등에 관한 결정들을 수행하고, 정보를 BPCF(660)에 제공하며, 이는 이후, 3GPP 코어 네트워크에서 결정되는 QoS를 제공하거나 또는 시행하기 위해서 BNG(620)에 통보한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IKEv2 시그널링은 단말 또는 UE와 PDN GW 또는 ePDG 간의 IPsec 터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PDN GW 또는 ePDG(이를테면, PDN GW(540) 또는 ePDG(6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업링크(UL) 트래픽 필터들 및/또는 서비스 품질(QoS) 마커들을 IKEv2를 통해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그것이 패킷들을 어떻게 마킹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 예를 들어, IPsec 터널링(515 또는 615)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또한 BNG(이를테면, BNG들(520 또는 620))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마킹된 패킷들은 (IPsec 터널들(515 및 615)을 통한 패킷들의 암호화를 고려하여)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7은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제공하는 프로세스(7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스(700)의 방법은 도 3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PDN(302) 및 UE(30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흐름도(700)의 방법이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흐름도(700)의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순서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여기에서의 블록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고, 추가적인 블록들이 부가될 수 있다.
먼저, 블록(710)에서, PDN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IPsec 터널을 통해 플로우들과 연관된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720)에서, PDN 및/또는 ePDG는, IKEv2를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는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UE에 제공한다. 이후, 블록(722)에서, UE는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수신한다. 이후, 블록(724)에서, UE는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과 일치하는 패킷들을 마킹할 수 있어서, 이들은 IPsec 터널에서 BNG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블록(730)에서, PDN은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BNG에 제공한다. 이것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들 Gx/S9*/R/Gxx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732)에서, BNG는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수신한다. 이후, 블록(734)에서, BNG는 수신된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IPsec 터널에서 트래픽을 제어한다.
도 8은 터널링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호 플로우(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엔티티들 UE(801), BNG(803), PDN GW(805), PCRF(807) 및 BPCF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엔티티들에 대응할 수 있다. 먼저, UE(801) 및 PDN GW(805)는 디폴트 트래픽에 대한 IPsec 터널(810)을 설정할 수 있다. PCRF(807)는 새로운 PCC 규칙을 시그널링(820)을 통해 PDN GW(805)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PDN GW(805)는 자식 서비스 연관(SA)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IkeV2를 통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824)을 통해 UE에 송신될 수 있다. 시그널링(824)은 UL QoS 요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UL 트래픽 필터들 및 UL QoS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UE(801)는 시그널링(824)을 통해 수신된 UL 트래픽 필터들에 기초하여, 블록(830)에서 자식 SA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UE(801)는 자식을 시그널링(842)을 통해 PDN GW(805)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PDN GW(805)는 PCC 규칙 확인응답을 시그널링(846)을 통해 PCRF(807)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PCRF(807)는 새로운 PCC 규칙을 시그널링(848)을 통해 BPCF(809)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BPCF는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새로운 PCC 규칙을 시그널링(852)을 통해 BNG(803)에 송신할 수 있다. UE(801)는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IPsec 터널을 통해 BNG에 송신하기 위해서 블록(860)에서 패킷들을 마킹할 수 있다. 더욱이, BNG는 스테이지(860)에서 UE(801)에 의해 수행되는 마킹 및 시그널링(852)을 통해 수신된 PCC 규칙에 기초하여, 블록(870)에서 수락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단말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900)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이 통신 시스템(9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95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커들을 수신하며, 적절하게 패킷들을 마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900)은 간결성을 위해서 하나의 기지국(910) 및 하나의 액세스 단말(950)을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900)은 하나 초과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초과의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액세스 단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910) 및 액세스 단말(95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기지국(910) 및/또는 액세스 단말(950)은 이들 간의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시스템들, 장치 및/또는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9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9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914)로 제공된다. 예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9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되는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되거나, 시분할 멀티플렉싱(TDM)되거나,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일 수 있으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9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되는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각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각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매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930)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예를 들어, OFDM을 위해서)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TX MIMO 프로세서(9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TX MIMO 프로세서(9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9221 내지 922N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9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에 빔형성 가중치들을 적용시킨다.
각각의 송신기(92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condition)(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한다. 또한, 송신기들(9221 내지 922N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9241 내지 924Nt)로부터 송신된다.
액세스 단말(950)에서, 송신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9521 내지 952N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9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9541 내지 954N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954)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9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9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9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914)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과 상보적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970)는 어떤 이용가능한 기술을 사용할 것인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식화(formulate)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9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9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980)에 의해 변조되며, 송신기들(954a 내지 9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기지국(910)으로 다시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910)에서, 액세스 단말(9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액세스 단말(950)에 의해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서 안테나들(9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9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9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9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930 및 970)은 기지국(910) 및 액세스 단말(950) 각각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930 및 9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932 및 9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930 및 970)은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각각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기 위해서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910)은 백홀 접속 모듈(99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으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로 그리고/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는 다른 노드들, 이를테면, (이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PDN GW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100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 이를테면, PDN GW 또는 ePDG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는, 이를테면, PCRF로부터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킹들 또는 연관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는 또한 수신된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킹 정보, 이를테면, 예를 들어, 차등 코드 핀트(DSCP: differentiated code pint), IP 우선순위(precedence)(즉, 서비스 클래스), 또는 다른 마킹 메커니즘들을 생성하여 UE에 전송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 메모리 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모리들(10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1050)는 수신 및 프로세싱된 데이터, PDN GW 또는 ePDG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컴퓨터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명령들, 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000)는 또한 다른 엘리먼트들(명료성을 위해서 도시되지 않음), 이를테면, 프로세서들, 통신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 다른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당해 기술에서 공지되거나 또는 개발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110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 이를테면, BNG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무선 네트워크, 이를테면, WiFi, WiMax,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0)는 이를테면, BPCF로부터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킹들 또는 연관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0)는 또한 수락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단말 또는 UE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0)는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 메모리 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모리들(1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1150)는 수신 및 프로세싱된 데이터, BNG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컴퓨터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명령들, 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100)는 또한 다른 엘리먼트들(명료성을 위해서 도시되지 않음), 이를테면, 프로세서들, 통신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 다른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당해 기술에서 공지되거나 또는 개발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120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2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 이를테면, 단말 또는 UE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00)는, 이를테면, PDN GW 또는 ePDG로부터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킹들 또는 연관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00)는 또한 수신된 트래픽 필터들 및 QoS 마킹들에 기초하여 패킷들을 마킹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 메모리 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모리들(1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1250)는 수신 및 프로세싱된 데이터, 단말 또는 UE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컴퓨터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명령들, 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200)는 또한 다른 엘리먼트들(명료성을 위해서 도시되지 않음), 이를테면, 프로세서들, 통신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 다른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당해 기술에서 공지되거나 또는 개발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암호화 터널에서 송신을 위한 패킷들을 마킹하기 위한 프로세스(1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스(1300)는 예를 들어, 단말 또는 UE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세싱은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N GW 또는 ePDG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스(1300)의 방법은 도 5, 도 6 및 도 8의 엔티티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흐름도(1300)의 방법이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흐름도(1300)의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순서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여기에서의 블록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고, 추가적인 블록들이 부가될 수 있다.
먼저, 블록(1310)에서, UE(610)는 트래픽 분류 정보 및/또는 연관된 QoS 마킹 정보를 수신한다. 그 다음, 블록(1320)에서, UE(6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특정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한다. 이후, 블록(1330)에서, UE(610)는 데이터 패킷 내에 QoS 마커를 포함한다. QoS 마커는 트래픽 분류와 연관될 수 있다. QoS 마커는 접속된 디바이스, 이를테면, BNG가 수신 시에 패킷에 대하여 수락 제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스(1300)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의 QoS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1300)는 또한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것 및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것은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암호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포함하는 것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QoS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데이터 패킷의 IP 헤더일 수 있다. 헤더는 데이터 패킷의 IPsec 헤더일 수 있다. 수신하는 것은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 값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QoS 마커는 DSCP 값을 포함할 수 있다. QoS 마커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할 수 있다. QoS 마커는 SPI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트래픽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1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1400)는 예를 들어, PDN GW 또는 ePDG에 의해 단말 또는 UE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1400)의 방법은 도 5, 도 6 및 도 8의 엔티티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흐름도(1400)의 방법이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흐름도(1400)의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순서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여기에서의 블록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고, 추가적인 블록들이 부가될 수 있다.
먼저, 블록(1410)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할 수 있는 차등 QoS와 관련된 정보가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1420)에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가 단말 또는 UE에 전송될 수 있다.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정보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으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보안 연관과 관련될 수 있으며,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보안 연관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이 속하며, 전술된 수단에 의해 기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 및 연관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6-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들, eNB들, 상호 연동하는 게이트웨이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속하는 모듈들 또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기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50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500)는 수신 모듈(151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510)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131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은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510)은 수신기(922), 수신기(952), 백홀 접속(990), RX 데이터 프로세서(942)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도 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결정 모듈(1520)을 더 포함한다. 결정 모듈(1520)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132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520)은, 수신된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520)은 프로세서(930), 프로세서(970), 메모리(932) 및 메모리(972)(도 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무선 통신을 송신하기 위한 포함 모듈(1530)을 더 포함한다. 포함 모듈(1530)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133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함 모듈(1530)은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데이터 패킷 내에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함 모듈(1530)은 수신된 트래픽 분류 정보에 따라 QoS 마커를 사용하여 패킷을 마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포함 모듈(1530)은 프로세서(930), 프로세서(970), 메모리(932), 메모리(972), TX 데이터 프로세서(914), TX 데이터 프로세서(938), 송신기(924) 및 송신기(952)(도 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60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600)는 수신 모듈(161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610)은 도 14에 도시된 블록(141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은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QoS와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터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610)은 수신기(922), 수신기(952), 백홀 접속(990), RX 데이터 프로세서(942)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도 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600)는 전송 모듈(1620)을 더 포함한다. 전송 모듈(1620)은 도 14에 도시된 블록(142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모듈(1620)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송 모듈(1620)은 트래픽 분류 정보를 예를 들어, UE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듈(1620)은 프로세서(930), 프로세서(970), 메모리(932), 메모리(972), TX 데이터 프로세서(914), TX 데이터 프로세서(938), 송신기(924) 및 송신기(952)(도 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기능들,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carry)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위의 것들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개시되는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에서의 단계들 또는 스테이지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인 방식들의 예들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의 전체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프로세스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스테이지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는 양상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표현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따를 것이며, 여기서 단수형의 엘리먼트에 대한 지칭은 명확하게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로 표기되지 않는 한,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명확하게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지칭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개시되는 양상들에 대한 전술된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를 실시하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나타내는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따를 것이다.

Claims (96)

  1.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 및 트래픽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 헤더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sec 헤더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또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3.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 및 트래픽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암호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 헤더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sec 헤더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9. 제 13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또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2. 삭제
  23. 삭제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5.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 및 트래픽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모듈;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 헤더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sec 헤더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모듈은,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또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4. 삭제
  35. 삭제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디바이스.
  37.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 및 트래픽 분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이 트래픽 분류와 연관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상기 트래픽 분류와 연관된 QoS 마커를 포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함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암호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함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에 상기 QoS 마커를 포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 헤더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IPsec 헤더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또는 플로우 라벨 값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6. 삭제
  47. 삭제
  4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디바이스.
  49.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플로우 라벨 값, 또는 SPI(security parameter index)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3. 삭제
  54. 삭제
  55.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6.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보안 연관(association) 및 상기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보안 연관과 관련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7.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58. 제 57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플로우 라벨 값, 또는 SPI(security parameter index) 값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1. 삭제
  62. 삭제
  63.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4.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보안 연관(association) 및 상기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보안 연관과 관련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5.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모듈;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모듈은,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포함되는,
    통신 디바이스.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68.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플로우 라벨 값, 또는 SPI(security parameter index) 값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69. 삭제
  70. 삭제
  71.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디바이스.
  72.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보안 연관(association) 및 상기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보안 연관과 관련되는,
    통신 디바이스.
  73.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암호화 터널을 통한 업링크 트래픽에 적용가능한 차등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 및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터널링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7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스 주소들,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또는 포트 번호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QoS 마커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값, 플로우 라벨 값, 또는 SPI(security parameter index) 값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77. 삭제
  78. 삭제
  79.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터널은, 인터넷 키 암호화 버전 2(IKEv2: Internet Key Encryption version 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디바이스.
  80.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QoS 마커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보안 연관(association) 및 상기 제 2 업링크 트래픽 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보안 연관(association)과 관련되는,
    통신 디바이스.
  8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8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8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8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8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모듈은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8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87.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8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89.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9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91.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92.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93.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모듈은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94.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9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암호화 터널을 설정할 시에 포함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96.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류 정보 및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마커 정보는 트래픽 필터들과 QoS 마킹들 간의 매핑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137011841A 2010-10-07 2011-10-07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532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05210P 2010-10-07 2010-10-07
US61/391,052 2010-10-07
US13/267,815 US8885471B2 (en) 2010-10-07 2011-10-06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traffic differentiation support for ciphered tunnels
US13/267,815 2011-10-06
PCT/US2011/055470 WO2012048290A1 (en) 2010-10-07 2011-10-07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traffic differentiation support for ciphered tu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36A KR20130064136A (ko) 2013-06-17
KR101532286B1 true KR101532286B1 (ko) 2015-06-29

Family

ID=4488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841A KR101532286B1 (ko) 2010-10-07 2011-10-07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85471B2 (ko)
EP (1) EP2625840A1 (ko)
JP (1) JP5646762B2 (ko)
KR (1) KR101532286B1 (ko)
CN (1) CN103250391B (ko)
WO (1) WO2012048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866B (zh) * 2010-07-14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报固网接入信息的方法及系统
US8913509B2 (en) * 2010-10-25 2014-12-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in a fixed wireless customer premises network
WO2012167500A1 (zh) * 2011-08-05 201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数据安全通道的建立方法
US9439214B2 (en) * 2012-05-31 2016-09-06 Cisco Technology, Inc. Leverag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simultaneously
CN103517249B (zh) 2012-06-29 2018-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策略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EP2683211B1 (en) 2012-07-02 2021-04-07 Alcatel Lucent Support of data transmission in a packet mobile network
CN103780513B (zh) 2012-10-24 2018-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ng池的响应方法、系统及相关设备
US9357430B2 (en) 2012-10-26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amog bearer management
CN103906146B (zh) * 2012-12-27 2018-08-03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WLAN和分组核心网之间的QoS对齐的方法
WO2014126363A1 (en) * 2013-02-14 2014-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82166B1 (en) * 2013-04-02 2020-0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ffic classification over the base station subsystem transport network
EP2800417B1 (en) * 2013-04-29 2023-03-01 Alcatel Lucent End-to-End QoS when integrating trusted non-3GPP Access Networks and 3GPP Core Networks
US9516356B2 (en) 2013-12-06 2016-12-06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Parallel scheduling of multilayered media
WO2015094296A1 (en) * 2013-12-19 2015-06-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lexible service chaining
US9590911B2 (en) * 2014-06-27 2017-03-07 iPhotonix Wireless area network (WAN) overloading
US9979698B2 (en) 2014-06-27 2018-05-22 iPhotonix Local internet with quality of service (QoS) egress queuing
US9794172B2 (en) 2014-06-27 2017-10-17 iPhotonix Edge network virtualization
EP3164973B1 (en) * 2014-07-04 2019-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first, second and network nodes for managing traffic characteristics
US9992705B2 (en) * 2015-10-16 2018-06-05 Cisco Technology, Inc. Wi-Fi calling quality of service on trusted WLAN networks
EP3456085B1 (en) * 2016-05-13 2021-08-11 Apple Inc. Mechanisms for avoidance of explicit quality of service signaling over the radio interface
KR102564396B1 (ko) * 2016-07-12 2023-08-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암호화 패킷 전송장치 및 암호화 패킷 전송방법
US10608999B2 (en) * 2016-12-08 2020-03-31 Celeno Communications (Israel) Ltd. Establishing a secure uplink channel by transmitting a secret word over a secure downlink channel
KR102258026B1 (ko) * 2017-10-25 2021-05-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EP3714622A1 (en) * 2017-11-20 2020-09-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device and method therein for enabling reflective quality of service (qos)
US10659440B2 (en) * 2017-11-30 2020-05-19 Nicira, Inc. Optimizing utilization of security parameter index (SPI) space
US11368972B2 (en) * 2018-02-14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side buffering for time-aware scheduling across cellular link
EP3915233A1 (en) 2019-01-23 2021-12-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arking an uplink data packet
CN111436081B (zh) * 2019-03-06 2023-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送的保障方法及通信设备
US11032203B2 (en) * 2019-04-26 2021-06-08 Juniper Networks, Inc. Providing predictable quality of service traffic steering
US11652747B2 (en) 2020-12-11 2023-05-16 Cisco Technology, Inc. Maintaining quality of service treatment of packets using security parameter index values
US11388225B1 (en) 2020-12-11 2022-07-12 Cisco Technology, Inc. Load balancing based on security parameter index valu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8977A1 (en) * 2000-12-14 2005-04-28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virtual private network (VPN) tunnel quality of service (QoS) treatment
US7096260B1 (en) * 2000-09-29 2006-08-22 Cisco Technology, Inc. Marking network data packets with differentiated services codepoints based on network load
US20080137625A1 (en) * 2005-01-07 2008-06-12 Takako Hori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Management Dev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1532B1 (en) * 2000-05-19 2007-02-20 Nortel Networks Limited Scalable policy server
US20070165638A1 (en) 2006-01-13 2007-07-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data over an internet protocol security network
JP4935156B2 (ja) 2006-04-05 2012-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装置、無線lan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EP1850531B1 (en) 2006-04-26 2013-06-12 Alcatel Lucent Method and architecture for interworking of standardised networks
TWI328373B (en) 2006-11-08 2010-08-0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system for guaranteeing qos between different radio networks
US20080144602A1 (en) 2006-12-14 2008-06-19 Nortel Networks Limited Providing sip interworking in a next generation network
US20090300207A1 (en) * 2008-06-02 2009-12-03 Qualcomm Incorporated Pcc enhancements for ciphering support
US20110202970A1 (en) 2008-10-15 2011-08-18 Telefonakttebotaget LM Ericsson (publ) Secure Acces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135287A1 (en) 2008-12-02 2010-06-03 Hosain Akram M Process for prioritized end-to-end secure data protection
US8687590B2 (en) 2009-10-02 2014-04-0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relays
IN2012DN05044A (ko) * 2010-01-05 2015-10-09 Ericsson Telefon Ab L M
US9398517B2 (en) 2010-01-11 2016-07-1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AT509366B1 (de) 2010-02-03 2015-08-15 Blum Gmbh Julius Schubladenbehä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6260B1 (en) * 2000-09-29 2006-08-22 Cisco Technology, Inc. Marking network data packets with differentiated services codepoints based on network load
US20050088977A1 (en) * 2000-12-14 2005-04-28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virtual private network (VPN) tunnel quality of service (QoS) treatment
US20080137625A1 (en) * 2005-01-07 2008-06-12 Takako Hori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Management Dev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3041A1 (en) 2012-10-18
WO2012048290A1 (en) 2012-04-12
JP5646762B2 (ja) 2014-12-24
JP2013546233A (ja) 2013-12-26
CN103250391B (zh) 2016-10-26
US8885471B2 (en) 2014-11-11
KR20130064136A (ko) 2013-06-17
EP2625840A1 (en) 2013-08-14
CN103250391A (zh)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286B1 (ko) 암호화된 터널들에 대한 업링크 트래픽 차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7167284B2 (ja) オフロードされたトラフィックの差別化処理のための機構
US20090300207A1 (en) Pcc enhancements for ciphering support
CN110463236B (zh) 用于进一步增强的窄带物联网(feNB-IoT)的调度请求的设计
US20190110327A1 (en) Method for indicating a ciphering indication for a sidelink radio bearer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AU2009212422B2 (en) Policy control for encapsulated data flows
TWI552640B (zh) 報告多載波操作反饋資訊方法及裝置
CN113228570B (zh) 用于新无线电核心网系统的装置、方法、介质
CN109328466B (zh) 对中性主机网络的归属路由能力的确定
CN117395205A (zh) 用于在无线通信中提供和/或应用服务质量的技术
US10356738B2 (en) Method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100374A1 (en) Method for handling an id collision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S2930300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modificación de la información de calidad de servicio (Q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12997468A (zh) 使用协议数据单元会话的信息中心网络来检索高速缓存内容的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