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422B1 -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422B1
KR101530422B1 KR1020130044643A KR20130044643A KR101530422B1 KR 101530422 B1 KR101530422 B1 KR 101530422B1 KR 1020130044643 A KR1020130044643 A KR 1020130044643A KR 20130044643 A KR20130044643 A KR 20130044643A KR 101530422 B1 KR101530422 B1 KR 10153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ugenol
biofilm
clove extract
otitis med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466A (ko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2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은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이미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탁월하며, 랫트 중이에서의 현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중이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menting or preventing otitis media comprising clove extract or eugenol}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플랑크톤의 모양(planktonic form)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영양분의 감소나 항생제의 공격 등으로 생존조건이 열악해지는 경우 고체의 표면에 붙어서 군락을 형성하는 바이오필름(biofilm)의 형태로 표현형이 변하게 된다. 바이오필름은 세균, 효모, 곰팡이 등 미생물이 특정조건에서 인체(피부, 구강, 치아 등)나 설비(배관, 저장탱크 등) 등의 표면에 필름처럼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의 집합체로서 그 자체가 미생물의 서식처로도 제공되어 균의 서식을 가속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의 미생물은 산업 및 의학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바이오필름의 형성은 박테리아가 당단백으로 이루어진 기질을 세포 주위에 3차원적으로 형성하고 이것이 주위의 고형물에 부착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정족수 인식(quarum sensing)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박테리아는 부족한 영양물질을 기질(matrix)내에 가두어 두고 외부의 공격(항생물질, 저산소)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으로 인해 박테리아의 생존에 필요한 대사율을 낮춤으로써 소량의 영양물질로도 생존이 가능하게 되어 열악한 환경에서의 생존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바이오필름은 실제로 자연계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일정한 유속을 가지고 있는 강에서도 바위의 표면에 박테리아들이 바이오필름의 형태로 서식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바이오필름은 인체의 감염성 질환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많은 감염증을 유발하며, 이들 감염증으로는 급성 외이도염, 중이염, 충치, 치주염, 근골계 감염, 괴사성 근막염, 담관계 감염, 골수염, 세균성 전립선염, 자연 판막의 심내막염, 낭포성 섬유증 폐렴, 멜로이도시스(meloidosis),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 ICU(intensive care unit) 폐렴, 요로 카테터 방광염(urinary catheter cystitis), 복막 투석(CAPD) 복막염 및 담도 배액관 폐쇄(biliary stent blockage) 등이 있다. 이들 중, 급성 외이도염(acute otitis externa)은 외이염으로 알려져있으며, 현재 경구용 항생제, 국소용 싱글-단위(entity) 항생제, 또는 국소용 항생제/스테로이드 배합물로 치료되고 있다. 급성 외이도염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항생제 제제의 예로는 AUGMENTIN®(아목시실린 및 클라부란산)이 있다. 국소용 급성 외이도염 치료제로 인정받은 국소용 싱글-단위 항생제의 예로는 FLOXIN®(오플록사신)이 있다. 이러한 용도로 인정받은 배합물 제제의 예로는 CORTISPORIN®(하이드로코르티손, 네오마이신 설페이트, 및 폴리믹신 β-설페이트) 및 CIPRO® HC®(시프로플록사신 및 하이드로코르티손)을 포함한다. SOFRADEX 제제(그라미시딘, 프라미세틴 및 하이드로코르티손)는 일부 유럽 국가 및 호주에서 이용할 수 있다. 외이염은 통상 하기 유형의 세균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쿠스 sp.(Staphylococcus sp.) 및 코리네폼(Coryneforms).
중이염(otitis media; OM)은 하기 유형의 세균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뉴모니아(S. pneumonia), H. 인플루엔자에(H. influenzae) 및 M. 카타르할리스(M. catarrhalis). 만성 또는 중증 중이염을 앓는 환자는 그의 고막(ear drums; tympanic membranes)을 의도적으로 천자(puncture) 시키고 주로 고막천공술 튜브로 언급되는 배액관을 삽입할 수 있다. 다른 경우, 특히 중증 중이염을 앓는 환자의 경우, 고막이 파열될 수 있다. 외과적으로 천자시키거나 또는 사고로 파열는 경우, 개방된 고막에 의해 급성 외이도염 및 중이염의 박테리아 특성은 혼합될 수 있다. 중이염을 앓는 환자는 현재 AUGMENTIN®과 같은 경구용 항생제로 치료받고 있다. 개방된 고막을 통한 외이내로의 배출이 유지되는 경우, 경구용 항생제(예: AUGMENTIN®) 또는 국소용 항생제(예: FLOXIN®)가 주로 처방된다. 또한, 개방된 고막을 갖는 환자에서 중이염을 치료를 하는 경우, CORTISPORIN®, CIPRO®, HC®, 및 TOBRADEX®(토브라마이신 및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급성 외이도염에 대하여 인정받은 국소용 항생제/스테로이드성 배합물 제제가 적응증 이외(Off-Label)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OXIN®이 주로 처방된다.
또 다른 예로, 치아의 표면에 바이오필름의 형태로 박테리아가 존재하여 치석을 형성할 경우에는 충치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의 건강 요소와 관련하여 가장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치아의 부식 또는 충치, 잇몸 질환 혹은 치주질환, 그리고 불쾌한 입냄새의 발생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근본 원인으로는 구강에 서식하는 병원균들에 의해 형성되는 바이오필름이다. 상기 병원균들은 구강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타액 등의 용액 상태로 존재하다가 양치질이나 음료섭취와 함께 쉽게 제거될 수 있어, 구강에 질환을 일으킬 기회가 매우 적다. 그러나 상기 병원균들은 생존을 위하여 구강 표면에 부착되는 성질이 있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일단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외부의 물리, 화학적 자극에 대한 방어력이 현저하게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물리적 방법으로 제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독성이 매우 강한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많은 양의 항균제를 사용하여야만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 필름을 방치할 경우, 더욱 두터워지고 강해진 치석을 형성하여 수많은 세균의 서식처가 되어 각종 구강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중심정맥관이나 이식물의 표면에 바이오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항생제로 제거가 되지 않고 바이오필름에서 박테리아가 떨어져 나오면서 주기적인 발열을 보이는 양상의 세균감염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기관절개관, 인공와우 이식기 등 이식물이나 의료용 재료의 표면에서도 바이오필름의 형성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바이오필름에 의한 감염의 치료는 감염원이 되는 이식물을 제거하거나 바이오필름의 서식처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 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는 정향나무과(Myrtaceae)에 속하는 열대성 상록교목으로 이 나무의 다 피지않은 꽃봉오리를 말린 것을 정향이라 하는데 암흑갈색을 한 정모양으로 길이는 10-18mm이고 산지에 따라 크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향은 향신료의 일종으로 정향나무의 꽃이 피기전의 꽃봉오리를 따서 말린 것으로서 오래 전부터 유럽의 각국에서 각종 육류와 야채요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본래의 향미강화, 나쁜 향미 억제 등의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향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에는 유게놀, 아세틸유게놀, 차비콜 등의 페닐프로파노이드 화합물, 세스퀴테르펜, 트리테르펜, 유게닌(eugenin) 등의 탄닌, 알칼로이드, 바닐린, 지방유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정향 알콜 추출물은 Bacillaceae과의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정유성분에 대한 항균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향 성분 중 유게놀, 아세틸유게놀은 국소마취와 진통작용뿐만 아니라, 항염, 항균, 이담작용도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예전부터 방향성 건위약으로 소화불량, 급만성 위장념, 구토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향 추출물 및 유게놀의 다양한 약리효과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중이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되어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중이염의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해 연구하던 중,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이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은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이미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탁월하며, 랫트 중이에서의 현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중이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폐렴구균을 배양한 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유게놀을 처리하였을 때 폐렴구균의 성장 정도(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폐렴구균을 배양한 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정향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폐렴구균의 성장 억제(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유게놀의 지수적 성장기로부터 수득한 폐렴구균에 대한 살균 시간 곡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폐렴구균을 배양한 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유게놀을 처리하였을 때 바이오필름 형성의 억제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폐렴구균을 배양한 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정향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바이오필름 형성의 억제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9는 다양한 농도의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의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유게놀-처리된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박테리아(9개군) 및 유게놀처리-박테리아(9개군)를 랫트(rat)에 접종한지 1 주일 경과 후 랫트의 수포로부터 분리한 페렴구균의 CFU(colony forming unit) 수치를 나타낸 도이다. 오차 막대(error bar)는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도 12는 박테리아(9개군) 및 유게놀처리-박테리아(9개군)를 랫트에 접종한지 1 주일 경과 후 랫트의 수포로부터 분리한 페렴구균의 CFU(colony forming unit) 수치를 나타낸 도이다. 오차 막대(error bar)는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정향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추출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정향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먼저, 정향 눈(bud)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한다. 분쇄된 정향에 물, C1~C4의 알콜 또는 물과 C1~C4의 알콜의 혼합용매를 가하고 1~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2번 반복). 이때, 용매의 부피는 분쇄한 정향 중량의 1~10배로 한다. 상기 C1~C4의 알콜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이후, 정향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60℃ 진공상태에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정향 조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강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이미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탁월하며, 랫트(rat)의 중이에서 현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은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중이염은 중이강 내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하는 것으로, 중이강, 중이점막 상피세포 및 상피하 조직의 변화와 구조물의 골 파괴 징후를 동반하는 조직 변화를 보이는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중이염은 발병 시기 및 임상 증상에 따라 분류되며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중이염은 바이오필름 형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이오필름 형성은 봉합, 적출부, 동정맥부, 공막돌융술(scleral buckle) 부위, 콘텍트 렌즈, 자궁 내 장치(intrauterine device; IUD), 기관 튜브, 히크만 카테터(Hickman catheter), 중심 정맥 카테터, 인공 심장 판막, 판막 그래프트, 정형외과 기기, 음경 보형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이오필름이 형성될 수 있는 그 외 부위로는, 치주농주(gum disease) 및 강(cavity)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충치, 눈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는 콘텍트 렌즈, 만성 감염이 될 수 있는 귀 및 폐렴이 될 수 있는 폐를 포함한다. 감염은 낭성 섬유증일 수 있다. 감염은 피부 감염, 화상 감염 및/또는 상처 감염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필름은 병원균에 의해 유발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병원균이라 함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장관 감염증, 호흡기 감염증, 요로 감염증 등 각종 감염증의 원인균을 말한다. 그 예로서는 살모넬라균(Salmonella spp.), 적리균(Shigella spp.),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 콜레라균(Vibrio choreae), 대장균 O-157(Escherichia coli O-157),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jejuni), 위막성 대장염균(Clostridium difficile), 웰치균(Clostridium perfringens), 엘시니아 장염균(Yersinia enterocolitica),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Helicobacter pylori), 아메바 적리균(Entemoeba histolytica), 세레우스균(Bacillusu cereus),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클라미디아 폐렴균(Chlamidia pneumoniae), 레지오넬라 폐렴균(Legionella pneumoniae), 부란하멜라균(Branhamella catarrhalis),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pneumoniae), A형 용련균(Storeptcoccus pyogenes),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옴병균(Chramidia psittaci), 녹농균(Pseudo monas aerginosa),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대장균(Escherichia coli), 폐렴 간균(Klebsiella pneumoniae), 엔테로박터(Enterobacter spp.), 프로테우스속(Proteus spp.),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spp.), 장구균(Enterococcus faecalis),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B형 용련균(Storeptcoccus agalactia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하여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과 함께 공지의 항생제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는 물질을 의미하고, 베타락탐계, 세팔로스포린계, 마크로라이드계, 테트라사이클린계, 글리코펩티드계, 린코마이신계 및 퀴놀린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베타락탐계 항생제 중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폐니실린, 페니실린 G, 암피실린, 카르복실린 및 유레이도페니실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개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일일 투여량은 0.01 ~ 1000 ㎎/㎏, 바람직하게는 약 1.0 ~ 300 ㎎/㎏이나 임상결과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종류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식품 조성물은 건강 음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상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100g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제는 의료기기, 의료용 재료, 의료용 이식물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기기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진찰 및 진단용기기(Consultation & Diagnosis Equipment), 임상·검사용기기(Clinical Examination Equipment), 방사선관련기기(Radiology Equipment), 수술관련기기 및 장비 (Surgical Apparatus & Equipment), 치료관련기기(Cure Apparatus & Equipment), 재활의학, 물리치료기(Physiotherapy Appartus), 안과관련기기(Ophthalmic Appartus), 치과관련기기(Dental Appartus), 중앙공급실 관련기기(Central Supply Equipment), 병원설비 및 응급장비(Hospital Accmmodation & Emergency Equipment), 한방관련기기 (Oriental Medicine & Equipment), 제약관련기기(Pharmaceutical Equipment), 비만 및 건강관련기기(Obesity Cure & Healthcare Equipment), 의료용품, 소모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의료기기의 표면은 고분자재료 또는 금속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재료는 의료활동에 쓰이는 고분자재료 즉, 진단과 치료를 포함한 각종 의료행위에 쓰이는 의료기구나 신체 일부를 대신하기 위해 인공장기로 사용되는 중합체를 말한다. 활용되는 분야로는 수혈용 주머니를 비롯한 수혈용 장비, 주사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인공신장용 필터, 요도, 심장의 판막, 인공 혈관, 뼈, 피부, 힘줄, 귀, 턱, 안구, 치아 및 치아 충전제 등이 있다. 사용되는 물질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재료는 테인리스강, 코발트합금, 타이타늄합금, 금속생체재료, 코발트크롬합금, 티타늄합금, 탄탈륨,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s)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료용 재료에는 그 재질에 따라 금속재료, 무기재료, 고분자재료, 복합재료 등으로 구분된다. 금속재료에는 금속재료 코발트, 크롬계, 스테인레스스틸계, 터치탄계 및 탈탄계 등으로 구분되며, 무기재료에는 생체유리(bioglass) 및 세라믹계 등이 있고, 고분자재료로는 천연 고분자재료, 바이오플라스틱, 합성고분자재료,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이 있으며, 의료용 복합재료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계,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료용 이식물(medical implants)들에는 도뇨관(catheter)처럼 매우 간단한 것부터 인공장기(artificial organs)나 감지기(sensors)처럼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장치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질병의 치료나 생활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환자의 피하에 이식하는 의료용 이식물이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의료용 이식물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원에서 발생한 감염증의 절반 이상이 의료용 장치의 이식과 관련 있으며, 그 구체적 예로는 혈관 내 인공 삽입물, 스텐트, 심장 스텐트, 말초 스텐트, 정형외과용 이식물, 뼈 또는 관절 보형물, 인공 심장, 인공 심장 밸브, 피하 및/또는 근육 내 이식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적이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폐렴구균의 배양
Health Protection Agency Culture Collections(HPA, Salisbury, UK)으로부터 수득한 폐렴구균 D-39 균주(NCTC 7466)를 캡슐화된 혈청형(serotype) 2 독성 균주이다. 상기 균주는 5% CO2, 37℃ 조건에서 흔히 대두를 트립톤 처리한 배지(tryptic soy broth; TSB) 또는 5% v/v 양 혈액으로 보충된 혈액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 정향 추출물의 제조
정식 정향 눈(bud)을 동국대학교 일산 병원 약학과로부터 수득하였다. 정향 눈을 깨끗이 씻고 건조한 다음 분쇄하였다. 건조된 정향 분말 100g을 85 내지 90℃에서 3시간동안 10배량의 30% 에탄올로 2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40㎛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여과액 내에 잔존하는 에탄올을 60℃, 진공 상태에서 제거하였다. 이 때 정향 추출물의 수율은 4.0%이었다. 상기 정향 추출물을 PBS(pH 7.2)로 재현탁하였다.
[실험예 1]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in vitro 바이오필름 억제 효과 검증
1.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및 최소 살균 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의 측정
정향추출물 또는 유게놀(sigma-alrich, MO, USA)의 MIC 및 MBC를 액체 배지 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wieci.ski et al. 2009). TSB 배지에서 배양된 휴지기(Stationary phase)의 폐렴구균을 새로운 TSB로 10배 희석하였고, 37℃에서 폐렴구균을 지수적 성장기(exponential growth phase)까지 배양하였다. TSB로 연이어서 2배 희석된 정향 추출물(0.04 mg/ml 내지 2.56 mg /ml) 또는 유게놀(0.015% to 0.5% v/v)을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200 μl per well)에서 처리하였다.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처리하지 않은 웰을 양성 성장 대조군(positive growth control)으로 이용하였다. 모든 웰을 유게놀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0.1% v/v가 되도록 DMSO를 포함시켰다. 희석된 균주의 현탁액을 각각의 웰에 최종 농도가 1-5 x 105 CFU(colony-forming unit)가 되도록 추가하여 생균측정으로 확인하였다. 균을 처리하지 않은 웰을 음성 성장 대조군(negative growth control)으로 확인하였다. 플레이트를 37℃, 5% CO2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그 성장을 600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가시적 성장을 보이지 않는 모든 웰(OD600≤0.05)로부터 수득한 폐렴구균 10㎕를 TSA(Fluka) 상에 도말하였고, 37℃, 5% CO2 조건에서 하루밤 동안 배양 후 콜로니 수를 세었다. 그 다음, MIC 및 MBC를 측정하였다. MIC를 균주가 가시적 성장을 보이지 않는 최저 농도의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로 정의하였고, MBC를 균주의 초기 접종 후 균주가 99.9% 이상 감소하는 최저 농도로 정의하였다. MIC 및 MBC를 3개의 동일 실험체로 2번 반복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게놀의 MIC는 0.06%로 박테리아의 성장이 99% 억제되었고, 유게놀의 MBC는 0.12%로 완전 살균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정향 추출물의 MIC 및 MBC는 각각 0.64mg/ml 및 1.28 mg/ml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향 추추물 및 유게놀은 폐렴구균의 성장을 농도-의존적 방식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2. 살균 속도의 측정
지수 성장기로부터 수득한 폐렴구균(MIC 측정을 위해 제조)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게놀 용액을 최종 농도 0%, 0.0625% 또는 0.125% v/v (대조군)가 되도록 추가하였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15, 30 및 60분 후 100㎕를 각각의 튜브에서 제거하였고 CFU/ml 값을 TSA(Tryptic soya agar) 상에서 여러번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혼합 후 0% 유게놀 튜브로부터 수득한 샘플을 '시간 0'의 시점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게놀의 0.06% (MIC) 또는 0.12% (2×MIC)의 처리는 폐렴구균에 대해 강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수 성장기에 있는 폐렴구균 생균의 수는 0.06% 유게놀로 30분 처리한 후 2log10 단계로 감소되었고(99% 살균), 반면에 0,12% 유게놀의 첨가는 4log10 단계로 감소하였다(99.99% 살균). 살균 속도는 시간 의존적 방식으로 감소하였고 최초 15분 동안 살균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었다. 0.12% 유게놀에 50분 동안 노출 후 생균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해 유게놀은 시간 의존적으로 강한 살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3.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in-vitro 바이오필름 형성의 억제 효과
In vitro 바이오필름 형성을 기존 연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96웰 플랫-바틈, 폴리스티렌 마이크로플레이트(BD falcon, Sparks, MD, USA)의 고정 모델에서 수행하였다(Baldassarri et al. 2006; Oggioni et al. 2006).
구체적으로, 하룻밤 동안 BAP(blood agar plate)에서 배양한 폐렴구균의 새로운 콜로니를 긁어내어 TSB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중간-지수성장기의 세포 현탁액(1x107 CFU/ml)을 새로운 멸균 TSB 배지를 이용하여 1:100으로 희석하였다. 경쟁 자극 펩타이드 1(Competence stimulating peptide 1; CSP-1, AnaSpec, CA, USA)을 새로운 멸균 TSB 배지를 이용하여 1:100으로 희석하였다. 여러번 2배 희석된 정향 추출물(0.04 mg/ml 내지 0.64 mg/ml) 및 유게놀(0. 015% 내지 0.25%)을 세포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200㎕의 세포 현탁액을 5% CO2 조건에서 96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폐렴구균의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였고 플레이트를 멸균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3번 부드럽게 세척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15분 동안 50㎕ 크리스탈 바이올렛(CV; 0.1%)으로 염색하였다. 과도한 염색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멸균 증류수로 3번 세척하였다. 상기 바이오필름을 95% 에탄올 200㎕로 용해시키고 570nm의 OD값을 자동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들을 5개의 동일 복제체로 수행하였고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에 대한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예비적 바이오필름을 플랑크톤성 균을 제거하기 위해 15시간 동안 PBS로 세척하였고 5% CO2 , 37℃ 조건에서 3시간 동안 표시된 농도의 정향 추출물과 유게놀의 농도에 노출시켰다. 이후 바이오필름을 PBS로 세척하였고, 초음파로 분산시키고 100㎕ PBS에서 용해시켰다. 분산된 바이오필름 세포를 플레이트 상에서 및 TSA에서 배양된 희석된 샘플로부터 생균의 CFU/㎖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하였다. 바이오필름의 생체량(biomass)를 상술된 CV-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로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15%의 유게놀의 첨가는 in-vitro 바이오필름을 유의하게(P < 0.001) 감소시켰고, 0.16 mg/ml의 정향 추출물의 첨가는 폐렴구균성 바이오필름을 유의하게(P < 0.05) 감소시켰다.
CV-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 어세이(CV-microtiter plate assay)는 바이오필름에 대한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의 상당한 억제 효과를 감지하였다. 바이오필름의 감소는 저농도에서 약제량에 의존적이었지만, 고농도에서는 바이오필름 형성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으로 보였다. 바이오필름에서의 감소는 세포 성장의 억제 때문일 수도 있다. 상기 실험결과들은 저농도의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이 폐렴구균 바이오필름의 축적 및 증강을 억제하고, 고농도에서는 균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은 유의하게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의 생체량을 감소시켰다. CV-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 어세이(CV-microtiter plate assay)는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을 처리한 샘플들의 바이오필름의 생체량에 있어서 유의한 농도 의존적 감소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6 내지 9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15% 농도의 유게놀(P < 0.05)은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을 유의하게 제거하였다. 반면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8 mg/ml의 정향 추출물(P < 0.05)은 이미 확립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6%의 유게놀 농도는 99% 이상의 살균력을 나타낸 반면에, 바이오필름의 생체량 감소는 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0.64 mg/ml 농도의 정향추출물은 유사하게 세포 살해(cell killing) 및 21%의 바이오필름 생체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즉, 바이오필름 내의 폐렴구균의 생존능력은 바이오필름의 생체량 감소 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감소되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해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이 바이오필름 기질(matrix)을 분해하는 것보다 살균하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 유게놀을 처리한 폐렴구균 바이오필름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분석
유게놀로 처리된 폐렴구균성 바이오필름의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고, 24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서 1.5ml로 접종하였고, 이후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유게놀(0.5%)을 포함한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고 추가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플랑크톤성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멸균 PBS로 부드럽게 2번 세척하였고 SEM 용액에 보존하였다. 상기 샘플을 2%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0.1% 인산염 완충액에서 담궈 선고정하였고, PBS에 용해시킨 1% 오스뮴산(osmic acid)에서 2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샘플을 동결건조기(ES-2030, Hitachi, Tokyo, Japan) 및 이온 코팅기를 이용하여 백금(IB-5, Eiko, Kanagawa, Japan)에서 점진적 고농도의 에탄올 및 t-부틸알콜로 처리하고 전개방사형 주사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Hitachi, S-4700, Tokyo, Japan) 하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유게놀로 처리된 폐렴구균 바이오필름의 생리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15시간이 경과한 바이오필름을 0.5% 유게놀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전자현미경은 대조군 샘플들에서 완전하고 조직화된 바이오필름을 보여주었다(도 10A, B). 전자현미경 상에서 상기 세포들은 상호 연결되어있고, 엑소폴리사카라이드(exopolysaccharide) 내에 끼워져있었다. 대조적으로 유게놀로 처리된 바이오필름 내의 세포는 완전히 용해되었다. 또한 세포벽의 구멍을 명백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죽은 세포는 바이오필름의 기질 내에 끼워져있었다(도 10 C, D). 상기 실험결과에 의해, 유게놀 또는 정향 추출물이 폐렴구균의 바이오필름을 제거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 유게놀 및 페니실린 병용 처리의 시너지 항균 효과
유게놀 및 페니실린의 시너지 효과를 기존 연구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체커보드 시험으로 평가하였다(Petersen et al. 2006). 구체적으로는, 박테리아를 2배 희석한 유게놀 또는 페니실린으로 각각 또는 배합하여 처리하고, 배양하였다.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IC를 측정하여 CFU를 세었다. 분할 저해 농도 지수(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FICI)를 각각의 약제의 FIC의 합으로 계산하였다. 약제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약제의 MIC에 의해 독립된 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차례대로 각각의 약제의 MIC로 정의하였다. 상호작용을 FIC 지수가 0.5 이하일 경우 시너지성, 0.5 내지 1.0 일 경우 중독성, 1.0 내지 2.0일 경우 보통, 그리고 2.0 이상일 경우 길항성으로 각각 정의하였다.
페니실린과 유게놀의 배합은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작용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MIC은 유게놀 및 페니실린의 배합에 있어서 FICI로 정의된 바와 같이 4배 이상으로 감소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고, MBC는 4배 이상 감소하였다.
6. 통계 분석
3개의 동일 실험체에서 수행한 각각의 실험의 평균으로 수치를 계산하였고 대조군의 값과 비교하였다. 두 평균값의 차이를 Student's t-test에 의해 계산하였다. 통계적 유의 검정을 0.05 이하의 P값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2]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in vivo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검증
1. 랫트(rat)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중이염 치료 또는 예방 효과
(1) 랫트에 폐렴구균을 접종한 지 1주일 후, 21마리 랫트를 선별하였다(무처리-대조군 = 3 개군, 폐렴구균-처리 = 9개군, [유게놀 + 균]-처리 = 9개군). 중이(bulla)의 삼출성(effusion fluid)을 확인하기 위해, 랫트의 귀를 잘라 균질화하였다. 귀의 균질화된 용해물을 멸균 PBS로 연이어 희석하였고 BAP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CFU 수를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렴구균은 대조군 샘플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균 처리 군과 [유게놀 + 균]-처리 군에서는 폐렴구균 콜로니가 관찰되었다. 폐렴구균-처리 군(n=9) 및 유게놀-처리 군의 랫트의 평균 CFU 수치는 각각 5.49 x 104/중이 및 2.63 x 102/중이로 나타났다. 유게놀-처리 샘플에서 유의한(P < 0.05) 폐렴구균의 감소(99% 이상)를 보여주었다.
(2) 랫트에 폐렴구균을 접종한 지 2주일 후, 21마리 랫트(rat)를 선별하였고(무처리-대조군 = 3 개군, 균-처러 = 8개군, 유게놀 + 균-처리 = 10개군), 폐렴구균을 수득된 중이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렴구균은 대조군 샘플(무처리 대조군)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폐렴구균의 평균 CFU 수치는 각각 1.53 x 104 및 2.73 x 102으로 나타났다. 유게놀-처리 샘플에서 98% 이상의 유의한 폐렴구균의 감소를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들은 유게놀의 유의한 항폐렴구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유게놀의 항균활성은 접종 2주 후 보다 1주 후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2.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의 중이염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
랫트에 포도상 구균을 접종한 지 1주 후, 4개의 중이(2개의 포도상구균-처리군 및 2개의 포도상구균+유게놀-처리군)를 수득하였고 포도상구균을 분리하였다. [포도상구균+유게놀-처리군]의 평균 CFU 수치는 3.90 x 107이었다. 그러나 [포도상구균+유게놀-처리군]은 또한 포도상구균의 104 콜로니/중이를 나타내었다.
유사하게 랫트에 포도상구균을 접종한 지 2주 후, 3개의 중이를 수득하여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용해물을 포도상구균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BAP에 도말하였다. (박테리아+유게놀)-처리군은 30개의 포도상구균 콜로니를 나타내었고, 반면에 포도상구균-처리군은 8.65 x 105 cfu/중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은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200㎎
유당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2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2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200㎎
만니톨 100㎎
Na2HPO4·12H2O 2㎎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1-5. 액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2-1. 건강식품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유게놀 및 페니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중이염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감염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유게놀 및 페니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중이염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감염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44643A 2013-04-23 2013-04-23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43A KR101530422B1 (ko) 2013-04-23 2013-04-23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43A KR101530422B1 (ko) 2013-04-23 2013-04-23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66A KR20140126466A (ko) 2014-10-31
KR101530422B1 true KR101530422B1 (ko) 2015-06-22

Family

ID=5199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643A KR101530422B1 (ko) 2013-04-23 2013-04-23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48B1 (ko) * 2019-12-31 2022-02-17 심민보 프로바이오틱스 및 항생제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240216423A1 (en) * 2021-04-21 2024-07-04 Prosalix Ag Inhibition of crystallization and/or biofilm formation on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624A (ja) * 1989-08-04 1991-03-2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緑膿菌感染症の予防および治療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624A (ja) * 1989-08-04 1991-03-2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緑膿菌感染症の予防および治療剤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azil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43(1), pp. 121-126(2007년) *
Brazil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43(1), pp. 121-126(2007년)*
Iranian Journal of Biotechnology, Vol. 4(2), pp. 137-140(2006년) *
Iranian Journal of Biotechnology, Vol. 4(2), pp. 137-140(2006년)*
Molecules, Vol. 17, pp. 6953-6981(2012년6월) *
Molecules, Vol. 17, pp. 6953-6981(2012년6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66A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al et al. Antifungal and biofilm inhibitory effect of Cymbopogon citratus (lemongrass) essential oil on biofilm forming by Candida tropicalis isolates; an in vitro study
Kim et al.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of Curcuma xanthorrhiza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Černáková et al. Novel therapies for biofilm-based Candida spp. infections
JP2018526370A (ja) 腸の感染症及び炎症の治療及び予防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arunanidhi et al.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nonpolar extracts of Allium stipitatum Regel. against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Hamzah et al. Antibiofilm studies of zerumbone against polymicrobial biofilms of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Dharmautama et al. The effectiveness of Sargassum polycystu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Candida albicans as denture cleanser
Sekar et al. Formulation, evalua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olyherbal toothpaste
KR101530422B1 (ko) 정향 추출물 또는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indi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anti adherence, anti biofilm and anti swarming of the aquatic extract of black raisins and vinegar of black raisins in Hilla City, Iraq
Aravindraj et al. Antimicrobial Effects of Punica granatum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acidophilus, Enterococcus faecalis and Candida albicans
KR20190077433A (ko) 생물막을 억제하기 위한 물질 및 방법
Özarslan et al. Biofilm formation of C. albicans on occlusal device materials and antibiofilm effects of chitosan and eugenol
CN108186617B (zh) 香叶醇及其衍生物在制备mrsa感染性疾病药物中的新用途
KR101670281B1 (ko)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
KR20130116440A (ko) 5-아자시티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vithra et al. Antimicrobial study of cast post and its surface modification with nanoparticle
Oh et al. The effect of curcumin against in vitro adhesion of implant device-associated bacteria on nanosized titanium dioxide
Kumar et al. In vitro efficacy of biosynthesized AgNP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using dental plaque formation
KR20160046489A (ko) 바이오필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
Safa Larijan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arvacrol against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asei, An In-Vitro Study
KR20210082009A (ko) 시스-자스몬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Yamala et al. Effect of Curcuma longa extract on Candida albicans adhesion to heat cure acrylic resin denture material: An in-vitro study
KR20150117439A (ko) 바이오필름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
Leelapornpisid et al. Effectiveness of Maprang “Bouea macrophylla Griffith” Seed Extract against Endodontopathogenic Microorganisms in a Multispecies Bacterial-Fungal Bio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