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279B1 - 욕창방지용 방석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용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279B1
KR101532279B1 KR1020120048016A KR20120048016A KR101532279B1 KR 101532279 B1 KR101532279 B1 KR 101532279B1 KR 1020120048016 A KR1020120048016 A KR 1020120048016A KR 20120048016 A KR20120048016 A KR 20120048016A KR 101532279 B1 KR101532279 B1 KR 10153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cushions
press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701A (ko
Inventor
박윤구
Original Assignee
박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구 filed Critical 박윤구
Priority to KR102012004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2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와 접하는 바닥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방석의 전체면에 걸쳐서 동일한 공기압이 적용됨에 따라 인체의 하중을 받는 방석의 에어셀에 충진된 공기가 인체의 다른 부위의 하중을 받는 다른 에어셀로 전이되어 욕창 방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하고자, 방석을 전체면에 걸쳐 복수 개의 작은 방석으로 분할하고 각기 다른 공기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용 방석{Bedsores preventing cushion}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와 접하는 바닥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방석의 전체면에 걸쳐서 동일한 공기압이 적용됨에 따라 인체의 하중을 받는 방석의 에어셀에 충진된 공기가 인체의 다른 부위의 하중을 받는 다른 에어셀로 전이되어 욕창 방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하고자, 방석을 전체면에 걸쳐 복수 개의 작은 방석으로 분할하고 각기 다른 공기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랜 기간 동안 한 가지 자세로 장시간을 생활해야 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에게 가장 무서운 질환이 욕창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욕창 예방장치가 제품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욕창방지 기능으로는 미흡하여 새로운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인 종래 욕창방지 방석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로 복수 개의 에어셀(11)이 돌기식으로 상향 돌출된 방석(10)에 공기를 불어넣어 인체와 접하는 바닥부위에 위치시켜 인체를 받들어 올려주고, 에어셀 사이로는 공기 순환통로가 형성되어 신체와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이 통로를 통해 방출되어 욕창발생을 완화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욕창방지 방석은 가로 세로로 형성된 에어셀 모두가 서로 공기통로가 모두 통하도록 되어 있어, 일정 부위가 하중을 많이 받으면 하중을 많이 받지 않는 부위로 공기압이 전이되어 오히려 신체의 일부분을 과도하게 압박하게 됨으로써 본연의 효과에 반하는 역효과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둔부에 사용할 경우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둔부에 의해 방석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허벅지 부분에 접촉된 방석부분이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오히려 좌우 허벅지부분이 압력을 높게 받는 상태가 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욕창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석이 오히려 욕창을 더 유발하는 경우마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욕창방지 방석은 공기펌프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시로 공기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공기펌프를 결합하여 공기를 주입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욕창방지 방석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에어셀을 통해 방석의 전체면에 걸쳐서 동일압력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공기가 통하는 복수 개의 에어셀들을 집합시킨 작은 방석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하나로 결합하여 작은 방석간에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작은 방석마다 각기 다른 압력의 유지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욕창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방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된 작은 방석마다 공기펌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작은 방석들이 접촉되는 신체부위별로 다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방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은, 각기 다른 압력이 조절가능하도록 된 4 개의 작은 방석이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방석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작은 방석은 가로 세로 총 16개의 돌기형 에어셀이 각각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부풀어오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작은 방석은 모서리에 있는 셀에 공기펌핑이 가능하도록 펌핑부가 내장 구성되며, 그 인접부위에 공기배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셀은 각각 동일 사이즈 또는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에 따르면, 공기가 통하는 복수 개의 에어셀들을 집합시킨 작은 방석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하나로 결합하여 작은 방석들간에는 서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작은 방석마다 각기 다른 압력의 유지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욕창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분할된 작은 방석마다 공기펌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작은 방석들이 접촉되는 신체부위별로 다른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욕창방지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욕창방지 방석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 방석을 구성하는 하나의 방석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방석이 네 개 결합된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에 구성되는 공기펌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에 구성되는 공기배출구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욕창방지용 방석의 사용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 방석을 구성하는 하나의 방석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방석이 네 개 결합된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에 구성되는 공기펌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에 구성되는 공기배출구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은 큰 방석의 전체 면적을 4등분하여 각각 소정개수의 에어셀들을 형성하고 4등분된 각각의 작은 방석마다 공기펌핑 및 배출이 가능한 펌프를 내장하고, 펌프가 작은 방석의 외측모서리로 향하도록 4개의 방석을 결합하여 이들 작은 방석들이 각기 다른 압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은 4등분된 작은 방석들에 대한 압력조절이 수시로 가능하여 욕창방지 성능을 높이며 예를 들어 신체부위 중 압력을 많이 받는 부분과 적게 받는 부분을 구분하여 작은 방석들의 압력을 다르게 조절한 상태에서 큰 방석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특정 신체부위에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은 각기 다른 압력이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4 개의 작은 방석(10, 20, 30, 40)이 서로 결합부(50)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큰 방석으로 구성된다. 이를테면 욕창방지 방석 4개가 하나의 제품으로 제공된다고 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각각의 방석(10, 20, 30, 40)은 가로 세로 총 16개의 돌기형에어셀(11, 21, 31, 41)이 각각 형성된다. 이 셀(11, 21, 31, 41)이 후술하는 펌프의 작동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부풀어오르게 된다.
각각의 작은 방석(10, 20, 30, 40)은 4 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 에어셀에 공기펌핑이 가능한 펌핑부(13)가 내장되며, 그 인접부위에 공기배출부(1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펌핑부(13)와 공기배출부(14)가 형성된 4 개의 작은 방석(10, 20, 30, 40)들을 서로 결합시에는 펌핑부(13)와 공기배출부(14)가 큰 방석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4 개의 작은 방석(10, 20, 30, 40)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0)를 통해 하나의 큰 방석으로 결합되는바,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접착제, 지퍼형식, 바느질 방식 등등 모든 결합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퍼 형식으로 4 개의 작은 방석을 결합하였을 경우를 가정하면, 어느 하나의 방석이 훼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분리하여 빼내고 다른 방석을 결합하는 등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방석에 형성된 돌기형 에어셀은 공기주입시 동일 크기로 부풀어오르도록 동일 용량의 사이즈로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부풀어오르도록 서로 다른 용량의 사이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을 등에 사용할 경우 좌우 등 사이로 약간의 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방석을 사용할 경우 모두 동일한 크기(높이)로 셀이 부풀어오르게 되면 골 부분에는 부풀어오른 셀이 접촉되지 않고 다른 부분에만 셀들이 접촉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골 부분에 위치될 셀은 다른 셀보다 용량이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참고사항일 뿐 여러 가지 설계변경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의 기능이 장시간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신체부위를 바닥부위와 일정공간 이격시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것이 주 기능이나, 한편으로는 지압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셀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계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펌프(13)는 도 2 및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작은 방석의 소정 모서리에 형성된 에어셀에 내장되며, 에어셀을 누르면 그 안에 내장된 펌프(13)의 압박부(13p)가 눌러지면서 압박부(13p)내에 있던 공기가 배출구(13i)를 통해 셀로 불어 넣어지고, 압박부(13p)가 누름에서 해제되면 공기흡입구(13h)를 통해 외부공기가 압박부(13p)로 흡입되어 다시 압박부(13p)를 누름에 따라 공기가 셀로 불어 넣어지는 동작이 반복 행해지면서 방석에 구성된 복수 개의 에어셀에 공기가 불어 넣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펌프(13)를 에어셀 내에 내장 결합시에는 공기흡입구(13h)가 외부와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펌프(13)의 공기흡입구(13h)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사이즈의 통공(부호 생략)을 방석의 하측 소정부분에 형성하고 그 통공에 펌프(13)의 공기흡입구(13h)를 삽입 결합하는 방식으로 펌프(13)를 에어셀에 내장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배출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석에 형성된 나사삽입구(14a)와 이 나사삽입구(14a)에 삽입 결합되는 나사(14b)로 구성된다. 나사삽입구(14a)는 통상적으로 나사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갖되, 나사(14b)는 외부 공기와 접하도록 종으로 일정길이 홈(1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14b)를 나사삽입구(14a)로부터 회전 분리할 때 분리 정도에 따라 외부 공기와 접하는 홈(14c)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에어셀에 불어넣어진 공기를 한꺼번에 빼내지 않고 필요한 량 만큼만 빼내는 식으로 편리하게 방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의 실제 사용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방석을 둔부에 사용할 경우 종래에는 둔부의 압력에 의해 허벅지부분에 닿는 방석 부분으로 공기가 전이되어 부풀어올라 오히려 허벅지부분에 욕창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둔부에 접촉되는 작은 방석(10)(30)(40)에만 펌핑부위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셀(11)(31)(41)을 부풀어오르게 하고, 그 외 작은 방석(20)에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으면 앞에 3 개의 작은 방석(10)(30)(40)은 부풀어오른 상태가 되고, 1 개의 작은 방석(20)은 부풀어오르지 않은 상태가 될 것이다(부호 100으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둔부에 접촉되는 방석(10)(30)(40)은 부풀어오른 셀(11)(31)(41)로 인해 둔부에 대해 공기가 통하도록 바닥면과 인체간에 공기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허벅지 부분은 통상 누워 있을 경우 둔부에 비해 허벅지 부분이 지면에 대비하여 높게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석(20)의 셀(21)도 부풀어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하게 된다.
반면에 허벅지 부분에 접촉되는 방석(20)에도 공기를 주입하여 셀(21)들이 부풀어오른다고 해도 일반적으로 둔부에 비해 허벅지부분이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공기순환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즉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욕창방지 방석이 4 개의 작은 방석으로 분할되어 각기 다른 공기압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에 기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물론이다.
10, 20, 30, 40 : 방석 11, 21, 31, 41 : 에어셀
13 : 펌프 14 : 공기배출부

Claims (4)

  1. 각기 다른 공기 압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동일 사이즈 또는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형 에어셀(11, 21, 31, 41)이 각각 형성된 작은 방석(10, 20, 30, 40)이 서로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된 욕창방지 방석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은 방석(10, 20, 30, 40)은
    모서리에 있는 셀에 대한 공기 펌핑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압박부(13p)와, 상기 압박부(13p)가 눌러짐에 따라 그 내부에 있던 공기를 셀로 방출하는 배출구(13i)와, 상기 압박부(13p)가 해제됨에 따라 외부공기를 압박부(13p)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h)로 구성된 펌핑부(13); 및
    나사삽입구(14a)와, 상기 나사삽입구(14a)에 대한 삽입 분리 정도에 따라 방석내부에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나사(14b)로 구성된 공기배출부(14)로 이루어져,
    상기 펌핑부(13)에 의해서는 방석(10, 20, 30, 40)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공기배출부(14)에 의해서는 방석(10, 20, 30, 40)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 방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48016A 2012-05-07 2012-05-07 욕창방지용 방석 KR10153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16A KR101532279B1 (ko) 2012-05-07 2012-05-07 욕창방지용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16A KR101532279B1 (ko) 2012-05-07 2012-05-07 욕창방지용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01A KR20130124701A (ko) 2013-11-15
KR101532279B1 true KR101532279B1 (ko) 2015-06-29

Family

ID=4985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016A KR101532279B1 (ko) 2012-05-07 2012-05-07 욕창방지용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2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52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마이알 온도 감지 기능에 의해 교대 부양이 가능한 욕창방지방석
KR20230100947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마이알 비즈가 내장된 펌프 일체형 방석
KR20230144876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욕창방지 방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7204B1 (fr) * 2014-10-17 2017-04-21 System Assist Medical Dispositif de support pour supporter un corps, en particulier un corps humain
KR102106279B1 (ko) * 2019-09-17 2020-05-04 김하진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KR102510325B1 (ko) * 2022-10-13 2023-03-14 고연지 공기순환기구를 갖는 욕창 방지용 쿠션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242B1 (ko) * 2002-10-07 2005-01-14 젠-슈 차이 자력 팽창식 공기 쿠션 침대
KR200421491Y1 (ko) * 2006-04-14 2006-07-14 오경자 침대매트 높이 조절용 공기매트
KR100992102B1 (ko) * 2008-12-05 2010-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242B1 (ko) * 2002-10-07 2005-01-14 젠-슈 차이 자력 팽창식 공기 쿠션 침대
KR200421491Y1 (ko) * 2006-04-14 2006-07-14 오경자 침대매트 높이 조절용 공기매트
KR100992102B1 (ko) * 2008-12-05 2010-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52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마이알 온도 감지 기능에 의해 교대 부양이 가능한 욕창방지방석
KR20230100947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마이알 비즈가 내장된 펌프 일체형 방석
KR20230144876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아이원케어 욕창방지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01A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279B1 (ko) 욕창방지용 방석
US9192533B2 (en) Configurable air diffusion body supports
US20180325761A1 (en) Inflatable air mattress device
EP2908701B1 (en) Cushioning device and method of cushioning a body
US20080078033A1 (en) Nodal Modular Support Surface
USD982359S1 (en) Air mattress
AU2019200856B2 (en) Bidirectional fluid flow valve and method
US9049944B2 (en) Solid gel cushion system
JP6419510B2 (ja) マットレス装置
JP2016087117A (ja) 流体セル型マットレス
KR101775962B1 (ko) 발 받침대
AU2012296734B2 (en) Pressure relieving mattress
EP3157487B1 (en) Mattress
TWI603695B (zh) 床墊結構
US20170143131A1 (en) Heat exchange structure for support surface
US11628110B2 (e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with shear relief
CN206304068U (zh) 翻身气垫
CN211409848U (zh) 一种透气减压防褥疮床垫
US20110252571A1 (en) Multiple air passages applied to air mattress
KR200168377Y1 (ko) 욕창방지용 유체매트리스
KR100465127B1 (ko) 욕창방지용 지지구성체
USD992670S1 (en) Inflatable lounge float
CN210812077U (zh) 可翻身的气垫床
GB2564213A (en) Inflatable air mattress device
KR101250404B1 (ko) 삼중 욕창예방방석용 셀장치 및 삼중 욕창예방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