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09B1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 Google Patents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9009B1 KR101529009B1 KR1020140153727A KR20140153727A KR101529009B1 KR 101529009 B1 KR101529009 B1 KR 101529009B1 KR 1020140153727 A KR1020140153727 A KR 1020140153727A KR 20140153727 A KR20140153727 A KR 20140153727A KR 101529009 B1 KR101529009 B1 KR 101529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ain frame
- frame
- piece
-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천정이나 벽체, 바닥재 등의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착탈식 공법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위치의 벽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들 메인 프레임에 끼워지는 판상부재 고정편과, 이들 메인 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 사이에 장착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판상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판상부재의 접속부분을 폐색하기 위한 몰딩 및 걸레받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구체 지지편, 판상부재 지지편, 판상부재 유도편, 걸레받이 끼움돌기, 걸레받이 끼움홈, 지지편 연결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부재 고정편은 지지편 연결홈, 걸레받이 끼움돌기 및 걸레받이 끼움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천정과 바닥에 고정시킨 후 평판부재를 끼워놓고, 메인 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을 지지편 연결돌기와 지지편 연결홈을 이용하여 결속시켜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몰딩 및 걸레받이는 메인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에 형성된 돌기 및 홈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구조체를 폐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detachable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ceiling, a wall, and a floor material for partitioning spaces of various buildings, but also to a detachable frame capable of recycling the material,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frame which is arranged so as to face mutually opposite wall surface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a plate member fixing piece sandwiched between these main frames, Wherein the main frame comprises a concave support piece, a plate-like member support piece, a plate-like member induction piece, a clasp-cap fitting protrusion, and a base plate- Wherein the plate member fixing member comprises a supporting piece connecting groove, a base receiving protrusion, and a bas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main frame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and then the flat plate member And the main frame and the plate-like member fixing pieces can be bound together by using the supporting piece connecting projections and the supporting piece connecting grooves to form the wall body The. The molding and the mop base are installed to be able to close the structure by fixing them using a protrusion and a groove formed in the main frame and the plate-like member fixing pie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임의의 세부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벽체를 나사와 같은 별도의 결합요소가 필요 없이 각 구성 프레임의 측면 또는 끝단에 구성된 요철(凹凸)형식의 삽입돌기 및 돌기삽입홈에 의해 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립된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조립된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공사의 흔적을 감추어 주며 장식의 기능을 가진 몰딩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wall for dividing an indoor space into arbitrary detailed spaces is formed by an insertion projection and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of a concavo-convex type formed on the side or end of each constituent frame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coupling element such as a scr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frame assembly. The frame assembly is provided with a molding having a function of decorating, at the edge of the assembled frame, .
일반적으로 각종 사무실은 하나의 커다란 실내공간을 기존 건물의 구조를 해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대로 몇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벽체는 고정식과 조립식으로 구분되어 진다. 고정식의 경우에는 조적공사, 미장공사, 도장공사 또는 도배공사가 발생되는 조적벽체와 목공사, 도장공사 또는 도배공사가 발생되는 목재칸막이 벽체가 있다. 고정식의 경우 여러 공정이 결합되어야 하나의 벽체가 완성되므로 최근에는 여러 공정을 하나의 판재로 생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벽체가 많이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고정식의 경우는 물론이고 기존의 조립식벽체의 경우에도 자재의 조립에만 주안점을 두고 해체는 등한시하여 일단 시공된 벽체의 이전설치 및 자재의 재사용이 불가한 현실이다. In general, various offices divide one large indoor space into several small spa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ithout harm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walls for partitioning such spaces are divided into fixed type and assembled type. In case of stationary type, there are masonry walls, masonry, and wooden partition walls where masonry works, plaster works, painting works, In the case of fixed type, since the wall is completed by combining several processes, recently, there is a tendency that many prefabricated walls are produced by assembling and assembling various processes into one plate. However, not only the case of fixed type but also the existing prefabricated wall is focused on the assembly of the material, and the dismantling is neglected, and it is a reality that the previously installed wall can not be installed and the material can be reused.
예를 들어, SGP(Steel Gypsum Panel) 라 불리우는 철물 벽체의 경우에는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지만, 이 벽체 역시 일반적으로 벽면에 많이 이용되는 벽 전체가 유리 벽체거나 석고 판재 위의 도장 또는 도배 마감 벽체라면 이를 수용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록 구조재와 마감재로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SGP 자재에만 활용해야만 함은 물론 밀실구조가 아니어서 소음 등의 차단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For example, a steel wall called SGP (Steel Gypsum Panel) is constructed so as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However, this wall is also generally used for a wall. The whole wall is a glass wall or a coating or gypsum finish on a gypsum board Although the wall is divided into the structural material and the finishing material, it has to be utilized only for the SGP material, and besides, it is not a closed room structure, and thus the noise is insufficient.
더구나, 시공방식에 있어서도 구조재에 마감재를 스크류 등으로 결속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크류 머리가 노출되어 버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패킹을 끼워줘야 하므로 도장 또는 도배 마감과 같은 일관성 있는 벽체의 연결이 불가능해진다.Furthermore, since the construction material is structured to bind the finishing material to the structural material with a screw or the like, the screw head is exposed, and a separate packing is inserted in order to compensate the screw head. Therefore, It becomes.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판상체의 설치와 관련하여,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0695700호 공보에는 차음과 단열 성능이 높고, 패널 간의 결합을 이루는 스터드에도 차음성능과 내화성능을 살리며, 상호 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의 견고성도 갖춘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복잡한 패널 자체의 구조와 함께 양단에 요철부를 장착하여 상호 연속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므로 통유리나 그 외 통벽 시공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the above-mentioned plate for building, for example, in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5700, the soun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re high,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re utilized for the studs joining the panels, However, since it is merely for connecting the concave / convex portions at both ends with th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anel itself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continuously, it is difficult to install It is not applicable at all.
또, 등록특허 제0838961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천정과 바닥에 고정봉을 나사 결합한 후 고정봉에 모듈화된 벽체를 슬라이딩시켜 결합함으로써, 천정과 바닥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벽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건식 벽체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고정 스터드의 구성이 복잡하고 스프링 등의 탄성체 및 별도 지지판을 조립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공과정이 난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부속 자재들의 추가 제작으로 인한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0838961, the fixed rod is screwed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and the modular wall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rod,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and a separate supporting plate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can be simplified. This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leads to an increase in price due to the addition of additional materials.
한편, 종래의 건축용 판상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건식 벽체(100)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 (110)과 천정(120) 사이에 비내력벽의 스틸 스터드(130)가 설치된다.1 and 2, a
상기 스틸 스터드(130)는 바닥(110)과 천정(120) 측에 도시하지 않은 앵커 볼트 등으로 결속되는 상,하부 트랙부재(132,134) 및 이 트랙부재 사이에 조립되는 다수의 수직보 역할을 하는 스터드부재(136)로 구성된다.The
또, 상기 스터드부재(136)의 사이에는 수평으로 장착되는 고정구(138a)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연결부재(138b)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석고보드(140)와 같은 마감재에 의해 접합 시공되며, 상기 스터드부재(136)와 상,하부 트랙부재(132,134)는 나사(142)로서 체결된다.The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식 벽체(100)의 경우에는 트랙부재(132,134) 사이에 스터드부재(136)가 끼워진 후 트랩부재 외곽에서 나사(142)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나사(142)의 머리부분이 트랩부재의 평면 보다 더욱 돌출된다.2, in the case of the
결국, 종래의 건식 벽체(100)에 있어서는 스틸 스터드(130)의 설치 후 마감재(14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나사 머리부분에 간섭되거나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As a result, in the
더구나, 상기 스틸 스터드(130)의 양측에 각각 석고보드(140)를 최종적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벽체가 두꺼워지고, 여러 단계의 나사 체결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임은 물론 자재의 제반 비용이나 실용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었다.
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마감 벽체나 석고보드마감 벽체는 물론 대부분의 벽체에 대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착탈식 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여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lazed wall and a gypsum board finishing wall, as well as a detachabl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ost wal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frame assembly capable of restraining the occurrence of construction waste by allowing the material to be recycl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또, 본 발명은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재와 마감재 간에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achable frame assembly which can be firmly fixed without using a separate screw between a structural member and a finish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wall,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 조립구조에 있어서는,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벽체의 위치에 상하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설치하고, 이들 메인프레임에 각종 판상부재를 끼워 넣은 후 판상부재 고정편을 메인프레임에 설치하여 판상부재를 고정하여 벽체를 형성한 후, 메인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에 형성된 돌출부에 몰딩 및 걸레받이를 끼워 넣어 상하부 메인프레임 및 판상부재 고정편을 폐색함과 동시에 마감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tachable frame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in frames arranged so as to be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t positions of walls determin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are provided, and various plate members After the plate member fastening pieces are fitted to the main frame to fix the plate members to form a wall body, the molding and the base plate ar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main frame and the plate member fastening pieces, And has a finish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위치의 바닥면에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선을 따라 메인프레임을 배설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각종 판상부재를 메인프레임에 올려놓은 후 판상부재 고정편을 메인프레임에 설치하여 판상부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메인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에 형성된 돌출부에 몰딩 및 걸레받이를 끼워 넣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vab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reference line on a floor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design specifications; arranging and fixing a main frame along the reference line; Fixing the plate-shaped member by mounting the plate-shaped member fixing member on the main frame after placing the plate-shaped member fixing member on the main frame, and inserting the molding and the base plate in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main frame and the plate-like member fixing piece.
상기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구조재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을 이용하여 통유리나 석고보드, 철재 등의 다양한 자재로 이루어진 각종 판상부재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달리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로 인한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tachable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ttach and detach various plate member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zed board, gypsum board, and steel using the main frame and the plate-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material unlike the pas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struction waste from being generated.
또한,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재와 마감재 간에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기존의 실내벽체 조립에 있어서 필요로 하던 많은 부품을 간소화하여 조립에 따른 몰딩 및 도색 등의 공정감소와 이에 따른 인력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screw between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finish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wall, the appearance is excellent and the construction is very simple, and th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interior wall assembly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processes such as molding and coloring due to assembly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manpower and manufacturing cost.
또한, 부품의 감소와 구조의 단순화로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여 한번 조립한 벽체를 분해하여 다른 위치에 높이와 폭 등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 및 변경하여 재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병의 벽체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는 그 일부가 파손될 경우 파손부분만을 별도로 교체조립이 가능하여 사후관리의 호환성 및 재활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reduces the cost of logistics due to the reduction of parts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t can disassemble the assembled wall once and adjust the height and width etc. It is possible to reinstall it. In addition, in the wall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thereof is broken, only the damaged portion can be replaced and assembled separatel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mpatibility of post management and recyclability.
도 1은 일반적인 스틸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 벽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4는 부재별 사시도,
도 5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의 벽체 형성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rywall using a general steel stu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drywall shown in FIG. 1,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removable fram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forming a wall of a removable frame assembl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스틸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 벽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 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4는 마감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메인프레임 및 판상부재 고정편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판상부재 및 몰딩, 걸레받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각 프레임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포스트 프레임을 이용하여 벽체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rywall using a general steel stu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drywall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of a remov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frame and the plate-shaped member fixing piece are separated, Fig. 6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view in a state where the plate-like member, the molding,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ll is installed using a post frame;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벽체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천정이나 바닥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이들 메인프레임(10)에 끼워지는 판상부재 고정편(20)과, 상기 메인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으로 형성되는 판상부재 끼움홈(17)에 장착되는 판상부재(80)과, 상기 메인프레임(10), 판상부재 고정편(20) 및 판상부재(80)의 접속부분을 폐색하기 위한 몰딩(30) 및 걸레받이(4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applicable to a wall for partitioning a space of a building, and includes a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위치의 천정과 바닥에 상하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천정과 바닥에 표시된 기준선(도시생략)을 따라 메인프레임(10)을 배열한 상태에서 작은 스크류(도시생략) 등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천정과 바닥에 고정된 메인프레임(10)의 구체지지편(11a,11b), 판상부재 지지편(13a,13b) 및 판상부재 유도편(14)에 맞대어 판상부재(80)을 끼워 넣은 후 메인프레임(1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지지편 연결돌기(18)에 판상부재 고정편(20)에 형성된 지지편 연결홈(21)을 체결하여 메인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판상부재(80)이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상부재(80)은 메인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으로 형성된 판상부재 끼움홈(17) 내로 매립되어 벽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판상부재(80)의 소재로서는 목재나 석고보드, 철재, 유리판재 등과 같이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자재는 거의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상기 몰딩(30)은 가스켓삽입편(31)에 가스켓(70)을 체결하여 메인프레임(10)의 구체지지편(11a,11b), 수평형매개프레임지지편(12a,12b) 및 판상부재지지편(13a,13b)로 형성된 몰딩삽입홈(12c,12d)에 양측에서 끼워 넣어 벽체 상부의 제반 접속부위를 폐색한다. 이때, 가스켓 고정돌기(19,32)와 몰딩고정돌기(72)는 메인프레임(10)과 가스켓(70)과 몰딩(30)의 결속을 공고히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상기 걸레받이(40)은 메인프레임(10)의 걸레받이 끼움돌기(16)로 형성된 걸레받이 끼움홈(16a)에 걸레받이 상부 끼움돌기(41)을 체결하고, 걸레받이 끼움돌기(15)로 형성된 걸레받이 끼움홈(15a)에 걸레받이 하부 끼움돌기(42)를 체결하여 벽체 하부의 제반 접속부위를 폐색한다. 이때, 걸레받이 마감편(43)은 바닥면에 맞닿아 걸레받이(40)와 메인프레임(10)의 결속을 공고히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일방향의 벽체 및 직각을 이루는 벽체를 연이어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스트 프레임(50)에 수직형 매개 프레임(60)을 개재하여 벽체의 설치 방향에 대한 판상부재(80)을 장착할 수 있다.8, when the one-directional wall and the rectangular wall are to be installed consecutively, the
즉, 상기 포스트 프레임(80)에는 사방으로 요홈(51)이 형성되어 상기 매개 프레임(60)에 형성된 돌기(61)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수직, 수평 4방향에 대한 판상부재(80)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벽체와 함께 직각을 이루는 벽체를 연이어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스트 프레임(50) 및 수직형 매개 프레임(60)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에 의해 ㄱ자형, T자형, +자형 등으로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식의 경우, 벽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천정이나 바닥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우물 천정, 이미지월(Image wall) 등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이 상하 수직방향인 경우 혹은 좌우 수평방향인 경우, 일부의 설치면적을 갖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위치만 달리할 뿐 동일한 시공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wall but also to a ceiling or a floor, as well as to a ceiling and an image wall. In other words, when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구조재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판상부재 고정편을 이용하여 통유리나 석고보드, 합판, 철재 등의 자재로 이루어진 판상부재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달리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로 인한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tachable frame assembly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and the plate-shaped member fixing members constituting the structural member can be use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plate memb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ball, a gypsum board,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material unlike the past an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construction waste to a minimum.
또한,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재와 마감재 간에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screw between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finish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wall, the appearance is excellent and the construction is very simple,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cost.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메인프레임 11a,11b : 구체지지편
12a,12b : 수평형매개프레임 지지편 12c,12d : 몰딩끼움홈
12e : 수평형매개프레임 끼움홈 13a,13b : 판상부재 지지편
14 : 판상부재 유도편 15,16 : 걸레받이 끼움돌기
15a,16a : 걸레받이 끼움홈 17 : 판상부재 끼움홈
18 : 지지편 연결돌기 19 : 가스켓 고정돌기
20 : 판상부재 고정편 21 : 지지편 연결홈
22,23 : 걸레받이 끼움돌기 22a,22b : 걸레받이 끼움홈
30 : 몰딩 31 : 가스켓 삽입편
32 : 가스켓 고정돌기 33 : 몰딩 마감편
40 : 걸레받이 41 : 걸레받이 상부 끼움돌기
42 : 걸레받이 하부 끼움돌기 43 : 걸레받이 고정편
50 : 포스트 프레임 51 : 요홈
60 : 수직형 매개 프레임 61 : 돌기
62 : 판상부재 지지편 70 : 가스켓
71 : 가스켓 고정홈 72 : 몰딩 고정돌기
80 : 판상부재10:
12a, 12b: Horizontal intermediate frame supporting pieces 12c, 12d: Molding fitting groove
12e: Horizontal type intermediate frame
14: Plate member guiding pieces 15, 16:
15a, 16a: clapper fitting groove 17: plate member fitting groove
18: Support piece connecting projection 19: Gasket fixing projection
20: Plate member fixing piece 21: Support piece connecting groove
22,23: clapper fitting protrusion 22a, 22b: clapper fitting groove
30: Molding 31: Gasket insertion piece
32: Gasket fixing projection 33: Molding finishing piece
40: a slat bottom 41: a slat bottom upper slat
42: lower bottom protrusion 43:
50: post frame 51: groove
60: vertical intermediate frame 61: projection
62: Plate member supporting piece 70: Gasket
71: gasket fixing groove 72: molding fixing projection
80: Plate member
Claims (12)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위치의 벽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이들 메인 프레임에 끼워지는 판상부재 고정편(20)과, 이들 메인 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 사이에 장착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판상부재(80)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판상부재 고정편의 접속부분을 폐색하기 위한 몰딩(30) 및 걸레받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양단부에 형성된 구체 지지편(11a,11b), 판상부재 지지편(13a,13b), 판상부재 유도편(14), 걸레받이 끼움돌기(15,16) 및 걸레받이 끼움홈(15a,16a), 지지편 연결돌기(18)로 구성되며, 양단의 구체 지지편(11a,11b) 및 판상부재 지지편(13a,13b)으로 형성된 몰딩 끼움홈(12c,12d)에 몰딩(30)을 끼워 넣고,
상기 판상부재 고정편(20)은 메인프레임(10)과 결속하는 지지편 연결홈(21)이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부재(80)은 메인 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으로 형성된 사이에 매립되어 벽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몰딩(30) 및 걸레받이(40)는 메인프레임(10)과 판상부재 고정편(20)에 형성된 끼움돌기 및 홈과 결속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 및 판상부재 고정편의 접속부분을 폐색할 수 있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A removable frame assembly applicable to ceilings, walls, flooring and the like for partitioning a space of a building,
The main frame 10 and the plate-like member fixing pieces 20, which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wal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design specifications, 20, and a molding 30 for cover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plate member fixing member and a base plate 40,
The main frame 10 is provided with support pieces 11a and 11b formed at both ends thereof, plate-like member supporting pieces 13a and 13b, plate-like member guide pieces 14, And the molding fitting grooves 12c and 12d formed of the spherical member supporting pieces 13a and 13b and the spherical support pieces 11a and 11b at both ends are formed by the grooves 15a and 16a and the supporting piece connecting projections 18, (30) is inserted,
The plate-like member fixing piece 20 has a support piece connecting groove 21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0 at one end,
The plate member 80 is embedded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plate member fixing piece 20 to form a wall,
The moldings 30 and the base panes 40 are fixedly coupl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s and grooves formed in the main frame 10 and the plate member fixing piece 20 and are capable of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main frame and the plat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are mounted on the frame.
설계 사양에 의거하여 정해진 위치의 벽면에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선을 따라 메인프레임(10)을 배설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판상부재(80)를 메인프레임(10)에 올려놓은 후 판상부재 고정편(20)을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된 지지편 연결돌기(18)과 판상부재 고정편(20)에 형성된 지지편 연결홈(21)의 요철(凹凸)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결속하여 판상부재(80)을 지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프레임 조립체의 시공방법.A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vable frame assembly that can be applied to a ceiling, a wall, a flooring or the like for partitioning a space of a building,
Displaying a reference line on a wal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a design specification,
Arranging and fixing the main frame 10 along the reference line,
The plate member fixing piece 20 is mounted on the main frame 10 after the supporting piece connecting protrusion 18 formed on the main frame 10 and the supporting piece connection formed on the plate member fixing piece 20 And supporting the plate-shaped member (80) by using the unevenness of the groove (21) to integrally bind the plate-shaped member (80).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st frame (50) is used to assemble the wall freely in a square shape, a T shape, a + shape, or the lik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727A KR101529009B1 (en) | 2014-11-06 | 2014-11-06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
US14/843,222 US9850656B2 (en) | 2014-09-02 | 2015-09-02 |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US15/152,650 US9920521B2 (en) | 2014-09-02 | 2016-05-12 |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US15/885,956 US10577795B2 (en) | 2014-09-02 | 2018-02-01 |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727A KR101529009B1 (en) | 2014-11-06 | 2014-11-06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9009B1 true KR101529009B1 (en) | 2015-06-15 |
Family
ID=5350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3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9009B1 (en) | 2014-09-02 | 2014-11-06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9009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134B1 (en) | 2016-05-26 | 2017-02-09 | 이청종 | Prefabricated Walls for Interior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CN107152106A (en) * | 2017-07-20 | 2017-09-12 | 迈瑞司(北京)抗震住宅技术有限公司 | The close rib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of shaped steel and its keel unit, wall, assembly method |
KR101866237B1 (en) | 2017-10-16 | 2018-06-12 | 주식회사 신원데크 | Assembling wall panels structure |
KR20180104930A (en) * | 2017-03-14 | 2018-09-27 | 박성일 | Prefabricated partition |
CN109665201A (en) * | 2018-11-19 | 2019-04-23 |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 Protective crad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uitable for two-sided overlapping wall |
CN111519750A (en) * | 2020-04-01 | 2020-08-11 | 福莱美熙展览展示(上海)有限公司 | Rapid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CN111622385A (en) * | 2019-04-09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oduction process of assembled wall |
CN111622386A (en) * | 2019-04-09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process of assembled wall |
CN111622384A (en) * | 2019-03-20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of assembled wall |
CN118390711A (en) * | 2024-06-26 | 2024-07-26 | 佛山大学 | Assembled partition wa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0837A (en) * | 2000-10-17 | 2002-04-26 | 송영준 | Prefab frame for wall |
KR20130093318A (en) * | 2012-02-14 | 2013-08-22 |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 Assembling type partition |
-
2014
- 2014-11-06 KR KR1020140153727A patent/KR1015290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0837A (en) * | 2000-10-17 | 2002-04-26 | 송영준 | Prefab frame for wall |
KR20130093318A (en) * | 2012-02-14 | 2013-08-22 |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 Assembling type partitio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134B1 (en) | 2016-05-26 | 2017-02-09 | 이청종 | Prefabricated Walls for Interior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US10662646B2 (en) | 2016-05-26 | 2020-05-26 | Chung Jong Lee |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20180104930A (en) * | 2017-03-14 | 2018-09-27 | 박성일 | Prefabricated partition |
KR101959989B1 (en) * | 2017-03-14 | 2019-03-20 | 박성일 | Prefabricated partition |
CN107152106A (en) * | 2017-07-20 | 2017-09-12 | 迈瑞司(北京)抗震住宅技术有限公司 | The close rib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of shaped steel and its keel unit, wall, assembly method |
CN107152106B (en) * | 2017-07-20 | 2023-09-05 | 迈瑞司(北京)抗震住宅技术有限公司 | Profile steel multi-ribbed composite structure system, keel unit, wall body and assembly method |
KR101866237B1 (en) | 2017-10-16 | 2018-06-12 | 주식회사 신원데크 | Assembling wall panels structure |
CN109665201A (en) * | 2018-11-19 | 2019-04-23 |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 Protective crad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uitable for two-sided overlapping wall |
WO2020103449A1 (en) * | 2018-11-19 | 2020-05-28 |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 Protective support for double-sided superimposed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111622384A (en) * | 2019-03-20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of assembled wall |
CN111622385A (en) * | 2019-04-09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oduction process of assembled wall |
CN111622386A (en) * | 2019-04-09 | 2020-09-04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process of assembled wall |
CN111519750A (en) * | 2020-04-01 | 2020-08-11 | 福莱美熙展览展示(上海)有限公司 | Rapid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CN111519750B (en) * | 2020-04-01 | 2021-06-11 | 福莱美熙展览展示(上海)有限公司 | Rapid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CN118390711A (en) * | 2024-06-26 | 2024-07-26 | 佛山大学 | Assembled partition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9009B1 (en)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Removable Wall Frame System | |
US10577795B2 (en) |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US3623288A (en) |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 |
JP2008506873A (en) | Panel assembly s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251700B1 (en) | Coupling system of deck-materials for using channel clip | |
KR102192046B1 (en) | Partition connection structure | |
WO2009023898A1 (en) | Surface coverings including decorative strips | |
CN107250477A (en) | Window frame and architrave component | |
CA2666284C (en) | Caisson ceiling system | |
KR20160063631A (en)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Wall Frame System | |
CN109072609B (en) | Prefabricated divider walls with external conduit engagement | |
KR101563551B1 (en) | Assembl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Construction Panel | |
FI128535B (en) | Arrangements for attaching panels to support structures, support structures and fasteners and their use in modular building elements | |
JPH08135053A (en) | Partition wall unit and panel connection joint | |
WO2021182112A1 (en) | Partition-wall device and partition-wall construction method | |
KR20070080802A (en) | Prefabricated wall divider construction method | |
JP3625368B2 (en) | Corner structure of interior system | |
KR20130003853U (en) | Assembling Structure of Screen Type Louver | |
KR101721223B1 (en) | Gallery window | |
JPH1046712A (en) | Partition wall | |
KR20090025485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wall finishing panel | |
KR100381770B1 (en) | Prefab frame for wall | |
JP6890534B2 (en) | Wall base device | |
KR200225503Y1 (en) | Prefab frame for wall | |
JP2001107496A (en) |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partition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20 |