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31B1 -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31B1
KR101529431B1 KR1020140062860A KR20140062860A KR101529431B1 KR 101529431 B1 KR101529431 B1 KR 101529431B1 KR 1020140062860 A KR1020140062860 A KR 1020140062860A KR 20140062860 A KR20140062860 A KR 20140062860A KR 101529431 B1 KR101529431 B1 KR 10152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urbine
gas
exhaust ga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대규모 발전소 건설없이도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여름 및 겨울철 피크타임시에 정격 운전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의 출력을 필요량 만큼 가변적으로 증대시켜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와, 압축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2)와, 연소기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가스터빈(3)과, 가스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1 발전기(4)와,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덕트 버너(5)와, 덕트버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물을 열교환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배열회수용 보일러(6)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공급된 스팀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스팀터빈(7)과, 스팀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2 발전기(8)로 이루어진 복합발전시스템과; 상기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추가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덕트 버너(5)에 공급하는 제 1 출력증대 수단(9)과; 상기 스팀 터빈(6)의 출구쪽 스팀 일부를 분지 후 재압축 및 승온시켜 공급하는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한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Multiplex power generating system with multi power boosting means}
본 발명은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여름 및 겨울철 피크타임시에 정격 운전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의 출력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증대시켜 정전(블랙아웃)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합발전 시스템은 종래 단일 화석연료를 원료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의 종합 열효율이 기술적으로 40%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나온 발전 시스템으로, 주로 가스터빈 발전에 사용한 고온의 가스로 증기를 발생시켜 이 증기로 스팀 터빈을 회전시켜 복합적으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물론 복합발전이란 가스터빈과 스팀터빈만을 이용한 발전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고,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 연료전지, 조력, 파력 등등의 에너지 자원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발전한다는 개념도 모두 복합발전의 개념에 들수 있다. 하지만 이하 설명에서는 주로 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을 이용한 발전 방법을 복합발전이라 칭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복합발전 시스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발전 시스템은 가스터빈에 의한 1차 전력 생산과 스팀터빈에 의한 2차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복합발전 시스템의 전력 생산량을 예로 들면 가스터빈의 발전용량은 약 50MW 이상이고 스팀터빈의 발전용량도 보통 50MW 이상으로서 합계 100MW 정도여서 소규모 도시 또는 신도시 정도를 커버할 정도의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복합발전 시스템은 먼저 천연가스(LNG) 등의 가스를 압축기(1)에서 압축시킨 후 연소기(2)에서 연소시켜 발생된 배기가스를 가스터빈(3)에 공급하여 팽창시켜 회전시키고, 가스터빈(3)과 연동되는 제 1 발전기(4)에서 1차 발전을 하게 된다. 이때 가스터빈의 출력을 100이라고 할 때 60%는 압축기를 가동하는데 사용되고, 발전기 가동에는 40% 정도가 사용된다.
2차 발전은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고온의 가스(약 540 ℃)를 이용하여 발전하기 위해 추가로 연료를 공급하여 덕트 버너(5)에서 재연소시켜 최대 900℃의 가스를 생성 후, 배열회수용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6)에서 공급된 외부의 물과 열교환시킴으로써 고온 고압(약 540℃, 180 bar)의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터빈(7)에 공급함으로써 스팀터빈과 연동된 제 2 발전기(8)에서 2차 발전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가스터빈 및 스팀터빈을 이용한 복합발전 시스템의 단점은 가동시 100% 정격운전을 하게 됨으로써 부분 부하 운전이 되지 않고 출력증대가 불가능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의 전력수요가 최고점에 이를 때 이에 대응한 추가적인 발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가스터빈은 운전이 시작되면 거의 100% 풀가동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출력 증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가스터빈을 이용한 전력 생산방식은 압축기가 운전이 불가능한 서지 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가스터빈의 운전영역이 운전가능 영역에서만 가능하여 출력 변동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실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과 상관없이 항시 일정한 용량 만큼만 정격 발전하게 되어 추가 출력증대가 어렵고 평상시에는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공기의 밀도가 온도 때문에 기타 계절에 비해 낮아져서 흡입공기 질량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는 오히려 정격출력 용량 보다도 낮은 전력 생산력을 가진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복합발전시스템 또는 기존 가스터빈 방식의 단점 때문에 여름철이나 겨울철의 최대 전력 사용량 피크시를 예상하여 전체 발전 용량을 계산하여 블랙아웃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소를 증설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풍력이나 조력 또는 파력과 같은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발전소는 건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건설 완료시점의 미래 전력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도 어렵고, 특히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정격 운전의 문제점이 있어서 순간적인 전력 증대 운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대규모 발전소는 여름철이나 겨울철 피크시에만 필요한 최대전력수요량을 생각하여 건설하기에는 그 건설비용이 과다하고, 최대전력 수요가 없는 봄이나 가을철에는 전력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풍력이나 조력 또는 파력과 같은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발전 방식은 자연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안정적인 균일한 발전 용량을 기대하기 어려워 최대 전력수요시 공급할 수 있는 발전 용량을 정량적으로 예상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대규모 발전소나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대신에 소규모 발전소를 독자적으로 다수 건설하는 것 역시 대규모 발전소와 비교시 전력 생산단가, 평상시 가동 유무에 따른 관리비용 및 저용량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급하기 위한 제반시설의 건설비용을 감안하면 이 역시 크게 경제적이지도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 적은 비용을 들이면서도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최대 전력수요량을 충당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가동하여 출력을 증대할 수 있는 전력 증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309208(2001.09.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대규모 발전소 건설없이도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여름 및 겨울철 피크타임시에 정격 운전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의 출력을 필요량 만큼 가변적으로 증대시켜 정전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2)와, 연소기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1 발전기와,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덕트 버너와, 덕트버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물을 열교환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배열회수용 보일러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공급된 스팀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스팀터빈과, 스팀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2 발전기로 이루어진 복합발전시스템과;
상기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추가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덕트 버너에 공급하는 제 1 출력증대 수단과;
상기 스팀 터빈의 출구쪽 스팀 일부를 분지 후 재압축 및 승온시켜 공급하는 제 2 출력증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출력증대 수단은 제 1 가스엔진과, 공기를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공기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공기와 제 1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압축공기를 덕트 버너의 전단 배가스라인에 공급하는 압축공기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출력증대 수단은 제 2 가스엔진과, 스팀터빈의 출력단 일지점에서 분지된 분지 스팀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스팀을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스팀압축기와, 스팀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 스팀과 제 2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2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압축 스팀을 스팀터빈의 후단 출력단에 공급하는 재압축 스팀공급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출력증대 수단은 제 2 가스엔진과, 스팀터빈의 출력단 일지점에서 분지된 분지 스팀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스팀을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스팀압축기와, 스팀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 스팀과 제 2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2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압축 스팀을 공급받는 제 2 스팀터빈과, 스팀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3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정격 운전만 가능한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을 이용한 복합발전 시스템에 부하조절용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전력사용량이 최대발전용량에 근접하여 정전(블랙 아웃) 사태가 발생할 정도의 부하가 걸릴 경우 필요한 용량만큼 추가적인 출력 증대가 가능토록 하여 정전(블랙아웃)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평상시에 불필요한 대규모 발전소를 증설하거나 소규모 발전소를 건설하여 개별적으로 운용할 때보다 건설비용 또는 운용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복합발전 시스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복합발전 시스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복합발전 시스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기본적인 복합발전 시스템과 같이 천연가스(LNG) 등의 가스를 압축기(1)에서 압축시킨 후 연소기(2)에서 연소시켜 가스터빈(3)을 돌리고, 가스터빈(3)과 연동되는 제 1 발전기(4)에서 1차 발전을 하게 된다.
2차 발전은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고온의 가스(약 540 ℃)를 덕트 버너(5)에서 추가로 공급된 연료와 함께 재연소시켜 최대 900℃의 가스를 생성 후, 배열회수용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6)로 공급하여 외부에서 물과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약 540℃, 180 bar)의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터빈(7)에 공급하여 스팀터빈과 연동된 제 2 발전기(8)에서 2차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설계용량에 따른 정격 운전중인 압축기를 통해서는 추가적인 출력증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추가 압축공기를 보충하여 덕트 버너(5)에 공급하는 제 1 출력증대 수단(9)과 스팀 터빈(6)의 출구쪽 스팀 일부를 분지 후 재압축 및 승온시켜 공급하는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을 구비하였다.
상기 제 1 출력증대 수단(9)은 제 1 가스엔진(91)과 제 1 가스엔진의 운전에 따라 대기 조건의 공기를 공급받아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을 하는 공기압축기(92)와 공기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공기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해 제 1 가스엔진의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압축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제 1 열교환기(93)로 구성된다. 제 1 가스엔진에는 추가적인 연료가 공급되게 된다. 제 1 가스엔진으로는 부하조절 운전이 가능한 왕복동 가스엔진을 사용한다. 부하조절 범위는 최대출력을 100이라할 때 20 ~ 100 사이에서 부분 부하 운전이 가능하다.
제 1 열교환기는 공기압축기에서 배출된 20bar, 200℃의 압축공기를 350℃의 제 1 가스엔진(91)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300℃로 승온시킨 다음, 이 압축공기를 덕트 버너(5)의 전단에 연결되어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540℃의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가스라인(11)에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배관(94)이 연결된다. 압축공기배관은 공기압축기에서 제 1 열교환기를 경유한 후 덕트 버너의 전단 배가스라인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스터빈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승온된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혼합 후 덕트 버너(5)에 공급하게 되면 배기가스의 용량이 증대되어 덕트 버너(5)는 마치 발전용량이 큰 발전기에서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덕트버너에서는 공급된 용량이 증가된 배기가스를 추가로 공급되는 연료를 사용하여 재연소시켜 900℃의 고온 배기가스를 생성 후 배열회수용 보일러(6)에 공급하여 배열회수용 보일러에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시켜 용량이 증대된 스팀을 발생시켜 스팀 터빈(7)의 출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스팀 터빈(7)에서 생성된 540℃, 180bar의 스팀은 팽창하면서 스팀터빈(7)을 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제 1 발전기(8)를 통해 출력이 증대된 상태로 발전 하게 되는데, 스팀터빈에 공급된 스팀은 초입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압력이 약해져 후단에서는 거의 진공상태와 같은 (-)압력에 다다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압력 저하에 따른 스팀 터빈의 출력저하를 재차 높이기 위해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을 구비하였다.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은 스팀 터빈의 후단 출력단 보다 이전 지점에서 약 5bar, 150℃ 미만의 저압 저온의 스팀을 분지 스팀라인(12)을 통해 분지시켜 다시 압축시킴으로써 20bar, 250℃의 스팀으로 만든후 이를 제 2 열교환에서 승온시켜 300℃의 스팀을 다시 재압축 스팀공급라인(13)을 통해 스팀터빈(7)의 후단 출력단에 공급하여 스팀 터빈의 출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분지 스팀라인은 스팀터빈의 후단 출력단 일지점과 스팀압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재압축 스팀공급라인은 스팀압축기에서 제 2 열교환기를 경유한 후 스팀터빈의 후단 출력단 일지점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2 가스엔진(101)과, 제 2가스엔진의 운전에 따라 스팀터빈의 출력단 일지점에서 분지된 분지 스팀라인(12)을 통해 5bar 미만의 저압 저온의 스팀을 필요한 출력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스팀압축기(102)와 스팀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 스팀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해 제 2 가스엔진의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압축스팀과 열교환시키는 제 2 열교환기(103)로 구성된다. 제 2 가스엔진에는 추가적인 연료가 공급되게 된다. 제 2 가스엔진으로는 부하조절 운전이 가능한 왕복동 가스엔진을 사용한다. 부하조절 범위는 최대출력을 100이라할 때 20~100사이에서 부분 부하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 2 열교환기(103)를 거친 압축 스팀을 스팀터빈으로 회수시키지 않고 제 2 스팀터빈(14)에 공급하여 제 3 발전기(15)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압축 스팀공급라인(13)은 제 2 스팀터빈(14)에 연결되게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3 발전기(15)에서 발생되는 전력이 출력증대분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부하조절용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정상운전시 -
천연가스(LNG) 등의 가스를 압축기(1)에서 압축시킨 후 연소기(2)에서 연소시켜 가스터빈(3)을 돌리고, 가스터빈(3)과 연동되는 제 1 발전기(4)에서 1차 발전을 하게 된다. 이후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고온의 가스(약 540 ℃)를 덕트 버너(5)에서 추가로 공급된 연료와 함께 재연소시켜 최대 900℃의 가스를 생성 후, 배열회수용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6)로 공급하여 외부에서 물과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약 540℃, 180 bar)의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터빈(7)에 공급하여 스팀터빈과 연동된 제 2 발전기(8)에서 2차 발전을 한다.
- 출력증대 운전시-
천연가스(LNG) 등의 가스를 압축기(1)에서 압축시킨 후 연소기(2)에서 연소시켜 가스터빈(3)을 돌리고, 가스터빈(3)과 연동되는 제 1 발전기(4)에서 1차 발전을 한다.
이후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고온의 가스(약 540 ℃)와 제 1 출력증대 수단(9)으로부터 공급받은 추가 가스를 혼합 후 덕트 버너(5)에서 추가로 공급된 연료와 함께 재연소시켜 최대 900℃의 가스를 생성 후, 배열회수용 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6)로 공급하여 외부에서 물과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약 540℃, 180 bar)의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터빈(7)에 공급하고, 동시에 스팀터빈(7)의 후단에서 분지된 일부 저온 저압의 스팀을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을 통해 재차 압축 및 승온된 스팀을 함께 공급하여 스팀터빈의 출력을 증대시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출력이 증대된 스팀 터빈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2 발전기(8)는 정격 운전시의 최대전력 생산량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 1 가스엔진과 제 2 가스엔진은 필요한 전력량에 따라 부하를 20 ~ 100 정도의 출력변동을 하면서 부분 부하 운전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압축기 (2) : 연소기
(3) : 가스터빈 (4) : 제 1 발전기
(5) : 덕트 버너 (6) : 배열회수용 보일러
(7) : 스팀 터빈 (8) : 제 2 발전기
(9) : 제 1 출력증대 수단 (10) : 제 2 출력증대 수단
(11) : 배가스라인 (12) : 분지 스팀라인
(13) : 재압축 스팀공급라인 (14) : 제 2 스팀터빈
(15) : 제 3 발전기 (91) : 제 1 가스엔진
(92) : 공기압축기 (93) : 제 1 열교환기
(94) : 압축공기배관 (101) : 제 2 가스엔진
(102) : 스팀압축기 (103) : 제 2 열교환기

Claims (4)

  1.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와, 압축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2)와, 연소기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가스터빈(3)과, 가스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1 발전기(4)와,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덕트 버너(5)와, 덕트버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물을 열교환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배열회수용 보일러(6)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공급된 스팀의 팽창에 의해 회전하는 스팀터빈(7)과, 스팀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2 발전기(8)로 이루어진 복합발전시스템과;
    상기 가스터빈(3)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추가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덕트 버너(5)에 공급하는 제 1 출력증대 수단(9)과;
    상기 스팀 터빈(6)의 출구쪽 스팀 일부를 분지 후 재압축 및 승온시켜 공급하는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증대 수단(9)은 제 1 가스엔진(91)과, 공기를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공기압축기(92)와, 공기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공기와 제 1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1 열교환기(93)와, 열교환된 압축공기를 덕트 버너의 전단 배가스라인(11)에 공급하는 압축공기배관(9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은 제 2 가스엔진과(101)과, 스팀터빈의 출력단 일지점에서 분지된 분지 스팀라인(12)을 통해 공급받은 스팀을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스팀압축기(102)와, 스팀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 스팀과 제 2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2 열교환기(103)와; 열교환된 압축 스팀을 스팀터빈(7)의 후단 출력단에 공급하는 재압축 스팀공급라인(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증대 수단(10)은 제 2 가스엔진(101)과, 스팀터빈의 출력단 일지점에서 분지된 분지 스팀라인(12)을 통해 공급받은 스팀을 가변적으로 부하 압축하는 스팀압축기(102)와, 스팀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 스팀과 제 2 가스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승온하는 제 2 열교환기(103)와; 열교환된 압축 스팀을 공급받는 제 2 스팀터빈(14)과, 스팀터빈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제 3 발전기(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KR1020140062860A 2014-05-26 2014-05-26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KR10152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60A KR101529431B1 (ko) 2014-05-26 2014-05-26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60A KR101529431B1 (ko) 2014-05-26 2014-05-26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31B1 true KR101529431B1 (ko) 2015-06-17

Family

ID=5351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60A KR101529431B1 (ko) 2014-05-26 2014-05-26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811A (ja) * 1999-11-19 2001-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
KR20050003361A (ko) * 2002-04-10 2005-01-10 헹크 오우베르케르크 스팀 및 가스 터빈 설비
KR20070100962A (ko) * 2005-02-01 2007-10-15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이산화탄소 방출이 적은 합성가스 제조 방법
JP2014051944A (ja) * 2012-09-10 2014-03-2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超臨界蒸気複合サイク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811A (ja) * 1999-11-19 2001-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
KR20050003361A (ko) * 2002-04-10 2005-01-10 헹크 오우베르케르크 스팀 및 가스 터빈 설비
KR20070100962A (ko) * 2005-02-01 2007-10-15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이산화탄소 방출이 적은 합성가스 제조 방법
JP2014051944A (ja) * 2012-09-10 2014-03-2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超臨界蒸気複合サイク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39444B2 (en) Conversion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 to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power plant
US8833051B2 (en) Method for operation of an integrated solar combined-cycle power station, and a solar combined-cycle power station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GB2449181A (en) Solar hybrid combined cycle power plant
US20070130952A1 (en) Exhaust heat augmentation in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CN102733956B (zh) 一种化石燃料与太阳能互补的分布式供能系统及方法
US20150308298A1 (en) Flexible Energy Balancing System
CN215170241U (zh) 一种火电厂储能调峰耦合系统
US8584465B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power plant which is equipped with a gas turbine, and power pla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Wang et al. Peak regulation performance study of the gas turbine combined cycle based combined heating and power system with gas turbine interstage extraction gas method
Kunickis et al. Flexibility options of Riga CHP-2 plant operation under conditions of open electricity market
CN110953763A (zh) 一种燃气热电联产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29431B1 (ko) 다중 출력 증대 수단을 구비하는 고효율 복합발전 시스템
Stack et al. Improving nuclear system economics using firebrick resistance-heated energy storage (FIRES)
KR20190069994A (ko) 가스터빈을 이용한 복합 발전설비
Ferrari et al. Smart polygeneration grid: a new experimental facility
KR20140003208A (ko) 왕복동 엔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Authina et al. Integration of combined heat and power energy systems with gas turbine in locally integrated energy sectors
CN103291556A (zh) 一种风电利用系统
RU87503U1 (ru) Парогазов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варианты)
Talukder et al. Integration of parabolic trough collectors with natural gas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n United Arab Emirates
RU147509U1 (ru) Тепл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EP2542763B1 (en) Power generation assembly and method
JP724635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CN216518290U (zh) 一种燃气轮机余热回收装置
RU57422U1 (ru)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земной газификации уг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