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031B1 -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031B1
KR101532031B1 KR1020140098642A KR20140098642A KR101532031B1 KR 101532031 B1 KR101532031 B1 KR 101532031B1 KR 1020140098642 A KR1020140098642 A KR 1020140098642A KR 20140098642 A KR20140098642 A KR 20140098642A KR 101532031 B1 KR101532031 B1 KR 10153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emotional
board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핑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핑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핑거
Priority to KR102014009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Abstract

본 발명은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콘텐츠 전송 방법은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그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UI화면에 그리는 단계; 및 입력도구가 UI화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그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using drop and draw,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휴대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률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은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 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에서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친구들과 채팅할 수 있다. 종래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채팅 메시지들을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는 종래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통해, 텍스트, 사진 및 동영상 등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채팅 메시지에, 자신의 의사표현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이모티콘도 삽입할 수 있다.
채팅서비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를 통해 서로 문자, 기호, 음성, 영상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일컫는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TABLET) PC 등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인용 휴대 단말들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의 채팅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에 따라 채팅서비스의 이용률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고도화된 수많은 서비스 앱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도도 높아지고 있다. 앱을 실행하지 않고도 잠금화면에서 간단하게 터치만으로 감정을 교류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테이블 탑 메시징을 통해 간단하면서 신선한 UX needs를 해소할 수 있는 앱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wearable device에서의 동일한 경험을 전달할 수 있으면 사용자의 편의성은 훨씬 증대될 것이다.
[관련기술문헌]
모바일 단말상에서 인터랙티브 이모티콘 출력 방법, 그리고 인터랙티브 이모티콘 출력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출원번호 10-2012-003507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잠금 화면에서 빠르게 감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입력도구로 풍부하게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잠금 화면에서 빠르게 감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입력도구로 풍부하게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을 이용한 휴대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은,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상기 UI화면에 그리는 단계; 및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성 콘텐츠는 손가락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도구에 의한 입력은 핑거(finger) 터치 또는 펜(pen)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거나 당기거나 밀면 잠금 감성화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 감성 콘텐츠 그리기 및 감성 콘텐츠 전송은 상기 통신기기의 잠금(locked) 감성 화면에서 수행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이 더 위치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은,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감성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UI화면에 감성 콘텐츠를 그리는 단계; 및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거나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 또는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성 콘텐츠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배치되고,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성 콘텐츠는 감성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채팅,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는 손가락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이 더 위치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을 위한 휴대통신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스처 라이브러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콘텐츠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보드에 감성콘텐츠가 그려지면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를 상기 제스처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검색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을 위한 휴대통신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스처 라이브러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상기 콘텐츠 보드에 위치되게 하는 명령어;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를 제스처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검색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감성 콘텐츠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모션 휠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모션 휠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모션 휠은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을 더 구비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된 발명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에 의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에 의하면, 잠금 화면(Locker)에서 제스처만으로 지정된 상대에게 메시지나 감정상태를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터치 제스처로 감정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 및 다양한 착복형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잠금 화면에서 빠르게 감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입력도구로 풍부하게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통신기기의 일 예인 스마트 폰(100)과 스마트 폰(150) 간의 감성 콘텐츠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드래그앤드로우 (drag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잠금화면 상태에서 감성화면으로 이동할 경우의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또는 드랍앤드로우(drop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잠금이 해제되고 앱이 실행되어 인트로(intro)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감성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의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또는 드랍앤드로우(drop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잠금이 해제되고 앱이 실행되어 인트로(intro)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감성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의 콘텐츠 전송을 이용한 인스턴트 채팅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감성 콘텐츠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잠금(locker) 화면(8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잠금 감성화면(89)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와 도 9b는 잠금 감성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잠금 상태에서의 설정을 위한, 감성 콘텐츠 목록과 이모티콘 제스처를 그리는 가이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는 감성 메인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감성콘텐츠 전송을 이용한 인스턴트 채팅 방법에 대한 UI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인스턴트 채팅이 이루어지고 있는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설정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감성 메인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설정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설정 화면에서 락커(잠금화면) 사용 설정을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이모티콘(제스처) 설정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6a는 이모티콘 목록을 나타내고, 도 16b는 상세 수정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c는 제스처 수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이 초기 실행할 때의 가이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초기 실행시 시작하기 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홈 앱 선택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잠금 화면(Locker)에서도 제스처만으로 감성 콘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에게 메시지나 감정상태를 전달하고, 다양한 손가락 터치 제스처로 감정상태를 전달할 수 있으며 모션 쉐이킹(motion shaking) 기능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Wearable Device로 확장에 따른 easy UX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잠금 화면에서 빠르게 감성 메시지를 전달하고, 지정된 상대에게 최적화된다. 다양한 입력도구로 풍부하게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통신기기의 일 예인 스마트 폰(100)과 스마트 폰(150) 간의 감성 콘텐츠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스마트 폰(100, 150)의 콘텐츠 보드(110, 160)에 감성 콘텐츠를 그리면 상대방 스마트 폰(150, 100)으로 전송된다. 도 7은 감성 콘텐츠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20, 122, 170, 172는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 또는 감성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터치 스크린(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220) 및 제스처 라이브러리(224)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고 있는 앱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제1실시예는 잠금화면에서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채로 감성화면으로 이동하여 감성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휴대통신 장치의 UI(User Interface)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콘텐츠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보드에 감성 콘텐츠가 그려지면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를 제스처 라이브러리(224)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제스처 라이브러리(224)에서의 검색 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특정되면 콘텐츠 보드에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제2실시예는 잠금화면에서 잠금을 해제한 후 감성화면으로 이동하여 감성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상기 콘텐츠 보드에 위치되게 하는 명령어,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를 제스처 라이브러리(224)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검색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성 콘텐츠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모션 휠(wheel)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모션 휠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션 휠은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면 상기 문자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스턴트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수신자를 UI화면,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감성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00단계) 콘텐츠 수신자들이 잠금 감성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한다.(S320단계)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UI화면의 콘텐츠 보드에 선택된 수신자의 이미지가 배경에 디스플레이된다.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상기 UI화면에 그린다.(S340단계)
사용자에 의해 UI화면의 콘텐츠 보드에 감성 콘텐츠가 그려지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의 콘텐츠 보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인식되면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된다.(S360단계)
도 4는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잠금화면 상태에서 감성화면으로 이동할 경우의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또는 드랍앤드로우(drop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잠금(locker) 화면(8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잠금 감성화면(89)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잠금 화면(80)에는 날짜 시간 요일 정보(81)를 제공할 수 있고,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유도하는 영역(82)을 제공할 수 있다. 감성화면 유도 영역(82)을 잡아 당기면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 배지 개수로 표시하고 최근 수신자를 노출할 수 있다. 잠금 화면(80)에서 비밀번호(83) 패턴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설정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84)를 제공할 수 있고, 앱 이름(85)을 노출할 수도 있다. 앱 이름(85)는 이벤트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유도하는 영역(82)을 잡아 당겨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하면, 잠금 감성화면(89)는 잠금화면(80)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86)을 제공할 수 있고, 친구목록(87)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친구목록 디스플레이는 소정 영역의 메시지 보드(88)와 상기 메시지 보드(88) 주위에 친구들의 이미지(87)가 배치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보드(88)에는 친구 목록에서 친구를 선택 하면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친구 사진(도 9a의 1)으로 상기 메시지 보드(88)의 배경화면이 변경된다. 감성 콘텐츠(제스처, 도9b의 2)를 그려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모션 쉐이킹(motion shaking) 기능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잠금화면(80)에서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하면 (S400단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수신자를 UI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420단계) 잠금화면(80)에서 잠금 감성화면(89)으로의 이동은 잠금화면(80)에 있는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유도하는 영역(82)을 터치하거나 당기거나 밀면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87)를 UI화면의 코텐츠 보드(88) 주위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콘텐츠 수신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모션 휠(wheel)로 구성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자들이 UI화면의 콘텐츠 보드에 디스플레이되면,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한다.(S440단계)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9a의 1는 12시 방향의 친구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를 수신하면 토스트 메시지로 보이며 사라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성 콘텐츠는 손가락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감성 콘텐츠의 목록과 이모티콘 제스처를 그리는 가이드를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상기 UI화면의 콘텐츠 보드에 그린다.(S460단계) 감성 콘텐츠는 핑거(finger) 터치 또는 펜(pen) 터치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b는 감성 콘텐츠(제스처)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UI화면에 감성 콘텐츠가 그려지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의 콘텐츠 보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인식되면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된다.(S480단계)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 감성 콘텐츠 그리기 및 감성 콘텐츠 전송은 상기 통신기기의 잠금(locked) 감성 화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잠금화면(80)에서 잠금 감성화면(89)으로 이동한 후, 잠그 감성화면에서의 인스턴트 채팅도 가능하다. 다만 채팅 히스토리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턴트 채팅을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이 위치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됨으로써 인스턴트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잠금이 해제되고 앱이 실행되어 인트로(intro)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감성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의 드래그앤드로우(drag & draw) 또는 드랍앤드로우(drop &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성화면으로 이동하여 하나 이상의 콘텐츠 수신자와 하나 이상의 감성 콘텐츠를 UI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00단계) 도 11a는 감성 메인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감성 메인 화면은 내 프로필 영역(도11a의 1)과 설정화면 이동 버튼(도11a의 2)을 제공할 수 있다. 내 프로필 영역에는 사진과 이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성 메인 화면은 채팅 히스토리 화면 이동 버튼(도 11a의 3)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 선택 모션 힐 콘트롤러와 제스처 모션 가이드(도11a의 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메시지) 보드(도11a의 5)는 친구 목록에서 친구를 선택하면 친구사진으로 배경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 후에는 이모티콘을 드래그(drag) 하거나 제스처를 그리거나 채팅 등록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신자들의 이미지(도11a의 6)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모션 쉐이킹 기능도 가능하다.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도11a의 6)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감성 콘텐츠(도11a의 4)를 선택한다.(S520단계) 여기서, 감성 콘텐츠를 선택하는 대신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UI화면에 감성 콘텐츠를 그릴 수도 있다.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거나 상기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감성 콘텐츠를 그린 후 UI화면의 콘텐츠 보드(도11a의 5)로 부터 입력도구가 분리되는 것을 인식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 또는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된다.(S540단계)
여기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도11a의 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도11a의 5)
또한 상기 감성 콘텐츠는 감성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채팅,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가락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핑거(finger) 터치 또는 펜(pen) 터치에 의해 입력도구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잠금이 해제되고 앱이 실행되어 인트로(intro)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감성화면으로 이동한 경우의 콘텐츠 전송을 이용한 인스턴트 채팅 방법에 대한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b는 감성콘텐츠 전송을 이용한 인스턴트 채팅 방법에 대한 UI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성화면으로 이동하여 하나 이상의 콘텐츠 수신자(도 11a의 6)를 UI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00단계) 통신장치의 UI 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한다.(S620단계) 도 11b의 8은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된 후 콘텐츠 보드에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배경으로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도 11a의 7)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640단계) 도 11b의 8은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된 문자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된다.(S660단계) 이를 통해 인스턴트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1b의 9는 문자 메시지가 콘텐츠 영역에 "YOU는 내 감정을 흔들어 !" 라는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인스턴트 채팅이 이루어지고 있는 UI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Back버튼(도 12의 1), 대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삭제버튼(도 12의 2), 상대방정보, 메시지 시간 및 대화 내용(도 12의 3), 나의 대회 사간 및 대화 내용(도 12의 4), 대화 입력필드와 버튼(도 12의 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잠금 해제 후 감성 메인 화면에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설정에는 잠금 설정, 배경이미지 설정, 이모티콘 설정 및 프로필 설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감성 메인화면에서 설정버튼을 선택하면 설정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은 설정버튼(도 13의 1)을 구비하고 있는 감성 메인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설정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 화면으로의 이동을 위한 닫기 버튼(도 14의 2), 락커 사용 메뉴(도 14의 3), 배경이미지 설정 페이지 이동(도 14의 4), 이모티콘 설정 페이지 이동(도 14의 5), 프로필 설정 페이지 이동 메뉴(도 14의 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5는 설정 화면에서 락커(잠금화면) 사용 설정을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락커 사용을 ON으로 하면 락커가 실행되고, 락커 상세 세팅은 락커 화면으로 이동하여 설정한다. 락커 사용을 OFF하면 락커가 해제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이모티콘(제스처) 설정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a는 이모티콘 목록을 나타내고, 도 16b는 상세 수정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c는 제스처 수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백(Back)버튼(도 16a의 1)은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게 하며, 도 16a의 2는 수정 가능한 이모티콘 선택 목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a는 총 9개의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있으며 9개의 이모티콘의 이미지, 이름, 제스처를 수정할 수 있다.
도 16b의 3은 탭시 카메라, 캘러리 선택 창 열리고, 해당 메뉴로 이동 선택 후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6b의 4는 이모티콘 이름을 입력하는 필드로서, 택시 커서 디스플레이되고 입력 가능하다. 도 16b의 5는 제스처 수정 버튼으로서, 버튼 탭시 제스처 수정 화면으로 이동하며, 제스처 등록 완료시 선택 완료된 제스처 이미지 +부분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6b의 6은 적용버튼 선택시 해당 값을 적용하는 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c의 7은 제스처 보드로서, 제스처를 그리는 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제스처 등록은 2번 그리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2c의 8은 제스처 등록 버튼이며, 탭시 제스처 등록이 완료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앱 설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통신 장치에 앱 프로그램을 설치(install)하고 사용자 이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사진을 등록한 후, 감성 콘텐츠를 전송할 상대방인 친구 등록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이름은 최소 3자에서 최대 7자 까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진은 선명하고 큰 사이즈로 하며, 친구는 최초 한 사람 등록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친구 등록은 전화번호부 목록으로 이동하여 전화번호에 나타난 친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추가된 친구이름과 등록한 사진이 노출될 수 있고 친구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버튼을 디스플레이하여 친구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초기 실행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앱 초기 실행은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잠금화면에서 앱이 실행되는 것이며, 두번째는 잠금화면이 아닌 앱 실행화면에서 앱이 실행되는 것이다. 먼저, 잠금화면에서 앱이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잠금화면에서 대기화면 또는 감성화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잠금화면 설정은 닫기 버튼을 제공하고 닫기 버튼이 클릭되면 잠금 감성화면으로 이동한다. 홈 버튼 잠금 버튼을 제공하고 시스템의 홈 버튼 잠그는 버튼으로 on/off를 제공하여 on은 홈 버튼을 잠그는 것이며 off는 홈 버튼을 해제하는 것이다. 홈 화면 설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시스템 잠금 해제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선택되면 시스템 잠금 해제 화면으로 이동한다. 보안설정 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이 선택되면 보안설정 화면으로 이동하고 설정값 목록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상태바 숨김 버튼을 제공하며 상단의 시스템 상태 바를 숨기거나 노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on은 상태바를 숨기고 off는 상태바를 노출하게 할 수 있다.
제스처 모션 가이드 버튼을 제공하고 제스처 안내 화면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버전정보 영역을 제공하고 현제 앱 버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스처 모션 가이드 화면을 통해 이모티콘 이미지, 감정명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모티콘 제스처 그리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이 초기 실행할 때의 가이드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앱 설치 후 첫 실행 가이드, 앱 컨셉에 대한 안내화면, 플리킹으로 좌우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는 설정하라는 안내 문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초기 실행시 시작하기 버튼을 나타낸 것으로서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앱 선택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9는 홈 앱 선택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물리 키보드의 취소(Back) 버튼을 누르면 사라지고 이전 화면이 나타나고, 홈 버튼을 누를 때마다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항상 선택시에는 사용자 등록화면으로 이동하고 한번만 선택시에는 사용자 등록화면으로 이동하되 홈 버튼을 누를 때 마다 홈 앱 선택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통신 장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이 가능한 각종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나 구글 글래스에서도 제스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50 : 휴대통신 장치 110, 160 : 콘텐츠 보드
120, 122, 170, 172 :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 또는 감성 콘텐츠
20 : 휴대통신장치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22 : 프로그램
224 : 제스처 라이브러리 230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Claims (17)

  1.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상기 UI화면에 그리는 단계; 및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이 더 위치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손가락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도구에 의한 입력은
    핑거(finger) 터치 또는 펜(pen)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잠금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거나 당기거나 밀면 잠금 감성화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 감성 콘텐츠 그리기 및 감성 콘텐츠 전송은
    상기 통신기기의 잠금(locked) 감성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7.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감성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UI화면에 감성 콘텐츠를 그리는 단계; 및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거나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UI화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 또는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배치되고,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감성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채팅,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와 핑거 터치 제스처에 의해 표현되는 감정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도구에 의한 입력은
    핑거(finger) 터치 또는 펜(pen)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이 더 위치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12.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스처 라이브러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수신자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휴대 통신 장치의 UI화면에서 콘텐츠 수신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할 감성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콘텐츠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보드에 감성콘텐츠가 그려지면 상기 그려진 감성 콘텐츠를 상기 제스처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검색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휴대통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자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I화면은
    상기 UI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는
    터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자가 특정되면 상기 콘텐츠 보드에 상기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
  15.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제스처 라이브러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 콘텐츠 보드 및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콘텐츠 수신자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의 이미지가 상기 콘텐츠 보드에 위치되게 하는 명령어;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감성 콘텐츠를 제스처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검색결과 제스처가 획득되면, 획득된 제스처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휴대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 선택은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감성 콘텐츠 중 하나를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특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보드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감성 콘텐츠 이미지가 모션 휠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모션 휠이 상기 콘텐츠 보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모션 휠은 키보드 입력을 위한 키보드 아이콘을 더 구비하고,
    상기 키보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키보드 화면이 상기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키보드 화면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
KR1020140098642A 2014-07-31 2014-07-31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KR10153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42A KR101532031B1 (ko) 2014-07-31 2014-07-31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42A KR101532031B1 (ko) 2014-07-31 2014-07-31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031B1 true KR101532031B1 (ko) 2015-06-29

Family

ID=5351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642A KR101532031B1 (ko) 2014-07-31 2014-07-31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0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108A (ko) * 2009-08-11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3229A (ko) * 2010-08-17 2013-04-29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감응 장치를 위한 터치 기반의 제스처 검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108A (ko) * 2009-08-11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3229A (ko) * 2010-08-17 2013-04-29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감응 장치를 위한 터치 기반의 제스처 검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332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9210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876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chat in group chat
US1004255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 screen with a circular fo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060109B2 (ja) 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EP2980694A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EP2959385B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US20150169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CN105320736A (zh) 用于提供信息的装置和方法
KR1022548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6308A (ko) 코멘트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EP27090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254936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through a scroll bar in a mobile device
KR20140142579A (ko) 휴대 장치의 그룹 채팅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N108431812B (zh) 一种头像显示的方法以及头像显示装置
KR101758863B1 (ko)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대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US942394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101532031B1 (ko) 드랍앤드로우(drop and draw)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통신장치
KR20130106691A (ko) 에이전트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전자 기기, 서버 및 기록 매체
US201803569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Touchscreen Inpu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CN116069220A (zh) 内容发送方法、装置和用于发送内容的装置
EP2796998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data
KR101905189B1 (ko) 대화 스레드내에서 기능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16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