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275B1 -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275B1
KR101530275B1 KR1020140129996A KR20140129996A KR101530275B1 KR 101530275 B1 KR101530275 B1 KR 101530275B1 KR 1020140129996 A KR1020140129996 A KR 1020140129996A KR 20140129996 A KR20140129996 A KR 20140129996A KR 101530275 B1 KR101530275 B1 KR 10153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ng
holder
fix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4012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의 제1 격실과 이웃한 제2 격실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로 노출되는 홀더 유닛;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유닛;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유닛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유닛이 상기 설치홀에 고정되면 상기 홀더 유닛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 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HOLDE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PIPE ELEMENTS TROUGH A BULKHEAD OF A SUBMARINE}
본 발명은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은 일반적으로 운항중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폭발 등으로 인하여 함내로 해수가 유입되어 침수되거나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잠수함에는 외부 압력이나 공기 오염으로부터 승조원을 보호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함 내부를 복수의 탈출 구획으로 나눠주는 내압 격벽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는, 전기 배선의 배치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구를 설계하게 되는데, 전술한 관통구는 내압 격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통구는 내압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할 때 통상 관통구와 내압 격벽의 연결부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통구는 용접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에 따른 용접 품질의 불균일 등의 문제와 협소한 공간으로 용접 불가 및 용접으로 교체 작업이 불가한 문제로 인하여, 내압 격벽을 기준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탈출 구획을 형성하는 격실 간의 적정 압력 유지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기 매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3-0013893호 공개특허 제10-2014-00628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잠수함의 제1 격실과 이웃한 제2 격실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로 노출되는 홀더 유닛;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유닛;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유닛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유닛은, 중심부가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 외주면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격벽에 접촉 고정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링 고정편과,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링 경사편과, 상기 링 경사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 유닛의 외주면에 함몰된 고정홈에 절곡 안착되는 회전 제한편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이 상기 설치홀에 고정되면 상기 홀더 유닛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 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설치홀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격실에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설치홀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설치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유닛 및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접촉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설치홀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홀의 가장자리 외측과 대응하는 상기 격벽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오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1 오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홀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설치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설치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차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1 단차부의 외주면과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 유닛 및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제2 단차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된 링 형상의 제2 오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2 오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단차부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단차부측을 향하여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함몰된 안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으로부터 상기 제1 단차부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안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씰링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인 탄성 부재의 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체결 너트 본체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된 복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깎여져 형성된 링 형상의 경사면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홈의 일단부는 상기 경사면의 가장자리 내측을 공유하고,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는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고정홈에 접촉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한 유닛은, 중심부가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 외주면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격벽에 접촉 고정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링 고정편과,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링 경사편과, 상기 링 경사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 유닛의 외주면에 함몰된 고정홈에 절곡 안착되는 회전 제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홀더 유닛과 격벽 사이에 체결 유닛이 배치되고, 홀더 유닛에 체결 유닛 및 제한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 관재를 설치토록 하므로,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관통 관재의 외주면과 홀더 유닛 사이에 균일한 기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가 격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홀더 유닛의 일단부에 체결 유닛과 제한 유닛이 상호 결합된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도 4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체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제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제한 유닛과 체결 유닛이 홀더 유닛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가 격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홀더 유닛의 일단부에 체결 유닛과 제한 유닛이 상호 결합된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체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제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제한 유닛과 체결 유닛이 홀더 유닛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11r은 렌치나 별도의 공구과 결합하여 홀더 유닛(10)을 설치홀(4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돌출편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유닛(10)과 씰링 유닛(20)과 체결 유닛(30)과 제한 유닛(5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홀더 유닛(10)은 잠수함의 제1 격실(61)과 이웃한 제2 격실(62)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40)의 설치홀(41)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양단부가 제1 격실(61)과 제2 격실(62)로 노출되는 것이다.
씰링 유닛(20)은 설치홀(41)과 홀더 유닛(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설치홀(41)과 홀더 유닛(10)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 유닛(30)은 홀더 유닛(10)에 결합되어 격벽(40)에 밀착되는 것이다.
제한 유닛(50)은 홀더 유닛(10)에 결합되고, 체결 유닛과 격벽(40)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 유닛(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홀더 유닛(10)이 설치홀(41)에 고정되면 홀더 유닛(1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 관재(70, 도 1의 점선 부분 참조)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70)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관통 관재(70)의 외주면과 홀더 유닛(10) 사이에 균일한 기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홀더 유닛(10)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설치홀(41)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격벽(40)에 고정되어 제1 격실(61)에 배치되는 고정부(11)와, 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설치홀(4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격실(62)에 배치되는 지지부(12)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씰링 유닛(20)은 고정부(11)와 격벽(40) 사이 및, 지지부(12)와 설치홀(41)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할 체결 유닛(30) 및 제한 유닛(50)은 지지부(12)에 설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홀(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격벽(40)에 접촉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1p)를 포함하며, 지지부(12)는 고정 플레이트(11p)의 중심부로부터 설치홀(41)을 통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씰링 유닛(20)은 고정 플레이트(11p)와 격벽(4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1p)는 씰링 유닛(20)의 고정 장착 및 격벽(40)에 대한 밀착을 위하여 설치홀(41)의 가장자리 외측과 대응하는 격벽(40)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오링 홈(11g)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씰링 유닛(20)은 제1 오링 홈(11g)에 안착되어 격벽(40)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1 오링 홈(11g)이 고정 플레이트(11p)로부터 함몰된 깊이는 씰링 유닛(20)의 탄성 변형에 따른 밀착 및 기밀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씰링 유닛(20)의 두께보다 얕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12)는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홀(41)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고정부(11)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홀(41)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단차부(12a)와, 설치홀(4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제1 단차부(12a)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격실(62)에 배치되는 제2 단차부(12b)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13)은 제2 단차부(12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후술할 씰링 유닛(20)은 제1 단차부(12a)의 외주면과 설치홀(41)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후술할 체결 유닛(30) 및 제한 유닛(50)은 제2 단차부(12b)를 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12)는 제1 단차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된 링 형상의 제2 오링 홈(12g)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씰링 유닛(20)은 제2 오링 홈(12g)에 안착되어 설치홀(4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링 홈(12g)이 제1 단차부(12a)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는 씰링 유닛(20)의 탄성 변형에 따른 밀착 및 기밀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씰링 유닛(20)의 두께보다 얕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씰링 유닛(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인 탄성 부재의 오 링을 포함하며, 전술한 오링은 장착되는 위치, 즉 제1 오링 홈(11g) 및 제2 오링 홈(12g)의 함몰된 깊이에 의하여 형성된 직경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부(12)는 제2 단차부(12b)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단차부(12a)측을 향하여 제2 단차부(12b)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함몰된 안내홈(12d)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후술할 제한 유닛(50)의 일부는 전술한 안내홈(12d)에 고정됨으로써 정확한 결합 위치를 결정하고, 후술할 체결 유닛(30)이 헛돌거나 회전하여 홀더 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결 유닛(30)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홀더 유닛(1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에 체결되어 제2 격실(62)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체결 너트 본체(31)와, 체결 너트 본체(3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된 복수의 고정홈(3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한 유닛(50)은 체결 너트 본체(31)와 격벽(40) 사이에 배치되고, 제한 유닛(50)의 일부가 고정홈(32)에 고정됨으로써, 체결 너트 본체(31)가 헛돌거나 풀려서 나사산(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 유닛(30)은 후술할 제한 유닛(50)의 일부가 원활하게 안내되어 절곡하여 고정홈(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 너트 본체(3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격벽(40)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깎여져 형성된 링 형상의 경사면(3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홈(32)의 일단부는 경사면(33)의 가장자리 내측을 공유하고, 제한 유닛(50)의 일부는 경사면(33) 및 고정홈(32)에 접촉하여 안착되는 것이다.
한편, 제한 유닛(50)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부가 홀더 유닛(10)의 일측 외주면, 즉 나사산(13)을 통하여 삽입되고, 격벽(40)에 접촉 고정되어 제2 격실(62)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링 고정편(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한 유닛(50)은 링 고정편(5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격벽(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링 경사편(55)을 포함한다.
링 경사편(55)은 전술한 체결 유닛(30), 즉 체결 너트 본체(31)의 경사면(33)이 안내되어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링 경사편(55)이 형성하는 직경은 체결 너트 본체(31)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한 유닛(50)은 링 경사편(55)의 가장자리로부터 링 고정편(51)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절결부(56)에 형성되는 것으로, 링 고정편(5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고, 체결 유닛(30), 즉 체결 너트 본체(31)의 외주면에 함몰된 고정홈(32)에 절곡 안착되는 회전 제한편(5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한 유닛(50)의 일부는 회전 제한편(52)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한 유닛(50)은 제2 단차부(12b)의 나사산(13)을 통하여 제1 단차부(12a)측의 정확한 위치를 지향하며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단차부(12b)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연장편(53)과, 연장편(53)으로부터 제1 단차부(12a)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되며, 안내홈(12d)에 수용되는 안착편(5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2 오링 홈(11g, 12g)에 씰링 유닛(20)을 각각 배치하고, 제2 단차부(12b)를 설치홀(41)을 통하여 삽입한 다음, 고정 플레이트(11p)를 격벽(40)에 밀착시키면, 제1, 2 오링 홈(11g, 12g)에 안착된 씰링 유닛(20)이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각각 격벽(40) 및 설치홀(4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나사산(13)을 가로질러 제2 단차부(12b)의 형성 방향으로 함몰된 안내홈(12d)을 따라 안착편(54)을 이동시켜 제한 유닛(50)을 격벽(40)에 밀착시킨 다음, 체결 너트 본체(31)를 나사산(13)에 나사 결합시켜 링 고정편(51)에 밀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체결 너트 본체(31)의 고정홈(32) 중 하나를 링 고정편(51)의 회전 제한편(52)에 대응되게 회전시켜 회전 제한편(52)이 절곡하여 안착 고정되는 위치 결정 준비를 마무리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링 고정편(51)의 회전 제한편(52)을 절곡하여 체결 너트 본체(31)의 고정홈(32)에 접촉 안착시킴으로써, 관통 관재(70)를 설치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 관재의 설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홀더 유닛
11...고정부
11g...제1 오링 홈
11p...고정 플레이트
11r...돌출편
12...지지부
12a...제1 단차부
12b...제2 단차부
12d...안내홈
12g...제2 오링 홈
13...나사산
20...씰링 유닛
30...체결 유닛
31...체결 너트 본체
32...고정홈
33...경사면
40...격벽
41...설치홀
50...제한 유닛
51...링 고정편
52...회전 제한편
53...연장편
54...안착편
55...링 경사편
56...절결부
61...제1 격실
62...제2 격실
70...관통 관재

Claims (12)

  1. 잠수함의 제1 격실과 이웃한 제2 격실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로 노출되는 홀더 유닛;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설치홀과 상기 홀더 유닛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유닛;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홀더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유닛과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유닛은,
    중심부가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 외주면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격벽에 접촉 고정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링 고정편과,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링 경사편과,
    상기 링 경사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 고정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 유닛의 외주면에 함몰된 고정홈에 절곡 안착되는 회전 제한편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닛이 상기 설치홀에 고정되면 상기 홀더 유닛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관통 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설치홀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격실에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설치홀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설치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유닛 및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인 탄성 부재의 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홀더 유닛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체결 너트 본체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된 복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접촉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설치홀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홀의 가장자리 외측과 대응하는 상기 격벽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오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1 오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홀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설치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설치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차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격실에 배치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1 단차부의 외주면과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 유닛 및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제2 단차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된 링 형상의 제2 오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 유닛은 상기 제2 오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설치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단차부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단차부측을 향하여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함몰된 안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제2 단차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으로부터 상기 제1 단차부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안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체결 너트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깎여져 형성된 링 형상의 경사면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홈의 일단부는 상기 경사면의 가장자리 내측을 공유하고,
    상기 제한 유닛의 일부는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고정홈에 접촉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KR1020140129996A 2014-09-29 2014-09-29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KR10153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96A KR101530275B1 (ko) 2014-09-29 2014-09-29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96A KR101530275B1 (ko) 2014-09-29 2014-09-29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275B1 true KR101530275B1 (ko) 2015-06-23

Family

ID=5351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996A KR101530275B1 (ko) 2014-09-29 2014-09-29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2378A (zh) * 2015-10-10 2016-02-03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液化气船单元管架无余量对接的建造方法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79A (ja) * 1992-01-22 1993-10-19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KR20140006430A (ko) * 2012-07-05 2014-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케이블 관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79A (ja) * 1992-01-22 1993-10-19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KR20140006430A (ko) * 2012-07-05 2014-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케이블 관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2378A (zh) * 2015-10-10 2016-02-03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液化气船单元管架无余量对接的建造方法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102446954B1 (ko) * 2017-08-16 2022-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601B2 (en) Compression seal assembly
KR101530275B1 (ko) 잠수함의 격벽 관통 관재 설치용 홀더 어셈블리
KR101603863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US20090260516A1 (en) Sealing structure for fluid pressure device
AU2019204240B2 (en) Pressure vessel penetrator isolation device
KR101604457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WO2020264433A8 (en) Clamp assembly
US8752843B2 (en) Collet having angled seal bores
US10428983B2 (en) Exhaust collar and method for flexibly attaching an exhaust funnel for an exhaust hood to a vent pipe and exhaust funnel device
JP6396140B2 (ja) 弁本体取付構造
KR102197511B1 (ko) 파이프 가공용 장비
JP6040951B2 (ja)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2022008704A (ja) 船舶の隔壁貫通管材設置用ホルダーアセンブリ
WO2018008301A1 (ja) 蓋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閉塞構造
CA3058220C (en) A clamp cover and method of use
JP2019207013A (ja) サドルバンド
JP2012107720A (ja) 管継手
US11635164B2 (en) Clamp cover and a method of use
JP5823273B2 (ja) 制流体保持方法及びその際に用いられる係合具
JP2019120257A (ja) 配線部材
WO2023210501A1 (ja) 仕切弁設置方法、及び、その仕切弁設置方法に用いられる仕切弁設置構造
NO20150818A1 (no)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montering av pakning
NO341361B1 (no) Tetteskiver til elektriker bokser for tetting mellom elektriker boks og dampsperre
JP5882513B2 (ja) 作業具設置方法
JP2016161091A (ja) 埋設式ガス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