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044B1 - 경량형 레이들 - Google Patents

경량형 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044B1
KR101531044B1 KR1020140037242A KR20140037242A KR101531044B1 KR 101531044 B1 KR101531044 B1 KR 101531044B1 KR 1020140037242 A KR1020140037242 A KR 1020140037242A KR 20140037242 A KR20140037242 A KR 20140037242A KR 101531044 B1 KR101531044 B1 KR 10153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lten metal
refractory brick
refracto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박주열
Original Assignee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22D41/05Tea-pot spout la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레이들은, 측벽부가, 용탕 수용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그 용탕 수용 공간 내의 용탕과 접촉하는 내화벽돌층과, 상기 내화벽돌층의 외측에 그 내화벽돌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금속층과, 상기 내화벽돌층과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레이들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충격도 효과적으로 완충 혹은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형 레이들{Light weight ladle}
본 발명은 용탕을 장시간 보온하면서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이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측벽부의 구조가 개선된 경량형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 설비를 이용하여 금속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다이캐스팅 업체에서는, 상기 금속 제품의 소재가 되는 금속 재료를 외부의 재료 공급 업체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한편, 재료 공급 업체에서 다이캐스팅 업체로 상기 금속 재료를 공급하는 방식의 일례로서, 정련되거나 재생된 금속을 용융시키고 이 용융된 금속을 성형틀에 부어 잉곳(ingot)으로 성형한 후, 이 잉곳을 다이캐스팅 업체로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의 경우, 다이캐스팅 업체에서는 재료 공급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잉곳을 다시 용융시켜서 용탕을 만들고, 이 용탕을 다이캐스팅 금형 내로 주입하여 금속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재료 공급 업체에서 일차적으로 용융시킨 금속 재료를 잉곳으로 만들어 다이캐스팅 업체로 공급하는 방식은, 용융된 금속 재료를 다시 잉곳으로 만드는 공정에 많은 인력과 설비 및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업체에 대한 금속 재료의 납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이캐스팅 업체의 입장에서도, 재료 공급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잉곳을, 다이캐스팅 금형에 주입할 수 있도록 용융시켜야만 하므로, 그 잉곳의 용융을 위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 및 설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잉곳의 용융시에 금속 재료의 산화로 인해 상당량의 재료가 손실될 수 있다는 등의 단점도 있다.
상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재료 공급 업체에서 금속을 용융시킨 후, 잉곳으로 만들지 않고, 용융된 금속을 용탕 상태 그대로 다이캐스팅 업체에 공급하는 방식이 종종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재료 공급 업체에서 금속 재료를 용탕 상태로 다이캐스팅 업체로 공급하기 위하여, 용탕을 수용하고 장시간 보온을 행하면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레이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탕 운반용 레이들의 일례를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이들(1)은, 바닥부(10)와, 이 바닥부(10)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세워진 측벽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닥부(10)와 측벽부(20)에 의해서, 용탕(M)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공간 즉, 용탕 수용 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20)의 상단에 의해서, 용탕 수용 공간(S) 내외로의 용탕(M)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구획된다. 참조부호 C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이다.
바닥부(10)는, 용탕 수용 공간(S)에 면하는 부분에 내화벽돌(11a)들을 쌓아서 형성된 내화벽돌층(11) 및, 이 내화벽돌층(11)의 외측에 차례로 배치된 캐스터블층(13)과 금속층(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벽부(20)도, 용탕 수용 공간(S)에 면하는 부분에 내화벽돌(21a)들을 쌓아서 형성된 내화벽돌층(21) 및, 이 내화벽돌층(21)의 외측에 차례로 배치된 캐스터블층(23)과 금속층(2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화벽돌층(11, 21)은, 용탕 수용 공간(S) 내의 용탕(M)과 접촉하며, 용탕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주요 열차단막 기능을 행하는 층이다. 상기 캐스터블층(13, 23)은, 캐스터블 내화물(castable refractory; 내화물 분말에 결합제로서 수경(水硬)성 시멘트 또는 화학적 결합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내화물로서, 유입 시공후 일정시간 경화시 경화되어 구조물을 형성하는 내화물)에 의해 형성된 층으로서, 내화벽돌층(11, 21)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내화벽돌층(11, 21)보다는 저렴한 비용으로 마련되는 단열층이다. 상기 금속층(14, 24)은, 레이들(1)의 외곽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금속층(14, 24)은, 레이들(1)의 운반이나 취급 과정에서 외부에서 가해질 수도 있는 충격이나, 용탕의 압력 등으로부터 내화벽돌층(11, 21)과 캐스터블층(13, 23)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강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레이들은, 용탕을 재료 공급 업체로부터 다이캐스팅 업체로 운반하는 동안에, 수용된 용탕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부의 캐스터블층이 상당히 두껍게 형성되며, 그 결과, 운반되는 용탕의 무게에 비하여 레이들의 전체적인 중량이 매우 무거워지게 된다. 예를 들면, 내부의 용탕 수용 공간에 대략 780℃의 알루미늄 용탕 1ton을 수용하여 2시간 동안 700℃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탕 운반용 레이들로서는 전체적인 중량이 대략 2ton 정도나 되는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레이들의 취급을 위한 설비나 운반을 위한 차량 및 장치 등도 대규모화되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0977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측벽부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어 경량화가 가능한 용탕 운반용의 경량형 레이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레이들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와 함께, 용탕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용탕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용탕 수용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그 용탕 수용 공간 내의 용탕과 접촉하는 내화벽돌층; 상기 내화벽돌층의 외측에 그 내화벽돌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금속층; 및 상기 내화벽돌층과 상기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레이들은, 측벽부의 내부에 공기층이 마련되어서 그 공기층에 의해 단열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측벽부의 단열성을 훼손하지 않고도 측벽부가 경량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레이들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소규모의 설비나 차량에 의해서도 레이들의 취급이나 운반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들의 일례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들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량형 레이들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이들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의 일부를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와는 다른 형태의 공기 보유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레이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량형 레이들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이들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 보유체의 일부를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량형 레이들(100; 이하 단순히 '레이들'이라 칭하기도 함)은, 바닥부(30)와, 측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40)는 바닥부(30)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있다. 이 측벽부(40)는 바닥부(30)와 함께 용탕 수용 공간(S)을 형성한다. 용탕 수용 공간(S)은, 운반하고자 하는 용탕(M)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본 실시예의 레이들(100)은, 측벽부(40)의 상단에 의해 개구부가 구획되며, 그 개구부를 통해 용탕 수용 공간(S) 내외로의 용탕(M)의 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조부호 C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이다.
본 실시예의 레이들(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는, 내화벽돌층(31)과, 캐스터블층(33)과, 금속층(3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화벽돌층(31)은, 용탕 수용 공간(S)에 면하도록 배치되며 내화벽돌(31a)들을 쌓아서 형성된 제1내화벽돌층(311)과, 그 제1내화벽돌층(311)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화벽돌(31b)들을 쌓아서 형성된 제2내화벽돌층(3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캐스터블층(33)은, 제2내화벽돌층(312) 외측에 배치된 제1캐스터블층(331)과 이 제1캐스터블층(331)의 외측에 배치된 제2캐스터블층(3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벽부(40)는, 내화벽돌층(41)과 캐스터블층(43)과 금속층(44)과 공기 보유체(4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화벽돌층(41)은, 용탕 수용 공간(S)에 면하도록 배치되며 내화벽돌(41a)들을 쌓아서 형성된 제1내화벽돌층(411)과, 그 제1내화벽돌층(411)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화벽돌(41b)들을 쌓아서 형성된 제2내화벽돌층(41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블층(43)은, 제2내화벽돌층(412) 외측에 배치된 제1캐스터블층(431)과 이 제1캐스터블층(431)의 외측에 배치된 제2캐스터블층(432)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층(44)은 내화벽돌층(41)의 외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캐스터블층(4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내화벽돌층(411), 제2내화벽돌층(412), 제1캐스터블층(431), 제2캐스터블층(432), 공기 보유체(45), 금속층(44)은 모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내화벽돌층(411), 제2내화벽돌층(412), 제1캐스터블층(431), 제2캐스터블층(432), 공기 보유체(45), 금속층(44)은 모두 동일한 중심축선(CL)을 가진다.
상기 제1내화벽돌층(311, 411)은, 용탕 수용 공간(S)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그 용탕 수용 공간(S) 내의 용탕(M)과 접촉하며, 용탕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용탕(M)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주요 열차단막 기능을 행하는 층이다. 따라서, 그 제1내화벽돌층(311, 411)을 이루는 내화벽돌(31a, 41a)은 내화도 및 내식성이 높고 용탕과 화학반응하지 않는 재료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용탕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용탕(M)이 알루미늄 용탕인 경우에는, 제1내화벽돌층(311, 411)의 내화벽돌(31a, 41a)은 고알루미나질 내화물(Al2O3-SiO2계 내화물)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내화벽돌층(312, 412)은, 제1내화벽돌층(311, 411)과 함께, 용탕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열차단막 기능을 행하는 층인데, 제1내화벽돌층(311, 411)과는 달리 용탕(M)과 직접 접촉하지는 않으므로, 이 제2내화벽돌층(312, 412)의 내화벽돌(31b, 41b)은 제1내화벽돌층(311, 411)의 내화벽돌(31a, 41a)보다는 내화도가 낮아서 저렴하게 마련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내화벽돌층(311, 411)의 내화벽돌(31a, 41a)이 고알루미나질 내화물(Al2O3-SiO2계 내화물)에 의해 제조된 것인 경우에, 제2내화벽돌층(312, 412)의 내화벽돌(31b, 41b)은, 고알루미나질 내화물(Al2O3-SiO2계 내화물)보다 내화도는 낮지만 저렴하면서도 단열성은 우수한 납석질 내화물(SiO2-Al2O3계 내화물)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화벽돌층(31, 41)을, 용탕에 직접 접촉하는 제1내화벽돌층(311, 411)과, 그 제1내화벽돌층(311, 411)의 외측에 배치된 제2내화벽돌층(312, 412)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구조로 하게 되면, 제1내화벽돌층(311, 411)과 제2내화벽돌층(312, 412) 각각의 두께를, 예컨대 종래의 레이들(1)에 있어서의 내화벽돌층(11, 21)의 두께의 1/2로 하고, 용탕에 접하는 제1내화벽돌층(311, 411)의 내화벽돌(31a, 41a)은 내화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조하고, 제2내화벽돌층(312, 412)의 내화벽돌(31b, 41b)은 제1내화벽돌층의 내화벽돌(31a, 41a)보다 내화도는 낮지만 저렴하면서도 단열성은 오히려 우수한 재료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내화벽돌층(31, 41)의 전체적인 두께를 종래의 레이들(1)에 있어서의 내화벽돌층(11, 21)의 두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비용은 저렴하고 단열성은 더 우수한 내화벽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캐스터블층(331, 431)과 제2캐스터블층(332, 432)은, 내화벽돌층(31, 41)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층이며, 캐스터블 내화물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내화벽돌층(31, 41)보다는 저렴하게 마련된다. 제1캐스터블층(331, 431)과 제2캐스터블층(332, 432)을 형성하기 위한 캐스터블 내화물로서는 단열특성(저열전도성)이 우수한 규석질 내화물(SiO2계 내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혹은, 제1캐스터블층(331, 431)과 제2캐스터블층(332, 432)은 서로 다른 성분의 캐스터블 내화물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캐스터블층(331, 431)은 단열특성(저열전도성)이 우수한 규석질 내화물(SiO2계 내화물)에 의해 형성하고, 금속층(34, 44)에 접촉하는 제2캐스터블층(332, 432)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금속층(34, 44)을 통해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완충성 및 높은 고온강도를 가지는, 세라믹 파이버 함유 내화물(예컨대, 60중량% 이상의 알루미나 및 20중량% 이상의 세라믹 파이버를 포함하는 내화물)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층(34, 44)은, 레이들(100)의 외곽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금속층(34, 44)은, 레이들(100)의 운반이나 취급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도 있는 충격이나, 용탕의 하중과 압력 등으로부터 상기 내화벽돌층(31, 41)과 캐스터블층(33, 43)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예컨대, SS400)를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보유체(45)는, 측벽부(40)의 내화벽돌층(41)과 금속층(44) 사이(구체적으로는, 제1캐스터블층(431)과 제2캐스터블층(432) 사이)에 캐스터블층(43)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이 공기 보유체(45)는, 제1관부재(451)와, 제1관부재(451)의 외측에 배치된 제2관부재(452)와, 상판(457)과, 하판(45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벽부(40)의 내화벽돌층(41)(예컨대, 제2내화벽돌층(412))과 동축적으로 배치된 파이프형을 이루고 있다. 이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는 각각, 예컨대 강판을 파이프 형태로 말아서 서로 인접하게 된 가장자리부를 용접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판(457)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관부재(451)의 상단과 제2관부재(452)의 상단 사이의 개구부를 덮어서 폐쇄하도록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하판(458)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관부재(451)의 하단과 제2관부재(452)의 하단 사이의 개구부를 덮어서 폐쇄하도록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공기 보유체(45) 내에는, 상기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와 상판(457)과 하판(458)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밀폐 공간 내의 공기에 의해, 측벽부(40)의 내화벽돌층(41)과 금속층(44) 사이(구체적으로는 제1캐스터블층(431)과 제2캐스터블층(432)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A)이 형성된다.
한편,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 사이에는 보강관부재(453)가 제1관부재(451)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강관부재(453)는,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 사이의 간격(즉, 공기층(A)의 두께)를 유지함과 아울러,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보강관부재(453)는 강판을 물결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한 후 말아서, 서로 인접하게 된 양 가장자리부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보강관부재(453)는, 제1관부재(45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접촉부(453a)와, 제2관부재(45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접촉부(453b)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접촉부(453a)들은 제1관부재(451)에 용접되고 제2접촉부(453b)들은 제2관부재(452)에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들(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레이들(1)과 마찬가지로, 재료 공급 업체에서 용융된 금속 재료를 상기 용탕 수용 공간(S)에 수용하여 저장한 후, 그 용탕 상태의 금속 재료를 정해진 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하면서 다이캐스팅 업체로 운반하는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레이들(100)은, 상술한 공기층(A)에 의해서 측벽부(40)의 내화벽돌층(41)과 금속층(44) 사이에서의 단열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단열을 위한 측벽부(40)의 캐스터블층(43)의 두께(캐스터블 내화물의 양)를 줄이더라도 측벽부(40)의 단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레이들(100)의 측벽부의 전체적인 단열성을 훼손하지 않고도, 레이들(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레이들(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이들(1)을 취급하거나 운반하는 설비나 차량에 비하여, 소규모의 설비나 차량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운반 및 취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들(100)의 측벽부(40)에 공기층(A)이 마련되므로, 측벽부(4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공기층(A)이 완충 작용하여, 상기 측벽부(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레이들(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부(30)가 복층의 내화벽돌층 즉, 제1, 2내화벽돌층(311, 312)을 가지는 구성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이들(1)의 바닥부(10)와 마찬가지로, 단층의 내화벽돌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닥부(30)의 캐스터블층(33)도, 복층의 캐스터블층 즉 제1, 2캐스터블층(331, 332) 대신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이들(1)의 바닥부(10)와 마찬가지로, 단층의 캐스터블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와 같은 공기 보유체(45) 대신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보유체(45a)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공기 보유체(45a)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 보유체(45)와 비교할 때, 일측에 용탕 통과공(H)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상기 용탕 통과공(H)은, 상기 일측에 제1관부재(451)와 제2관부재(452)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후, 링형상의 마개부재(459)로 그 구멍 둘레를 막아서 공기층(A)을 밀폐시키고, 그 마개부재(459)를 제1관부재(451) 및 제2관부재(452)에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공기 보유체(45a)는, 도 8에 가상선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들(101), 즉 용탕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용탕을 외부로 따르기 위하여 상기 측벽부(40)에, 용탕 수용 공간(S)과 연통된 용탕 유로(491)를 가지는 주출구(49)가 형성된 레이들(101)에 적합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보유체(45a)를 레이들(101)의 측벽부(40) 내에, 상기 용탕 통과공(H)이 주출구(49)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용탕 유로(491)가, 공기 보유체(45a)에 의해 막히지 않고, 용탕 통과공(H)을 통과하면서 이어질 수 있게 되므로, 용탕 수용 공간(S) 내의 용탕을 주출구(49)의 용탕 유로(49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몇가지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0...경량화 레이들 30...바닥부
40...측벽부 41...내화벽돌층
43...캐스터블층 44...금속층
45...공기 보유체 451...제1관부재
452...제2관부재 453...보강관부재
457...상판 458...하판
A...공기층

Claims (3)

  1. 삭제
  2.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와 함께, 용탕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용탕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용탕 수용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그 용탕 수용 공간 내의 용탕과 접촉하는 내화벽돌층;
    상기 내화벽돌층의 외측에 그 내화벽돌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금속층;
    상기 내화벽돌층과 상기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 및
    상기 내화벽돌층과 상기 금속층 사이에 배치된 공기 보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보유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화벽돌층과 동축적으로 배치된 파이프형의 제1관부재와,
    상기 제1관부재의 외측에 그 제1관부재와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2관부재와,
    상기 제1관부재의 상단과 제2관부재의 상단 사이의 개구부를 덮어서 폐쇄하는 링형상의 상판과,
    상기 제1관부재의 하단과 제2관부재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어서 폐쇄하는 링형상의 하판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제1관부재와 제2관부재와 상판과 하판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 내의 공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레이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와 제2관부재 사이에 상기 제1관부재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관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접촉부와 상기 제2관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2접촉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마련되어 있는 보강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레이들.
KR1020140037242A 2014-03-28 2014-03-28 경량형 레이들 KR10153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42A KR101531044B1 (ko) 2014-03-28 2014-03-28 경량형 레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42A KR101531044B1 (ko) 2014-03-28 2014-03-28 경량형 레이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044B1 true KR101531044B1 (ko) 2015-06-23

Family

ID=5351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242A KR101531044B1 (ko) 2014-03-28 2014-03-28 경량형 레이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0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81A (ja) * 1994-03-31 1995-10-20 Nisshin Steel Co Ltd 溶融金属収容体の内張り耐火物構造
KR2006007195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으로 축조되는 연와와 연와 마모 표시장치를 구비하는래들
KR200461702Y1 (ko) * 2010-06-03 2012-07-31 에스엠메탈(주) 턴디쉬에 장착되는 어퍼 워터 재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81A (ja) * 1994-03-31 1995-10-20 Nisshin Steel Co Ltd 溶融金属収容体の内張り耐火物構造
KR2006007195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으로 축조되는 연와와 연와 마모 표시장치를 구비하는래들
KR200461702Y1 (ko) * 2010-06-03 2012-07-31 에스엠메탈(주) 턴디쉬에 장착되는 어퍼 워터 재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39793Y (zh) 改进的铁水浇注包
ITVI20110076A1 (it) Macchina per la formatura di barre metalliche
KR20100127969A (ko) 알루미늄 용탕 운반용 고보온성 레이들
KR101631400B1 (ko) 용강 용기
KR101520957B1 (ko) 용탕 운반용 레이들
KR101531045B1 (ko) 레이들
KR101571644B1 (ko) 용융금속 용기의 라이닝 구조
KR101531044B1 (ko) 경량형 레이들
KR101515194B1 (ko) 경량형 용탕 운반용 레이들
US20090065987A1 (en) Molten metal ladle
ES263218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lodos semisólidos
KR101526440B1 (ko)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 제조방법
KR20130059908A (ko) 래들의 벽체 구조
US3955721A (en) Expendable tundish liner
US20040100004A1 (en) Refractory plug or brick for injecting gas into molten metal
KR20010038631A (ko) 대형 지금 발생 방지용 슬래그 포트
JP4440201B2 (ja) 混銑車への冷鉄源投入方法
US8411724B2 (en) Sill and door jamb assembly for electric arc furnace
KR101268634B1 (ko) 래들
CN212121645U (zh) 多层结构浇注用保温浇包
KR101330578B1 (ko) 래들 구조체
JP3022822U (ja) 鋳物用取鍋
KR101175626B1 (ko) 래들 및 래들 내화물의 축조 방법
JP2002248550A (ja) 高清浄度鋼連続鋳造用のタンディッシュ及び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方法
US20080073053A1 (en) Sand catcher for production of steel and other me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