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08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08B1
KR101531508B1 KR1020080105360A KR20080105360A KR101531508B1 KR 101531508 B1 KR101531508 B1 KR 101531508B1 KR 1020080105360 A KR1020080105360 A KR 1020080105360A KR 20080105360 A KR20080105360 A KR 20080105360A KR 101531508 B1 KR101531508 B1 KR 10153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data
transmissio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501A (ko
Inventor
원종필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08B1/ko
Priority to EP09013162.4A priority patent/EP2180677B1/en
Priority to US12/606,725 priority patent/US8441514B2/en
Publication of KR2010004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04N2201/0068Converting from still pictu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Abstract

본 출원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이미지(image)이면, 허용되는 텍스트(text) 전송 크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정보는 각 이미지가 생성되는 상대적인 시간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전송 모드 또는 수신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단말기, DMS, 이미지, 시간, 식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ING AN MOBILE TERMINAL}
본 출원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간 통신이 상용화되고 있다. 관련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본 출원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다양한 명칭에 상관없이 개인간 통신에 활용되는 모든 기기에 적용가능한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간 통신에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텍스트 전송등이 널리 활용되며, 최근에는 통신자가 직접 그린 이미지(image)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는 많은 기술적 제약 및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등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하다 할 것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실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시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본 출원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이미지(image)이면, 허용되는 텍스트(text) 전송 크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통화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이미지(image)이면,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통화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 되어진다.
또한,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 입력 및/또는 이미지 입력을 가능케 하는 사용자 입력수단과,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고,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이미지(image)이면,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 입력 및/또는 이미지 입력을 가능케 하는 사용자 입력수단과, 통화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고,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이미지(image)이면,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 입력 및/또는 이미지 입력을 가능케 하는 사용자 입력수단과, 통화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 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 되어진다.
또한,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은,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text)인지 이미지(imag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화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text)인지 이미지(imag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화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수신된 데이터의 이미지 전송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 되어진다.
또한,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 이 수단과,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text)인지 이미지(image)인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통화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text)인지 이미지(image)인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통화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수신된 데이터의 이미지 전송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 되어진다.
또한, 상기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정보는 각 이미지가 생성되는 상대적인 시간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상기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전송 모드 또는 수신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제공되어 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제공되는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출원에 적용가능한 휴대 단말기내 송수신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외부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송부(1)와 외부로부터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신부(2)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1)와 수신부(2)를 통칭하여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통신수단'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송부(1)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 데이터 포맷에 맞게 신호처리하거나, 또는 수신부(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포맷에 근거하여 신호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필요시 전송될 데이터를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4)와 수신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데이터 복원부(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압축 및 복원에 관한 예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서, 키입력부(10) 및/또는 터치스크린(9, touch screen)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10)는 텍스트(text) 문자의 입력시 활용가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9)은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를 그려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활용가능하다. 상기 터치스크린(9)는 터치패드(touch pad)로도 명명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8)(또는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여, 전송될 이미지 및 수신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8)은 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와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구별하고, 이를 각각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또는 소프웨어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7)(또는 메모리수단)을 구비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일시저장 및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에 활용되는 특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화상정보 생성부(11)를 구비하여, 화상통화중 화상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내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이에 해당된다.
관련하여, 상기 화상정보 생성부(11)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11a)와 터치스크 린(9)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9a)는 각각 디지털 신호처리부(3)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3)는 상기 입력 데이터 11a 와 9a 를 각각 분리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믹스(mix)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화상통화중 터치스크린(9)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9a)와 화상통화중 화상정보 생성부(11)를 통해 생성된 화상데이터(11a)를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여 신호처리 하고, 이를 전송부(1)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6)(또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활용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내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은 후술할 각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질 것이다.
도2a 내지 도2d는 본 출원에 적용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데이터 전송방법중 SMS(Short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일명 문자메세지로 널리 알려진 SMS는 주로 송신자가 일반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 화면(8)에 입력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보통의 SMS 전송 모든는 텍스트로 일정 크기(예를들어 약 80byte 정도)의 용량만을 전송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2a에서는 송신자가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서 'Hello' 라는 텍스트를 입력 후, 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수진자측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전송된 텍스트 'Hello'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2b는 데이터 전송방법중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본 출원에 서는 DMS(Drawing Messaging Service)로 명명한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2b의 DMS 전송방법은 후술할 도2c 및 도2d의 화상통화중 DMS 전송방법과 대비하여, 노말 DMS (normal DMS)로 명명한다. 송신자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9)을 구비하여,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서 직접 이미지를 그릴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도2b에서는 송신자가 터치펜(91)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9)내에 특정의 이미지를 직접 그리는 경우(예를들어 'Hello'라는 문자를 필기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단, 터치스크린(9)내에서의 이미지 작업은 터치펜(91)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자의 손가락(finger)이나 또는 다른 필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신자가 작성한 이미지는 노말 DMS 전송 모드를 통해 수신자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 수신자 휴대 단말기에 터치스크린(9)이 구비되어 있다면, 동일한 방법으로 이에 대한 답변 메세지를 노말 DMS 전송 모드를 통해 재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노말 DMS 전송 모드를 통한 상세한 전송 방법 및 수신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2c 및 도2d는 데이터 전송방법중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화상통화중 DM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2b의 노말 DMS에 대비하여, '화상통화 이미지 DMS' (줄여서 'Image DMS')로 명명한다. 특히, 상기 이미지 DMS는, 세부적으로 송수신자 영역이 구분되지 않는 방식(도2c)과 송수신자 영역이 구분되는 방식(도2d)으로 구분되어 진다.
즉, 도2c에서와 같이, 송신자가 화상통화중 터치스크린(9)상에 특정의 이미지(예를들어, 하트모양 이미지(100))를 직접 그린 경우, 해당 이미지는 수신자의 디스플레이 화면(8)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110). 이때, 송신자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는 수신자의 화상(20a) 및 송신자 자신의 화상(30a)이 디스플레이 되어 지며, 수신자의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는 수신자 자신의 화상(20b) 및 송신자의 화상(30b)이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 도2c에서 디스플레이 화면내의 송수신자측 화면 크기는 임의로 정한 예를 도시하였을 뿐, 화면 크기가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2d에서는, 송신자가 화상통화중 터치스크린(9)상에 특정의 이미지(예를들어, 하트모양 이미지(120))를 수신자 화상 영역(20a)에 직접 그린 경우, 해당 이미지는 수신자의 디스플레이 화면(8)에서 해당 수신자 자신의 화상 영역(20b)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130). 즉, 송신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영역에 이미지를 그리고 이를 해당 좌표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 수신자는 송신자가 원하는 영역 및 위치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됨을 의미한다. 관련하여, 도2c 및 도2d를 활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서도 각각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3a 및 도3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3a는 전술한 도2a 및 도2b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 도3b는 전술한 도2c 및 도2d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상세한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3a에서, 송신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S10). 입력 모드의 선택은 송신자가 휴대 단말기내의 키입력부(10)를 통한 버튼 조작이나 터치 스크린(9)를 통해 가능하다. 도2a에서와 같은 SMS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SMS 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12), 송신자가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원하는 텍스트 문자를 입력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자열을 입력하면(S14), 전송부(1)를 통해 해당 텍스트 문자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2).
도3a에서 만약 송신자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력 모드로서, 도2b와 같은 DMS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DMS 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16),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 원하는 이미지 작업을 완료하면(S18), 데이터 압축부(4)를 통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크기의 데이터로 압축되도록 제어한다(S20). 이후, 상기 제어부(6)는 전송부(1)를 통해 상기 압축된 이미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2). 관련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압축은 SMS 모드가 허용되는 데이터 크기만큼 수행되어 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노말 DMS 전송은 SMS 전송과 동일한 전송 모드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설계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노말 DMS 전송을 SMS 전송과 상이한 전송 모드로 설계하는 경우라면, 상기 데이터 압축 과정은 생략되거나 또는 압축율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도3a에서는 수신자를 지정하는(예를들어, 수신자 전화번호 입력) 단계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수신자 지정 단계는 송신자의 사용태양에 따라, 예를들어 S10 단계 이전 또는 S14 단계 이후 또는 S20 단계 이후에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3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현재 통화모드를 판단한다(S30). 만약, 음성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32), 제어부(6)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서 전술한 도3a의 S10 단계부터 수행되어 진다(A). 만약 화상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34), 제어부(6)는 사용자의 입력모드를 선택토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8)상에 안내 메세지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송신자가 입력 모드를 선택토록 유도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송신자가 특정 이미지 데이터 입력모드를 선택하면(S36), 제어부(6)는 해당 입력모드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자가 노말 DMS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3a의 S16단계, S18단계, S20단계, S22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진다(B).
또한, 만약 송신자가 이미지 DMS(Image DMS)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는 송신자가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38). 즉, 전술한 도2c 및 도2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2c)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도2d)중 어느 하나를 선택토록 한다. 만약, 송신자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를 선택하였다면(S40), 제어부(6)는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서 완료한 이미지 작업 내용을(S42) 전송부(1)를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토록 제어한다(S52). 이때 제어부(6)는 송신자가 작업한 이미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송수신자 화상이 있는 영역에 상관없이 일반좌표로서 표현하여 전송하면 된다. 또한, 만약 송신자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를 선 택하였다면(S44), 제어부(6)는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서 완료한 이미지 작업 내용이(S46) 어느 입력창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S48). 즉, 송신자가 지정한 입력창이 송신자 화상 영역인지 수신자 화상 영역인지를 판단하고(S48), 작업한 이미지를 해당 입력창(송신자 화상 영역 또는 수신자 화상 영역)에 대한 상대좌표로 표현한 후(S50), 이를 전송부(1)를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토록 제어한다(S52). 관련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포맷 및 좌표 표현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상기 이미지 전송모드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라면, 해당 영역별 화상데이터와 이미지 DMS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시에는 여러가지 상이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자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전송되는 화상데이터(즉, 송신자 화상데이터)와 상기 이미지를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만약 송신자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전송되는 화상데이터(즉, 송신자 화상데이터)와 상기 이미지를 통합(또는 믹스(mix))하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1에서 전술한 화상정보 생성부(11) 및 터치스크린(9)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11a, 9a)를 디지털 신호처리부(3)에서 통합하여 처리함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도3b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화상통화중 SMS 모드를 통한 텍스트 데이터의 전송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즉, 만약 송신자가 S36단계에서 SMS 모드를 선택하였다면(미도시) 도3a의 S12단계, S14단계, S22 단계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a 및 도4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4a는 전술한 도3a의 데이터 송신방법에 대응하는 수신방법을, 도4b는 전술한 도3b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응하는 수신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4a에서,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60). 수신 모드의 판단은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입력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5a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모드 식별정보를 통해 쉽게 수신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전술한 도3a의 전송방식에 따라,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SMS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SMS 수신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62),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S64)를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표시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한다(S72).
만약,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DMS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DMS 수신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66),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68)를, 압축 해제하여(S70)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표시하되,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통해 수신자에게 제공되어 진다(S72).
도4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현재 통화모드를 판단한다(S80). 만약, 음성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82),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방법으로서 전술한 도4a의 S60 단계부터 수행되어 진다(C). 만약 화상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84),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86). 수신 모드의 판단은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입력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5b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모드 식별정보를 통해 쉽게 수신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노말 DMS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6)는 전술한 도4a의 S66단계, S68단계, S70단계, S72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D). 또한, 만약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DMS(Image DMS)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6)는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88). 이미지 수신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2c)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도2d)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어 진다.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드의 판단도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이미지 전송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5b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를 통해 쉽게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만약, 수신된 이미지 수신 모드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면(S90),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92) 그대로를 디스플레이(8)상에 표시한다(S100). 만약, 수신된 이미지 수신 모드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 로 판단되면(S94),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96)의 디스플레이 좌표를 분석한다(S98). 즉, 송신자측이 해당 이미지를 특정 영역에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예를 들어, 송신자 화상 영역 또는 수신자 화상 영역), 송신자측이 원하는 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대적 좌표를 분석하여야 한다. 상기 분석된 좌표 결과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8)상 특정 영역에 표시한다(S100). 관련하여, 도6은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송신자가 수신자 화상 영역(40a)에 이미지를 작업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만약 수신자측 휴대 단말기의 초기 디스플레이(8) 화면이 송신자 화상(50b)만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자측 휴대 단말기내의 제어부(6)는 디스플레이(8) 화면을 변환하여 송신자 화상 영역(50b)과 수신자 자신의 화상 영역(40b)이 모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자측이 원하는 영역(예를 들어, 수신자 자신 화상 영역(40b))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포맷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전술한 노말 DMS 모드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SMS 모드 데이터 포맷과 노말 DMS 모드 데이터 포맷이 동일 전송포맷으로 구성되어 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포맷은 헤더부(200)와 데이터부(202)로 구분되며, 헤더부(200)내에는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일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부(202)내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적합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더부(200)내의 데이터 타입 정보(201)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정보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데이터 타입 정보값이 'Type = 0' 이면 노말(normal) SMS 데이터를 의미하고, 'Type = 1' 이면 보이스(voice) SMS 데이터를 의미하고, 'Type = 2' 이면 노말(normal) DMS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타입 정보값에 연동되어, 해당 데이터부(202)내의 데이터도 정의되어 진다. 예를 들어, 'Type = 0 or 1'인 경우, SMS 데이터가 포함되고, 'Type = 2' 인 경우, DMS 데이터가 포함되되, 해당 데이터 크기는 데이터부(202)내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압축되어 진다. 즉, 이는 DMS 데이터를 SMS 포맷내에서 전송하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포맷내 데이터 타입 정보(201)는 도3a 및 도3b 에서 데이터 전송시 함께 전송되어 지며, 이는 도4a 및 도4b에서 수신모드를 판단시 활용되어 진다.
도5b는 전술한 이미지 DMS 모드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통화시 데이터 포맷은 화상통화 데이터(210, 이를 'Primary Traffic' 이라고도 한다)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220, 이를 'Secondary Traffic' 이라고도 한다) 영역으로 구분되어 진다. 특히, 상기 사용자 데이터(220) 영역은 화상통화시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220) 영역내에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전송 모드를 'Image_DMS_id'(221) 로 정의하되, 상기 'Image_DMS_id = 000' 이면 휴대 단말기내 메모리부(7)내에 이미 저장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 하고, 'Image_DMS_id = 100' 이면 사용자(송신자)가 직접 작업한 이미지를 전송하되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고, 'Image_DMS_id = 101' 이면 사용자(송신자)가 직접 작업한 이미지를 전송하되 송신자 화상 영역에 작업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Image_DMS_id = 110' 이면 사용자(송신자)가 직접 작업한 이미지를 전송하되 수신자 화상 영역에 작업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하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 이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식별정보의 값을 다양한 방식으로 달리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포맷내 이미지 전송 식별정보(221)는 도3b 에서 이미지 전송 모드 선택(S38)후 데이터 전송시 함께 전송되어 지며, 이는 도4b에서 이미지 수신 모드 판단시(S88) 활용되어 진다.
도7a 및 도7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이미지 전송시 '시간정보'를 고려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관련하여, '시간정보'라 함은, 전체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표시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송신자가 이미지 작업시 해당 이미지를 그리는 순서대로 수신자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서, 송신자가 이미지를 작업할때의 감성도 어느 정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송신자가 이미지 작업시 보여주는 자신감 망설임 또는 설레임등의 감성도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시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포맷 구성 방법, 전송방법 및 수신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9a ~ 도12b에서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
도7a는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미지 작업시 시간정보를 함께 생성하는 단계(S118)와, 이를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S122)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단계는 도3a의 과정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수행되어 진다. 예를 들어, S110 단계는 S10단계와, S112단계는 S12단계와, S114단계는 S14단계와, S116단계는 S16단계와, S120단계는 S20단계와 각각 대응된다.
도7b는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예을 도시한 것으로, 이미지 작업시 시간정보를 함께 생성하는 단계와(S142, S146), 이를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S152)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단계는 도3b의 과정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수행되어 진다. 예를 들어, S130 단계는 S30단계와, S132단계는 S32단계와, S134단계는 S34단계와, S136단계는 S36단계와, S138단계는 S38단계와, S140 단계는 S40단계와, S144단계는 S44단계와, S148단계는 S48단계와, S150단계는 S50단계와 각각 대응된다.
도8a 및 도8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이미지 수신시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8a는 시간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S172), 분석된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수신된 이미지 데이 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74)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단계는 도4a의 과정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수행되어 진다. 예를 들어, S160 단계는 S60단계와, S162단계는 S62단계와, S164단계는 S64단계와, S166단계는 S66단계와, S168단계는 S68단계와, S170단계는 S70단계와 각각 대응된다.
또한, 도8b는 시간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S194, S202), 분석된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204)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단계는 도4b의 과정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수행되어 진다. 예를 들어, S180 단계는 S80단계와, S182단계는 S82단계와, S184단계는 S84단계와, S186단계는 S86단계와, S188단계는 S88단계와, S190단계는 S90단계와, S192단계는 S92단계와, S196단계는 S94단계와, S198단계는 S96단계와, S200단계는 S98단계와 각각 대응된다.
이하, 도9a ~ 도12b를 참조하여, 시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포맷 구성 방법,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9a 및 도9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포맷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9a는 전술한 도5a의 데이터 포맷을, 도9b는 전술한 도5b의 데이터 포맷을 각각 확장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9a는 전술한 노말 DMS 모드에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SMS 모드 데이터 포맷과 노말 DMS 모드 데이터 포맷이 동일 전송포맷으로 구성되어 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포맷은 헤더 부(300)와 데이터부(303)로 구분되며, 헤더부(300)내에는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일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부(303)내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적합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더부(300)내의 데이터 타입 정보(301)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정보 기능을 가진다. 이는 전술한 도5a의 데이타 타입 정보(201)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헤더부(300)내에는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를 'Time_Info_id'(302)로 명명하고, 예를 들어, 상기 식별정보(302) 값이 'Time_Info_id = 0' 이면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Time_Info_id = 1' 이면 시간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타입 정보값에 연동되어, 해당 데이터부(302)내의 데이터도 정의되어 진다. 예를 들어, 'Type = 0 or 1'인 경우, SMS 데이터가 포함되고, 'Type = 2' 인 경우, DMS 데이터가 포함되되, 해당 데이터 크기는 데이터부(303)내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압축되어 진다. 또한, 'Type = 2' 이면서 'Time_Info_id = 1' 이면 데이터부(303)내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시간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진다.
도9b는 전술한 이미지 DMS 모드에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통화시 데이터 포맷은 화상통화 데이터(310, 'Primary Traffic')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320, 'Secondary Traffic' ) 영역으로 구분되어 진다. 특히, 상기 사용자 데이터(320) 영역은 화상통화시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320) 영역내에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321) 및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식별하는 식별정보(322)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321)는 도5b의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221)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식별하는 식별정보(322)는 예를 들어, 'Time_Info_id = 0' 이면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Time_Info_id = 1' 이면 시간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도9a 및 도9b의 시간정보 관련 식별정보(302, 322)는, 각각 후술할 도13a 및 도13b에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되고, 도14a 및 도14b에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내에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도13a ~ 도14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해당 도면 설명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10a 및 도10b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10a는 송신자가 디스플레이(8)상 터치스크린(9)을 통해 특정의 이미지(331,332,333,334)를 시간 순서대로 작업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a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이 시간 순서대로 송신자가 작업한 이미지를 예로서 표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전체 이미지 데이터를 시간단위로 구분한 것을 '단위 이미지 데이터'로 명명하며, 도면 부호 331, 332, 333, 334 각각이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한다.
휴대 단말기내의 제어부(6)는 송신자가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마다,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도10b는 시간정보 및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포맷의 헤더 부(400)내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데이터 타입이 'Type = 2'로 노말 DMS 이고, 'Time_info_id = 1'로 시간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부(410)내에는 시간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미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10b에서는 데이터부(410)내에, 시간정보를 포함한 단위 이미지 데이터의 좌표정보 및 속성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도10b에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데이터부(410)내에는 해당 단위 이미지 데이터의 실제 데이터 값이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시간단위별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표현하는 정보(이를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라 명명한다)로서, 인덱스(411), 좌표정보(412), 속성정보(413) 및 시간정보(4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인덱스(411)는 '0'부터 시작하여 시간순서대로 매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마다 '1'씩 그 값을 증가 시킨다.
좌표정보(412)는 해당 단위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위치하는 좌표값을 가진다. 이는 2차원 좌표값일 수 도 있고, 3차원 좌표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전송 모드일 경우에는, 해당 입력창에 대한 상대 좌표로서 해석되어 진다.
속성정보(413)는 해당 단위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단위 이미지 데이터의 배경색(background color) 또는 선색(line color)을 표시할 수 있다. 단, 속성정보(413) 시스템 또는 규격에 정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시간정보(414)는 해당 단위 이미지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되, 예를 들어, 이전 단위 이미지 데이터와의 상대적인 값으로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덱스가 '0'인 최초 단위 이미지 데이터는 시간정보로서 '0'의 값을 가지되, 인덱스가 '1'인 두번째 단위 이미지 데이터는 시간정보로서 '+0.5'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시간적으로 최초 단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0.5초 후 만큼 지연된 시간을 가짐을 의미한다. 같은 방법으로 만약, 인덱스가 '2'인 세번째 단위 이미지 데이터가 시간정보로서 '+0.6'의 값을 가진다면 이는 시간적으로 상기 두번째 단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0.6초 후 만큼 지연된 시간을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인덱스가 '3'인 네번째(도10b의 예에서는 마지막) 단위 이미지 데이터가 시간정보로서 '+0.3'의 값을 가진다면 이는 시간적으로 상기 세번째 단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0.3초 후 만큼 지연된 시간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에 대한 다양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다음의 세가지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첫째,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되, 전체 이미지 데이터 생성이 완료된 후, 모든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신자측은 전체 이미지 데이터를 한꺼번에 수신한 후, 각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내의 시간정보(414), 좌표정보(412) 및 속성정보(413)등을 참조하여, 시간대별로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도10a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되었다면,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단위 이미지 데이터들 331~334 가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
둘째,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위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1a 및 도11b는 본 방식에 의한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10a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도11a와 같이 해당 단위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관련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4개의 전송시점 1, 전송시점 2, 전송시점 3, 전송시점 4가 필요하게 된다. 도11b는 상기 도11a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시점 1 은 '전송시점 1 + a'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a'값은 '전송시점 1'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a'값이 증가되는 통신환경에서는 이와 같은 전송/수신 방식에 있어서는 시간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수신시점 2는 '전송시점 2 + b'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b'값은 '전송시점 2'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또한, 수신시점 3은 '전송시점 3 + c'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c'값은 '전송시점 3'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또한, 수신시점 4는 '전송시점 4 + d'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d'값은 '전송시점 4'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전송 방식에 의할 경우, 전체적인 통신망에 의한 지연 시간은 'a + b + c + d' 로 구해 지며, 지연 값이 크질 수록 원래 송신자가 의도했던 시간정 보와는 상이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방식은 상기 통신 지연값(예를 들어, 'a + b + c + d')이 가장 적은 환경에서 보다 적합할 것이다.
세째,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몇개의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그룹핑(grouping)하여 관련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a 및 도12b는 본 방식에 의한 단위 이미지 데이터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10a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도12a와 같이 두개의 단위 이미지 데이터 (인덱스 '0' 및 '1') 생성시마다 이를 그룹핑하여 한번에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2개의 전송시점 1, 전송시점 2 가 필요하게 된다. 도12b는 상기 도12a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시점 1 은 '전송시점 1 + a'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a'값은 '전송시점 1'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수신시점 2는 '전송시점 2 + b'가 되는 시점에 수신됨을 의미하고, 이때 'b'값은 '전송시점 2' 시점에서의 통신망에 의한 지연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전송 방식에 의할 경우, 전체적인 통신망에 의한 지연 시간은 'a + b' 로 구해 지며, 이는 전술한 두번째 방식에 비해서는 통신 지연 값이 작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한 전송방식으로서 제시한, 세 가지 방식은 통신 환경 및 송신자의 이미지 작업 의도등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13a 및 도13b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송신자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3a에서, 송신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S210). 입력 모드의 선택은 송신자가 휴대 단말기내의 키입력부(10)를 통한 버튼 조작을 통해 또는 터치스크린(9)을 통해 가능하다. 도2a에서와 같은 SMS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SMS 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12), 송신자가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원하는 텍스트 문자를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문자열을 선택하면(S214), 전송부(1)를 통해 해당 텍스트 문자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30).
도13a에서 만약 송신자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력 모드로서, 도2b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위한 노말 DMS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내에 시간정보를 포함할 지 여부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216).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면, 제어부(6)는 해당 DMS 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18),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 원하는 이미지 작업을 완료하면(S220), 데이터 압축부(4)를 통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크기의 데이터로 압축되도록 제어한다(S222). 이후, 상기 제어부(6)는 전송부(1)를 통해 상기 압축된 이미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30).
또한,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제어부(6)는 해 당 DMS 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24),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 원하는 이미지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함께 시간정보를 생성한다(S226). 이후, 제어부(6)는 상기 데이터 압축부(4)를 통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크기의 데이터로 압축되도록 제어한후(S228), 상기 전송부(1)를 통해 상기 압축된 이미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30). 관련하여, 상기 S230단계를 전송시, 전술한 시간정보 전송장식에 따라 첫째, 모든 이미지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하거나, 둘째, 매 단위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시간정보와 함께 전송하거나, 세째, 몇개의 단위 이미지 데이터를 그룹핑하여 시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통신 환경 또는 송신자의 요구에 따라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도13b에서,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현재 통화모드를 판단한다(S240). 만약, 음성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242), 제어부(6)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서 전술한 도13a의 S210 단계부터 수행되어 진다(I). 만약 화상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244), 제어부(6)는 사용자의 입력모드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246).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8)상에 안내 메세지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송신자가 입력 모드를 선택토록 유도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송신자가 특정 이미지 데이터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6)는 해당 입력모드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자가 노말 DMS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13a의 S216 단계부터 수행되어 진다(J).
또한, 만약 송신자가 이미지 DMS(Image DMS)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는 송신자가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248). 즉, 전술한 도2c 및 도2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2c)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도2d)중 어느 하나를 선택토록 한다.
만약, 송신자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를 선택하였다면(S250), 제어부(6)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내에 시간정보를 포함할 지 여부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252).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보 포함을 원하지 않으면, 제어부(6)는 이미지 작업후(S256) 이를 전송부(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S270).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보 포함을 원한다면, 제어부(6)는 이미지 작업과 함께 시간정보를 생성한후(S254) 이를 전송부(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S270). 이때 제어부(6)는 송신자가 작업한 이미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송수신자 화상이 있는 영역에 상관없이 일반좌표로서 표현하여 전송하면 된다. 단, 시간정보 전송방식은 전술한 세가지 예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또한, 만약 송신자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를 선택하였다면(S258), 제어부(6)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내에 시간정보를 포함할 지 여부를 선택토록 제어한다(S260).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보 포함을 원하지 않으면, 제어부(6)는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서 완료한 이미지 작업 내용이(S264) 어느 입력창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한다(S266). 즉, 송신자가 지정한 입력창이 송신자 화상 영역인지 수신자 화상 영역인지를 판단하고(S266), 작업한 이미지를 해당 입력창(송신자 화상 영역 또는 수신자 화상 영역)에 대한 상대좌표로 표현한 후(S268), 이를 전송부(1)를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토록 제어한다(S270). 관련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포맷 및 좌표 표현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만약 송신자가 시간정 보 포함을 원한다면, 제어부(6)는 송신자가 터치스크린(9)상에서 완료한 이미지 작업 내용과 함께 시간정보를 생성한다(S262). 이후 S266단계, S268단계, S270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전송 방식도 전술한 세가지 예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14a 및 도14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14a는 전술한 도13a의 데이터 송신방법에 대응하는 수신방법을, 도14b는 전술한 도13b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응하는 수신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14a에서,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280). 수신 모드의 판단은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입력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9a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모드 식별정보(301)를 통해 쉽게 수신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SMS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해당 SMS 수신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82),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S284)를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표시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한다(S302).
만약, 동일 전송포맷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DMS 모드인 경우, 제어부(6)는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S286). 상기 시간정보 포함여부는 전술한 도9a의 데이터 포맷내의 시간정보 포함 식별정보(302)를 통해 판단가능하다. 만약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6)는 해당 DMS 수신모 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96),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298)를, 압축 해제하여(S300) 디스플레이 화면(8)내에 표시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한다(S302). 이때,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별도의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가능함은 전술한 바 있다.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정보가 포함되었다면, 제어부(6)는 해당 DMS 수신모드 환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288),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290)를, 압축 해제하여(S292) 해당 데이터내의 시간정보를 분석한다(S294). 또한, 제어부(6)는 분석된 시간정보에 따라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8)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02).
도14b에서, 휴대 단말기내 제어부(6)는 현재 통화모드를 판단한다(S310). 만약, 음성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312),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방법으로서 전술한 도14a의 S280 단계부터 수행되어 진다(K). 만약 화상통화 모드로 판단되면(S314), 제어부(6)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316). 수신 모드의 판단은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입력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9b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모드 식별정보(321)를 통해 쉽게 수신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노말 DMS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6)는 전술한 도14a의 S286단계부터 수행되도록 제어한다(L). 또한, 만약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DMS(Image DMS)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6)는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한다(S318). 이미지 수신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송수신자 영역 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2c)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도2d)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어 진다.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드의 판단도 송신자측에서 선택한 이미지 전송 모드에 연동되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9b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내에 포함된 이미지 전송 모드 식별정보(321)를 통해 쉽게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이미지 수신 모드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면(S90), 제어부(6)는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S322). 상기 시간정보 포함여부는 전술한 도9b의 데이터 포맷내의 시간정보 포함 식별정보(322)를 통해 판단가능하다.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328) 그대로를 디스플레이(8)상에 표시한다(S344).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정보가 포함되었다면,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324)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분석한 후(S326), 해당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8)상에 표시한다(S344).
만약, 수신된 이미지 수신 모드가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로 판단되면(S330), 제어부(6)는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S332). 상기 시간정보 포함여부는 전술한 도9b의 데이터 포맷내의 시간정보 포함 식별정보(322)를 통해 판단가능하다.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6)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340)의 디스플레이 좌표만을 분석한다(S342). 즉, 송신자측이 해당 이미지를 특정 영역에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송신자 화상 영역 또는 수신자 화상 영역, 송신자측이 원하는 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대적 좌표를 분석하여야 한다. 상기 분석된 좌표 결과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8)상 특정 영역에 표시한다(S344). 만약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정보가 포함되었다면, 제어부(6)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S334)의 디스플레이 좌표 분석(S336) 뿐만이 아니라,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내의 시간정보도 분석한다(S338). 이후, 제어부(6)는 상기 분석된 좌표 및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송신자가 원하는 영역 및 원하는 시간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8)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44).
도1은 본 출원에 적용가능한 휴대 단말기내 송수신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a 내지 도2d는 본 출원에 적용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포맷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8a 및 도8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9a 및 도9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포맷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10a 내지 도12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간정보가 포함된 데이 터 포맷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13a 및 도13b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14a 및 도14b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방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Claims (24)

  1. 휴대 단말기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화 모드가 화상 통화 모드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가 이미지 모드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이미지 입력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생성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전체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생성되되, 상기 전체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전체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생성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은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시마다 상기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가 상기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인지 상기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과 관련된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10. 휴대 단말기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 입력 및/또는 이미지 입력을 가능케 하는 사용자 입력수단과,
    통화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 모드가 화상 통화 모드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 모드가 이미지 모드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상기 이미지 입력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미지 전송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입력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전송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허용되는 텍스트 전송 크기로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12. 삭제
  13. 휴대 단말기 데이터 수신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이미지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단계,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이미지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 해제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시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수신된 전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시간정보가 포함된 단위 이미지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위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드가 상기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인지 또는 상기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이미지 수신 모드가 상기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인 경우, 화상통화 디스플레이화면을 상기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22. 휴대 단말기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케하는 통신수단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통화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이미지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이미지 수신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이미지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 해제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입력 모드가 상기 이미지 모드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드는,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이미지 전송 모드와 화상내 송수신자 영역을 구분하는 이미지 전송 모드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장치.
  23. 삭제
  24. 삭제
KR1020080105360A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KR10153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60A KR101531508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EP09013162.4A EP2180677B1 (en) 2008-10-27 2009-10-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using mobile terminal
US12/606,725 US8441514B2 (en) 2008-10-27 2009-10-2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60A KR101531508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01A KR20100046501A (ko) 2010-05-07
KR101531508B1 true KR101531508B1 (ko) 2015-06-26

Family

ID=4160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360A KR101531508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41514B2 (ko)
EP (1) EP2180677B1 (ko)
KR (1) KR101531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740B2 (en) 2008-06-11 2013-11-26 Pantech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US10133411B2 (en) * 2010-06-1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Auto-correction for mobile receiver with pointing technology
US9098611B2 (en) * 2012-11-26 2015-08-04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JP5889028B2 (ja) * 2012-02-13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798243B2 (ja) * 2012-05-08 2015-10-21 ウイングアーク1st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サーバ、クライアント、データ管理用プログラム
JP2014006869A (ja) * 2012-06-01 2014-01-16 Nintendo Co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083844B2 (en) 2012-06-01 2015-07-14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5849675B (zh) 2013-10-30 2019-09-24 苹果公司 显示相关的用户界面对象
US10338793B2 (en) 2014-04-25 2019-07-02 Timothy Isaac FISHER Messaging with drawn graphic input
US9898162B2 (en) 2014-05-30 2018-02-20 Apple Inc.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DE202015006141U1 (de) 2014-09-02 2015-12-14 Apple Inc. Elektronische Touch-Kommunikation
KR102457143B1 (ko) * 2015-08-10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K201670596A1 (en) * 2016-06-12 2018-02-19 Apple Inc Digital touch on live video
WO2018182063A1 (ko) 2017-03-28 2018-10-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75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화상 단말기의 부가 기능 실행 방법
KR20040108065A (ko) * 2003-06-16 2004-12-23 김강석 멀티미디어 컨텐츠 합성을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장치 및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018B2 (ja) * 1989-01-20 1998-11-11 東京電力株式会社 映像伝送装置
US5239373A (en) * 1990-12-26 1993-08-24 Xerox Corporation Video computational shared drawing space
DE69222580T2 (de) * 1991-07-15 1998-04-16 Hitachi Ltd Bildkoder-Dekoder und Telekonferenzendstellengerät
US6594688B2 (en) * 1993-10-01 2003-07-15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Dedicated echo canceler for a workstation
US6259469B1 (en) * 1997-09-05 2001-07-10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KR100357866B1 (ko) * 2000-05-31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화상 단문메시지 송수신 방법
US7346841B2 (en) * 2000-12-19 2008-03-18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annotation of a document
US8054971B2 (en) * 2001-04-27 2011-11-08 Comverse Ltd Free-hand mobile messaging-method and device
US20080050017A1 (en) * 2006-08-25 2008-02-28 Via Telecom Co., Lt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handwritten data on wireless devices without character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75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화상 단말기의 부가 기능 실행 방법
KR20040108065A (ko) * 2003-06-16 2004-12-23 김강석 멀티미디어 컨텐츠 합성을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0677A2 (en) 2010-04-28
EP2180677B1 (en) 2017-12-06
US20100103243A1 (en) 2010-04-29
EP2180677A3 (en) 2010-06-16
US8441514B2 (en) 2013-05-14
KR20100046501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08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US10810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handwritten message by using handwriting data
KR10166271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093833B2 (ja) 電子機器
US846330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the same for outputting short message
CN102981613B (zh) 终端和终端控制方法
KR102455986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연결시스템 및 그 연결방법
JP2006350986A (ja) 顔写真付きメールを送受信できる携帯電話機
WO2016002306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71133B1 (ko) 필기 애니메이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2747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JP2005236653A (ja) 代表色選択装置および方法、減色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84997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700693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채팅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242838A (ja) 端末装置、サーバ、通知方法、生成方法
KR20120056631A (ko) 차량간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11076448A (ja) 情報取得端末装置、情報取得端末方法、および情報取得端末プログラム
JP3953258B2 (ja) 通信端末装置
JP4093834B2 (ja) 通信装置
USRE49187E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the same for outputting short message
KR100902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20040451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781650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62067B1 (ko) 지능적 화면 확대 및 이동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방법
JP200723597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