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370B1 - 피코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피코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370B1
KR101530370B1 KR1020130096561A KR20130096561A KR101530370B1 KR 101530370 B1 KR101530370 B1 KR 101530370B1 KR 1020130096561 A KR1020130096561 A KR 1020130096561A KR 20130096561 A KR20130096561 A KR 20130096561A KR 101530370 B1 KR101530370 B1 KR 10153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hroic filter
light source
filter
light
dichro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429A (ko
Inventor
변성호
박지용
김혜진
신호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아이엠
Priority to KR102013009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3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4Filters in which spectral selection is performed by means of a conductive grid or array, e.g.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2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beam-splitting or beam-combining systems, e.g. dichroic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피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멀티 광원, 상기 멀티 광원의 주광과 보조광을 투과 또는 반사를 통해 나눠주는 다수의 다이크로익 필터, 이를 검출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 및 보조필터로써 광학계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광 경로가 동일한 두 빔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함으로써, 고화질의 선명도와 정확한 색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코 프로젝터{PICO PROJECTOR}
본 발명은 피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매개체로서 현대사회에서 여러 형태의 융,복합기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그 중 저출력, 대형화면, 초소형의 장점이 있는 피코 프로젝터를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내장시켜 제작되고 있다.
즉 상기 피코 프로젝터는 작은 엔진 사이즈로 큰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를 채택한 휴대용 모바일 기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피코 프로젝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광 출력을 유지해주며 정확한 색 재현성을 표현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해상도 및 컬러표시, 화질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감도파장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로 광을 검출하여 피드백해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광학계의 구조상 3가지 광(R,G,B)이 한꺼번에 입사될 때에 생기는 간섭을 완벽하게 피할 수가 없고,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PD)에 3가지 색을 입혀야 하기 때문에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광을 감지할 수 있는 감도가 줄어들어 정확한 컬러 표시 및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맞추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토 다이오드(PD)로써, 각각의 색을 구분(분할)하여 검출해 주는 컬러 포토 다이오드(Color Photo Diode)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컬러 포토 다이오드의 경우 제작시 공정이 복잡하여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KR 2008-0095412 A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학계를 개선하여 높은 선명도와 색감을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광 경로가 동일한 두 빔의 크로스토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와 더불어 3가지 컬러를 갖는 레이저 빔의 방향을 최대한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피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제1,2,3 광원;
상기 제1 광원의 청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1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1 광원의 청색 빔 및 제2 광원의 적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1 광원의 청색 빔, 제2 광원의 적색 빔 및 제3 광원의 녹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3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청색 광을 검출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적색 광을 검출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에서 반사된 청색 빔을 차단하는 제1 보조필터;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에 반사된 녹색 광을 검출하는 제3 포토 다이오드;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청색 빔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적색 빔을 차단하는 제2 보조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제1,2,3 광원;
상기 제1,2,3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적색,녹색,청색 빔을 각각 평행하게 하는 제1,2,3 콜리메이트 렌즈;
상기 제1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1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2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 및 제2 광원의 적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3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 제2 광원의 적색 빔 및 제3 광원의 녹색 빔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3 다이크로익 필터;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투과된 청색 광을 검출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투과된 적색 광을 검출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에서 반사된 청색 빔을 차단하는 제1 보조필터;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반사된 녹색 광을 검출하는 제3 포토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피코 프로젝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는 오토콜리메이터 및 마스터 미러를 통해 기울기 각도가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는 오토콜리메이터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에 입사시켜 마스터 미러로 반사하고, 상기 마스터 미러가 이를 다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로 반사시켜 기울기 각도가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청색 빔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적색 빔을 차단하는 제2 보조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크로익 필터를 통해 주광과 보조광이 나뉘어 단색 광만 전용의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됨으로써, 광 경로가 단순하여 콤팩트한 광학계의 레이아웃 설계가 가능하고, 또한 광 경로가 동일한 두 빔 중 어느 하나의 레이저 빔을 보조필터를 통해 차단함으로써, 크로스토크의 방지로 인해 검출효율이 높아 선명도와 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광원에 따른 다이크로익 필터의 기울기 각도가 보정됨으로써, 3가지 컬러의 레이저 빔의 방향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아 더욱 고화질의 선명도와 색감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소프트웨어적인 보정이 불필요하여 이에 대한 비용의 지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신뢰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 내지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6 내지 8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이크로익 필터의 정렬방법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통해 각각의 광원이 일치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PICO Projector)는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DF)를 통해 광원(Laser Diode: LD)의 주광과 보조광을 나누어 단색 광만 전용의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에 입사되는 광학계의 레이아웃(Layout)을 설계하고, 광 경로가 동일한 두 빔 중 어느 하나의 레이저 빔을 보조필터를 통해 차단함으로써,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방지하여 주광의 컬러표시 및 화질,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용이하게 맞추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과 광학계는 광원의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코팅 구조의 다이크로익 필터(DF)를 포함하고, 또한 보조필터로써, 적색필터(Red Filter), 그리고 녹색필터(Green Filter)를 포함하여 레이아웃을 설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크로익 필터(DF)의 두께를 조절하여 레이저 빔의 경로를 이동시킴으로써, 포토 다이오드(PD)의 검출의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방지하여 주광의 컬러표시, 화질 및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등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멀티 광원을 채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PD) 검출의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용이하게 방지하여 높은 선명도와 색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피코 프로젝터는 각각의 광원을 입사시켰을 때 레이저 빔(Beam)과 빔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하여 면에 맺히는 상의 위치를 최대한 일치시킴으로써, 더욱 고화질의 선명도와 색감을 구현토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크로익 필터(DF)에 입사시킬 광을 발생시키는 오토콜리메이터(Auto Collimator) 및 상기 다이크로익 필터로부터 반사된 광을 재반사시키는 마스터 미러(Master mirror)를 포함한다.
즉 상기 오토콜리메이터의 각도측정원리를 이용하여 다이크로익 필터(DF)의 미세한 기울기 각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정됨으로써, 오정렬(Miss alignment) 없이 배치 가능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적인 보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광학계(100)로써, 3개의 광원(LD)을 채택하여 멀티 광원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광원은 각각 제1,2,3 광원(110)(111)(112)으로 지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3 광원(110)(111)(112)의 주광과 보조광의 경로를 나눌 수 있도록 코팅된 3개의 다이크로익 필터(DF)를 해당 광원(LD)의 전방에 배치하게 되며, 이들을 각각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120)(121)(122)로 지칭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120)는 제1 광원(110)의 청색 빔(Blue beam)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고, 제2 다이크로익 필터(121)는 제1 광원(110)의 청색 빔(Blue beam) 및 제2 광원(111)의 적색 빔(Red beam)은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고, 제3 다이크로익 필터(122)는 제1,2,3 광원(110)(111)(112)의 적색,녹색,청색 빔(R.G.B beam)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122)는 제3 광원(112)의 녹색 빔(Green beam)이 반사되는 면과 제2 광원(111)의 적색 빔(Red beam) 및 제1 광원(110)의 청색 빔(Blue beam)이 반사되는 면이 다르게 된다. 그리고 제2 다이크로익 필터(121)는 제2 광원(111)의 적색 빔(Red beam)이 반사되는 면과 제3 광원(112)의 청색 빔(Blue beam)의 투과되는 면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학계(100)는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120)(121)(122)를 통해 나누어진 단색 광이 입사되도록 3개의 포토 다이오드(PD)를 채택한 후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120)(121)(122)의 반사 면 또는 투과 면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을 설계하게 되며, 이들을 각각 제1,2,3 포토 다이오드(130)(131)(132)로 지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131)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121) 사이에는 보조필터로써, 적색필터(Red Filter)를 배치하여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121)에서 반사된 청색 빔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132)의 전방에는 보조필터로써, 녹색필터(Green Filter)를 배치하여 제2,3 다이크로익 필터(121)(122)를 투과한 청색 빔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122)를 투과한 적색 빔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색필터 및 녹색필터를 이하에서는 각각 제1,2 보조필터(140)(141)로 지칭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1차적으로 제1,2,3 포토 다이오드(130)(131)(132)에서 단색 광만을 검출할 수 있게 광학계(100)의 레이아웃을 설계하게 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120)(121)(122)를 통해 3가지 광(R,G,B)의 경로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3차적으로 제1 보조필터(140)를 통해 광 경로가 동일한 청색 빔과 적색 빔 중 상기 청색 빔을 차단하여 제2 포토 다이오드(131)에서 청색 빔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보조필터(141)를 통해서는 적색 빔과 청색 빔을 차단하여 제3 다이오드(132)에서 상기 적색 빔과 청색 빔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상기 제1,2 보조필터(140)(141)와 함께 제2,3 다이크로익 필터(121)(122)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3 다이크로익 필터(121)(122)는 그 두께가 0.82㎜이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상기 제2,3 다이크로익 필터(121)(122)는 제2,3 광원(111)(112)의 반사 또는 투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 Talk)에 대비해 그 두께를 0.82㎜이상으로 하여 빔 사이의 간격(t)을 넓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120)(121)(122)를 통해 제1,2,3 광원(110)(111)(112)의 주광과 보조광의 경로를 용이하게 나누어 제1 광원(110)의 검출은 제1 포토 다이오드(130)가 전담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광원(111)의 검출은 제2 포토 다이오드(131)가 전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3 광원(112)의 검출은 제3 포토 다이오드(133)가 전담하게 됨으로써, 적색,녹색,청색(R.G.B) 광이 각각 출사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의 색 재현 및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용이하게 맞춰 높은 선명도와 색감을 구현하게 된다.
도 5 내지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광학계(200)로써, 3개의 광원을 채택하여 멀티 광원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광원은 각각 제1,2,3 광원(210)(211)(212)으로 지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광원의 청색, 적색, 녹색 빔을 각각 평행하게 하는 3개의 콜리메이트 렌즈(Collimate lens)를 포함하며, 이들을 각각 제1,2,3 콜리메이트 렌즈(210a)(211a)(212a)로 지칭하게 된다.
또한 3개의 광원의 주광과 보조광의 경로를 나눌 수 있도록 코팅된 3개의 다이크로익 필터(DF)를 해당 광원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하게 되며, 이들을 각각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로 지칭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220)는 제1 광원(210)의 청색 빔(Blue beam)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고,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는 제1 광원(210)의 청색 빔(Blue beam) 및 제2 광원(211)의 적색 빔(Red beam)은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고,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는 제1,2,3 광원(210)(211)(212)의 적색,녹색,청색 빔(R.G.B beam)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코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는 제3 광원(212)의 녹색 빔(Green beam)이 반사되는 면과 제2 광원(211)의 적색 빔(Red beam) 및 제1 광원(210)의 청색 빔(Blue beam)이 반사되는 면이 다르게 된다. 그리고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는 제2 광원(211)의 적색 빔(Red beam)이 반사되는 면과 제3 광원(212)의 청색 빔(Blue beam)의 투과되는 면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학계(200)는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를 통해 나누어진 단색 광이 입사되도록 3개의 포토 다이오드(PD)를 채택한 후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의 일 측면, 즉 반사 면 또는 투과 면에 배치하게 되며, 이들을 각각 제1,2,3 포토 다이오드(230)(231)(232)로 지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231)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 사이에는 보조필터로써, 적색필터(Red Filter)를 배치하여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에서 반사된 청색 빔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232)의 전방에는 보조필터로써, 녹색필터(Green Filter)를 배치하여 제2,3 다이크로익 필터(221)(222)를 투과한 청색 빔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를 투과한 적색 빔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색필터 및 녹색필터를 이하에서는 각각 제1,2 보조필터(240)(241)로 지칭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1차적으로 제1,2,3 포토 다이오드(230)(231)(232)에서 단색 광만을 검출할 수 있게 광학계(200)의 레이아웃을 설계하게 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제1,2,3 콜리메이트 렌즈(210a)(211a)(212a)를 통해 평행하게 한 후 상기 광학계(200)에 경사지게 배치된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를 통해 3가지 광(R,G,B)의 경로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3차적으로 제1 보조필터(240)를 통해 광 경로가 동일한 청색 빔과 적색 빔 중 상기 청색 빔을 차단하여 제2 포토 다이오드(231)에서 청색 빔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보조필터(241)를 통해서는 적색 빔과 청색 빔을 차단하여 제3 다이오드(232)에서 상기 적색 빔과 청색 빔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상기 제1,2 보조필터(240)(241)와 함께 제2,3 다이크로익 필터(221)(222)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3 다이크로익 필터(221)(222)는 그 두께가 0.82㎜이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7 내지 8에서 보듯이, 상기 제2,3 다이크로익 필터(221)(222)는 제2,3 광원(211)(212)의 반사 또는 투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 Talk)에 대비해 그 두께를 0.82㎜이상으로 하여 빔 사이의 간격(t)을 넓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를 통해 제1,2,3 광원(210)(211)(212)의 주광과 보조광의 경로를 용이하게 나누어 제1 광원(210)의 검출은 제1 포토 다이오드(230)가 전담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광원(211)의 검출은 제2 포토 다이오드(231)가 전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3 광원(212)의 검출은 제3 포토 다이오드(233)가 전담하게 됨으로써, 적색,녹색,청색(R.G.B) 광이 각각 출사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의 색 재현 및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는 다음과 같은 정렬방법을 통해 광학계(200)에 배치하게 된다.
도 9 내지 11에서 보듯이, 먼저 제3 광원의 녹색 빔을 담당하는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를 제3 콜리메이트 렌즈(212a)의 전방에 배치하되,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는 조립 지그(Jig)를 이용하여 약 45°각도로 메인베이스(2)의 기준면에 밀착시키고, 오토콜리메이터(3)의 각도측정원리를 이용하여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의 기울어진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정토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오토콜리메이터(3)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에 입사시켜 마스터 미러(4)로 반사하고, 상기 마스터 미러(4)가 이를 다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3)로 반사시켜 조립 공차(±0.2°)를 확인한 후 접착제(Bond)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경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광원의 청색 빔을 담당하는 제1 다이크로익 필터(220)를 제1 콜리메이트 렌즈(210a)의 전방에 배치하되,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220)는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메인베이스(2) 상에서 X, Y 방향으로 틸트(Tilt)하여 조정하고, 오토콜리메이터(3)에서 발생한 광을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에 입사시켜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220)를 거쳐 마스터 미러(4)로 반사하고, 상기 마스터 미러(4)가 이를 다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3)로 반사시켜 조립 공차(±0.1°)를 확인한 후 접착제(Bond)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경화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2 광원의 적색 빔을 담당하는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를 제2 콜리메이트 렌즈(211a)의 전방에 배치하되,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0)는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메인베이스(2) 상에서 X, Y 방향으로 틸트하여 조정하고, 오토콜리메이터(3)에서 발생한 광을 제3 다이크로익 필터(222)에 입사시켜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221)를 거쳐 마스터 미러(4)로 반사하고, 상기 마스터 미러(4)가 이를 다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3)로 반사시켜 조립 공차(±0.1°)를 확인한 후 접착제(Bond)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경화하게 된다.
도 12에서 보듯이,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220)(221)(222)의 배치에 따른 정렬(Align)이 완료된 후에는 메인베이스(2)에 제1,2,3 광원(210)(211)(212), 제1,2,3 포토 다이오드(230)(231)(232) 및 제1,2 보조필터(240)(241)를 조립함으로써, 피코 프로젝터(1)를 구성하게 된다.
도 13에서 보듯이,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2,3 광원(210)(211)(212)의 적색,녹색,청색(R.G.B)의 레이저 빔을 하나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고화질의 선명도와 색감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피코 프로젝터 2 - 메인베이스
3 - 오토콜리메이터 4 - 마스터 미러
100, 200 - 광학계 110, 210 - 제1 광원
111, 211 - 제2 광원 112, 212 - 제3 광원
120, 220 - 제1 다이크로익 필터 121, 221 - 제2 다이크로익 필터
122, 222 - 제3 다이크로익 필터 130, 230 - 제1 포토 다이오드
131, 231 - 제2 포토 다이오드 132, 232 - 제3 포토 다이오드
140, 240 - 제1 보조필터 141, 241 - 제2 보조필터
210a - 제1 콜리메이트 렌즈 211a - 제2 콜리메이트 렌즈
212a - 제3 콜리메이트 렌즈

Claims (12)

  1. 제1,2,3 광원(Laser diode);
    상기 제1 광원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청색 빔(Blue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1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2 광원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Blue beam) 및 제2 광원의 적색 빔(Red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되며,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고 서로 다르도록 두께가 조절된 제2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3 광원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Blue beam), 제2 광원의 적색 빔(Red beam) 및 제3 광원의 녹색 빔(Green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되며,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고 서로 다르도록 두께가 조절된 제3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의 투과 면에 배치되어 제1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단색의 청색 광(Blue light)만을 검출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의 투과 면에 배치되어 제2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단색의 적색 광(Red light)만을 검출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에서 반사되어 적색 빔과 광 경로가 동일한 청색 빔(Blue beam)을 차단하는 제1 보조필터(Red Filter);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의 반사 면에 배치되어 제3 다이크로익 필터에 반사된 단색의 녹색 광(Green light)만을 검출하는 제3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를 포함하는 피코 프로젝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청색 빔(Blue beam)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적색 빔(Red beam)을 차단하는 제2 보조필터(Green Filter);
    를 더 포함하는 피코 프로젝터.
  3. 제1,2,3 광원(Laser diode);
    상기 제1,2,3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적색,녹색,청색(R.G.B) 빔을 각각 평행하게 하는 제1,2,3 콜리메이트 렌즈(Collimate lens);
    상기 제1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Blue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제1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2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Blue beam) 및 제2 광원의 적색 빔(Red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되며,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고 서로 다르도록 두께가 조절된 제2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3 콜리메이트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광원의 청색 빔(Blue beam), 제2 광원의 적색 빔(Red beam) 및 제3 광원의 녹색 빔(Green beam)을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되며, 광 경로가 간섭되지 않고 서로 다르도록 두께가 조절된 제3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상기 제1 다이크로익 필터의 투과 면에 배치되어 제1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단색의 청색 광(Blue light)만을 검출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의 투과 면에 배치되어 제2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단색의 적색 광(Red light)만을 검출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상기 제2 포토 다이오드와 제2 다이크로익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다이크로익 필터에서 반사되어 적색 빔과 광 경로가 동일한 청색 빔(Blue beam)을 차단하는 제1 보조필터(Red Filter);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의 반사 면에 배치되어 제3 다이크로익 필터에 반사된 단색의 녹색 광(Green light)만을 검출하는 제3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를 포함하는 피코 프로젝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는 오토콜리메이터(Auto Collimator) 및 마스터 미러(Master mirror)를 통해 기울기 각도가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는 오토콜리메이터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제1,2,3 다이크로익 필터에 입사시켜 마스터 미러로 반사하고, 상기 마스터 미러가 이를 다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로 반사시켜 기울기 각도가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포토 다이오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청색 빔(Blue beam) 및 상기 제3 다이크로익 필터를 투과한 적색 빔(Red beam)을 차단하는 제2 보조필터(Green Filter);
    를 더 포함하는 피코 프로젝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96561A 2013-08-14 2013-08-14 피코 프로젝터 KR10153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61A KR101530370B1 (ko) 2013-08-14 2013-08-14 피코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61A KR101530370B1 (ko) 2013-08-14 2013-08-14 피코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429A KR20150020429A (ko) 2015-02-26
KR101530370B1 true KR101530370B1 (ko) 2015-06-23

Family

ID=5257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561A KR101530370B1 (ko) 2013-08-14 2013-08-14 피코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615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Ltd 液晶投写型ディスプレイ
WO2009142015A1 (ja) * 2008-05-21 2009-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13501247A (ja) * 2009-07-31 2013-01-10 レモプティ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光学マイクロ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投影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615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Ltd 液晶投写型ディスプレイ
WO2009142015A1 (ja) * 2008-05-21 2009-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13501247A (ja) * 2009-07-31 2013-01-10 レモプティ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光学マイクロ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投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429A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8806A1 (en)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EP2458424B1 (en) Beam splitter for 3D camera, and 3D image acquisition apparatus employing the beam splitter
US10060602B2 (en) Illuminator and projector
US10101647B2 (en) Illuminator and projector
TWI608287B (zh) 雷射模組與掃描器投影機
US20070035704A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jector
TW201333619A (zh) 立體投影光源系統
KR20050025922A (ko) 조명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WO2014045340A1 (ja) 光学素子、光源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1530370B1 (ko) 피코 프로젝터
US11503257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1530369B1 (ko) 피코 프로젝터
KR101505524B1 (ko) 피코 프로젝터
KR101530371B1 (ko) 피코 프로젝터
KR101659898B1 (ko) 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JP7342854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472893B1 (ko) 입체 영상 장치
US10652509B2 (en) Illuminator and projector
JP201703730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映像ユニット、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映像ユニットを用いて立体視のための対画像を生成する方法
WO2014045341A1 (ja) 光学素子、光源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14206630A (ja) 投射型表示装置
KR101558232B1 (ko) 레이저 영상기기용 화이트밸런스 조정 장치 및 방법
JP6515616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17147195A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KR100219640B1 (ko) 반사형 액정 프로젝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