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299B1 -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99B1
KR101529299B1 KR1020130034806A KR20130034806A KR101529299B1 KR 101529299 B1 KR101529299 B1 KR 101529299B1 KR 1020130034806 A KR1020130034806 A KR 1020130034806A KR 20130034806 A KR20130034806 A KR 20130034806A KR 101529299 B1 KR101529299 B1 KR 10152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mergency
signal
resuscitation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955A (ko
Inventor
김주현
홍원표
송성욱
송경준
신상도
김희찬
이정찬
허만승
윤치열
유병욱
안중우
윤명오
김동근
함승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구급 침상을 이용한 환자 이송 중에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인간공학적인 자동 구동형 구급침상과 연동하여 구급활동 중 작업위험도가 높은 환자 이송 업무에 대한 구급대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 related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 possible Folding Ambulance couch}
본 발명은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급요원이나 병원 등의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진 등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에 위치한 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향후 또는 급박한 현재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송 중에도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여러 구급 소생장비와의 연동 가능한 구급침상에 적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구급침상은 최근 들어 고층화, 밀집화 되는 국내 주거문화 변화에 따라 구급 현장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심폐 소생이 필요한 환자 이송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안고 있어 환자 이송 중에도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는 구급 침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구급침상 대부분은 승강기의 내부 공간 크기에 적절히 대응되지 않도록 제작되어 있어 구급 침상 사이의 규격 차이 문제로 인한 접근이 곤란하여 응급환자의 생존율이 매우 낮은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고층건물에서 발생한 심정지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수동 또는 기계식 흉부 압박 장치를 이용하여 심폐 소생을 하면서 환자를 이송해야 하지만 기존의 구급 침상은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그 환자의 상태를 감시할 만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본건의 공동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등록 받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83662호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는 구급침상을 상하 양방향 접철식 구조의 설계를 하여 응급환자를 이송할 경우에 휠체어로 변형하여 좁은 공간의 엘리베이터 등에도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체부위를 올려주면서 둔부(엉덩이)를 받치는 형태로도 변형한 채 이송할 수 있어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의 이송에 보다 유리하며, 메인 프레임 또는 시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의 상하 회동운동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 등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에 의하면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구조 대원의 심폐소생술이 불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계식 흉부 압박장치를 구급 침상에 장착하여 심폐소생술이 이동 중에 자동적으로 시행하도록 하여 구급 이송 중의 호흡 곤란으로 인한 환자의 사망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지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급침상이나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과 같은 구급 침상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심폐소생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면서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 탑승하거나 진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구급침상은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좁은 공간을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를 탑승하지 못하게 되어 있어 불가피하게 계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송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심폐소생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환자가 사망하게 되거나 뇌사 상태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내재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간이 좁은 엘리베이터나 이동 통로를 이용하여 응급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구급침상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시켜 협소한 엘리베이터에 탑승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도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 조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해 가며 응급 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구급침상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을 개발하였다.
즉,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상체 부위를 받치도록 이루어진 메인베드와, 상기 메인베드와 수평을 유지하여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고, 중간은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진 굴절베드 및, 상기 메인베드와 일단부가 힌지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굴절베드와 힌지 조립되어 상기 굴절베드 전체를 상기 메인베드에 대해 수평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시켜 임의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하지거상접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렇게 개발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은 단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뿐, 구급요원이나 병원 등의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진 등이 구급침상에 위치한 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향후 또는 급박한 현재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진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구급요원이나 병원 등의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진 등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에 위치한 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향후 또는 급박한 현재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송 중에도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여러 구급 소생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에 적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는,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디지털 신호에서 환자 이송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심전도를 검출하는 ECG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중산소포화농도(SPO2)를 검출하는 SPO2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EtCO2 검출부 및,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압을 검출하는 NIBP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급요원이나 병원 등의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진 등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에 위치한 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향후 또는 급박한 현재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심페소생술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사망이나 뇌사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구급 침상을 이용한 환자 이송 중에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인간공학적인 자동 구동형 구급침상과 연동하여 구급활동 중 작업위험도가 높은 환자 이송 업무에 대한 구급대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100)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생체신호 감지부(101),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01)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2) 및,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하에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생체신호 감지부(101)는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100)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01)는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심전도를 검출하는 ECG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혈중산소포화농도(SPO2)를 검출하는 SPO2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EtCO2 검출부 및,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혈압을 검출하는 NIB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CG 검출부는 상기 구급침상(100)에 위치한 환자의 6채널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심전도 전극에서 검출한 6채널 심전도 정보를 기초로 심정지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기본 R-R 파형에서 허용 오차 범위(예: ±20%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실성 부정맥으로 판단하며, 안정시의 심박수가 설정 값(예: 90회) 이상인 경우 빈맥, 심박수가 설정 값(예: 60회) 이하인 경우 서맥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PO2 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있으며 발광부에서는 LED 발광을 통해 적외선을 포함한 빛을 동시에 방출하게 된다. 발광된 빛은 손가락 사이의 혈관을 통과하여 수광부를 통해 검출되는데,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그렇지 않은 환원헤모글로빈은 빨간색 빛을 더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빛의 차이를 측정하여 혈중산소포화농도의 수치를 산출한다. 통산 혈중산소포화농도는 일정시간동안 측정된 값을 계산하여 출력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움직임의 영향이 적은 경우는 10초, 환자의 움직임이 심한 경우는 20초 동안의 측정 값을 가지고 계산하여 수치로 출력하게 된다. 660nm의 적색광과 940nm의 적외선을 투과하여 산소 헤모글로빈과 환원헤모글로빈의 흡광도 차이로서 포화도를 측정한다. 상기 EtCO2 검출부는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것으로, 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여 심박출량의 간접적인 지표가 된다. 이산화탄소가 측정된다는 것은 심장이 운동을 하고 자발호흡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상기 생체 신호 감지부에서 ECG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는 Ag/AgCl 전극 외에 침상에 부착할 수 있는 Capacitive ECG 전극을 이용함으로써 ECG 신호를 침상에서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신호 감지부에서 SpO2의 센서는 손가락에 끼워서 측정하는 방법 외에 NIBP의 커프(cuff) 내부에 부착함으로써, 환자의 생체 신호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통합시스템에서는 심전도와 EtCO2신호, SpO2 신호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흉부압박기의 빈도수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흉부압박기의 피드백(feedback) 제어가 가능하다. 흉부압박기에 심전도(ECG)를 측정하면 심전도 신호 안에 흉부압박기의 진동에 의한 신호가 섞여서 왜곡된다. 그래서 흉부압박기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서 별도의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제어부(102)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101)로부터 나온 각종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각종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통합 신호처리한 후, 상기 통합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03)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디지털 신호에서 환자 이송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생체신호 감지부가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심전도를 검출하는 ECG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중산소포화농도(SPO2)를 검출하는 SPO2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EtCO2 검출부 및,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압을 검출하는 NIB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CG 검출부는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6채널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심전도 전극에서 검출한 6채널 심전도 정보를 기초로 심정지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기본 R-R 파형에서 허용 오차 범위(예: ±20%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실성 부정맥으로 판단하며, 안정시의 심박수가 설정 값(예: 90회) 이상인 경우 빈맥, 심박수가 설정 값(예: 60회) 이하인 경우 서맥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PO2 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있으며 발광부에서는 LED 발광을 통해 적외선을 포함한 빛을 동시에 방출하게 된다. 발광된 빛은 손가락 사이의 혈관을 통과하여 수광부를 통해 검출되는데,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그렇지 않은 환원헤모글로빈은 빨간색 빛을 더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빛의 차이를 측정하여 혈중산소포화농도의 수치를 산출한다. 통산 혈중산소포화농도는 일정시간동안 측정된 값을 계산하여 출력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움직임의 영향이 적은 경우는 10초, 환자의 움직임이 심한 경우는 20초 동안의 측정값을 가지고 계산하여 수치로 출력하게 된다. 660nm의 적색광과 940nm의 적외선을 투과하여 산소 헤모글로빈과 환원헤모글로빈의 흡광도 차이로서 포화도를 측정한다.
상기 EtCO2검출부는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것으로, 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여 심박출량의 간접적인 지표가 된다. 이산화탄소가 측정된다는 것은 심장이 운동을 하고 자발호흡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다음,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각종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고(S201), 수집된 각종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통합 신호처리한다(S202).
그런 다음, 상기 통합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의 전송 동작을 제어한다(S203~S204).
그러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디지털 신호에서 환자 이송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구급요원이나 병원 등의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진 등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에 위치한 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향후 또는 급박한 현재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심페소생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 환자의 사망이나 뇌사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구급 침상을 이용한 환자 이송 중에 효율적인 심정지 환자 소생술이 제공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인간공학적인 자동 구동형 구급침상과 연동하여 구급활동 중 작업위험도가 높은 환자 이송 업무에 대한 구급대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급침상 101 : 생체신호 감지부
102 : 제어부 103 :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Claims (3)

  1. 환자 이송 중 심정지 환자 소생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계식 흉부압박기를 포함한 구급 소생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한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신호 처리하여 나온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된 구급 요원 단말기 또는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심전도를 검출하는 ECG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중산소포화농도(SPO2)를 검출하는 SPO2 검출부;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검출하는 EtCO2 검출부; 및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혈압을 검출하는 NIBP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ECG 검출부는,
    상기 구급침상에 위치한 환자의 6채널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심전도 전극에서 검출한 6채널 심전도 정보를 기초로 심정지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기본 R-R 파형에서 허용 오차 범위(예: ±20%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실성 부정맥으로 판단하며, 안정시의 심박수가 설정 값(예: 90회) 이상인 경우 빈맥, 심박수가 설정 값(예: 60회) 이하인 경우 서맥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SPO2 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며, 발광부에서는 LED 발광을 통해 적외선을 포함한 빛을 동시에 방출하게 되고, 발광된 빛은 손가락 사이의 혈관을 통과하여 수광부를 통해 검출되도록 한 것으로,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그렇지 않은 환원헤모글로빈은 빨간색 빛을 더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빛의 차이를 측정하여 혈중산소포화농도의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나온 환자의 생체 디지털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디지털 신호에서 환자 이송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급 요원 단말기의 단말기 번호 또는 상기 응급 처리 정보처리장치의 URL 주소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3. 삭제
KR1020130034806A 2013-03-29 2013-03-29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KR10152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06A KR101529299B1 (ko) 2013-03-29 2013-03-29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06A KR101529299B1 (ko) 2013-03-29 2013-03-29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55A KR20140119955A (ko) 2014-10-13
KR101529299B1 true KR101529299B1 (ko) 2015-06-29

Family

ID=5199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806A KR101529299B1 (ko) 2013-03-29 2013-03-29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293B2 (en) 2017-07-28 2021-11-23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 with chest compression system and harness assembly with sens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06688A (es) * 2014-11-25 2017-10-04 Koninklijke Philips Nv Sistema de asistencia de reanimacion cardiopulmonar (cpr) y metodo para el monitoreo de la reanimacion cardiopulmonar (cpr).
KR102027334B1 (ko) * 2015-04-27 2019-10-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감시 및 응급소생처치를 위한 통합 기능성 구급 침상 플랫폼 장치
KR101956776B1 (ko) * 2016-01-29 2019-03-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심폐소생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7131477A1 (ko) * 2016-01-29 2017-08-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심폐소생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002A (ko) * 2001-09-11 2003-03-19 고학림 상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심전계 및 질병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80017588A (ko) * 2006-08-21 2008-02-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30607A (ko) * 2008-06-16 2009-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국제해사위성을 이용하여 선박용 응급원격진료를 제공하는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002A (ko) * 2001-09-11 2003-03-19 고학림 상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심전계 및 질병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80017588A (ko) * 2006-08-21 2008-02-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30607A (ko) * 2008-06-16 2009-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국제해사위성을 이용하여 선박용 응급원격진료를 제공하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293B2 (en) 2017-07-28 2021-11-23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 with chest compression system and harness assembly with sensor system
US11723835B2 (en) 2017-07-28 2023-08-1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 with chest compression system and harness assembly with sens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55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299B1 (ko) 구급침상에 사용되는 흉부압박소생 통합처리 장치
Wittmer et al. Early mobilization and physical exercise in patients with COVID-19: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CN105722551B (zh) 用于受控的除颤和通气的系统
US11179286B2 (en) Adaptive body positioning
US2022015186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 body positioning during chest compressions
US10406066B2 (en) Integrated external chest compression and defibril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ES2259662T3 (es) Silla y aparato auxiliar con medios de diagnosstico medico en un sistema de control de salud a distancia.
Denehy et al. Physio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Morgan et al. A hemodynamic-directed approach to pediatr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D-CPR) improves survival
Lund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in healthy volunteers during normobaric and hyperbaric hyperoxia
CN109223506A (zh) 一种用于心肺复苏的胸外按压装置
US20080097534A1 (en) Resuscitation system
US20160213560A1 (en) Autom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device
IL223004A (en) A system for providing non-invasive soul
CN106215326A (zh) 无线通气机报告
US10582881B2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reathing type
US20220172721A1 (en) Medical device and medical device system
AU2007229408A1 (en) Chest compression system
AU2007229409A1 (en) Resuscitation system
Reynolds et al. Tissue oximetry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a porcine mode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d resuscitation
KR102027334B1 (ko) 환자 감시 및 응급소생처치를 위한 통합 기능성 구급 침상 플랫폼 장치
US11013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entilation
CN107212986A (zh) 一种智能护理床
US11951046B1 (en) Resuscitation chamber
CN107822618A (zh) 非侵入式脑死亡检测评估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